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시대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김경집 ( Kim Kyung - Jib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8 禪文化硏究 Vol.24 No.-

        만해 한용운(1879~1944)은 1910년 『조선불교유신론』을 탈고한 이후 승려의 입장에서 불교 개혁을, 독립운동가로서 일제에 항거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사회사상가로서 한국사회의 변화를 갈망하는 글을 발표하였다. 만해의 글 가운데 불교활동과 독립 및 사회활동 그리고 종교 및 문화에 해당하는 72편의 글을 모아 ‘<표 1> - 만해 한용운이 저술한 시론(時論)의 분류’로 정리하였다. 그 글속에는 일제하에서 야기된 한국사회와 불교의 문제점, 그리고 그 상황을 타개하려는 의지와 실천방향 등이 담겨져 있다. 따라서 그 내용을 시대적 추이에 따라 분석하면 그가 치열하게 살았던 1910년대와 20년대 그리고 30년대의 시대인식 변화를 알 수 있다. 그런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만해의 시대인식은 다음과 같다. 1910년대 만해의 현실인식은 불교 개혁과 독립운동이었다. 불교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없었던 승려취처를 제안하였고, 『조선불교유신론』과 『불교대전』을 발간하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역할과 서적을 통해 불교계의 변화를 도모하였다. 사회에 대한 인식은 독립의식이었다. 1905년 을사늑약과 1910년 한일합방으로 식민지 체제가 되자 세상을 주유하며 문명의 발전을 살펴보았다. 그런 과정에서 얻어진 민족의식으로 한국의 주권상실과 대중들의 고통을 바라보며 망설임 없이 3.1운동에 참여하였고 불교사상의 핵심인 자유와 평등으로 한국인의 자주권을 강변하였다. 1920년대 만해의 현실인식은 불교와 사회에 대한 가치의 확대였다. 불교에 있어서 문화적 가치에 눈을 떠 역사적인 자료의 수집과 전승에 노력하였다. 그리고 고유한 한국불교 문화를 대중들에게 알리는 것이 불교의 발전임을 인식하였다. 사회적 활동은 우리의 정체성을 정립하여 독립을 지향하는 활동으로 나타났다. 1927년 신간회 경성지회장으로 선출된 후 여성의 권위와 역할에 대한 조언과 동맹휴학을 주도하는 청년들의 의식과 자세를 당부하였다. 그리고 이런 청년운동이 불교계에도 확대될 수 있도록 이끌어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정립하면서 일제에 항거하는 단체로 발전시켰다. 1930년대 만해의 인식은 불교와 사회는 둘이 아니라는 심화된 의식이었다. 상의상관 속에 있기 때문에 불교를 개혁할 때 우리 민족의 정신과 생활을 혁신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런 불교 개혁의 시작은 불교와 정치의 분리, 한국불교통일기관의 설치, 그리고 대중들이 이해할 수 있는 불교를 만드는 것이었다. 그리고 사회활동은 더욱 심화되어 불교를 포함한 한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1920년대 문제의식을 넘어 농민문제, 재만 동포의 문제, 한글장려, 그리고 교육문제 등 한국사회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 전반에 걸쳐 비판하였다. 이런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자기 일은 자기가 한다는 강력한 의지력과, 모든 산업에 있어 새 길을 개척하려고 노력하여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Han Yong - woon (1879~1944) published an article that longed for changes in Buddhism 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analyz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reveals the recognition of the era of 1910s, 20s, and 30s, when he lived fiercely. Recognition of reality in the 1910s was Buddhist reform and independence movement. As for the Buddhist system, the Buddhist system was changed through the roles and books that fit the new era. The perception of society was independent. When it became a colonial system, I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Looking at the suffering of the masses, I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without hesitation. He spoke about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ople with freedom and equality, the core of Buddhist thought. Recognition of reality in the 1920s was an extension of values to Buddhism and society. The awareness of Buddhist culture has increased,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collect and pass on historical data. It was the development of Buddhism that informed the public of such a unique Korean Buddhist culture. His social activity was to establish our identity and independence from Japan. He was very interested in women and youth activities. And he tried to expand the youth movement to the Buddhist world. He allowed the Buddhist youth to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perception of the 1930s was a deepening awareness that Buddhism and society were not two. He thought that when he reformed Buddhism, he could revolutionize the spirit and life of our nation. His idea of Buddhist reform was to separate Buddhism and politics, establish a Korean Buddhist unification agency, and create Buddhism that the public could understand. He criticized all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including Buddhism. And as a solution, his work presented a strong willpower and a new way of paving the way.

