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20년~1945년까지의 동아일보 광고를 통해 본 여성의 건강과 질병

        박규리(Gyu-Ri Park),백규환(Kyu-Hwan Baek),정지훈(Ji-Hun Jung),이상재(Sang-Jae Lee) 한국의사학회 2015 한국의사학회지 Vol.28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dvertisements in Dong-a newspaper about gynecological drugs between 1920 and 1945 and analyzed the awareness of women’s health and disea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advertisements included leukorrhea, oligomenorrhea, dysmenorrhea, feeling of cold, sterility, hysteria, and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and identified inattentive menstruation, improper intercourse, poor pre- and post-natal care as the cause for illness. This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limitations; it only analysed advertisements from Dong-a newspaper, and most of the drugs were manufactured in Japan and might not accurately reflect the health and disease of Korean women. Suggested future studies may include analysis of institute magazine and Japanese news advertisements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일반논문 : 경허말년 禪詩에서 드러나는 버림과 깨달음의 상징성

        박규리 ( kyu ri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경허는 끊어진 우리나라의 선맥을 되살린 근대선의 증흥조로서 뿐만 아니라, 근초(近初) 한국 선시(禪詩)의 전범이라 할 만한 뛰어난 선시를 다수 남긴 선사로 유명하다. 그러나 경허는 1904년 갑자기 불교계를 떠나1912년 입적할 때까지 환속 후 8년 동안 이전 시절과는 대조적으로 일체의 저술활동 없이 오로지 시(詩)만을 남겼다. 만약 불교 궁극의 목적이 깨달음에 있으며, 그 깨달음은 결국 인간 실존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소급되고 발현되어야 한다면, 경허 말년의 행화와 이에 바탕 한 그의 선시가지니는 실존적 의미와 가치는 매우 지대하다 할 수 있다. 경허는 일생토록 무애자재한 행화를 보였는데, 이러한 행화의 의의는 ‘불이문(不二門)을 증득한 초탈 방광함’이라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특별히 이러한 내적 논리가 그의 말년 선시에서에서 고스란히 구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경허 말년 선시의 발화방식과 상징성을 정리하자면 무위대도(無爲大道)와 평상무사(平常無事), 그리고 승속불이적(僧俗不二的) 버림과 반본회귀(反本回歸)라 할 수 있다. 특히 말년의 선시에서는 그의 주요 선사상이라 할 수 있는 이른바 그 어떤 분별도 집착도 생하지 않고[無生] 작위하지 않는[無爲] 최상승선의 도리가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경허 환속 후의 말년 선시에서는 그 무엇보다 승과 속이 따로 없는 진정한 불이의 세계에 대한 깨달음의 단상과 사유를 자유롭게 펼치고 있다. 이에 경허 말년 선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허의 최상승의 깨달음, 그리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차용된 파격적 선어(禪語)와 세속적 기물 감성을 얼마나 명안(明眼)으로 밝힐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불이대도문(不二大道門)에 이르지 못한 세인의 입장에서 경허 깨달음의 경지 내지 선시의 비의(秘意)를 올곧게 이해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바로 그러한 이유로 경허 말년의 선시는 더욱 예민하고 조심스럽게 다뤄져야 할 것이며, 더욱이나 경허 최상승의 도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세속적 잣대 내지 소승적 안목으로 그의 선시를 함부로 예단하고 규정짓는 오류에서는 벗어나야 하리라 본다. Gyeongheo is famous for his Seon poetry as well as for his activities revitalizing Korean Seon. During the eight years since his sudden leave from monastery in 1904 till death in 1912, Gyeongheo left no writing other than poems. We may reasonably expect that those Seon poems of his last years provide us with access to his post-awakening spirituality and life. They are precious materials for our understanding of how Seon Buddhist ideals may be embodied by an awakened Seon master`s everyday life. The Seon poems Gyeongheo wrote in his last years express the spiritual horizon where no more discrimination, attachment, or karmic activity arises even in the midst of the life of samsara, that is, arising and ceasing. We can see such Seon ideals as “everyday life in nirvana and asamskrta” and “renouncement beyond the dichotomy of monkhood and laity” are working as the very basis of those poems. ‘enlightenment is not simply a subject but the very essence of Seon poetry. A Seon poem, by definition, is a song of enlightenment―a lyric of the One Mind, i.e., a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world of enlightenment. It is not that a particular kind of poetic form, subject, or rhetorical technique characterizes a lyric as a Seon poem. What makes a poem a song of Seon experience is the enlightenment the poet expresses by it. Gyeongheo lived a life of post-awakening during the last years. He lived in great freedom from all fetters of attachment including the dichotomous frame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His Seon poems in that period express his spirituality of asamskrta and renouncement transcending all conventional discriminating frameworks,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very core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esthetics.

