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60년대 外來語 表記 政策 樹立과 普及에 관한 一考察 –문교부(1958),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를 中心으로–

        김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materials No. 1 and No. 3. The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is a revision of the loanword writing norm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8, and is an orthography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loanword writing rules. In the 1950s, there was no institution or department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related committee performed research and discussed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it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norm mainly considered only the transcription of English loanwords, but later supplemented the detailed rules of various languages through editing materials. In addition, a memo from the reviewer in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discussions of policymakers at that time, such as regarding long vowel writing. The fact that loanword orthography was supplemented, and examples of loanword usage were disseminated through editing materials reveals that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policy, the dissemination of language regulations was emphasized in the public domain,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제3호(1960) 등의 실물 자료를 검토하여 1950~60년대 당시 외래어 표기 정책의 수립과 보급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은 문교부에서 1948년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을 개정한 것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표기법이다. 1950년대에는 국어정책 전담 기관이나 부서가 없어 국어 관련 위원회에서 표기법의 개정을 직접 논의하였다. 이 표기법은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제정 당시 영어 외래어 표기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이후 편수 자료 를 통하여 다양한 언어의 세칙을 보완하였다. 실물 자료에 남아 있는 당시 검토자의 기록을 통해 장모음 표기 등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편수 자료 를 통해 외래어 표기법이 보완되고 외래어 용례가 보급되었다는 점은 문교부가 국어정책을 주관하던 당시에는 공공 영역 중 특히 교육 분야에서 어문규정의 보급이 중시되었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학생 대상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도덕교육적 의의

        김아영,김상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대상 자아 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초등학교 3~5학년 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것의 유의미성을 t검정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덕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결과 3~5학년을 대상으로 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은 대체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자아존중이 타인존중으로 이어지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유의미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안정되고 연속적인 수업 시수의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공인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도덕교과는학생들의 인성 교육, 민주시민 교육의 중추가 되는 교과인 만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과 그것이 타인 존중으로 확장될 수 있는현장중심적인 교육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초등학생 대상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대체로 유의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유의한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수업 시수를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인성 교육과 민주시민 교육의 중심이 되는 도덕 교과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마음챙김명상이 통년성 알레르기비염 여대생 환자의 삶의 질 및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

        김아영,김정호,김미리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quality of life and attention in perennial allergic rhinitis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 who had been diagnosis with Perennial Allergic Rhinitis by a professional and who met the criteria for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s diagnostic criteria.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rhinoconjunctiviti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rankfurter Aufmerksamkeits-Inventar test, psychological acceptance questionnair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questionnaire,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questionnaire at pretreatment. Of the total participants, 18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use of these scales and test.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namely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the wait-control group. 4 participants dropped out of the program due to personal matters, which left 7 i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7 in the wait-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in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mpleted 9 weeks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ly larger improvements in the areas of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attention in those participants trained in mindfulness meditation compared with the non-meditato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rea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In Fi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이 통년성 알레르기비염으로 고통 받는 성인 환자들의 삶의 질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참가자는 이비인후과 전문의에게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으로 진단을 받고,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ARIA) 진단 기준 가이드라인 상 현재 지속적인 비염 상태 및 경증 증상에 해당하는 여대생들로, 사전 조사에서 알레르기비염 환자의 삶의 질 질문지, 주의력 검사, 심리적 수용 질문지, 삶의 만족 질문지, 삶의 만족 예상 질문지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여대생 총 18명을 선발하여, 마음챙김명상 집단에 10명, 대기-통제 집단에 8명을 배정하였다.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1주 1회씩 9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각 회기는 90분가량으로 진행하였으며, 중도에 탈락한 4명을 제외한 총 14명(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7명, 대기-통제집단 7명)에게서 수집된 모든 종속 측정치의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음챙김명상 집단은 대기-통제 집단에 비해 증상으로 인한 신체적 불편감과 심리적 고통이 더 감소하면서 삶의 질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선택적 주의력과 지속성 주의력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나타내었으며, 삶의 만족 또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그러나 심리적 수용, 삶의 만족 예상, 자기 통제력 평가에서는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 가상현실 동향분석

        김아영,채원석,장규호,최하림,김백섭,이준우,Kim, A.Y.,Chae, W.S.,Zhang, G.H.,Choi, H.L.,Kim, B.S.,Lee, J.W.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1 No.4