      • KCI등재

        해방공간미군정(解放空間美軍政)의 불교정책연구(佛敎政策硏究) -정책실패요인(政策失敗要因)을 중심으로-

        김범준 ( Bum Jun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3 No.-

        본 연구(硏究)의 초점(焦點)은 미군정기(美軍政期)의 종교정책(宗敎政策)추진 과정상에서 정책실패(政策失敗)를 가져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학습(政策學習)을 통한 시행착오를 줄여 향후 종교정책(宗敎政策)의 효율성(效率性)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여기서 정교분리원칙(政敎分離原則)이란 국가(國家)의 간섭과 통제로부터 자신의 신앙(信仰)을 지키고 종교(宗敎)에 혜택을 주는 것이다. 종교에 대해서 우리 헌법상(憲法上)제20조에는 종교의 자유 및 정교분리 조항이 있다. 여기서 정교분리 원칙에는 기준이 있다. 국가에 의한 종교의 차별(差別)의 금지(禁止)가 최우선 되어야만 한다. 이때 국가는 다른 종교의 신앙을 제한(制限)하는 행위를 방지하여 종교의 자유를 보호할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미군정(美軍政)과 이승만(李承晩)은 정교분리(政敎分離)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정교분리 의식이 미약하였고, 그들의 종교적 性向에 따라 기독교식정치(基督敎式政治)를 지향(指向)함으로써 정교유착(政敎癒着)의 심화(深化)와 특정 종교에만 각종 지원과 혜택을 주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적산처(敵産處) 리문제(理問題) 사찰령(寺刹令) 방송선교(放送宣敎) 형목제도 편향적인사정책(偏向的人事政策)등은 정교분리(政敎分離)원칙의 위반 시비를 불러온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당시 불교교단(佛敎敎團)의 소극적인 태도와 교단내(敎團內)의 내부적인 갈등(葛藤)도 중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당시 불교교단(佛敎敎團)의 사찰령폐지(寺刹令廢止)에 대한 자구적인 노력은 비록 미군정(美軍政)의 군정청장관(軍政廳長官)의 인준거부(認准拒否)로 법률(法律)이 성립하지 못하게 되었다고는 하나 불교교단(佛敎敎團)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찰령에 대한 입법적조치(立法的措置)나 논의(論議)가 이루어지지 않았었던 점은 당연히 비판 받아야 마땅하며 미군정(美軍政)에 대한 종교정책(宗敎政策)에서 불교교단의 부참여(不參與)는 정책실패의 중요 원인(原因)일 것이다. 2년 11개월 동안의 미군정기(美軍政期)와 이승만(한민당) 정권은 한국전쟁 전 후의 시대상으로서 좌파 우파의 투쟁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미군정은 1947년 3월 트루만 독트린(Truman Doctrine) 선언 이후 한국불교교단(韓國佛敎敎團)을 일방적으로 좌파 단체로 인식하였다는 점이다. 미군정과 이승만은 종교문제(宗敎問題)를 냉전논리(冷戰論理)에 입각하여 한국의 기독교(基督敎)에 지원과 혜택을 제공하여 종교편파적(宗敎偏頗的)인 성향의 정책결정(政策決定)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독교(基督敎)는 한국전쟁 전 후의 풍부한 원조물자(援助物資)와 미군정(美軍政)의 무분별하고 편파적인 적산불하(敵産拂下)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지만 반면에 한국불교(韓國佛敎)는 일제 식민지 불교의 좌절에 이어 또 다시 정체성 위기(Identity crisis)를 맞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주도세력이었던 미군정과 이승만(한민당)은 정치적 의도와 냉전논리 에 입각하여 종교적 편향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더 나아가서 장면정부시기(張勉政府時期)를 거쳐 지금 현재까지의 종교(宗敎)의 정책학습(政策學習)을 통한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교에 대한 미군정(美軍政)의 정부개입(政府介入)의 유형(類型)을 통해서 한국불교(韓國佛敎)는 향후 정부의 종교정책(宗敎政策)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방안(對應方案)을 모색(摸索)해 보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olicy on the Buddhism(佛敎政策)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美軍政) could be said that it was a clear example of the failure of a policy. Firstly, The policy on the Buddhism(佛敎政策)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美軍政) wasn`t obeyed a fundamental rule of guaranteeing the freedom of the religion and also a fundamental rule of separation between policy and religion. After the liberation, the policy on the Buddhism, which was progress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d been shown partial and preferential intervention with out accordance with it`s aim of guaranteeing the freedom of the religion. They maintained the system of the low, which oppressed and discriminated to Buddhism and Confucianism,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Based on the political intention and logics on the system of the cold war by the High- ranked official, they used public management broadcast for the broadcast of the Protestantism, and also discriminated distribute had been done, and designation of the Christmas as a holy-day, For the price of these partial and preferential intervention, the High- ranked official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Protestant constructed intimating cooperation system, Secondly, the U.S. Military government didn`t even looking at policy on religion as a religious but they looking it as a problem of ideological. Thirdly, in case of supreme commanders assuming leadership of the policy on religion could be involving associations, which is occurred from supreme commander` spersonally political and religious propensity. In this case, it could be said that it was policy of the pro-Christianity which is brought by the supreme commander Douglas Mac Arthur`s persnal propensity. Finally, the Christianity occupied almost responsible position and they had participated in decision on the policy about the religion. Such partiality brings upun-cooperation of the Buddhist clique in long term. Therefore, we need to make improvements by having minute observation on the problems of the policy on the Buddhism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alysis these stuff again, firstly, the process in the policy formulation, as we could see, in chance of the founding and decision about policy of the religion, participation of the Buddhist clique had to be done. And also shown in the area of the separation of the politic and religion or clearing off of the Japanese ruling period, practical and feasible objects were had to be established. Then the plentyof time and rationality of the procedures were needed in area of making the policy of the religion. Secondly, the proces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frames for vitality of policy settlements had to be prepared and the section of religion, of which sense of discrimination and conception in long term is needed, were not being in hastily propulsion. And needed concreted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planning that includes the methods of the mobilization of the resources and the methods of the making connection between an objective and a device. Finally, process in the policy evaluation, an objectivity of the valuation of the policy on the Buddhism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d to be ensure, but the policy on the Buddhism in period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ere notin forms of justice or objective, and also we could pointing out that there was an un-clearness of the responsibility in the policy valuation lies.

