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너지 섹터의 혁신성 제고를 위한 리빙랩 활용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최광훈,권규현,Choi, Kwang Hun,Kwon, Gyu Hy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2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9 No.1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섹터의 혁신성 제고를 위한 리빙랩(Living Labs) 활용 전략 수립에 관한 탐색적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문헌을 통해 이론적 배경이 되는 리빙랩의 개념, 필수 구성요소, 혁신성 특성과 에너지 섹터의 혁신 이슈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리빙랩 필수 구성요소의 맞춤형 전략 수립과 혁신성 제고와의 연관성, 에너지 섹터에서의 혁신 이슈에 대한 접근으로 리빙랩 활용 가능성에 대해 에너지 리빙랩 사례 연구(해외 8건, 국내 1건)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리빙랩 필수 구성요소의 맞춤형 전략 수립이 혁신성 제고에 동인으로 작용 될 수 있으며, 리빙랩이 에너지 섹터의 혁신 이슈(수요관리, 공급기술, 기술사업화 촉진 및 수용성, 기술정책)에 대한 접근 방법론으로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확인되었다. 사례연구 결과 기반으로 혁신성 기여 관점에서 리빙랩 사례별 동인을 도출하고 에너지 혁신이슈별 리빙랩 활용 전략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에너지 섹터에서의 혁신이슈에 대한 접근으로 리빙랩 모델의 활용 전략과 그 가치에 대한 탐색적, 기술적 분석 연구로서 종래에 시도되지 않았던 리빙랩 활용 전략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고, 에너지 리빙랩 활성화와 네트워크 형성에도 기여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실용적·정책적 함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an exploratory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on establishing a strategy to utilize living labs to enhance the innovation of the energy sector.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oncept, essential components, innovation characteristics of living labs, and types of innovation issues in the energy sector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is, the case studies of energy living lab (8 overseas, 1 domestic)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living lab as an approach to innovation issues in the energy sector, establishing a customized strategy for essential components of living lab and enhancing innov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ustomized strategy for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living lab could be a driving force in enhancing innovation, and the Living Lab is effectively used as an approach method for innovation issues(demand management, supply technology, enhance R&D acceptance and promote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policies) in the energy sector. As a result of the case studies, the driving force of each living lab was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contributing to innovation, and strategies for using the living labs for each energy innovation problem were established.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analytical study of the utilization strategy and value of the living lab model as an approach to innovation issues in the energy field, which can provide a living lab strategy framework that has not been tried in the past and enables living lab activation and network formation. It can also be considered to have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can also contribute.

      • KCI등재

        한국의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의 교과과정을 통해 본 한국적 기술경영학의 정체성

        정태현,권규현,박현규,권영일,이규태,전정환 기술경영경제학회 202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31 No.3