      • 남창가곡 우조 《소용이》의 거문고 선율 변천

        박규리 ( Park Kyu Ri )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22 예술과 문화 Vol.2 No.0

        본 논문에서는 남창가곡 중 우조 《소용이》의 거문고 선율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소용이》는 1841년 『삼죽금보』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후 『현금오음통론』, 『희유』, 『방산한씨금보』, 『가곡현금보』, 『이왕직아악부오선보』 등에 선율이 전한다. 《소용이》는 파생된 시기가 늦고 수록되어 있는 악보의 수도 많지 않기 때문에 선율의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모든 악보의 선율이 유사하게 흘러가고 있으나, 선율과 박자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악보는 없었다. 각 악보 간에 세부적인 차이와 변동이 많기 때문에 시기별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특징 또한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의 악보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에 가까워질수록 리듬이 세분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비교적 앞선 시기 악보에서 1박(♩.)이나 2박(□)의 1점이었던 것이 후기로 올수록 ♩♪, ♪♩ 또는 ♩.♩.의 2점(동음 또는 순차진행)으로 분할되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현행에 가까워질수록 ‘싸랭’ 주법 사용이 증가한다. ‘싸랭’이 첨가되는 자리는 주로 두·각(頭刻)의 첫머리이지만 예외도 있다. 셋째, 거문고의 높은 음역에 해당하는 음들이 후대로 올수록 더 높아지는 경향이 일부 발견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조선 후기 이후 음악의 일반적인 변화 경향인 리듬의 세분, 장식음의 증가, 고음화와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The essay examines historical changes in the geomungo accompanying melodies for Soyongi (or Soyong) in ujo, the seventh song of the complete male gagok. The geomungo accompaniment for the song was first recorded in Samjuk geumbo, compiled in 1841, followed by Hyeongeum oeum tongnon, Huiyu, Bangsan Han-ssi geumbo, Gagok hyeongeumbo and Iwangjik aakbu oseonbo from late nineteenth through early twentieth centuries, to the present playings. The short history of Soyongi might have allowed little significant changes in its accompanimental melodies, though a tendency is evident: Firstly, not a little single strokes (one □ or two □ beats) of the earlier scores has been divided into two strokes (♩♪, ♪♩ or □□, in repetition or conjunct motion). Secondly, certain strong notes has been replaced by “ssaraeng,” one of the idiosyncratic technique of the instrument. Lastly, some notes from the already hihge tessitura have been further heightened. It is notable that those changes are in line with some of the general tendencies detected in music since late Joseon period, i.e. the subdivision of rhythm, increase of embellishments, and pitch heightening.