      • KCI등재

        만해의 독립운동과 선학원 - 재산환수승소판결문을 중심으로 -

        최종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6 No.-

        만해 용운선사(이하 만해)는 선학원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항일운동과 함께 불교계 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그는 민족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았으며 또한 자비를 실천하고 다른 이의 깨달음을 위해 노력하였다. 한국불교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한 만해의 행적과 희생적인 노력은 민족불교의 중요한 초석이었으며 왜색불교를 타파하기 위한 임제종 운동, 그리고 선학원과 항일 운동이라는 새로운 연구의 지평을 열 수 있는 것이다. 선학원은 임제종을 시원(始原)으로 삼아 시작되었다. 선학원 설립의 시초부터, 만해는 견고한 이념적 토대를 실질적으로 제시하게 된다. 만해의 독립운동은 선학원 설립의 정신적 이념이 되었으며 선학원은 설립 이후, 만해를 중심으로 한 불교계 항일운동의 근거지로 기여하였다. 일찍이 그는 조선불교청년회 창설, 그리고 조선불교임제종 창립 즉 보종운동(保宗運動)과 같은 다양한 불교계의 항일운동 내지 그 흐름을 주도하였다. 만해는 임제종의 관장[대표]을 맡았던 일이 있었고, 임제종의 전통을 전승한 선학원을 활동거점의 중심지로 삼았다. 그래서 오늘날 만해는 선학원을 설립한 여러 선사들과 더불어 선학원 조사 가운데 한 분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만해는 3·1만세운동의 배후자로 일제에 의해 검거되어 영어의 몸이 되었다가 선학원 창설 직후인 1921년 12월, 출옥하면서 선학원으로 운신하였다. 여러 자료를 토대로 검토해보면, 만해는 선학원의 정기 총회에 꾸준히 참여했고, 이 곳에서 1931년까지 약 10여 년 동안 그는 한국불교의 정체성 회복과 독립운동으로 동분서주하였다. 선학원의 만해는 좌익과 우익의 연합체인 ‘신간회’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신간회의 경성지회 대표를 맡아 활동하였다. 또한 한국불교의 전통적인 가르침을 전파하기 위해 한문 불적을 유려한 국한문 혼용체로 번역하였고, 끊임없는 대중 강연으로 교육활동을 병행하였다. 일본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망령의 상징이라 할 일본경찰에 의해 만해는 6·10 만세운동의 주요 배후 인물로 지목 받아 선학원의 입구에서 긴급 체포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한국의 독립, 그리고 한국민족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지원하며 찬동 연설을 강행했으며, 조선학생을 위한 대학인 민립대학을 설립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해가 선학원에 머물며 활동했던 상기의 제반활동을 시기적으로 재검토하는 한편, 만해의 독립운동과 선학원의 관계를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재산환수소송 판결문을 통해 선학원 설립의 시대적 상황과 설립에 끼친 만해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련의 사실을 통해 선학원의 만해가 전개한 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 불교 보종운동인 임제종 운동 및 항일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선학원 설립에 대해 만해가 끼친 영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학원이 덕성학원과 재산환수의 건으로 소송을 진행했던 판결문을 객관적인 자료로서, 그리고 중요 1차 사료로 채택하였다. 3·1 만세운동으로 감옥에 갇혀 있던 만해 용운 선사는 감옥에서 나온 직후, 선학원을 활동 중심지로 삼고 일본제국주의에 효율적으로 대항하는 한편 식민주의에 대항하여 한국역사에 깊이 스며든 불교전통의 보존을 위한 ... Seonhakwon was established upon the foundation of the Yimje Order. When Seonhakwon was first founded, Manhae Yongun Seonsa(Ven.) provided practical suggestion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robust ideological foundation. Due to this contribution, h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ny founders of Seonhakwon, along with many monks who were involved with the sect from the beginning. This is because Ven. Manhae had served as the executive chief of the Joseon Buddhist Yimje Order, and considered Seonhakwon - the historical successor of the Yimje Order - as the hub of his spiritual activities. In addition to dedicating his life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Manhae Yongun Seonsa(Ven.) led a life of service for the Korean people. He practiced mercy while making an effort for other people to reach this enlightenment. Such an effort by Ven. Manhae derived from traditional teachings of Buddhism. His efforts were self - sacrificial and noble, and opened the way for the future of Korean Buddhism. Manhae Yongun Seonsa(Ven.) of Seonhakwon took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inganhoe, an alliance created from the balance between the political left and right. He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Seoul branch of the organization. Also, in an attempt to propagate the traditional teachings of Korean Buddhism, he made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uddhist books originally translated from Sanskrit to Chinese. Ven. Manhae also consistently gave lectures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Korean people. In the process, the Japanese Police - the symbol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 began suspecting him as the leader of the June 10 Independence Movement, so Ven. Manhae was arrested at the entrance to Seonhakwon. Manhae Yongun Seonsa(Ven.) made a constant effort for Korean independence, as well as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Korean people. He supported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attempted to establish a university funded and founded by the Korean people.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y and identity of Seonhakwon,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Manhae Yongun Seonsa(Ven.) and Seonhakwon. Once, Seonhakwon stood in the court as a plaintiff in a civil lawsuit regarding a property issue. The judgment from the trial in that lawsuit reveals the impact of Ven. Manhae on the foundation of Seonhakwon. The current study adopted the written judgment from the lawsuit as a crucial and objective material that can clarify the impact of Ven. Manhae on the foundation of Seonhakwon. In addition, facts disclosed in various data indicate that Manhae Yongun Seonsa(Ven.) regularly attended the ordinary general meetings of Seonhakwon. When he was released after serving a prison time due to his involvement i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Ven. Manhae relocated his center of activity to Seonhakwon to engage in a dynamic anti - Japanese movement. In addition, to efficiently resisting the Japanese imperialism from Seonhakwon, he als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ism. Furthermore, he did not spare his effort to preserve the Buddhist traditions deeply penetrating the history of Korea.

