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을 위한 생명윤리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추정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8 생명윤리정책연구 Vol.2 No.3

        The purpose of bioethics education for teenagers can be defined as to value on our life and humanity, to develop moral decision making capacity of modern tantalizing problems in bio-medical fields, to practice moral acts on biomedical issue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eenagers’ bioethics should be categorized into two points; to fulfill moral recognition with ethical knowledge on the bio-medical issues and to improve practical acts from the morally matured consideration on bioethics. We can expect the improvement on the teenagers’moral recognition by understanding of moral concepts, ethical theories, practical arguments and principles. To improve practical possibilities of moral acts on bioethics, I suggest two kinds of approaches on the bioethics educational contents to be more effective and fruitful. Firstly, we can discover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bioethics education. In addition to applying abstract ethical principles to actual situations, we can reinterpret literary works or films in contexts on bioethics previously unanticipated. Secondly, we can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bioethics not by arranging them into life-time events (i. e. birth-life disease-death), but by forming them into bio-medical subject-relation extents. If the approach is not effective, then we can try to applying another arrangement approaches, which forming educational subjects for the bioethics into personal problem to social problems.

      • KCI등재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유경동(Yoo Kyoung-Do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5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2

        전통적으로 의학계에서는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 시점을‘자웅전핵융합(syngamy)’으로 간주했다. 자웅전핵융합이란 정자로부터 시작된 웅성전핵과 난사의 자성전행이 융합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생식세포가 완전히 결합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이후 대략 24시간 이내에 정자와 난자의 전핵이 붕괴되어 반수의 염색체들이 하나로 합쳐지기 시작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문제는 인간의 생명 자체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현상이기 때문 에, 언제 새로운 생명이 시작하는 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기가 더 어렵게 된다. 만약 인간의 수정과 배아의 발달 과정이 분절적이며 독립된 과정의 연속이라면, 자웅전핵융합이라는 시점이 가능한 생명의 시작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문제는 자웅전핵융합이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에 이루어지는지를 확정하기 어렵다 는 것이다. 기존의 주된 과학적 입장은 배아의 발달 과정 자체를 하나의 생명이 만들어지는 전체 과정 중에 한 부분 정도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결국 최초의 수정된 수정란은 아직 구체적인 인간 유기체로의 구성을 이루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생명의 시작점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보는 입장이 지배적인 것이다. 따라서 최초의 수정란은 자웅전핵융합을 통한 염색체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인간이 아니라, 새로운 인간 유기체가 되는 과정에 있는 독특한 인간세포 정도로 이해된다. 그러나 필자는 배아 자체는 정자와 난자 결합 시점에 이미 존재하며, 인간 유기체는 처음부터 완전히 존재하고, 일생동안 일어나는 모든 발달 과정을 통제하고 지시한다고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인간 배아는 수정단계부터 하나의 살아있는 인간 개별 존재로 인정해야 된다고 본다. 이와 같은 과학적 관점에 대하여 종교는 인간 생명의 시작을 훨씬 그 폭을 넓게 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인류사회에 있는 대부분의 종교는 현대의 과학적 관점과 같지는 않지만, 인간의 생명과 그 출발점에 관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 아 울러 이를 기점으로 인권과 나아가 공동체를 유지하는 정신적 가치를 제공하여왔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유대교, 기독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 그리고 유교의 사회신조나 종교법에 나타나는 생명이해를 살펴보며, 특히 배아의 형성에 대한 각 종교의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인간 생명현상에 개체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덕의 윤리에 대한 독특한 관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인간의 배아를 중심으로 한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가 더 깊어지기를 바란다. When does a human life begin? This is one of the crucial questions that various religions have tried to answer. According to Abrahamic religions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 human individual life is bestowed by God, not by any biological process. At the very moment of fertilization, a fetus is regarded as a mere material. But in the process of embryonic development, human soul is infused into the fetus. Only after the ensoulment, the fetus becomes a potential human being. In Hinduism and Buddhism, the life right of fetus is explained through their unique idea of a wheel of life, samsara. While a fetus is seen as a living being from the beginning, it is not yet human life. After the soul is infused, the fetus can success the karma of its previous existence and, in turn, it can be a human life. From Confucian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a fetus is respected so far as it is the potential familial member. After considering all the thoughts from the religious perspectives on the human embryos,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right of the human embryos must not be limited in scientific knowledge but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normative ethics in relation to human life. To achieve this goal, science and religion are encouraged to cooperate to understand human life and reestablish supervision on life ethics together.

