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三國遺事』 「二惠同麈」조와 신라 중고기 불교계

        신선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2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

        본 논문은 『三國遺事』 「二惠同麈」조의 연구사적 검토를 토대로 惠宿과 惠空의 행적을 불교대중화와 持戒意識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혜숙과 혜공은 진평왕대부터 통일 전후에 이르는 시기에 활동했던 인물로, 그들의 활동상을 통해 신라 中古期에서 中代로 넘어가는 시기의 불교계 동향을 알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그들을 元曉의 선배격으로 보아 주로 阿彌陀신앙을 통한 불교대중화의 前史로서 다루었으나, 그들이 생각한 불교대중화의 방법은 원효의 그것과는 다른 양상을 가진다. 즉 교화의 대상을 瞿旵公, 天眞公 등 귀족을 우선으로 삼았다는 점이 그러하다. 그들은 敎團의 경제적인 뒷받침이 가능한 在家信徒인 居士 중심의 불교를 추구함으로써 교단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재가신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는 원효가 千村萬落을 다니면서 모든 중생을 대상으로 포교한 양상과 비교할 때 더욱 체계적인 포교방법이라 할 수 있다. 거사불교의 추구는 제가자 중심의 불교를 강조한 『維摩經』, 『勝鬘經』등의 유입, 유행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혜숙과 혜공의 교화방법이 戒律과 맞지 않았음에도 당대인들에게 破戒로 인식되지 않았다는 점을 통해 중고기 持戒意識의 일단을 짐작할 수 있다. 즉 통일을 전후한 시기에는 破戒에 의한 승려의 還俗 사례가 발견되는데, 이는 이전과는 달리 戒律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持戒意識이 함양되었음을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cords of Hye-suk(惠宿) and Hye-gong(惠空) in “Ihyedongjin(二惠同塵)” of 『Samgukyusa(三國遺事)』, to study popularizing Buddhism and changing religious percepts in Silk. Hye-suk and Hye-gong were Buddhist monks from the period of King Jinpyung(眞平王) to the Unified Silk. Through their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comprehend the trend of Buddhism from the Middle Ancient period(中古期) to Middle period(中代). Past researches had usually positioned Hye-suk and Hye-gong as Won-hyo(元曉)’s seniors, and studied them to find out the foundation of Buddhism’s popularization through the worship of Amitabha(阿彌陀). Yet Hye-suk and Hye-gong’s popularization differed from Won-hyo’s. As an example, their primary targets to ‘grhapati(居士, educate and reform)’ were aristocrats, such as Guchamgong(瞿旵公) or Chunjingong(天眞公). The purpose of this selection of propagation was to increase ‘Lay Buddhist(在家信徒), who could economically support their management of the temples, ultimately expanding the devotee. This method was, compared to Won-hyo’s propagation which targeted on the overall population of Silla from a village to village, arguably an even more active form of propagation. This phenomenon that educating ‘grhapati’ was strongly related to the importation of Vimalakirtinirdesa Sūtra(維摩經) or Śrīmālā Sūtra(勝鬘經), Buddhist bibles popular at this period. Meanwhile, even though Hye-suk and Hye-gong’s method of propagation was clearly against the religious percepts, the fact that people in this period hardly considered it as apostasy signified an aspect of changing religious percepts. In other words, as the religious percepts had been generalized throughout the age, the public’s realization of these percepts was changed, which could be seen in the records that Buddhism monks returning to secular life du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Unified Silla occurred at times.

