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세대 콘텐츠 재산의 법제도적 분석

        이규호(Gyooho Lee) 차세대콘텐츠재산학회 2010 콘텐츠재산연구 Vol.1 No.-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stablish the blueprint of the Association of Content Property for Next Generation. At the outset, the title of the association need to be explained. The term, 'next generation', refers to a future-oriented concept in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has resulted in a market for a new content and thus the necessity for being supported by the policy and laws, and in that, in tum, the reform of laws and policy change can lead to a market for a new content and encourag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dvancement of science, and social change. The term, 'contents', is widely used by practitioners, scholars, government officials, and businesses. However, the terms, 'content' rather than 'contents', and 'content industry' rather than 'contents industry', are preferably used in common law countries. According to Article 2(1)(1) of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the term, 'contents' is defined as "data or information expressed in codes, characters, color, voices, sounds, images or pictures, and a combination thereof etc." Those contents are not always protected by the laws. Policymakers need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protectible by the laws whenever a market for a new content is created and how to protect them. In this regard, the policymakers need to decide whether they will protect those contents based on property rules or liability rules. For the perspective mentioned above,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definition of the content, the laws governing the content industry, the literature and the case law related to the content industry, the economic analysis of the content industry, and, in particular, the digital content.

      • 토렌트에 대한 법적 소고와 정책 방안

        조동관(Dong Kwan Jo) 차세대콘텐츠재산학회 2010 콘텐츠재산연구 Vol.1 No.-

        토렌트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콘텐츠를 직접 공유하지 않고 콘텐츠가 어디에 있다는 정보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초기 소리바다사건과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IsoHunt 사건이 발생한다면 「저작권법」 과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에 근거하여 온라인 서비스제공자에게 저작권 침해의 직접적인 책임을 묻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미국연방대법원의 유발이론 등과 같은 이유로 공동불법행위의 책임을 지우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토렌트의 동작 원리에 따르면 토렌트는 마치 인터넷에서 널리 퍼져있는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토렌트로 대표되는 순수한 P2P서비스는 법률로 제한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건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해주어 선순환을 유도해야 될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 Torrent is one of means that share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Torrent is different with the former Soribada case in that of Torrent giving a service of not contents itself but information on where contents are. If IsoHunt case had been occurred in Republic of Korea, the court might have not ruled that an online service provider should have responsibility for infringement of copyright under the Copyright Law and the Development Law of Online Digital Contents Industry, Only based on the Inducement theory of the U.S. Supreme Court, the court would have ruled that an online service provider should have responsibility for infringement of copyright. Moreover, Torrent is similar with a search engine like Google according to analysis of technical principles of Torrent. P2P service like a Torrent is not something to be ruled by the law but something to be supported by the law and to be moved toward a virtuous circle.

      • 위조방지무역협정(ACTA)의 국내이행방안에 관한 연구 : 한미 FTA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미(Lee Sang Mi) 차세대콘텐츠재산학회 2012 콘텐츠재산연구 Vol.3 No.-