      • KCI등재

        법정 『무소유』에서 드러나는 선적(禪的) 사유

        박규리(Park, Kyu-R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0

        법정의 『무소유』는 현대인들이 가슴에 새겨야 할 지혜로운 삶의 지침서인 동시에 선불교사상이 오롯이 녹아있는 수상록이다. 『무소유』의 미덕은 작가가 스님임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이 접하기 쉬운 수필문학 형식으로 일상의 단상을 통해 깨달음을 전달했다는 데 있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이유로 『무소유』가 한편으로는 마치 문학의 영역에 국한된 것처럼 치부되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이를테면 『무소유』에 대한 연구가 대개 문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과 불교학계에서의 『무소유』에 대한 적극적인 불교 내지 선사상적 측면의 조명이 미흡했다는 점에서 이러한 사실은 반증된다. 한마디로 일반 세속수필과는 달리 『무소유』는 중생심(衆生心)만으로 쓰이지 않았다. 비록 주로 일상사를 기술하고는 있지만 『무소유』는 세간의 문학적 잣대만으로는 온전한 설명이 불가능한 선적(禪的) 사유에서 출발함으로써 그야말로 일반 문학집과는 큰 변별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무소유』에서 법정은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며, 모든 것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물상에 대한 집착을 떠나 최소한의 소유로 만족하는 마음을 지니는 것이라 한다. 이와 같은 무소득(無所得)의 인식은 본질적으로 선적 진리관에서 우러나오는 대승불교적 사유에 입각한다. 따라서 ‘공과 불이의 중도관에 바탕한 무소유’, ‘본래무일물과 무소유’ 그리고 ‘침묵의 헐을 통한 수행’에서 드러나는 평범함 속에 가리워진 비범의 진리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살피느냐에 따라 『무소유』의 독법은 제대로 완성되리라 보는 것이다. Ven. Beobjeong’s Non-Possession, a collection of his essays, went out of print in 2010, in accordance with his will.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76, it had been one of the steadiest best-sellers for over 30 years. The most important merit of the book is that it conveys what the Buddhist enlightenment is in the style of essay literature, so is neither in the style of a pedantic lecture nor of a religious sermon. This merit, however, has a negative side effect: it enabled the book to be taken simply as a work of literature. The fact that most studies on the book have approached it as simply a literary work testifies to this trend. However, the essays in Non-Possession are not simply secular literary works. Although they are all about everyday affairs, there are factors in them that cannot be fully explicated through conventional literary theories. They are not the works of an ordinary sentient being’s mind, but of an awakened Seon master’s mind, which can see through the ordinary into the Truth, that is, “the Tao of the ordinary” or “the extraordinary hidden in the ordinary.” This is the point on which they are essentially different from ordinary essays of secular literature. Our reading of Non-Possession cannot be complete until we appreciate this poin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eon spirit that underlies the essays in Non-Possession. It attempts to find out the core elements of the Seon spirit that underlie these essays: the doctrine that “there originally is not a single thing”; “the Middle Path of the Non-Duality principle”; and the Seon wisdom of “gratification through renouncement.”

      • KCI등재

        An Increase of the Papers with Multiple Corresponding Authors: A Global Trend That Includes an Inappropriate Authorship Practice in a Certain Local Academy

        박규리(Park, Gyuri),정구준(Chung, GuJun),양종만(Yang, Jongmann),황은성(Hwang, Eun Seo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5 No.1

        근래 과학 학술지에서 교신저자가 여러 명인 논문(공동교신 논문)이 늘고 있다. 이는 공동연구의 증가에 기인한 현상일 수 있겠지만, 그 증가속도가 매우 빨라서 혹시나 교신저자의 정당성과 가치가 변하거나 훼손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낳고 있다. 이 연구는 이공계 논문에서 공동교신 저자의 경향이 얼마나 광범위하고 건전하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공동교신 논문의 급격한 증가 추세는 2008-09년과 2018-2019년에 미국, 일본, 한국, 중국, 4개 국가의 학자들이 발표한 논문을 SCOPUS index(www.scopus.com)에서 분석한 결과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 증가의 폭은 국가에 따라서 크게 차이가 나며, 한국과 중국의 경우에서 현저히 높았고, 이들 국가에서 공동교신 저자가 자신의 기관에서 유일하게 저자로 등재된 논문의 수도 훨씬 더 많았다. 현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한국 학자들을 대상으로 공동교신의 경향에 대한 실태조사를 행하였다. 응답자의 64% 이상이 교신저자가 여러 명인 논문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22%는 자신이 참여한 논문에서 공동교신 저자가 교신저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답하였다. 이들이 교신저자로 등재된 경위에 대해서는 친구를 자신의 논문에 공동교신 저자로 등재해주는 교신저자 교환의 관행이나, 다양한 명분의 예우 차원의 교신저자 등재 관행들이 지적되었다. 교신저자 배정의 문제는 주로 학술지 편집인의 관심사라고 할 수 있지만, 교신저자에 관련한 부적절한 관행과 자격 오용의 가능성은 한국 뿐 아니라 국제 학계에서의 관심을 촉구하며, 또한 공동의 인식과 대응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Recently, papers with multiple corresponding authors (co-correspondence) are frequently noticed in scientific journals. This is a trend that parallels a significant increase in research collaboration, but its rapidity raises concern about whether the legitimacy and value of the corresponding authorship are changing or even damage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xtensive and sound the trend of co-correspondence in science and engineering is. The increasing trend of co-correspondence papers was confirmed by examining SCOPUS index (www.scopus.com) for the papers published by scholars of the USA, Japan, South Korea, and China in 2008-09 and 2018-2019. The number of co-correspondence papers indeed increased in all four countries. However, the numbers varied significantly among the countries, markedly higher in South Korea and China cases, which also showed far higher numbers of the papers with a co-corresponding author who is the only member from his group. To dig into reality, South Korean scholars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trend of co-correspondence. Over 64%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papers where multiple corresponding authors are listed, and 22% of them thought that the co-corresponding author did not play his due role and the co-corresponding authorship was exchanged between friends or given as a courtesy for various reasons. Although corresponding authorship allocation is majorly a concern for journal editors, a trend of inappropriate practices or misuse of co-corresponding authorship calls for local and global academic community awareness.