      • KCI등재

        「천관산기」 통해 본 ‘호남(湖南)’ 불교계

        신선혜 한국역사연구회 2023 역사와 현실 Vol.- No.129

        In case of the Cheon’gwan-san mountain, trying to understand the exact history of individual Buddhist monasteries located there, or artifacts found there, is not an easy task. The earliest extant record Cheon’gwan-san-gi, written by Cheonin at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does not specify all the details either. But in the early 13th century, which was the time of Cheon’gwansan-gi’s creation, there was the rise of the Baek’ryeon(白蓮) Buddhist movement occurring in the Gangjin area which was not that far from Mt. Cheon’gwan, and most of all, Cheon’gwan-san-gi’s author Cheonin was the Master priest of the Baek’ryeon-sa temple. So in a sense, this memorium does let us know important aspects of the Goryeo Buddhist community of the time. And the fact that Cheon’gwan-san-gi was written on a previous first draft, which would have contained important information of Buddhism at Mt. Cheon’gwan prior to the 13th century, makes this particular record all the more important. In this article Cheon’gwan-san-gi is examined from four angl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first draft of Cheon’gwan-san-gi must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gang-wang, by a Cheon’gwan-san mountain faction in an effort to highlight the mountain’s history and status. Cheonin later completed the memorium by reflecting changes in regional names and contemporary situations. Secondly, both Cheon’gwan-sa and Tabsan-sa monasteries which were founded on Mt. Cheon’gwan during the reign of King Aejang-wang seem to have enabled various beliefs including the Cheon’gwan Bottisatva(天冠菩薩信仰) belief, the Hwa’eom Shinjung(華嚴神衆信仰) belief, Jeongto(淨土, Pure land) belief and Yaksa(藥師) belief to prevail. Thirdly, various aspects in the first draft of Cheon’gwan-san-gi seems to be reflecting Cheonin’s Yushim(唯心) “Buddhist land” view of himself. And fourthly, the reference to the Jeolla-do province as ‘Honam(湖南)’ in Cheonin’s other works –alongside Cheon’gwan-san-gi – in Dongmunseon seems to be the result of an effort trying to view Mt. Cheon’gwan and the adjacent area as a cultural whole. All these angles urge us to view Cheon’gwan-san-gi in the context of both Shilla and Goryeo history, as it would also lead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Honam region at the time.

      • 『삼국유사』 탑상편 「백률사」조의 종합적 검토

        신선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5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

        『삼국유사』 탑상편 「栢栗寺」조는 신라 효소왕대 백률사 관음상의 神力으로, 납치되었던 夫禮郞이 귀환하고, 함께 없어졌던 萬波息笛, 거문고가 제자리로 돌아왔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본 조목이 塔과 佛像의 조성에 관한 편목인 탑상편에 편제되어 있는 만큼 백률사에 조성된 관음상의 내력을 전하려는 의도로 기술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효소왕대를 중심으로 한 신라 관음신앙의 전개양상 혹은 당대 일련의 정치적 흐름과도 아울러 이해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도 발견된다. 본고에서는 먼저 「栢栗寺」조가 탑상편에 편입된 의미를 찾기 위해 관음상 조성 및 그 영험에 대한 『삼국유사』의 다른 조목들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특히 「慈藏定律」조에 주목하여 유입 초기의 관음신앙은 사찰을 중심으로 한 신앙형태를 가지지 않았던 반면, 백률사를 비롯한 관음신앙처 ‘三所’의 등장은 신라 중대에 들어서면서 관음신앙이 사찰과 신앙이 결합하는 형태로 정착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이를 탑상편 편제의 이유로 파악하였다. 한편 『삼국유사』에서 다뤄진 관음신앙의 양상은 소의경전에 따라 다른 신앙형태를 보이는데, 그 중 仁容寺, 栢栗寺, 衆生寺, 芬皇寺등 왕경 사찰의 경우 『법화경』에 따른 현세구제적 관음신앙의 형태가 나타난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신라 중대초 義湘이 『화엄경』의 관음신앙처를 왕경이 아닌 洛山지역에 설정하였던 점과 대비된다. 즉 의상의 관음신앙은 왕경 불교계 혹은 중대 왕권에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왕경에서는 중고기 이래 유포된 『법화경』에 근거하여 관음보살을 신앙하였고, 그 주처로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조화가 구현되었던 소금강산의 백률사가 설정된 것이다. 이렇듯 중대 초를 거쳐 왕경을 중심으로 자리잡은 현세구제적 관음신앙은 효소왕대 백률사를 중심으로 부각된다. 이러한 상황에는 효소왕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는 불안정한 정국의 타개책으로 백률사의 관음신앙을 활용하였다. 즉 夫禮郞의 납치와 萬波息笛의 실종이라는 왕실의 위기가 백률사의 관음상에 대한 예배와 기도를 통해 해결되었다는 설화를 탄생시킨 것이다. 그런데 이 설화의 이면에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反효소왕적 세력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효소왕은 이러한 세력의 제압을 위해 당시 洛山을 중심으로 신앙되던 『화엄경』에 근거한 관음신앙이 아닌 王京을 중심으로 한 『법화경』적 관음신앙에 가탁하여 王京중심, 王室중심으로 불력을 모으고자 하였다고 생각된다. 물론 여기에는 효소왕 자신의 왕권의 불안정성이라는 고단한 현실을 구제받고 싶은 간절함이 작용하기도 하였을 것이다. In the article of ‘Baekryulsa(栢栗寺)’ containing in the fascicule of ‘Tapsangpyeon(塔像篇)’ of ‘Samkuk Yusa (三國遺事)’, there is a story of divine power of the ‘Gwaneum Statue(觀音像)’ which brought the kidnapped ‘Buryerang(夫禮郞)’ along and restored the lost Manpasikjeok(萬波息笛) and harp(Geomungo) disappeared contemporaneously. For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is article, this study intended to find the reasons why and how the article of ‘Baekryulsa’ was inserted into the fascicule of ‘Tapsangpyeon’ of ‘Samkuk Yusa’, and thereby, the faith in Gwaneum(觀音) in the early days of its introduction was identified that it was not centered around contemporary Buddhist temples; but contrarily, the appearance of three Spots(三所)’ of the faith in Gwaneum including the ‘Baekryulsa’ during the mid-age of Silla(新羅) dynasty was identified that the faith in Gwaneum began to settle down as a faith joined with those in contemporary Buddhist temples. Besides, the faith in Gwaneum described in ‘Samkuk Yusa’ reveals varied aspects accorded with respective scriptures of Buddhism, and the faith originated by Uisang(義湘) and propagated in the region of Naksan(洛山) was interpreted that it was adopted neither by the contemporary society of Buddhists in the capital area nor by the regality in the mid-age of Silla dynasty. On the contrary, the faith in Gwaneum propagated in the capital area was based on the scripture of Beophwagyeong(法華經) which had been circulated since 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dynasty by which the ‘Baekryulsa’ in the Sogeumgangsan(小金剛山) and realized the harmony with indigenous faith, was selected as one of centers of this faith. The faith in Gwaneum propagated in the area of capital with its nature to relieve the present world since the early to mid-age of Silla dynasty was centered around the ‘Baekryulsa’ and was brought to the fore under the reign of King Hyoso(孝昭). And it seems that the intention of King Hyoso was reflected in the context behind this situation in that he exploited the faith in Gwaneum of ‘Baekryulsa’ as means of the breakthrough to get over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That is, it was estimated that the King Hyoso relied on the faith in Gwaneum based on the scripture of Beophwagyeong that propagated around the area of contemporary capital to gain the control over his counterforce who had another style of the faith in Gwaneum based on the scripture of Hwaeomgyeong(華嚴經) that propagated in the area of Naksan placed in the mid-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일본의 최근 國際理解敎育 동향분석 -大學改革을 중심으로-