        최근 ICT 기술의 발전과 콘텐츠 제작 환경의 변화로 가상현실 기술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특히 ICT와 하드웨어의 성능 발전으로 현실과 구분되지 않는 콘텐츠 구현이 가능해져 게임과 테마파크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는 물론, 교육 훈련, 가상치료, 제조, 국방 등 다양한 사업과 융합되어 신사업과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가상현실 기술동향, 가상현실 산업동향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가상현실의 발전방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건설분야에 사용되는 규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

        김아영,천진수,김진관,이병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are discussed. By use of a survey, moreover, the data for the reasonable uses are prepared. Silica is used for tile cement, grouting, mortar to repair, high performance concrete, etc in construction fields. Though Silica is more expensive than general sand, it is often used in repairing construction because it is pure as well as homogeneous and a prompt action is necessary during the polymer cement mortar or high performance mortar for grouting construction. As there aren't enough data of silica which is used for the construction fields, it is impossible to prospect about the vision of silica. So it is necessary to take statistics on the silica for the construction fields. Though each company has produced some silica which is sorted by sizes of particle, the particle sizes are not unified.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unified silica standards for reasonable uses.

      • KCI등재후보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한 국내 연구들의 특성에 관한 고찰

        김아영,최유임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이 연구는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한 국내 연구의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 연구의 특성 및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및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orean Medical Database; KMBASE)의 검색엔진을 통해 ‘오차배제’를 주요 키워드로 하여 최근 1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을 검색하였다. 총 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중재 효과와 특성 및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는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환자였으며, 독립변수는 오차배제훈련을 단독으로 적용하거나 오차배제훈련과 시간차회상훈련을 함께 적용하고 있었다. 종속변인은 회상성공률, 기억력, 집중력, 인지수준, 일상생활활동, 우울이었다. 8편 중 3편(37.5%)은 집단연구였으며 5편(62.5%)은 단일대상연구였다. 분석대상의 질적 수준은 무작위 임상시험연구는 “보통”, 단일대상연구의 경우에는 “중간” 수준이 3편(60.0%), “높은” 수준 2편(40.0%)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없었다. 중재 효과는 모든 연구에서 종속변수가 향상 혹은 증가를 보고하였다. 결론 : 본 오차배제훈련 연구들은 모두 중간 이상의 질적 수준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이며 치매 및 인지장애 대상자들에게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시니어 시프트를 고려한 고령 여성의 체간부 체형 연구

        김아영,어미경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19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women’s torso shap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7th Size Korea, which featured 453 women between the ages of 70-85. A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f 31 indices, including seventeen based on height and length measurements, eight based on circumference measurements, and six based on torso flattening. The torso shape was determined from seven factors: torso flatness ratio, shape of the side upper torso, vertical size of upper torso, silhouette of the torso, silhouette of the bust and abdomen, shape of the hip, and the vertical size of the back of upper torso. The torso shapes of older women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Type 1 is called the large rectangle type. They have the lowest degree of forward bend in the torso, the largest vertical and horizontal size, a round body shape, and the upper torso is gently curved. Type 2 is called the inverted triangle type. They also have a round body shape, but the abdominal size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size of the bust, and also have an open and drooping bust, and the biggest degree of forward bend in the torso. Type 3 is called the square type. They are characterized by drooping hips, the smallest vertical and horizontal sizes, and the gentlest curve of the torso.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한 및 한중 번역 사례로 본 문장 나누기의 전략과 기법

        김아영 한국통역번역학회 2013 통역과 번역 Vol.15 No.2

        This paper examines strategies and techniques of sentence segmentationby professional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when processing boundaryof sentences through cases shown in the “Major Speeches & LiteratureCollection Mark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Korea-China Diplomatic Ties”. The result of research has shown thattranslators of the “Major Speech Collection” complied with sentenceboundaries and markers of ST as far as possible, but minimized theirsegmentations when inevitable. Since the structure of Chinese complexsentences is longer and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sentencesegmentation was more generally utilized in Chinese-Korean translation. In Chinese, sentences were segmented where the meaning of a sentencewas altered, such as topics, comments and relations rather than tangiblemarkers. In Korea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entences weresegmented at connective endings or adnominal endings. These featurescan be used as references for other translators or future translators. Nonetheless, in terms of the use of connective markers in betweensegmented sentences, readability is somewhat lessened as a result offollowing the ST, therefore supplementation of connective markers isrequired after altering boundaries. Furthermore, the technique of alteringsentence boundary is to be expanded as a more universal translatingstrategy in the future by contrasting it with other langu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