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교수학습 과정 모형 연구

        조연순,체제숙,백은주,임현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004 교육방법연구 Vol.16 No.2

        현실적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나 자기 주도성이나 학습능력이 부족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어렵게 생각되어 초등교육 현장에서는 아직 쉽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중심학습 (PBL)의 교수학습 과정을 구체화하여 초등학교 교실에서 적용 가능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의 여러 문제중심학습과정 관련 문헌들로부터 공통적으로 중시되는 단계들을 중심으로 하여 1) 문제 만나기, 2) 문제 해결계획 세우기, 3) 탐색하기, 4) 문제해결책 만들기, 5) 발표 및 평가하기 의 절차를 추출하였으며, 각 단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주요활동들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 논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초등 6학년 과학에서 ‘태풍’을 주제로 하여 ‘일기예보’ 단원을 위해 개발한 문제중심학습의 예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특히 어린 학습자들이 문제중심학습의 일련의 과정을 잘 수행하여 본래 문제중심학습의 의도에서도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안내자, 즉 코치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인 활동 및 교사 발문의 예시를 통해 제시하였다. PBL has been recognized as an appropriate model to connect the learner's knowledge to his(her) real world, to make the school learning effective and useful. However it has rarely been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because classroom teachers feel that PBL is too difficult for young childre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teaching-learning proces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sential teaching and learning factors(processes) for PBL a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as follows; 1) meeting a problem 2) setting solution plans 3) exploring knowledge and skills 4) producing products 5) presentation and evaluating the product. The meaning and scope of each process is described and major activities are explained in detail. Further, those steps are illustrated using an example of the 'typhoon' problem for the 'weather forecasting' unit of the 6th grad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lso for the role of teacher as a coach, guiding strategies are suggested and explained in teacher's questioning form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초등 과학교육과정 구성의 모델 : 지식과 과정의 통합 Integration of Contents and Inquiry Process

        조연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교과교육연구 Vol.4 No.-

        교육의 제영역 중에서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가장 중요시 여기는 분야 중의 하나는 과학교육이며, 과학교육에서 중요시하는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어 왔다. 과학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사실과 암기 중심, 지식의 내용습득 중심에서 점차 통합적인 내용과 탐구방법의 습득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초등 과학교육과정, 과학교육의 목표, 교사용지도서 등을 검토해본 결과 과학교육에서 중시하는 탐구방법의 습득은 잘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탐구과정과 지식내용을 동시에 반영하는 초등 과학교육과정 구성방안과 함께 목표제시, 교사를 위한 수업진행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go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facts and knowledge to the development of inquiry process skills such as observing, classitying, infering, measuring, communication, experimentation, etc. Many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ocucing on the inquiry skills have been developed throughout the world. In this paper, changes in Korea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since 1955 are reviewed briefly. Also the objectives of the science education of the 5th and the 6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re compared. Then the problems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re discussed in detail. Fina1ly, a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model which integrates scientific contents and inquiry process is presented.

      • KCI등재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조연순,정지은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2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하는가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국내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를 범주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창의성을 정의하고 있는 연구들은 비교적 많았지만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일반적으로 독창성과 유용성과 관련된 인지적 특성으로 정의한 것이 많았다. 창의성의 범주로는 개인, 과정, 산출물, 환경 중에서 개인적 측면에 관련한 연구들이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대부분 연구들이 TTCT와 같은 심리측정적 검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창의성 범주가 이론적 배경에서와 평가에서 서로 다른 경우가 있었다. 창의성 수준으로 구분해 볼 때는 대부분 ‘작은 창의성’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독창성’과 ‘유용성’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나 설명을 하는 연구는 적었다. Creativity has been suggested as a prime educational objective by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nd research on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since 2000s. How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and approaches creativity affects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of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by analyzing its approach based on its categories and levels of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 (1)studies with a definition of creativity are more than without it but the former has been decreasing and the latter increasing little by little. (2)Studies which focus on person, cognitive or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And process, environment, and product follow. (3)Regarding the levels of creativity, most was done on little-c creativity level, on the other hand, very limited studies conceptualized the creativity in educational context. Studies having an interest in mini-c creativity level were hardly found.