        신선혜 한국일어일문학회 2011 日語日文學硏究 Vol.77 No.1

        國際理解敎育の根本的な目標は私を始め地域的、国家的、特に国際的レベルで発生する諸問題を理解して、その問題解決に寄与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学習することだ。この学習は包括的でさまざまな内容を内包するので、国際情勢や時代の変遷により観点が違うこともある。今日は国際情勢が急変する中で、私と直接的な関係がある地球、人類的な諸課題を視野に置いた相互依存と問題解決のための資質が絶えず要求されている。このような資質は学習からくることで、特に大学の役割が大きくなりながら、持続的に世界の中で共に生きていく人材育成をし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時点に来ている。この点を大学改革の新しい課題で提示しながら、現在実践的に実施している日本大学の事例を挙げて示唆する点を提示している。早くから日本の国際理解教育は、伝統とアイデンティティを重視する国民国家動向で、外から移動してきた人や情報、物などによる内部的要因で‘国内国際化’に努力してきた。21世紀に入りながら国際理解教育は貧困消滅と女性教育、環境などに対する国際教育協力で世界的潮流にのって動いている。その間ハードウェア中心の支援から人間中心の連帯に、国内国際化からグローバル教育に、統合していくべきである現実に直面している。これに伴い、日本は国家レベルに方向を切り替えて教育整備体制に力を注いでいる。各セクターで国際理解教育を拡大するだけでなく、大学の人材確保のために組織や支援方法も改善して研究所を開設し、プログラムを支援するなど教育整備を推進してきた。大学ではこういう変化に挑戦して、国際教育協力の人材を育成する学科を新設して'新しい知'を教えて啓発している。これは教員養成、教材開発など未来の国際理解教育の活性化につながって、小⋅中学校では個人教育なしに競争して地域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持った子供として学習させている。更に大学の人材には国際教育協力の雇用創出につながるところになっていると見る。こういう日本の国際理解教育の発展過程を理解するのは私たちの国際理解教育の今後の方向確立に非常に役に立つと見られて、大学ではその方法を至急に模索し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だろう。

      • 『삼국유사』 기이편 「處容郎 望海寺」조의 이해

        신선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7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