      • KCI등재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김시형(Kim, Si Hyeong),추정완(Choo, Jung Wan)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5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전부 개정된「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대학에 설치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안정된 정착을 위해 사회행동과학연구에 대한 심의 기준을 검토하는 것이다. 임상시험심사위원회로 시작한 병원 생명윤리위원회의 경우 국내에 정착된 지 20여년이 경과되었기 때문에 관계 법령 등에서 임상시험과 관련한 보편적인 적용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행동과학연구의 경우 연구자들이 참고할만한 기준이 비교적 부족하고 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의 표준운영지침 또한 연구자들에게 충실히 제공되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국내 현실을 감안하여 본 논문은 국내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서 참고할만한 미국의 사회 행동 과학 연구 심의 기준을 Common Rule 규정에서 찾아보고, 실제 미국 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의 표준운영지침에 나타난 위험·이익 평가 기준과 개인정보 보호 기준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국 내에서 사회행동과학연구 심의에 중요 참고 기준으로 삼고 있는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표준운영지침과 미국 Common Rule 규정을 상호 비교 검토하여, 현행 심의 기준의 한계와 향후 국내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심의 기준의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criteria for Social Behavioral Research (SBR) based on the amended Bioethics and Safety Act to stabiliz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established within each university. Although there exists a well-instituted IRB by medical laws and policies for studies in the field of medical scienc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 IRB for SBR. This is because the IRB does not include guidelines and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OPs) for SBR. In addition, regarding that most universities do not have their own guidelines and SOPs for SBR in South Korea, the establishment of SOPs is necessary. Therefore,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an IRB accredited by AAHRPP in the U.S. Particularly, common rule (CR) and SOPs are examined in terms of risks, benefits, privacy, and confidentiality. Then, the analyzed results are compared with an existing SOP of the public IRB in South Korea to fi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OP for SBR.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 us an insight in improving and developing SOPs of IRB in South Korea.

      • KCI등재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김은애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5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1