        위조방지무역협정(Anti-Counterfeiting Trade Agreement, 이하 “ACTA”)은 지적재산권 집행강화를 위한 새로운 다자간 협정으로, 2008년부터 2년간 비공개로 협상이 진행되다 2010년 4월 21일 그 협정문이 공개되기에 이르렀다. 공개된 협정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제2장 지적재산권 집행에 관한 규제이다. 이는 (i) 민사집행, (ii) 국경조치, (iii) 형사집행, (iv) 디지털 환경에서 지적재산권의 기술적 집행에 관한 특별 조치로 구성 되어있다. 이 글에서는 한미FTA와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협정 이행시 국내에 필요한 규정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i) 민사집행에 있어 법정손해배상제도와 침해자에 대한 정보청구권의 도입, (ii) 국경조치에 있어 절차적 대상으로써 ‘환적’의 추가, (iii) 형사집행에 있어 위조된 라벨 유통행위와 영상저작물녹화행위의 형사처벌 규정 도입, (iv)디지털 환경 하 특별 조치에 있어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침해자관련 정보제공의무와 기술적보호조치의 무력화 행위 자체의 금지 규정의 도입. 또한, ACTA의 체결 목적이 권리자의 보호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감안하여 국내 이행을 위한 법 개정 시 권리자와 이용자 사이의 권익의 균형과 조화를 맞추는 입법을 제언한다. ACTA which means Anti-Counterfeiting Trade Agreement is new multilateral agreement for reinforcing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During 2 years closed negotiation of ACTA has been progressed and recently the agreement was made public. It constitutes 6 sections and the most controversy section is the Section.2 ‘Legal Framework for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is section consists of (i) Civil Enforcement, (ii) Border measure, (iii) Criminal Enforcement, (iv) Special Measures Related to Technological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Digital Environment. At this paper, regulations which would be necessary if the greement is made are proposed as compared with KORUS FTA. It is (i) in connection with Civil enforcement, pre-established damages and the authority to order the alleged infringer to provide any relevant information, (ii) in conjunction with Border measures, as the target of border measures introduction of transhipment, (iii) in regard to Criminal enforcement, introduction of criminal penalty about the distribution of counterfeited trademark and recording audiovisual works, (iv) in reference with Special Measures Related to Technological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Digital Environment, online service providers"s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infringers and prohibition of circumventing technological measures. Legislators should make the related regulations very careful in order not to harm fair use privileges.

      • SNS 서비스 제공자 책임의 기술적 보호조치

        최승재(Sung Jai Choi) 차세대콘텐츠재산학회 2010 콘텐츠재산연구 Vol.1 No.-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법적인 규율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미국의 경우를 보면, Zaran 사건이나, MySpace 사건 등에서 보는 것과 같이 SNS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성매매와 같은 범죄행위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이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되어 판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게다가 지적재산권의 관점에서도 SNS는 기본적인 지향점이 共有라는 점에서 지적재산권 침해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에는 이러한 사안들이 판례로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SNS 운용자의 책임을 논함에 있어서 출발점은 기존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책임을 염두에 두면 될 것이라고 본다. 유선이건, 무선이건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는 이에 대하여 불법적인 행위 발생을 스크린하고, 이를 방지하여야 할 의무가 있지만, 이러한 의무의 내용은 위의 미국 법원의 판례에서 보는 것처럼 모든 불법행위의 발생을 방지하여야 하는 의무와 같인 엄격 책임을 부담할 수는 없고, 입법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기본적인 논의의 기저는 문제가 되는 행위 시점에서 필터링 기술과 같은 합리적인 기술적인 수준을 통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요구하고, 만일 불법행위 사실을 알았을 경우에는 즉시 조치를 하는 것으로 면책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보인다. 이것이 SNS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해석론 및 입법론의 논의의 기초가 됨이 옳다고 본다. Though SNS services such as Twiter and MySpace and so on becomes popular very rapidly in recent days, legal or regulatory rules are not that prepared as such. In case of US, Zaran case and Myspace cases show us that SNS could be a vehicle for defamation, invasion of privacy, or the circulation of obscene pictures and any other illegal acts. The usage of SNS for the criminal or any other wrongful purposes has to be viewed from legal perspective as is the same as in US. In addition, as the basic philosophical basis of SNS is sharing and common usage, the more heavily SNS services are utilized, the more likely IP infringement cases can be found in the future. In judging the SNS service providers' liability, the starting point has to be put at the point where ISP's liability has been discussed up to now. Any strict liability rules for regulating SNS service providers can chill any technological progress and sometimes put a burden to them not in a balanced way. Taking these things into account, whether SNS services are actually executed in mobile or not, their obligation has to be limited to their best effort to adopt reasonable filtering technology, without limitation to this, for screening and preventing wrongful acts. Once they knew any wrongful acts, their obligation will be to take those materials cleared from their services immediately after their knowledge.