        「處容郞 望海寺」조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위해서는 『삼국유사』 기이편의 편제에 『삼국유사』의 찬술시기인 고려 당대의 시각이 반영되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즉 찬자는 기이편의 편제를 통해 국왕을 정점으로 한 政局의 구성을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앙·지방을 아우르는 近侍集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기이편의 편제에 고려적 시각이 반영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處容郞 望海寺」조는 헌강왕과 처용의 관계에 초점이 맞춰진 까닭에 기이편에 편제되었다. 처용은 중앙에서 활동하는 세력이 아닌, 새로운 세력의 대명사로서, 그들이 왕의 近臣이 되기 위한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정한 존재인 것이다. 한편 「處容郞 望海寺」조에 나타난 헌강왕대 政局에 대한 부분에도 고려적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실상 헌강왕대의 政局이 불안정하였음에도 당대를 태평성대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러한 표현에는 헌강왕대 王建이 탄생하였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불안정한 정국이 조성되었던 헌강왕대를 무대로 처용설화가 탄생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당시 정국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던 魏弘이 왕권을 지원하는 인물이기는 하였으나, 언제든 왕권을 넘볼 수 있는 견제의 대상이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헌강왕은 魏弘에 대한 견제책으로서 중앙의 세력이 아닌, 변방의 세력을 近侍로 삼아 親政體制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것이 바로 헌강왕대 政局과 처용설화가 결합하게 된 이유라 하겠다. 「處容郞 望海寺」조에서 또 한가지 주목되는 점은 望海寺의 창건에 대한 것이다. 望海寺에 대해서는 그것이 龍을 위해 세워졌고, ‘바다를 바라본다’ 혹은 ‘바다에 제사지낸다’는 의미를 지닌 ‘望海’로써 사찰이름이 지어졌음에도 그것이 영축산에 창건된 점은 설명되지 않았다. 아울러 별칭으로 기재된 ‘新房寺’와의 관련성도 명확하지 않았다. 그런데 ‘新房’이 ‘새롭게 사찰을 옮겨 짓는다’는 ‘新房舍’란 불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개운포에 望海寺라는 이름으로 사찰을 세운 후 다시 호국룡을 위한 여러 사찰이 세워진 영축산으로 사찰을 옮기면서 ‘新房寺’라는 별칭으로 불렸던 것으로 볼 수 있다.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ection 「Cheoyongrang Manghaesa(處容郞 望海寺)」 requires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hapter Kiyi(紀異) of 『Samkukyusa(三國遺事)』 reflected viewpoints of Koryo(高麗), the Kingdom which ruled during the period when 『Samkukyusa』 was being written.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the author, through the Chapter Kiyi, highlighted not only the political scheme with the king at its peak, but also the necessity of a group of royal guards(近侍) who can cover the capital as well as the provinces. This mean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hapter Kiyi i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Koryo. In this sense, the Section 「Cheoyongrang Manghaesa」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Heongang(憲康王) and Cheoyong(處容) so that the Section was included in the Chapter Kiyi. In this, Cheoyong symbolizes new forces against the active puissance of the capital, and he is a person created by them to secure legitimacy to become henchmen of the king. Meanwhile, in the Section 「Cheoyongrang Manghaesa」, its description about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era of King Heongang also reflects perspectives of Koryo. It depicts it as the piping times of peace in spite of the actual instability of the era of King Heongang. It suggests that these representations wer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King Taejo Wanggeon(太祖 王建) was born during the era of King Heongang. Then what is the reason why the Cheoyong Folk Tale originates in the era of King Heongang which was unstable in fact? This is because the then political tycoon, Wihong(魏弘), was a person who underpins the royal authority, but at the same time, he was kept in check so as never to covet the regal power. King Heongang wanted to build up the direct royal rule with the forces not from the capital but from provinces as his henchmen to offset Wihong’s influence. This is the reason why the Cheoyong Folk Tale was combined with the era of King Heongang. Another noteworthy point in the Section 「Cheoyongrang Manghaesa」 is about the foundation of Manghae Temple(望海寺). Although Manghae Temple was founded to be dedicated to the Dragon with the name ‘Manghae(望海)’ which means gazing at or worshipping the ocean, its foundation in Yeongchuk Mountain(靈鷲山) was not plausible. Moreover, its connection with its alias Sinbang Temple(新房寺) was also not clear. However, it is deemed that a temple built in Gyeunpo(開雲浦) with the name of Manghae Temple was relocated into Yeongchuk Mountain which had many temples dedicated to the Palladium Dragon and then renamed as ‘Sinbang Temple’ since the term ‘Sinbang(新房)’ means relocation of a temple i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