        Under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to ensure bioethics and safet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hereinafter referred to as ‘IRB’) has to be established not only the Human Research Institution and the Human Material Research Institution, but also the Medical Institution Producing Embryos, the Human Material Bank, the Embryo Research Institute, the Somatic-cell cloning embryo research institute, and the Parthenogenic Embryo Research Institute. The functions of the general IRBs such as the IRB of the former research institutions are to review the research whether to decide the approval and to inspect and supervise the progress and outcomes of the IRB approved research. But, in Korea, some IRBs such as the IRB of the latter medical institution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ts roles, so these IRBs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IRBs. First, the Medical Institutions Producing Embryos mainly provides the medical treatment for the infertile persons, so it obtains the human gametes to create the human embryos. And, if necessary, it obtains the donated human gametes(especially, women’s oocytes) for the infertile persons. Also it can serve the residual human embryos and gametes to the research institutes. Second, the Human Material Bank secures the donated human materials and related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to supply them to the researchers. Therefore, the IRBs of the Medical Institutions Producing Embryos and the Human Material Bank have to perform the roles related to these works. Third, the researches conducted in the Embryo Research Institute, the Somatic-cell cloning embryo research institute, and the Parthenogenic Embryo Research Institute are very special because the residual human embryos and oocytes containing the ethical issues have to be used. So, the IRBs of these research institutes must have the capacity to review and to inspect and supervise these researches more professionally. But, some provisions of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related to these IRB’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ts roles are a little incomplete and inadequate to support these IRB’s activities as the voluntary self-regulation. Of course, it is a false belief that everything can be solved by the law. However, the law, especially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has to be able to present standards to ensure bioethics and safety because both the establishment of these IRBs and the conduct of its roles are based on the law in Korea. So, some provisions related to these IRBs will be able to be amended to support the remarkable activities of these IRBs. 우리나라에서는「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바에 따라 인간대상연구기관과 인체유래물연구기관 외에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체세포복제배아연구기관, 단성생식배아연구기관도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를 설치하여 운영하여야만 한다. 일반적인 IRB는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에 대해 심의하고 연구의 진행과정 및 결과에 대해 조사·감독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그런데, 배아생성의료기관에서는 연구가 아니라 체외수정시술을 받는 사람들을 위해 생식세포를 채취하여 배아를 생성하는 일, 임신을 위해 자신의 생식세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생식세포를 기증받고 이를 제공해주는 일, 그리고 배아연구, 체세포복제배아연구, 단성생식배아연구를 위해 사용될 잔여배아와 잔여난자를 제공해주는 일이 이루어지고, 인체유래물은행에서는 연구도 이루어지지만 주로 연구를 위해 인체유래물과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해주는 일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들 기관의 IRB는 이러한 일들과 관련된 역할을 주로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연구기관의 IRB와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배아연구기관·체세포복제배아연구기관·단성생식배아연구기관에서는 배아와 난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연구보다 윤리적 쟁점이 더 많은 특수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들 기관의 IRB는 일반적인 연구기관의 IRB에 비해 보다 전문적인 심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생명윤리법」에 규정되어 있는 배아생성의료기관의 업무, 인체유래물은행의 업무, 배아연구기관·체세포복제배아연구기관·단성생식배아연구기관에서의 연구 및 관련 법적 기준 등을 확인하여 이러한 기관들의 IRB가 일반적인 연구기관의 IRB와 달리 가지고 있는 특수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특수성에 맞게 IRB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이와 관련한 법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인간대상연구에 있어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역할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규제법 비교

        박수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3 생명윤리정책연구 Vol.7 No.1

        Bioethics and Safety Act and Common Rule have some provisions that are both similar and different aspects on the scope of human subjects research, waiver of IRB review, informed consent form, oral consent, waiver of consent, waiver of written consent, required elements for informed consent, authority of IRB, types of IRB review, membership, operation and func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relatioship between institute and IRB, etc. Also, both law and regulation have big difference in that Bioethics and Safety Act applies to all the human subjects research regardless of who pay the research money and Common Rule only applies to the federal government funded research. Nevertheless, both law and regulation have the same goal in that they try to protect the rights·safety·welfare of human research subjects through IRB. In order to protect both human research subjects and investigator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is same goal and by the adequate and proper review of the varying protoctols in the future, I suggest some solutions to establish and manage IRB successfully such as the need to understand the goal of IRB, the recognition of independence of IRB from the head of the institute, the need to retain qualified members and to educate them,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assisting IRB affairs, to provide sufficient incentives and protections to the members, to establish the proper standards for selecting chair person and members etc.