      • KCI등재

        템플스테이의 운영실태(運營實態)와 향상화방안(向上化方案)

        여태동 ( Tae Dong Ye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3 No.-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를 기점으로 한국에서 시작된 템플스테이가 해를 거듭 할수록 한국문화(韓國文化)를 알리는 중요한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처음 템플스테 이는 단순하게 월드컵 대회에서 부족한 숙박 난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렇지만 템플스테이 내용에는 1700여년의 한국문화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불교의 전통이 숨 쉬고 있어 외국인들에게 각광받기 시작했다. 템플스테이는 대한불교 조계종과 정부의 긴밀한 협조 하에 매년 시행하는 사찰이 늘어났고, 조계종 사찰뿐만 아니라 여러 불교종단이 참여해 전통사찰은 물론 한국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템플스테이의 활성화는 한국불교를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문화사절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 2007년 10월 현재 74개소에 달하는 전국의 사찰이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다양한 형태의 한국문화의 체험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외국인은 물론 내국인들에게도 불교문화 속에 깃들어 있는 우리문화의 원형질을 발견하게 하고있다. 템플스테이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언어로 된 안내책자를 제작해 배포해 한국문화를 알리는 으뜸상품으로서의 템플스테이를 외국인들에게 알려야 하고 내국인들에게도 홍보해야 한다. 또한 템플스테이 운영사찰마다 특색 있는 브랜드를 개발해야 하고 참가자들이 편안하게 체험할 수 있는 시설확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2만 불 시대를 넘어서고 있는 우리나라는 세계에 내놓을 대표적인 문화상품으로 템플스테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단순한 숙박체험을 넘어 한국문화의 원형이 숨 쉬는 템플스테이의 활성화는 우리 국민들에게는 자기정체성을 찾는 심성개 발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외국인들에게는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느끼게 해주는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Temple-Stay has played a great significant role in advertising Korean culture since 2002 Korea-Japan World Cup. At the beginning, Temple Stay was introduced to sort out lack of lodging at Word Cup. However, Temple-stay that contain Korean Buddhism tradition has been popular among foreigners. It started May 12th 2002 at Gikgisa at Kimcheon where most of foreign ambassadors and their family participated. They responded to it with great honor. Overseas mass media also call it excellent cultural good. Afterward Temple-Stay has spread out among temple over the country in cooperation of government. Not only Jogye Order but also other buddhist orders participated, and showed Korean culture. Popularity of Temple-Stay showed not only Korean Buddhism but also Korea culture abroad. Oct 2007 74 temples engage in managing Temple-Stay programme where a variety of Korea culture is experienced. A native as well as a foreigner have a good knowledge of essence of Korean culture in it. Therefore Temple-Stay is missionary work and traditional cultural experience programme for Protestant and Catholic followers as well as Buddhist. Temple-Stay should be advertised as the best tourist attraction by making leaflet among a native as well as a foreigner. Also temples managing Temple-Stay should invent typical brand, set up facilities where participant experience with easy. In addition, buddhist circle should invent buddhist social welfare programme for popularity of temple stay. Korea need make use of temple stay as typical cultural good abroad. In addition to lodging experience, the popularity of Temple-Stay should be the mind development programme so that a nation find national identity, should be the cultural good where a foreigner feel superiority of korean culture.

