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부 지방층염을 동반한 재발성 다발성 연골염 1례

        정현철 ( Hyun Chul Jung ),안준협 ( Jun Hyeop An ),송상헌 ( Sang Heun Song ),김성일 ( Sung Il Kim ),곽임수 ( Ihm Soo Kwak ),나하연 ( Ha Yeon Rha ),설미영 ( Mee Young Sol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9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6 No.3

        Relapsing polychondritis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widespread destructive inflammatory lesions, involving cartilaginous tissue throughout the body. Commonly involved organs include the external ear, nose, joints, eyes, tracheo-bronchial tree, cardiovascular system and cutaneous tissues. Erythema nodosum or mesenteric panniculitis have sometimes been described in association with relapsing polychondritis, but cutaneous panniculitis is rarely reported in relapsing polychondritis. We report here a relapsing polychondritis patient who developed cutaneous panniculitis, which was resolved by corticosteroid therapy.

      • KCI등재

        모녀간 골밀도에 미치는 유전적, 환경적 인자의 영향

        이창원 ( Chang Won Lee ),박근용 ( Keun Yong Park ),이영실 ( Young Sil Lee ),유석동 ( Seok Dong Yoo ),안준협 ( Jun Hyeop An ),공옥녀 ( Ok Nyu Kong ),손석민 ( Seok Man Son ),김인주 ( In Ju Kim ),김용기 ( Yong Ki Kim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연구의 목적 : 골밀도는 주로 유전적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외국의 여러 쌍생아 및 가계 연구에서 골밀도에 미치는 유전적 인자의 영향력은 약 50-85%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인에서 골밀도에 미치는 유전적인자의 영향력의 크기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20대 젊은 여성과 그들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골밀도에 미치는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인자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 건강한 평균 나이 20±1.2세의 여대생 95명과 평균 나이 45±2.7세의 폐경이 되지 않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에너지 흡수계측기(DXA, Hologic QDR 4500 A.)를 이용하여 요골원위부, 제 2-4 요추 및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은 설문지를 통해 흡연력, 음주력, 월경력, 신장, 체중, 체질량짓, 반정량적인 칼슘 섭취량과 및 일일 총열량 소모량을 얻었다. 모녀간 골밀도의 상관관계를 구하기 위해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인 나이, 신체 계측치 및 환경적 인자들을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보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 : 나이와 키, 몸무게를 보정하였을 때 어머니의 Z-score와 딸의 골밀도와의 상관계수는 0.242에서 0.278 사이였으며 칼슘섭취량과 육체적 활동량까지 보정하였을 때 상관계수는 0.234에서 0.289 사이였다. 이 수치는 딸의 골밀도에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유전적 영향력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유전적인 영향력의 크기가 46-58%임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최대골량은 유전적 인자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유전적 인자의 영향력을 제외한 부분이 환경적 인자와 같은 비유전적인 요소의 영향력이라 가정한다면 골밀도에 미치는 환경적 인자의 영향력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It is well known that genetic factors play major role in the regulation of bone mineral density(BMD). The heritability of BMD has been estimated to lie between 50% and 85% in twin studies. Family-based studies have also yielded strong heritability estimates for BMD. But heritability of BMD in Korean people has not been well estimated. So we evaluated the influences of hered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BMD in Korean mother-daughter pairs. Method : BMD of the lumbar, femur and wrist was measured in 95 healthy Korean mother-daughter pairs by dual-energy absorptiometry. Mothers and daughters were aged 20+ 1.2 and 45±2.7 years, respectively. Similarities in selected life-style factors thought to influence BMD, such as physical activity, calcium intake were also evaluated. Result :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mother Z score and daughter BMD ranged from 0.28 to 0.31. Adjustm ent of bone density for age, height, weight, and life-style factors yielded heritability estimates for the three skeletal sites between 0.23 and 0.29. This would be equivalent to 46-58% heritability from both parents if there are similar contributions from both parents Conclusion : These observations provide support for a significant contribution of heridity to bone density. (However, magnitude of estimate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lower as compared with other studies.) Also an individual`s life-style may account for a potentially large proportion of the non-heritable variance in bone density.