      • KCI등재

        요약 : 아동의 지적발달단계 ( 전조작 / 구체적조작 ) 와 교수법 ( 귀납적 / 연역적 ) 의 상호작용

        조연순 한국유아교육학회 1978 유아교육연구 Vol.2 No.1

        어떤 敎授法이 兒童들의 최대의 학습성과를 위해서 가장 좋은 方法인가 하는 문제는 교육자들에게는 끊임없이 대두되는 질문이다. 探究學習과 傳統學習의 비교,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학습방법의 비교에 관해서 많은 硏究들이 되어 왔으나, 그들의 結果는 一貫性이 없어서 一般化시키기가 곤란한 것이, 오늘날 교육계가 갖고 있는 고충이다. 그 硏究結果의 일관성 不在의 이유로서, 學習者가 갖고 있는 여러가지 要因들을 연구에서 무시해왔다는 것을 들 수 있겠다. 학습자의 다른 연령, 성별, 개성, 가정환경 등등에 따라 각각 다른 敎授法이 효과적 일수가 있겠다. Piaget에 의하면, 兒童의 思考力은 知的發達段階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木硏究는 학습자의 지적발달단계와 교수법이 개념습득을 위해, 어떤 상호작용관계가 있나를 탐구하는 것에 目的을 두고 있다. 硏究實驗을 위하여, 1학년 아동들 50명을 두가지의 理論的 능력 (1. Piaget의 분류 test 2. 연역적 추리력 Test)에 의하여 두가지의 知的段階(1. 前造作단계 2. 具體的 造作단계)로 분류하여, 각각의 test에 각각의 단계에 있는 被驗者들을 두실험 group으로 나누었다. 한 group은 귀납적 방법에 의하여, 그리고 다른 한 group은 연역적 방법에 의하여, "환경"과 "환경에의 적응"에 대한 개념을 가르쳤고, 그 結果는 개념습득 test에 의해서 평가되어, 변량분석방법에 의하여 통계적으로 그 효과가 처리되었다. 피험자들의 知的단계가 연역적 추리력 test에 의하여 분류되었을 경우에는, 敎授法과 知的段階의 상호작용이 개념습득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침이 통계적으로 나타났다(P<.05). 전조작단계의 아동에게는 연역적 방법보다는 귀납적방법이, 그리고 구체적 조작단계의 아동에게는 연역적 방법이 개념습득을 위해서는 효과적이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實驗結果, 교수법은 아동의 知的단계와 연관성이 있다는 結論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교사들이 敎授法을 선택할 때는 學習者의 知的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대부분의 아동들이 현재 처해있는 단계에 맞는 方法을 선택할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고 보겠다.

      • 교수법과 아동의 知的 발달 단계와의 관계

        趙延順 德成女子大學校 1979 德成女大論文集 Vol.8 No.-

        Recently, many educators, especially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have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Piaget's work in teaching. Many studies are concern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teaching materials in relation to Piaget's intellectual developmental stage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f any, about teaching strategies with regard to developmental stages. Three teaching strategie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1) The open inductive strategy which allows the children freedom to shape data in their own way to form a concept or generalization. (2) The structured inductive strategy which the teacher guides the children to find out a specific conclusion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of data. (3) The hypothetico deductive strategy which the children formulate a hypothesis, thestify it, and make a generalization. Accordingly, a hypothe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teaching strategies and the child developmental levels is discussed: (1) The open inductive strategy is suggested for the pre operational child who is egocentric. (2) The structured inductive strategy is suggested for the child at concrete operational stage who has the ability of logical classification. (3) The hypothetico deductive strategy is suggested for the child at formal operational stage who has the hypothetico deductive thinking structure.

      • KCI등재후보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대사증후군 유병실태 및 관련요인

        조연순,곽정옥,김영신,박서영,성연희,우두임,이경옥,이미숙,이정경,조현주,최정희,한정애,김봉정 한국농촌간호학회 2012 한국농촌간호학회지 Vol.7 No.1