      • KCI등재

        1935년 조선불교중앙선리참구원과 조선불교선종수좌대회 -<조선불교선종수좌대회회록(朝鮮佛敎禪宗首座大會會錄)>을 중심으로-

        오경후 ( Oh Kyeong-Hw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9 No.-

        선학원의 1934년 재단법인 인가와 1935년 조선불교선종 선포는 한국 근대불교계의 변화였다. 선학원은 1921년 설립 직후 조선총독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우리만의 수행도량을 만들어보자는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이 목적은 한국불교의 독자성을 계승하고 면면히 유지하자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일제의 폭압과 간섭, 대처풍조는 청정비구승의 수행을 좌절시켰고, 선학원의 침체는 한국불교의 정체성 수호와 선불교를 중흥시키는데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1931년 김적음을 비롯한 설립조사들의 선학원 중흥을 위한 노력은 10여 년 만에 재단법인 인가와 조선불교 선종 선포로 귀결되었다. 재정은 안정되었고, 선원과 안거대중 수는 크게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구참노덕(舊參老德)의 수행을 위한 양로선원의 신설은 수행 여건의 뚜렷한 향상이었다. 칭명염불(稱名念佛)이 불교의 전부로만 믿었던 청신사·청신녀 역시 선불교와 수행에 대한 적극적 인식으로 남녀선우회를 결성하고 부인선원까지 마련하여 안거에 참여하기에 이르렀다. 조선불교 선종 선포 역시 재단법인의 기초 하에 그 체계를 확고히 하여 선불교의 근본적인 독립발전을 모색할 수 있었다. 더욱이 종명(宗名)은 당시 불교계의 ‘조선불교선교양종’과는 달리 한국불교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의 임제종운동의 이념을 계승하고 있었다. 때문에 ‘조선불교 선종’은 유구한 한국불교 수행전통의 산물이었고, 왜색화되어 갔던 당시 불교계와는 다른 한국불교의 정통성 계승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선리참구원의 양로선원 신설과 재가신자의 선불교 인식과 본격적인 수행은 일제하 불교계의 변화로 지적할 수 있다. 한국불교의 명맥을 유지하려는 노력이기도 하지만, 수행여건 향상과 선불교의 대중화는 대처승 일색의 당시 불교계풍조에서는 확실히 이채로운 것이었다. 선학원 연구는 단순히 선학원 차원에서 머무를 수 없는 근대불교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설립이념과 참여했던 인물들은 시세를 거슬렀고 동시대에도 주목받지 못했었다. 때문에 선학원 연구는 일제하 불교사의 다양성을 살피고 그 위상과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한국근대불교사 연구차원의 선학원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Seonhakwon wa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creating our own training place that is not subject to the interfer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is purpose contained the important meaning of succeeding and maintaining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fter overcoming the recession, the efforts of the founding investigators including Kim Jeok - eum in 1931 to revitalize the Seonhakwon resulted in the approval of the foundation and the declaration of the the chosun Buddist Zen Order after 10 years. The finances were stabilized, and the number of the Chanyuan (禪院) and attendants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Moreover, the establishment of a space for the old practitioner was a marked improvement in the training conditions. The believers, who believed that chanting Buddha was only the whole of Buddhism, also formed and participated in meditation groups with an active awareness of Zen Buddhism and meditation. The proclamation of the chosun Buddist Zen Order was also able to seek a fundamental independent development of Zen Buddhism by solidifying the system under the foundation of the foundation. Moreover, the name of the order was not only the identity and identity of Korean Buddhism, but also inherited the ideology of the former Imjejong Movement, unlike the “Chosun Buddhism Seongyoyangjong” of the Buddhist world at the time. For this reason, “the chosun Buddist Zen Order” was a product of the long tradition of practicing Korean Buddhism, and meant the succession of the authenticity of Korean Buddhism,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Buddhist world when it was Japaneseize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pace for the old practitioner by Chosun Zen Buddhist Research and Action Center and the recognition and full-fledged practice of Zen Buddhism by inhabitants are a change in the Buddhist worl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also an effort to maintain the prestige of Korean Buddhism, but the improvement of the practice conditions and the popularization of Zen Buddhism were certainly remarkable in the Buddhist trend of that time.

      • KCI등재

        한용운의 지적 흐름과 실천, 그리고 근대 불교적 가치

        고병철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2 禪文化硏究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an Yong-un (hereafter Manhae)'s Buddhistic and social practices in the context of "the realization of modern Buddhistic values." This purpose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activities of religious people need to be illuminated in the context of the realization of religious valu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Manhae's Intellectual Currents (Chapter II), Buddhistic Practices and Values (Chapter III), Social Practices and Values (Chapter VI)". This table of contents contains the structure that Manhae practiced at the Buddhistic and social dimensions based on his complex intellectual currents (Confucianism, Buddhism, and Modernism), and that these practice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realization of modern Buddhistic values. This study tried to elucidate the following aspects. The first is that Manhae's thoughts were complex, intertwined with Confucianism, Buddhism, and modernity. Second, Manhae's notions of freedom, equality, and salvation were modern Buddhistic values that mediated Buddhism and modern society. Third, Manhae's Buddhistic and social practices were for the realization of modern Buddhistic values. Moreover, Manhae's social practices lead to Buddhistic salvationism as the concepts of freedom, equality, and salvation are expanded to the concepts of independence, peace, and liberation. With this study focusing on the realization of modern Buddhistic values, it is expected that Manhae's various practices will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Buddhism. 이 연구의 목적은 만해 한용운의 불교적·사회적 실천을 ‘근대 불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은 종교인의 활동에 대해 종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 근거한 것이다. 그리고 이 목적은 ‘불교와 무관해 보이는 만해의 사회적 실천도 불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으로 조명하여, 만해에 대한 분절적 이해를 해소’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만해의 지적 흐름(Ⅱ장), 불교적 실천과 가치(Ⅲ장), 사회적 실천과 가치(Ⅵ장)’로 구성된다. 이 내용은 만해가 중층적인 지적 흐름(유교·불교·근대지)을 토대로 불교적·사회적 차원에서 실천했고, 근대 불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부분이 이러한 실천들을 관통한다는 이야기 구조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 주목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만해의 지적 흐름(‘유교, 불교, 근대지 차원’)이 중층적 또는 복합적 사유를 구성한다는 점이다. 다만, 조선불교유신론이후 유교적 사유를 명확히 드러내기는 쉽지 않다. 두 번째는 만해에게 자유·평등·구세 개념이 불교와 근대 사회의 접점이 되는 근대 불교적 가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만해의 불교적·사회적 실천이 근대 불교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것이었고, 특히 사회적 실천은 자유·평등·구세 개념을 독립· 평화·해방론으로 확장해 구세론으로 귀결된다는 점이다. 만해의 사회적 실천에 근대 불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을 부여하면, 만해의 활동을 불교의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가 종교인의 사회적 활동을 종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근대의 불교신앙체험담, 그 서사적 특징과 의의