      • 디지털 환경에서의 지적재산의 보호와 유통에 관한 소고 :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를 중심으로

        김주엽(Kim Ju Yeop) 차세대콘텐츠재산학회 2010 콘텐츠재산연구 Vol.1 No.-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 서비스 사업자의 법적 책임에 대해 법학적 차원에서는 다수의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산업적 기술적 차원에서는 논의가 부족하다. 본 고에서는 법적인 측면에서는 이미 학계에서 논란이 된 바 있는 적극적 필터링 개념이 언급된 ‘소리바다5 사건’과 웹하드 업체에게 방조책임을 인정한 ‘웹하드 사건’을 산업적, 기술적 시각에서 접근 · 분석하였다. 디지털 콘텐츠 유통을 활성화하고 문화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적절한 저작권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공유방식의 콘텐츠유통이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한다면, 이에 대한 빠른 기술적 대응과 저작권 정책의 정비 등을 통해 저작권 산업, 나아가서는 문화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Discussion about Industrial and technical perspectives are insufficient, even there were manifold researches about the particular type of On-line Service Provider's legal responsibility from the jurisprudence point of view. This article covers the research and analyzes a case of 'Soribada5' adjudication in the industrial and technical point of view and that is the first court's adjudication about the particular type of on-line service provider's active aid and abet in the field of copyright infringement. First of all, sufficient understandings of new technology and appropriate copyright law are needed to invigorate the culture industrial and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If assuming the sharing kind of contents distribution is the big wave, the copyright and culture industry could grow up through the rapid technical response and modifying copyright policy.

      • 디자인 지식재산권의 법적 보호 비교 연구

        김종균(KIM, Jongkyun ) 차세대콘텐츠재산학회 2017 디자인과 법 Vol.- No.-

        지식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지식재산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산업디자인은 디자인권과 저작권으로 대표되는 지식재산권으로 보호받고 있다. 그런데 양 법은 지식재산권을 보호한다는 같은 목적으로 가지고 있음에도 그 적용대상이 상이하고, 등록절차나 방법, 보호기간 등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 또 최근에는 상표법이나 부정경쟁방지법이 디자인의 보호수단으로 적극 활용되기도 한다. 디자인은 그 범위가 넓고 다양해서 디자인보호법으로 모두 보호되지 못하고, 부득이 저작권이나 부정경쟁방지법, 상표법을 빌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보호받기 위해서는 각기 그 유형에 맞는 보호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물품성이 있는 디자인의 경우 디자인보호법이 효과적이며, 물품성이 없거나 일품(一品)디자인의 경우에는 저작권이 우선이다. 물품의 출처표시로 사용되는 경우의 디자인이라면 상표법이 효과적이며, 기타 그 구분이 모호한 유형의 디자인이라면 부정경쟁방지법의 보호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 간혹 특허법이 오히려 가장 효과적인 보호방법이 될 때도 있다. 최근 등장하는 새로운 유형의 제품디자인의 경우에는 여러 영역에 걸쳐 있는 경우가 많아, 필요하다면 법의 중복보호를 통해 보호범위를 확대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디자인이 중복보호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조건을 갖춘 상황에서만 중복보호를 받을 수 있다. 디자인보호법과 저작권법의 중복보호는 기능과 장식으로 그 기준을 삼는다. 디자인 보호와 관련된 지재권 법은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발맞추기 위해 잦은 개정이 이루어 진다. 또 세계 각국은 국가별로 디자인보호에 관한 법 적용이 상이한 경우가 많다. 디자인보호법과 저작권법은 우리와 미국, 일본이 유사한 편이고, 유럽은 저작권이 훨씬 더 강한 특징이 있다. 해외 수출을 할 경우, 대상국가의 상황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각 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보호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