      • KCI등재

        남녀노인의 상실경험과 우울간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조절효과

        박규리 ( Gyu Ri Park ),안정신 ( Jeong Shin A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6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oss experiences and depression of the men and women elderly.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6 men and 156 women aged over 60 years.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Resul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derly men reported higher role loss experience, relation loss experie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styles than elderly women. Also elderly women reported higher bereavement experience than elderly men. Second, there were main effects of health loss experience, economy loss experience, role loss experience, relation loss experienc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on depression of elderly men and women. Third, problem-focused coping styles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health loss experience, economy loss experience, role loss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men group. Last, social support-seeks coping styles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y loss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omen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the elderly.

      • KCI등재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에 관한 불교사상적 담론

        박규리 ( Park Kyu - Ri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7 禪文化硏究 Vol.23 No.-

        소설 『싯다르타』는 카스트 제1계급에 속하는 바라문의 아들인 주인공 싯다르타가 실제 불교를 창시한 석가모니 부처님을 만난 이후 다양한 인생 경험을 거쳐 마침내 법[진리]을 얻게 된다는 내용으로 출간 직후부터 서구인들의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헤르만 헤세는 이 소설에서 현실의 인간이 어떻게 세속적 쾌락과 아상, 그리고 마음의 오만을 초극하여 불교적 절대경지에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에 관해 매우 구체적이며 심도 있게 그렸다. 본고는 헤르만 헤세의 대표적 불교 구도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싯다르타』에서 핵심적인 불교사상을 도출, 이를 바탕으로 소설이 지니는 불교사상적 가치와 의의를 고찰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소설 『싯다르타』에서 발견되는 주요 사상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 가능하다. 첫째, 『싯다르타』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주요사상은 실유불성(悉有佛性)으로서의 존재성, 곧 불성사상(佛性思想)이다. 소설 속 주인공 싯다르타는 처음에 지향하던 단순한 자기초월 내지 극복이라는 수행의 목적을 세존을 만난 이후 누구나 구족하고 있는 불성의 체득으로 전환함으로써 구도의 목적과 가치를 대승불교적으로 합일시키고 있다. 둘째, ‘불립문자(不立文字)’ 개념이다. 불교에서는 진리자체를 말이나 글로써 과연 정확하게 전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의 해결방안 중 하나로 ‘불립문자(不立文字)’관이 제시되었다. 이 불립문자의 개념이 소설 『싯다르타』에서도 구도에 이르기 위한 매우 중요한 방편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불이적(不二的) 세계관’이다. 소설 『싯다르타』에서 합일적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헤세의 이른바 ‘총체적 단일의식’은 세상과 자아와의 연관성, 곧 일체 존재간의 관계를 불가분의 상입상즉의 관계로 보는 불교의 핵심진리 기제인 ‘불이적(不二的) 세계관’에서 비롯되어 전존재적 동류의식으로 발현되고 있다. 이렇게 『싯다르타』에서는 ‘불성사상’과 ‘불이사상’, ‘불립문자’ 개념 등 서양 문학작품에서는 매우 보기 드문 불교사상적 정수를 담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에 『싯다르타』에서 발견되는 불교사상 철학을 토대로 이 소설이 가지는 불교문학적 가치와 의의에 주목하고자 한다. Siddhartha is one of Hermann Hesse’s masterpiece novels. Hesse depicts in it in detail how a human being may overcome this-worldly pleasures, selfishness and self-centeredness so as to reach the ultimate state of Buddhist ideal. Siddhartha in the novel is a youth from a family of brahman class, the priestly and thus highest rank in ancient Indian caste system. He lives a comfortable and honorable life. However, the fervor for new experiences and wisdom grows stronger as he gets aged. He sets on the journey for enlightenment and comes across with Gautama Buddha. He thenceforth go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vicissitudes and at last attains the enlightenment to the Truth after much meandering of life. This novel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e West as soon as it was published. Numerous studies have been done on it. But there has been almost no serious study on the Buddhist ideas and philosophy in the novel. There have been some attempts, instead, to explain away its Buddhist ideas in terms of Indian or Taoist or even Christian philosophy. The most important key ideas underlying Siddhartha are: Firstly, everyone of us human beings has the Buddha - nature and thus the inherent identity as a Buddha; secondly, we are all dependent on one another, mutually inter - penetrating, and thus inseparable from one another - beings of non - duality (advaita); thirdly, the enlightenment to these truths is ineffable and thus cannot be taught in words, but might be only experienced through the deepest insight into human conditions. Siddhartha is a narrative of the whole process of vicissitudes toward the ultimate enlightenment to the Buddhist Dharma from the perspective of Mahayana Buddhist, especially Zen Buddhist, ideal. What it advocates in terms of the ideas of universal Buddha - nature and Non-duality are the same as the Buddhist doctrines’ focal points: The limitless potentiality and dignity of human dignity; and the compassion for all beings.