      • KCI등재후보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유경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인권은 인간의 속성과 연관된 권리이며 기본권은 헌법이 명시한 권리이다. 따라서 인권이 자연법적인 권리라고 한다면 기본권은 실정법의 권리인 것이다. 중요한 점은 기본권이 인권에 의하여 추론되는 권리임으로 생명을 중시하는 인권의법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생명의 개념이 광의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헌법에 근거한 생명권과 기본권에 대한 적용은 그 영역이 매우 협소하다. 헌법재판소는“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제13조 1항인“누구든지 임신외의 목적으로 배아를 생성하여서는 아니된다.”라는 법률과 연관된 초기배아의 기본권과 배아연구와 연관된 위헌소송에서 인간의 생명과 연관된 기본권과 생명권을 정의하고 판시한 바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헌법재판소에서 판시한 배아의 생명권을 살펴보고 판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리고 뇌과학의 관점에서 생명윤리정책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필자가 다루고자 하는 주요 쟁점은 배아의 생명권과 이와 연관된 뇌과학의 관점이다. 뇌 과학의 기본적인 입장에서 보면, 생명의 시작은 뇌가 만들어지는 순간, 즉 수정부터 시작된다. 특히 배아 이전의 정자나 난자와 같은 유전적 요인을 통하여 임신 3-4주부터는 배아가 본격적으로 두뇌를 생성하기 시작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배아의 연관된 뇌의 사유능력을‘기능’과‘의식’의 구분 없이 사용하며, 다만 인간의 사유는 뇌의 시작과 연결되며, 배아의 능력이 뇌를 좌우한다는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한다. 인간 개체의 생명은 뇌를 통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뇌가 없는 인간은 상상할 수 없다. 이 항상성을 지키기 위한 뇌의 목적은 바로 생명의 보호에 있으며 우리가 법에서 말하는 자유나 평등과 같은 개념 또한 인간의 뇌에서 작동하는 정신작용이며 또한 생명의 특징이기도 하다. 물론 인간의 생명은 유전인자와 같은 일차적인 요소와 신체의 외부적인 사회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지속되기때문에 생명을 뇌의 기능적인 관점에서 보는 뇌결정론의 한계는 있지만 뇌를 구성하는 배아단계부터 인간의 기본권과 생명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뇌를 강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뇌의 항상성은 생명권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가 되는 자아개념이나 의지와 같은 정신작용과 관계가 있다. 필자는 이점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뇌과학의 이론 중에서“해방생물학(liberation Biology)”을 강조하며, 배아단계부터 형성되는 뇌의 도덕적 주체성을 고찰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들은“부수적 현상론(epiphenomenalism)”, “이원적 상호론(dualistic interactionalism)”, “실체이원론(substance dualism)”, “심신일원론(mind/brain identity theory)”과“유심론(mentalism)”등이다. 이러한 이론을 소개하는 목적은 인간의 도덕적 주체성에 대한 뇌과학의 해석을 통하여 배아초기부터 작동하는 뇌의 정신 활동과 이에 따른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이해에 다양한 해석이 공존하고 있음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다양한 관점의 공통성은 배아의 유전적 정보로 말미암아 인간은 인간다운 항상성을 유지하며 사유와 자기책임의 도덕적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 있다. 한편, 결론으로 필자는 생명윤리정책에 있어서 법의 사유의 확장과 도덕적 능력의 배양을 강조하면서 생명윤리와 같은 영역에 인간의 책임과 생명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의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한다. According to the main purpose of Bioethics and Safety Act, “no one shall produce embryos other than for the purpose of pregnancy.” However, under the current Act, the human embryo should not be regarded with the same legal status as a human being. It does not admit the right to life of the human embryos. But the increasing knowledge of the human brain has opened a new horizon for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found that the human embryos can be treated with the same legal standard as a human being because they are linked to the origins of the human life. In this regard, neuroscience encompasses various issues in connection with the brain and the embryo,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human embryos contribute to the moral and ethical judgements in the course of the early stage of the brain growth. In the discussion of neuroscience in regard to the issues of moral potential of the human embryos, the theories of epiphenomenalism, dualistic interactionalism, substance dualism, mind/brain identity theory, and mentalism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human life, free will, and moral subjectivity.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of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right to life of the human embryos must not be limited but be considered as valuable as that of a human being. To achieve this goal, the government and scientific communities are encouraged to revise the standard of the right to life for the human embryos, earliest forms of human beings, and reestablish supervision on life ethics.

      • KCI등재

        생명보호 법정책의 현재

        최민영(Min-Young Choi)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4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7 No.2