        박상란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8 No.-

        I examin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the stories of spiritual experiences in Buddhism at modern times in the aspects of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s, and searched their backgrounds of appearance in this essay. First, the stories of spiritual experiences in Buddhism hav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in-depth description, honest internal portrait, confession expression. In addition, they have characteristics which of the meaning is constructed b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memories, and narration. In this respect, the stories of spiritual experiences in Buddhism are the type of discourses which are effective deterrent for the persuasion of reader. Considering thes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m, the stories of spiritual experiences in Buddhism have the significance that it emphasizes the individual incorporate experiences and transformation based on communication and sympathy. In this respect, they launch the horizontal relationship-making. Next, the stories of spiritual experiences in Buddhism have the significance that they broadened the masculine and normative scope of Narrative discourse in Buddhism. Especially the stories are noteworthy as the aspect of modernism of female narrative. Lastly, I searched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the stories of spiritual experiences in Buddhism in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curing testimony of Christianity in this essay. 본 연구는 1930년대 불교신앙체험담의 서사적 특징과 의의를 체험과 소통의 측면에서 규명하고, 그 출현 배경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불교시보≫에 수록된 23편의 불교신앙체험실화다. 우선 자기체험 서사로서 불교신앙체험담은 밀착적 서술, 진솔한 심정 묘사, 고백적 발화 등의 서술적 특징을 갖는다. 그 효과는 영험사적의 사실성 강화다. 또한 불교신앙체험담은 체험, 기억, 서술 간의 역동적 관계로 의미가 구축되는 체험담 일반의 성격으로 인해 서술적 의도가 강하게 개입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 불교신앙체험담은 독자를 설득하고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담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서사적 특징을 갖고 있는 불교신앙체험담은 소통과 공감을 기반으로 개인의 영적 체험 및 변화를 강조한다는 의의가 있다. 이런 점에서 불교신앙체험담은 신앙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수평적 관계 맺기를 통하여 공감대 형성이라는, 효과를 창출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불교신앙체험담은 일반 여성들의 체험담이라는 점에서 남성적이며 규범적인 불교서사담론의 영역을 확장했다는 의의가 있다. 특히, 여성 특유의 경험이 투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불교신앙체험담은 여성적 글쓰기의 근대적 한 양상으로 주목된다. 마지막으로 불교신앙체험담은 신앙심의 효과적인 개발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심전개발운동의 일환으로 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불교에서 이들 이야기를 통해 신앙고백을 새로운 포교 방식으로 활용한 데는 당시 경쟁 관계에 있던 기독교 치병 간증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 KCI등재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성립과 불교사적 의의

        민명숙(벽공) ( Min Myung - Soo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1 No.-