      • 20세기 전반 서도소리 여류창자 최섬홍 연구

        박규리 ( Park Kyuri )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24 예술과 문화 Vol.5 No.0

        20세기 전반은 음악산업이 활성화 되면서 많은 여류명창이 배출되었던 시기이다. 김초향, 김소향, 박녹주 등 많은 창자가 있는데 이는 학계에 알려진 일부분이고,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창자들이 다수 남아있다. 본고의 대상인 최섬홍은 다수의 음반을 남겼으나 그간 학계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최섬홍은 1890-92년 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1914년 이전부터 평양기생조합-다동조합을 거쳐 서울 대정 권번에 소속되어 20세기 전반 활동한 여류 창자이다. 경성방송국과 유성기 음반 목록, 각종 문헌자료를 통해 그녀의 음악 활동을 살펴보았다. 주로 같은 권번 소속인 손진홍, 이진봉과 활동하였으며, 주 종목 인 서도소리와 경기소리, 정가 등으로 유성기 음반 49면을 발매하였고, 경성방송국 라디오에 12회 출연하였다. 소리 이외에도 거문고, 정재 등 다방면에 능하여 다양한 장르로 활동했던 기록을 찾을 수 있었다. 1937년 이후 어떠한 행적을 찾을 수 없어 44세~46세까지 활동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최섬홍의 음원은 개인 소장자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자료가 많아 다양한 소리를 들어보기는 어려웠고, 몇몇의 음원 중 《공명가》를 중심으로 최섬홍의 음악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섬홍 《공명가》는 유동적인 6박 형태로 부르고 있으며, 수심가토리의 음악적 특징에 벗어난 mi-la 4도, la-mi 5도 골격 선율이 사용되었고, si가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si는 주로 do'의 퇴성 과정에 나타나거나, do'의 음정이 낮아져 나온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수심가토리 구성음에서 주로 생략되는 sol과 함께 si가 등장하는 부분도 있었는데 이러한 부분에서는 경토리의 음악적 특징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itnessed the emergence of numerous female vocalists as the music industry flourished. While figures like Kim Cho-hyang, Kim So-hyang, and Park Nok-joo are known in academic circles, many female singers from this era remain understudied. Choe Seom-hong,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left behind a substantial body of recordings, yet she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academic discourse. Born around 1890-92, Choe Seom-hong is presumed to have been active from before 1914, affiliated with the Pyongyanggisaengjohap [Female Entertainer Association of Pyeongyang (Area)] - Dadong Association[Female Entertainer Association of Dadong (Area)], and later with Seoul Daejeong Gwonbeon [Female Entertainer Associatio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is research examines her musical activities through the records of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Yuseonggi records [Phonograph records], and various documentary sources. She collaborated primarily with fellow Gwonbeon members Son Jin-hong and Lee Jin-bong, releasing 49 Yuseonggi records sides featuring Seodo-sori, Gyeonggi-sori, and Jeonga. Additionally, she appeared 12 times on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Radio. Beyond vocals, records indicate her proficiency in diverse genres, including the geomungo and Jeongjae. Unfortunately, her activities post-1937 remain undocumented, leading to speculation that her career spanned from approximately 44 to 46 years of age. Access to Choe Seom-hong's recordings is limited due to their preservation in private collections. Nevertheless, a focused study on the piece Gongmyeonga revealed a flexible 6 beat form and the use of melodic intervals mi-la (perfect 4th intervals) and la-mi (perfect 5th intervals), deviating from the characteristic tonal patterns of Susimga-tori.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si was observed, primarily appearing in the retrogression process of do' or emerging as do' descended in pitch. However, si also coexisted with sol, which is usually omitted in Susimga-tori constructions, providing glimpses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to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