        현재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함께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해 사회경제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 2010년 사망원인통계결과에 따르면 사망원인 1위는 암(28.2%), 2위는 뇌혈관질환(10.4%), 3위 심장질환(9.2%), 5위 당뇨병(4.1%)으로 만성질환이 주요 사망원인을 차지하 고 있으며, 특히 심장질환 및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하고 있다(통계청, 2011). 한편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는 암, 심뇌혈관질환의 80.0%, 40.0%가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으로 알려져 있는 고혈압, 당뇨 병, 고지혈증 등의 관리를 통해 예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박상신과 오상우, 2010). 최근 대사증후군이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발생의 위험 요소임에도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의 하면 우리나라의 30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는 33.1%, 여자는 26.1%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2007). 미국의 20세 이상 성인의 대사 증후군 유병률은 23.7%이며, 남자가 24.0%로 여자 23.4%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Ford, Giles, & Dietz, 2002).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과 당뇨 발생을 증가시키는 대사성 위험인자들의 군집현상으로 인슐린저항성, 복부 비만, 혈압상승, 고중성지방혈증, 저고지단백콜레스테롤 혈증 중에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나 는 것으로 정의되어 진다(Grundy et al., 2005). 대사 증후군 유병률 특성을 살펴보면 젊은 연령층보다 노인층 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유병률이 높고, 도시보다는 농촌지역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질병관리본부, 2007; Lim, et al., 2006; Maggie et al., 2006; Oh, Bang, & Hyun, 2009; Park, Oh, Cho, Choi, & Kim, 2004). Lim 등 (2006)은 40세에서 69세 성인을 대상으로 농촌지역과 도시지역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조사?비교하였는데 농촌지역이 29.3%로 도시지역의 22.3%보다 더 높았으 며, 이는 농촌 주민이 염분섭취가 높은 식습관과 유산소 운동량이 적은 것이 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 Oh 등 (2009)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혹은 복부비만으 로 치료를 받고 있는 40세 이상 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 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조사한 연구에서 농촌지역 주민 들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복부비만 등의 이환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대

      • KCI등재

        초등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과 반응 유형 분석 : 사고력 신장의 측면에서 Focusing on Children's Thinking Abilities

        조연순,우재경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8 교육과학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행동을 사고력 신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사 발문 유형의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교사 20명의 자연과 수업 녹음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인지·기억적 발문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사고력을 자극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인정되고 있는 확산적 사고 발문과 평가적 사고 발문 유형은 매우 드물게 사용하였다. 발문 후 교사가 아동의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은 1초 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고, 발문의 대상으로는 주로 학급 전에 집단을 선택하여 다른 아동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적게 제공해줌으로써 교사들의 발문 행동은 사고력 신장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아동의 응답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반응은 대부분 수용적이었으나 아동의 사고력 신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명료화 요구, 증거 요구 또는 다른 아동에게 발문하는 교사의 반응 유형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보다 구체적인 발문의 진단과 효과적인 발문유형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연구 방법에 있어서 질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ren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questioning behavior in science classroom focusing on children's thinking 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wenty science lessons taught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chun city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bed lessons were analyzed by Blosser's questioning category system and George's response category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 1. The teachers used the questions requiring recognition & memory(65.4%) most often compare to the questions requiring the convergent(31.3%), divergent(1.5%), evaluative(2.0%) thinking abilities, which expected to facilitate children's thinking abilities. 2. The wait-time which the teachers had waited until the children's response was less than a second, which occupies 53.0%, and the cases of more than three seconds occupies only 11.8%. 3. The teachers questioned toward the whole class children instead of several children which allow each child to compare his/her idea with others. 4. The reaction which the teachers revealed most often was 'reception' type (80.3%). 5. When the reaction which the teachers reveal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eachers' first questioning behavior, 'reception' type was the most frequent (83.1%) for the category of recognition, memory type questioning.

      • KCI우수등재

        교사-학생간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인성교육의 현황 및 가능성 탐색

        조연순,김아영,허미화,김인전 한국교육학회 2001 敎育學硏究 Vol.39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의 인성 및 인성교육과 관련된 문제점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및 수업 관찰, 각급 학교 교장과의 세미나 그리고 교사&#8228;학생과의 면담을 통하여 추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 면담을 위한 짊누지를 개발하고 초&#8228;중&#8228;고 학생 및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보다는 중&#8228;고등학교로 갈수록 교사들의 개입행위가 학생들에게는 부정적으로 지각된다는 점과 학생들은 타당성 있고 공정한 개입이라고 인정할 경우에만 교사의 언행을 긍정적으로 지각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각 상황 속에서 어떠한 덕목들이 현재 지도되고 있으며, 또 지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토의하였다.

