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4 No.4
N-ISDN의 대중화 및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 개발한 회선 및 패킷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N-ISDN 접속용 PC 카드로서, NT(Network Terminator)및 TA(Terminal Adapter) 기능을 하며, PC에서 다중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음성 통화중 다양한 ISDN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며, 64kbps로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용선 없이 ISDN을 통해 64kbps로 패킷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협대역 ISDN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4 No.5
이 시스템은 MPEG-4 비디오 부호화 방식, G.723.1/MPEG-4 음성부호화 방식, 실시간 통신용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하여 인터넷/인트라넷 환경에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비디오 캡처 보드를 장착한 PC에서 소프트웨어만으로 실시간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 No.1
고속연산 및 광통신 분야를 주도하기 위해 일본의 연구기관들은 갈륨비소(GaAs) 계열의 소재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박희용,Park, Hui-Yo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6 전자통신 Vol.8 No.3
ETRI-NET(ETRI Local Area Network)은 종합 정보통신 시스팀 기술개발 및 연구소 업무 자동화를 위해서 한국전자통신 연구소에 설치 운용중에 있는 광대역 근거리 통신망이다. 본고에서는 ETRI-NET의 시스팀 구성, 주요장비, 장비 설치현황, LAN 이용방법, 타 network과의 접속 등에 관해서 기술한다.
권세혁,Kwon, S.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9 No.1
경제성과 효율성을 지닌 종합정보 통신망인 ISDN은 음성 또는 비음성의 정보를 모두 디지털 형식으로 통일시켜 각종 서비스가 하나의 회선과 이용자 번호로 제공되는 디지털 전송. 교환방식의 네트워크로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1월 서비스가 상용화 되었다. 전기통신의 국제 표준화 작업은 ITU 회원국의 주관청과 표준화 업무에 희망을 피력하고 회원국의 승인을 받은 공인된 민간 운영회사 및 과학 산업기구의 연구원으로 구성된 ITU-TS에 의해 주관된다. ITU-TS는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본 네트워크 및 단말기와 사용자 측의 필요 조건을 정리하여 1984년과 1988년에 I시리즈 권고를 통해 ISDN의 개관과 서비스, 망 구성 및 운용,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망간의 인터페이스 등 ISDN에 관한 개념이나 원칙을 국제 표준으로 발표하였다. ITU-TS의 ISDN 일반 원칙에 따르면 네트워크 자체는 각국의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 선진국인 미국의 표준화 과정을 조사.연구함으로써 국내 통신망의 보호와 국내 실정에 맞는 통신망 구축을 위해 보다 나은 ISDN 기술 기준의 제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기술기준에 대한 연구 시기를 앞당기고 현장 시험에서 얻어지는 자료나 연구결과의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며, 상용화 후에도 예측못했던 문제점 및 사후 관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야 겠다. 그리고 기술기준을 제정하는 위원회에는 통신 사업자는 물론 정부 및 이용자까지도 함께 참여하여 모든 사람의 이익을 고려한 기준이 제정될 수 있어야겠다.
강태규,박성희,장일순,김인수,한동원,Kang, T.G.,Park, S.H.,Jang, I.S.,Kim, I.S.,Han, D.W.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5
LED는 빛을 내는 반도체이다. LED는 백열전등에 비하여 전기 절감 효과가 높고, 형광 등에 비하여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녹색성장의 대표주자 중 하나이다. 메모리 반도체와 전자통신 기기가 융합하여 지난 20년간 발전하여 왔듯이, 앞으로는 LED와 전자통신이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융합 기술이 발전할 것이다. 현재 예상 가능한 LED 전자통신 융합 기술은 LED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과 감성 및 전기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LED 조명 모듈간 유선 네트워킹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LED 조명과 녹색성장이 연계된 배경, 가시광 무선통신의 국내 및 국제 표준 동향, LED 조명 네트워킹 기술을 설명한다. LED 융합 기술에 의하여 인간중심의 편리 시설을 제공하면서도 전기 절감 및 저탄소를 실현할 수 있다.
차세대 통신 및 방송서비스의 확산가능성에 관한 실증연구
조상섭,임명환,Cho, S.S.,Lim, M.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5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0 No.1
본 연구는 현재 도입예정에 있는 차세대 통신 및 방송서비스의 확산가능성에 대하여 잠재적 사용자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최근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잠재적 사용자의 선택 및 반응함수추정방법은 분석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모수적 추정과 반모수적 추정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세대 통신 및 방송서비스사용자들의 해당 서비스선택반응함수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확산은 상당히 느리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존 초고속 및 이동통신서비스 확산에서와 같이 형태의 빠른 확산속도를 보일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견해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음을 보여 준다. 둘째, 본 연구의 차세대통신 및 방송서비스확산의 부정적인 분석결과에도 불구하고, 차세대 통신서비스의 성공적 확산에 중요한 요인으로는 서비스제공요금을 낮추고, 젊은 사용자층에게 새로운 서비스의 유용성을 인식시킴으로써 최종서비스선택까지 유도케 할 수 있는 유인 메커니즘 도입전략 개발이 사업성공의 필요조건이 될 수있음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통신 및 방송산업환경은 상용화를 준비하는 사업자들이 차세대 통신 및 방송서비스의 성공적 도입을 위하여 시장구조분석 및 시장욕구의 질적 방향분석뿐만 아니라, 그 영향 정도를 수치화하고 계량화하는 시장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시장도입 및 전개전략을 개발하는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단계가 되었음을 보여 준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차세대 통신 및 방송서비스의 산업고도화에 대한 면밀한 사전계량시장분석으로 시장전략형성 전환적사고가 해당 서비스제공사업자뿐만 아니라 서비스정책을 수행하는 정부당국자에게도 필요과정요소가 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