        본 글은 2000년 전후로 지난 25여 년간 한국의 법과 정책이 생명을 어떻게 보호했는지를 정리하고 조명하는 의미가 있다. 각 생명 영역, 즉 배아, 태아, 영아, 자살, 안락사, 장기이식에서볼 수 있는 25여 년간 한국의 법제, 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개괄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생명보호에 있어 괄목할 만한 변화와 성장을 보인 법정책의 시의성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우선, 생명보호를 둘러싼 논쟁의 구도를 확인하고, 2000년 이후로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 관련 입법이었던 생명윤리법의 발달사와 제정배경을 간략하게 개관한 이후, 각각의 생명보호영역에서의 입법논의, 중요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정리한다. 결론적으로, 우리 법정책은 각생명 관련 영역에서 그동안 완전한 금지도, 완전한 허용도 아닌 견해를 밝혀왔다. 즉, 기본적으로각 생명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보이기도 한다. 생명보호의 문제는 개인의 가치관의 차이와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첨예한 갈등이 수반되는 만큼, 구성원 간의 합의 도출을 위한 절차의 마련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덧붙여서생명보호와 관련된 법정책적 논의에는 우리 문화에 고유한 논쟁의 요소가 보이는 만큼, 다양한현실의 층위를 고려한 정책적 결단도 요구된다. This article intends to organize and shed light on how Korean laws and policies have protected life over the past 25 years since around 2000. By broadly discussing 25 years of Korean legislation,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that is, embryos, fetuses, infants, suicide, euthanasia, and organ transplantation, we seek to restore the timeliness of the legal policy. To this end, we first confirm the structure of the debate surrounding life protection, briefly overview the development history and enactment background of the Bioethics Act, which has been the most important life-related legisl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2000. Then we introduce and summarize legislation discussions, important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protection. In conclusion, our legal policy has taken a position of neither complete prohibition nor complete permission in each life-related area. In other words, it basically adheres to the principle that each life must be protected, but in some cases it shows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is. As the issue of life protection involves sharp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values and various interests,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procedures for reaching agreement among society members. In addition, as legal policy discussions related to life protection show elements of controversy unique to our culture, policy decisions that take into account various layers of reality are also required.

      • KCI등재후보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김광연(Kim, Gwang Yeon)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인류는 우월한 인종으로 선택받고자 했던 프로메테우스의 욕망을 포기할 수없어 일부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우생학 프로그램을 수행했다. 과거의 우생학은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이 결과로 우생학의 명분은 점점 사 라져 갔다. 그러나 생명공학의 눈부신 활약으로 점점 새로운 우생학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는데, 21세기 생명공학 기술과 손잡고 태어난 것이 바로‘자유주의 우생학’이다. 자유주의 우생학은 인간 유전자 개량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우생학은 인간의 신체를 개량하여 보다 우수한 유전자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과거의 우생학이 가진 인간 존엄성 훼손과는 다른 윤리적 문제를 낳고 있다. 특히 인간 유 전자를 개량하면서 나타나는 문제는 태어나기 이전부터 인간을 길들일 수 있다는것 곧 생명정치와 깊이 관여된다. 게다가 유전자 개량은 인간 배아를 실험 도구로 보고 인간 신체개량이라는 점에서 이 실험을 통해 인간 신분이‘이미 정해진’상태 로 태어나는 생명정치 문제와도 연결된다. 우수한 유전자를 지니고 태어난 인간은 그렇지 못한 인간을 지배하기 때문에 태어나기 이전부터 인간 계급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뿐만 아니라 인간 유전자의 개량은 배아를 대상으로 실험이 전제되 기 때문에 배아의 존엄성과 인간 복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윤리적 문제점을 시작으로 그것과 생명정치와의 관련성 및 배아복제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생명정치를 통한 계급 발 생에 대한 문제점과 유전자 결정론 및 배아와 인간 존엄성을 살펴보고 익명성으로서의 배아 존재에 대한 이해와 인간학적 보편성을 제시할 것이다. Humankind begins to embody eugenics program benefited from some scientists seeking Prometheus’ desire that wanted to be selected as superior race. For a decade, eugenics gradually degraded into a denigrating tool to destroy human dignity and its justification grew vague accordingly. With the emerging of biotechnology, eugenics began to revive in the name of “liberal eugenics” to cope with the 21st biotechnology. The liberal eugenics is deeply connected with improvement of human gene. Such a eugenics is now causing another ethical issue in terms of securing a superior gene by improved body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former eugenics described above. The newly raised issue is also closely referred to bio-politics that claims human race can take its genes by means of bio-technology even before coming into the world. Bio-politics is also related to a ethical issue, so as to speak “predetermined clique.” It causes a serious social hierarchy in that a human with superior gene can rule over the inferior human. Since it requires a intentional experiment of embryo, manipulating of human gene might influence on dignity of embryo and human cloning. Bringing up such a problem, this study tried to examine some issues like ethical perspective on eugenics and its relation with bio-politics or embryo cloning.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raised some questions asking how we can preserve human dignity against gene determinism and predetermined social status, on which we can suggest a universal value of humankind and advisable understanding of anonymous embryo.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김현철(KIM Hyeon cheol)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1