        본 논문은 세종이 저작한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성립과 그 내용의 특징 등을 불교적 입장에서 살펴본 글이다.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의 부인 소헌왕후가 승하한 후 그의 아들인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을 기반삼아 훈민정음으로 그 내용을 요약·압축해 찬술된 것으로, 상·중·하 3권이 있다. 『월인천강지곡』은 석존의 일대기를 다룬 장편의 찬가로서, 형식은 저본인 『석보상절』의 구조를 따라서 팔상의 구조를 기본바탕으로 편찬되었다. 전체적인 구조는 서사 ②전생 ③탄생 ④궁중생활 ⑤출가 ⑥수도 ⑦성불 ⑧전법교화 ⑨열반 ⑩아육왕의 불교홍포 ⑪결사의 순서로 전개되었다. 상권의 내용은 첫째는 석존, 즉 불교의 위대함, 둘째는 교화를 통한 갈등 해소, 셋째는 불사의 필요성과 타당성 강조, 넷째는 인륜도덕적인 삶을 지향, 다섯째는 진정한 효의 의미에 대한 강조, 여섯째는 출가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해석 등이다. 『월인천강지곡』에서 석존은 지극히 윤리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의 덕행 중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이 바로 효행이다. 석존의 성불은 그대로 대효도에 해당되며, 보시, 인욕, 사욕(捨慾)은 중생들에게 모범이 되는 윤리적인 삶의 모습인 것이다. 그리고 아들 라운의 출가를 통하여 출가수행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불교를 믿지 않았던 많은 부류에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들을 이해시키고 불교에 귀의하게 한다. 세종은 이와 같은 석존의 모습을 정치 이념으로 삼았으며, 『월인천강지곡』을 통하여 승려들에게는 수행자의 모습을, 백성들에게는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삶을 살도록 가르치고자 했다. 세종은 『월인천강지곡』의 서사와 결사에서 노래하는 것처럼 석존의 가르침은 유교와 불교가 갈등이나 대립의 상대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친불교적인 세종의 입장을 나타내준다. 이 같은 검토에 의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세종의 『월인천강지곡』 저작과 간행 그리고 세조로 이어지는 유통의 과정이 지닌 불교사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월인천강지곡』 자체가 『용비어천가』와 짝하는 군왕의 통치에 있어서 정당성, 곧 왕조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작업의 일환이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숭유억불의 정책 기조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로부터 이어지는 불교적 분위기를 부정하기에 쉽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월인천강지곡』은 직접적으로 유학자들의 불교 비판을 반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내용상 실제로는 유학자들의 불교 비판에 대한 대응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첫째와 둘째의 결론을 고려할 때, 『월인천강지곡』은 단순히 석존 전기의 훈민정음에 의한 간행이라는 의미를 넘어서서, 세종이 지향한 유불 관계의 새로운 정립 시도라는 의도가 담긴 것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동시에 그것이 성리학 관료계층이 아닌 백성을 직접적 대상으로 삼는다는 관점에 입각한다면, 유불에 통하면서 동시에 불교적 군주로서의 세종 자신을 부각시킴으로써 신권의 제약과 왕권의 강화를 의도했던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Wolincheongangjigok an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olincheongangjigok is comprised of a set of three volumes and is an abridged version of Seokbosangjeol written by the Prince Suyang after the death of the queen Soheon, the wife of King Sejong. Wolincheongangjigok is a long piece of epic dealing with the Buddha`s life, the form of which basically is eight events(八相) following that of Seokbosangjeol. The development of this book are ①preface, ②previous life, ③birth, ④life at the palace, ⑤renunciation, ⑥practice, ⑦enlightenment, ⑧transmission and edification, ⑨nirvana, ⑩spreading Buddhism by Ashoka, and ⑪concluding. The contents of the first volume are - first Buddha, namely the greatness of Buddhism, second the disentanglement through the edification, third the emphasis of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things for Buddhism, fourth the morality-oriented life, fifth the true filial piety, sixth the interpretation of true renunciation meaning and so forth. Buddha in Wolincheongangjigok appears to be an extremely moral being. The filial piety is the most emphasized one of his virtues in it. Buddha`s enlightenment itself is the very great filial piety. And His life of charity, endurance and relinquishment of all desires can be a role model for human beings. It shows also us the true meaning of renunciation and practice through the story of Rahula, Buddha`s son. He made many sorts of people who didn`t believe in Buddhism understand and convert to Buddhism through the various methods. Thus King Sejong regarded Buddha as a political ideology and wanted to present the monks the true priesthood and taught his subjects to live a moral life through Wolincheongangjigok. As it appeared in the preface and conclusion of Wolincheongangjigok, the teachings of Buddha showed us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not confronted or opposed to each other. It indicates his pro - buddhist stance. The Buddhistic meaning of Wolincheongangjigok, showing in the process of its compilation by King Sejong and its distribution by King Sej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ilation of Wolincheongangjigok like Yongbieocheonga was a part of claiming the governing legitimacy,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It seems that it was not easy for them to deny the Buddhism which had lasted from Korea Dynasty in spite of the political basis of oppressing Buddhism for confucianism. Second, Wolincheongangjigok show that it retains the character of responding the criticism of confucians, even if it did not directly act against it. Considering the first and second assertions, Wolincheongangjigok is not simply a book of Buddha`s life story written in Hunminjeongeum. But it show that King Sejong tried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from an angle of Wolincheongangjigok aiming at the subjects not the government officials as the readers, the purpose of compiling Wolincheongangjigok was intensifying the royal authority and undermining the rights of the courtiers through stressing Sejong as pro - buddhist King.

      • KCI등재

        학술상 수상논문 : 불교계 사회적기업과 복지경영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경임 ( Kyung Yim Kwo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사회적기업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시작단계이지만 사회복지만이 아니라 경제문제의 해결을 위한 대안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고,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도국에서 제3세계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인 추세가 되어가고 있다. 불교계 사회적기업인 (주)연우와 함께의 이념과 비전에 의하면 대승불교의 불이사상과 연기사상을 바탕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글로벌한 사회적기업을 추구한다. 또한 함께 나누는 것(共有), 함께 일하는 것(共業), 함께 생활하는 것(共生), 하나 되는 것(共同)의 가치를 추구하며, 생산자와 소비자의 네트워크를 균형있게 발전시켜 바른 소비문화와 환경운동을 펼쳐 불교이념의 사회화를 실현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불교의 연기적 이념에 입각해서 상생의 사회를 선도하고, 보시에 의존하는 현실에서 자립의 기반을 확보하고 사회에 나눔을 실현하며, 사회문제에 불교적 관심과 대안을 마련하고 사회를 선도한다는 차원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불교계에서 사회적기업의 참여가 당위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참여와 관심을 제고하고 지속 가능하고 성공적인 사회적 기업의 운영을 위해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역할을 고찰하고, 사회적기업의 운영과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찰하고, 불교계 사회적기업에 적합한 복지경영 패러다임을 모색해 보았다. 새로운 복지경영 패러다임에 연기사상이나 화엄사상, 그리고 선수행과 같은 불교사상과 수행방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상을 보면서 불교계 사회적 기업의 기본가치와 이념이 복지경영의 패러다임이 제시하는 중도의 경영이 념으로 상생경영을 실현하는데 있어 추구하는 바가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계 사회적기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중도의 경영이념과 이를 기반으로 한 상생의 경영방식을 불교적 복지경영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불교적 복지경영방식을 실천해 나가고 있는 복지공동체모델을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re are social crises, such as economic polarization, aging society, and unbalanced growth in today`s world, and every nation tries to resolve these social crises by running social enterprises. Our society has had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since IMF crisis. As the numbers of the poor and the unemployed have increased, the issue of increasing employment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ies of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established Social Enterprises as a positive measure for increasing employment and income, and subsequently enacted the Law of Social Enterprise in 2007. Social Enterprises is a non - profit organization that earns profits for supply personnel who provide social services. It is hard for general enterprises to enter and re - investment in communities for the purposes of reinforcing social incorporation and solidarity to help the poor and the unemployed. The current situation of our society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Buddhist communities in the social enterprises. Also non - profit business needs a new approach to welfare management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velop a theoretical base for Korean style social enterprises that can be applied for Buddhist Social Enterprises. The religious Thought of Buddhism is oriented "win - win" management. So, we can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nd Paradigm of welfare management.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types of social enterprises, Case study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Buddhist communities are to be discussed. Heretofore, it is found that raising the capability of the enterprise is more important than government support. and social system improvement, sustainable management support, social enterpreneurship, social network and introduction of linked system with major companie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success of the enterprise. It is expected that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nd promotes idea of Middle Path and Sang - Saeng management as win - win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management Paradigm.