      • 한국 아동의 관습적 시간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조연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6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50 N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ages, sex and socioeconomic status in the development of conventional time concepts of Korean children. To investigate the age difference, 80 five and six-year-old children were randomely selected from the laboratory kindergarten and 97 seven-year-old, 99 eight-year-old, and 100 nin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laboratory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For the comparision between sexes and socio-economic statuses, additional 111 eight-year-old and 106 nin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J elementary school which was located in another area in Seoul. Three subtests for the conventional time concepts were designed such as following: 1. Basic Time Concept Test including following elements; a) morning/afternoon b) yesterday/today/tomorrow c) season d) day e) birth/month/day/year 2. Mathematical Time Concept Test including following elements; a) clock and time b) units of time c) perception of time 3. Historical Time Concept Test including following elements; a) order of holidays b) birth order of family & historical persons Young children(5,6,7, year-olds) were orally interviewed and older children(8,9 year-olds) were asked to write their answers on the printed test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scores of all the three Conventional Time Concepts Test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age. 2. There was no sex difference. 3. There was socio-economic status difference. The children who had higher educated par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hildren who had lower educated parents. 4. Before eight year-old, most of the Conventional Time Concepts were not acquired by the children. 5. Basic Time Concepts were first acquired before mathematical and historical time concepts acquired. 6. 1) Before eight year old, children did not understand the meanings of morning & afternoon. In Korean language it was difficult for them. 2) Although children used the word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before the age of eigh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hich one comes first. 7. In Mathematical Time Concepts, six year old children began to recognize simple clock time. But half an hour, minutes, time calculation and units of time concepts were not acquired before eight year old. Time perception were not yet accurate by nine year old. 8. Historical Time Concepts were the most difficult tasks. Younger children*6 year old) knew family-birth-order frst and the birth-order of historical persons acquired at nine year old. But the order of holidays were not acquired yet by nine year ol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1. When we construct the curriculum for children, the basic time concept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mathematical and historical time concepts. 2. Further study on the conventional time concepts should be done systematically. Variables such as cultural differences and educational effects should be considered. Relationship of conventional time concepts with other time concepts and cognitive development should be studied also.

      • KCI등재

        조선조에서 일제시대에 걸친 초등교육의 내용 및 방법연구

        조연순,이숙례 한국초등교육학회 1989 초등교육연구 Vol.3 No.1

        In order to find the roots of Korean elementary educati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ing from Chosun dynasty through Japanese occupation were investigated by methods of 1) teaching material analysis, 2) interviews, 3) field investigations of both extinct and currently existing "sodangs". The study was taken from March 1988 to August 1989. The results of study would be classified as follows in terms of four major areas: 1. Educational thoughts and purposes in Korea have been deeply rooted in humanism with the moral value focused on Confusianism. Considering that many problems in modern Korean society concern moral aspects, we should give more weight on moral education. 2. An an educational system, "sodang" has played a greatly important role since Kokuryo dynasty, and it was the first elementary education system for middle and lower class children in Korea. After the "enlightment period",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were founded but soon they were under Japanese influence, which resulted in the disconnection in our own elementary education system. 3. Concern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this study reveals the following findings: 1) Most of textbooks were constructed in comprehensive approach. For instance,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or 'Small Learning' deal with not only human morality but also universe, history, etichetts and education. 'Hakajip' which mainly teaches terminology of nature also deals with "three human principles and five moralities". Textbooks for 'mo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in the enlightment period deal with the contents of morality, grammar & sentence structure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science, skills, and modern concepts of nationality. 2) Some textbooks among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Chosun dynasty ('Iphakyusul', and 'Hakajip') were found reconstructed apprporiately for young children. This shows that there was a children-centered thoughts already. 3) When we compare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terms of periods, the enlightment period had the unique and the most various contents (traditional morality + practical knowledge). 4.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sodang" gave new challenges in the following points to the modern educational method centered around large scale classrooms: 1) Structure and Management; The teacher-student ratio in the "sodang" ranged from 2-3:1 to 20-30:1, thus allowing the teacher to use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s, as well as implement moral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hopchang" (teaching assistant) system and the fact that no restrictions were placed on age yielded a mixed age system whereby older students could help younger students and students could engage in mutual interaction. 2)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he daily schedule was perhaps too constructed, but the teacher was able to control the choice of teaching materials, scope of lessons, and progress in accord with each student's ability and speed which is individualized instruction. This method has changed, since Japanese occupation, into the one dealing with all the children in a classroom as a single unit - i.e., the teacher taught all the children at the same speed with the same text and the same methodology. The latter method has been continuing up to these days. 3) Evaluation and prizes and punishments were consistent and thorough, and teachers used a kind of "mastery learning method", whereby students could not go on to the next level until they had mastered the previous stage comple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