        생명윤리와 생명윤리법, 그리고 생명윤리법학은 어떤 관계에 있으며 특히 생명윤리법학은 어떤 의의를 가지는가? 이에 대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 생명윤리(Bioethics)는 의학과 생명과학의 발달로 인해 생겨난 새로운 사회적 갈등을 규범적으로 다루고 있다. 둘째, 생명윤리는 사회규범의 총체이다. 그리고 법규범도 사회규범의 일종이기 때문에 생명윤리에는 법규범도 포함된다. 셋째, 생명윤리법은 생명윤리 법규범을 의미하며, 생명윤리법학은 생명윤리법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의미한다. 넷째, 생명윤리법학은 새로운 법현상을 다루기 때문에 새로운 법리가 필요하고, 전통법학과 달리 여러 법리를 포괄적으로 적용하 는 전문법학이며, 생명윤리나 생명과학의 지식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학제적 법학이다. 다섯째, 생명윤리법학은 이성적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사회 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권위적 해결을 모색하는 공존의 조건을 모색한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Bioethics deals with new social conflicts arising from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Bioethics is the whole of social norms in which there are legal norms. Law and Bioethics means legal norms themselves about bioethics and jurisprudence about bioethics simultaneously. Law and Bioethics requests new legal doctrine for it deals with new legal phenomena. Law and Bioethics is professional jurisprudence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Significance of Law and Bioethics is the trial to seek the condition of coexistence for maintaining social community even though reasonable disagreement exists.

      • KCI등재

        생명보호 법정책의 현재

        최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7 No.2

        본 글은 2000년 전후로 지난 25여 년간 한국의 법과 정책이 생명을 어떻게 보호했는지를 정리하고 조명하는 의미가 있다. 각 생명 영역, 즉 배아, 태아, 영아, 자살, 안락사, 장기이식에서볼 수 있는 25여 년간 한국의 법제, 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개괄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생명보호에 있어 괄목할 만한 변화와 성장을 보인 법정책의 시의성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우선, 생명보호를 둘러싼 논쟁의 구도를 확인하고, 2000년 이후로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 관련 입법이었던 생명윤리법의 발달사와 제정배경을 간략하게 개관한 이후, 각각의 생명보호영역에서의 입법논의, 중요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정리한다. 결론적으로, 우리 법정책은 각생명 관련 영역에서 그동안 완전한 금지도, 완전한 허용도 아닌 견해를 밝혀왔다. 즉, 기본적으로각 생명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보이기도 한다. 생명보호의 문제는 개인의 가치관의 차이와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첨예한 갈등이 수반되는 만큼, 구성원 간의 합의 도출을 위한 절차의 마련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덧붙여서생명보호와 관련된 법정책적 논의에는 우리 문화에 고유한 논쟁의 요소가 보이는 만큼, 다양한현실의 층위를 고려한 정책적 결단도 요구된다. This article intends to organize and shed light on how Korean laws and policies have protected life over the past 25 years since around 2000. By broadly discussing 25 years of Korean legislation,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that is, embryos, fetuses, infants, suicide, euthanasia, and organ transplantation, we seek to restore the timeliness of the legal policy. To this end, we first confirm the structure of the debate surrounding life protection, briefly overview the development history and enactment background of the Bioethics Act, which has been the most important life-related legisl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2000. Then we introduce and summarize legislation discussions, important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protection. In conclusion, our legal policy has taken a position of neither complete prohibition nor complete permission in each life-related area. In other words, it basically adheres to the principle that each life must be protected, but in some cases it shows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is. As the issue of life protection involves sharp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values and various interests,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procedures for reaching agreement among society members. In addition, as legal policy discussions related to life protection show elements of controversy unique to our culture, policy decisions that take into account various layers of reality are also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