      • KCI등재후보

        폐에 원발성으로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주종 1 예

        이민기,박순규,안준협,윤상명,박삼석,류수영 대한내과학회 2000 대한내과학회지 Vol.59 No.4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고도의 연조직 육종으로서 주로 고령의 환자에서 후복막, 사지, 두경부등에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폐에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것은 매우 드물 드물다. 환자는 23세 남성으로 객담을 동반한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여 검사상 양폐에 종괴가 발견되었고, 흉강경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으로 진단하였다. 저자들은 ifosfamide, doxorubicin, dacarbazine을 사용하여 6회의 항암 화학치료를 시행하였고 치료종료후 환자의 증상 및 양폐의 종괴의 크기는 다소 줄었으나,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젊은 남성 환자에서 폐에 원발성으로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를 경험하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 is a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commonly occur in the retroperitoneum, extremities, head and neck in the patient with old ages. But it is very uncommon that MFH primarily occurs in the lung, and uncommon in young ages. We experienced a young male patient with primary MFH of the lung. The patient had huge masses on both lungs which were diagnosed as MFH by thoracoscopy-guided wedge resection of mass, so we could not perform operative management. And we tried 6 cycles of chemotherapy using ifosfamide, doxorubicin, dacarbazine. After chemotherapy, masses still remained in spite of decreasing sizes.(Korean J Med 59:452-456, 2000)

      • SCOPUSKCI등재

        기관지 유암종에 의한 이소성 ACTH 증후군 1예

        최영진,주상현,신선혜,공옥녀,안준협,김영대,손석만,김인주,김용기 대한내분비학회 2004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9 No.1

        저자들은 체중 증가와 전신 부종, 당뇨병을 주소로 내원한 여자 환자에서 폐 우중엽의 ACTH 염색 양성인 유암종이 쿠싱 증후군을 유발한 증례를 진단하여 수술적 제거 후 증상 완화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Fifteen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could be accompanied with nonpituitary tumors that secrets ACTH-the ectopic ACTH syndrome. Among them, bronchial carcinoid is one of the rare causes of the ectopic ACTH syndrome. We experienced a 60-year-old woman who showed conditions of weight gain, generalized edema, hypokalemia, diabetes mellitus, and right middle lung mass. Histologically, the tumor was diagnosed with bronchial carcinoid and was confirmed as an ectopic ACTH syndrome throug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ACTH. After resection of the lung mass, blood sugar, electrolytes, generalized weakness, and blood pressure improved (J Kor Soc Endocrinol 19:76∼81, 2004).

      • KCI등재후보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서 발생한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1예

        김성일,신호진,곽임수,나하연,배우형,김보석,안준협,박삼석 대한내과학회 2001 대한내과학회지 Vol.60 No.6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TTP) rarely may be seen in association with autoimmune processes such as scleroderma, rheumatoid arthritis, polyarteritis nodosa, Sjogren's syndrome,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us (SLE). The diagnosis of TTP as a syndrome distinct from SLE may be challenging, because both processes may present with some or all elements of the classic pentad considered pathognomonic of the former: 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fever, thrombocytopenia, neurological deficits, and renal abnormalities. We describe a patient with synchronous TTP and SLE, and review the literature. (Korean J Med 60:593-596, 2001)

      • VIP를 분비하며 신경절신경종의 분화를 가지는 갈색 세포종 1예

        나민아,김상수,김동욱,최재훈,이태근,공옥녀,안준협,김지연,성한동,정철호,손석만,김인주,김용기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2

        갈색 세포종은 신경내분비종양의 하나로 VIP를 포함한 다양한 신경내분비 펩타이드를 분비할 수 있다. 저자들은 만성 설사와 체중 감소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좌측 부신에 VIP를 생성하는 갈색 세포종을 진단하여 성공적으로 제거한 후 증상이 모두 호전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is a 28-amino acid peptide, which may cause secretory diarrhea by stimulating the production of adenylate cyclase. Neuroendocrine tumors, secreting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are almost always of a pancreatic in origin. However, a pheochromocytoma may produce several neuropeptides, containing VIP, as they are considered to be neuroendocrine tumors. A 57-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chronic watery diarrhea, hypokalemia, weight loss and a left adrenal mass, is described. Histologically, the tumor was diagnosed as a pheoch-romocytoma, with ganglioneuronal differentiation, and was histochemically confirmed to produce a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A left adrenal VIP-producing pheochromocytoma was successfully resected. After surgery, her diarrhea subsided and the electrolytes, affected neuroendocrine hormone levels,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level were normalized (J Kor SOC Endocrinol 18:227-231,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