      • KCI등재

        선학원의 설립과 전개

        김광식 ( Kwang Sik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6 禪文化硏究 Vol.1 No.-

        선학원은 근대, 현대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갖고 있다. 그는 선학원이 한국 전통불교의 수호, 승려들의 항일의식 생산, 불교정화운동의 전개에 있어서 중심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선학원의 역사, 즉 설립과 전개 그리고 선학원을 이끈 주역들의 생애와 사상은 연구되어야 할 대상이다. 선학원은 일제 식민지불교가 불교의 전반에 침투하였던 1921년에 설립되었다. 그리고 선학원에서는 선방 수좌들의 선풍진작을 위한 단체인 선우공제회가 192년에 결성되었다. 이렇게 선학원, 선우공제를 조직, 결성한 승려들은 항일의식이 투철하면서 불교를 천양하려는 의식이 강하였다. 그러므로 선학원 설립에는 일제 사찰령 구도에 저항하는 의식, 3.1운동에서 영향받은 민족의식이 개입되었다. 선우공제회는 본부를 선학원에 두고, 지부로서 전국의 각 선방 19개처를 두었다. 운영은 360여명의 회원들의 회비, 희사금으로 충당하였다. 그러나 1925년부터는 침체의 길을 갔는데, 이는 재정의 어려움이 주된 연유였다. 일시적으로 선학원은 범어사 경성포교당으로 전환되었으나 1931년 김적음에 의해 재건되었다. 재건된 선학원에서는 전국수좌의 중앙본부의 역할을 하면서도 참선지도, 교리 강연, 기관지 발간을 하면서 불교대중화에 나섰다. 선학원을 재건 시킨 승려들은 선학원을 확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재정 확립에 유의하였다. 그결과 1934년 12월, 선학원을 재단법인 조선불교 선리참구원으로 전환시켰다. 한편, 재단법인으로 전환시킨 승려들은 그 기회를 선풍진작을 도모하기 위해 전국 수좌 및 선방의 조직체를 결성하였다. 1935년 3월, 선학원에서 열린 수좌대 회에서 수좌들은 조선불교 선종이라는 독자적인 종명의 표방, 중앙기관 설립, 운영의 틀인 종헌, 규약을 제정하였다. 이후 선학원은 재산 증가, 선원 증설을 기하면서 선종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가혹한 일제말 식민통 치의 구도에서 선학원도 자유스러울 수는 없었다. 선학원은 불가피하게 일제의 강압에 식민정치에 협조하였다. 그러나 해방되는 그날까지 선학원은 존속하였고, 일제도 선학원 존재 자체를 난감하게 여기었다. 그러므로 선학원은 근대불교에서 배제할수 없는 역사를 갖고 있으며, 선학원 역사는 민족불교 및 한국불교의 정체성 점검에도 중요한 대상이다. Seonhakwon has a important phase in the modern buddhist history. That`s why that Seonhakwon had a important role in the aspect of protection of korean traditional buddhism, inspiration of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of the buddhist cleanup movement. This means that the history of Seonhakwon, the process of its foundation, and those who led a Seonhakwon need to be studied. Seonhakwon was established in 1921 where Japanese colonial buddhism was spreading nationwide. Sunwoo benevolent society was made in 1922 to boost the promotion of Seon for the most Reverend Priest(SuJwa) practicing in the SeonBang. Monks who founded these organizations had strong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were ambitious for developing the korean buddhism. Therefore the resistant consciousness for japanese law of temple and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influenced by 3.1 movement existed in the foundation of Seonhakwon. Sunwoo benevolent society has the main office in the Seonhakwon and 19 branches all over the country. It was managed by the membership fee of 360 members and donations. But from 1925 Sunwoo benevolent society has gone down because of financial problems. Temporarily Seonhakwon was changed to Kyungsung mission branch of beomeosa and was rebuilt in 1931 by Kim Juk Eum, Then It played a role as a headquaters and made efforts for popularization of buddhism, guiding a meditation, lecturing buddhist doctrines, publishing bulletins. The monks who rebuilt Seonhakwon concentrated on financial settlement for running it. Consequently Seonhakwon was converted into a foundation called "Chousn Bulgyo Seonrichamguwon." By the way, the monks used this foundation as a chance of making a organization of SuJwa for promoting Seon, In march 1935 there was a rally of SuJwa in Seonhakwon. SuJwa stands for a unique name called "ChosunBulgyo SeonJong, establishing a main office as well as making rules including constitutional law of order. Since then Seonhakwon strived to set up the identity of SeonJong increasing assets and the number of Seonwon. But Seonhakwon was not liberal under the harsh reign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Inevitably it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because of oppression. But Seonhakwon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liberation although japanese government couldn`t imagine its existence at all. Therefore Seonhakwon has a important mark in modern buddhist history and also its history is a yardstick of grasping the identity of national buddhism including korea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