        기술경영학은 1960년대 미국 공공연구기관의 체계적 연구관리(R&D) 필요성과 영국 고등교육기관의 관련 학술지 창간 등에 의해 태동된 후 현재는 전 세계 809개 이상, 국내 19개 이상의 기관에서 연구와 교육활동을 수행할 정도로 크게 확산되었다. 특히,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산업부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정부예산을 투입해 단기간 내에 양적·질적으로 대학원 수준의 기술경영 인력양성 체계가 자리 잡게 되었다. 한국의 기술경영학 교육과정은 현장중심형 교육과정 운영, 교육기관 간 표준화와 동형화, 인접학문과의 친연성 등에 있어 해외의 기관과는 다른 경로와 차별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술경영학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정체성과 차별성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경영학의 주요 교재 11종(한국어 3종, 영어 8종)을 분석하여 기술경영학의 교과과정의 주요 내용을 7개 주제영역으로 구분하고 인접학문과의 차별성, 기술경영학의 정의적 특성에 관해 논하였다. 다음으로는 기술경영 대학원과정을 운영하는 한국의 9개 대학원 교과과정을 7개 주제영역에 투사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대학원 교과과정은 기업에서의 기술경영의 운영 측면, 산업별/기술별 기술경영, 산학연계 프로젝트/세미나에 62.5%의 교과목이 배정되어 있었다. 즉, 한국적 기술경영 교육과정은 지역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중간관리자급의 기술경영 실행인재의 양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경영 교과과정의 분석 토대 위에 한국의 산업발전단계를 고려한 향후 기술경영학 교육의 발전방향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즉, 기술과 혁신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론, 기업 기술경영의 운영만이 아니라 전략적 측면, 기술경영의 경제사회적 맥락에 대한 교육과정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The field of Management of Technology(MOT) emerged in response to the need for research management within U.S.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during the 1960s. Since its inception, it has proliferated significantly, being practiced in more than 809 institutions globally and over 19 institutions in Korea, encompassing both research and educational endeavor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substantial investment of government resources, primarily channeled through the Ministry of Industry since 2007, which has expeditiously established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cultivating graduate-level MOT expertise, marked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dvancements.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realm of Korean MOT deviates from foreign counterparts through distinctive pathways, exemplified by its emphasis on industry practice-oriented educational programs, standardization and isomorphism across different schools, as well as its interconnectedness with proximate academic disciplines.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undertakes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in Korean MOT graduate schools, thereby ascertaining its intrinsic identity and distinct attributes. In this endeavo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eleven principal MOT textbooks(three in Korean and eight in English) is conducted to delineate the primary content of the curriculum across seven thematic domains. Moreover, the study deliberates on its differentiation from neighboring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definitional attributes of MOT. Subsequently, this analysis also encompasses nine Korean MOT graduate programs, projecting the seven thematic domains onto their respective curricula. The findings illuminate that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graduate programs,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he curriculum, amounting to 62.5%, is dedicated to facets encompassing the operational aspects of technology management within corporate contexts, technology management specific to varying industries and technologies, and collaborative endeavors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in the form of projects and seminars. Evidently, the Korean approach to technology management education is notably geared towards the cultivation of adept practitioners capable of executing technology management functions at a mid-tier managerial level, aligned with the exigencies of regional industries. Grounded in the analysis of technology management curricula, this study extrapolat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rajectory of MOT education in Korea, encompassing a consideration of the stages of industrial development. It underscores the necessity to augment the educational curricula pertaining conceptual foundation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strategic perspectives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and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technology management.

      • KCI등재

        캐즘 단계의 한국 전기자동차수용확산 저해 요인과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주재길,권규현 기술경영경제학회 202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31 No.4

        전기자동차의 빠른 확산은 지구온난화와 자연재해 대응을 위해 국제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대중화를 위해 “캐즘(Chasm) 극복”은 필수적이나, 선행연구들은 전기차 초기시장 분석이 대부분이며 캐즘 단계의 연구는 다소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전기차 초기 단계를 벗어나는 국내시장에서 소비자의 전기차 구매 주요 저해 요인과, 이에 영향을 주는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자동차 관련 경험을 설문과 통계기법을 통해 심층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전기차 시장은 캐즘 전 단계로 판단되며, 전기차의 “기술에 대한 낮은 신뢰성”, “경제성에 대한 의문”, “충전-운전 불편성”이 전기차의 주요 수용 저해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에 따른 고속/완속 충전 인프라의 적절한 구축, 교육과 홍보를 통한 전기차의 인식개선, 전기차 수용에 우호적인 얼리어답터(Early adopter)의 전기차 수용 촉진은 캐즘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apid diffusion of electric vehicles (EVs) is a globally significant target in response to global warming and natural disasters. “Crossing the chasm” is essential for mass market entry, but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focused on analyzing the early-stage of EV market, with limited research on the chasm phase.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s the major barriers to EV adoption among Korean consumers at near Chasm phase, consider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r-related experiences through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e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Korean EV market is just before the chasm phase, and “Low trust in EV technology”, “Doubt of economic benefit”, and “Inconvenient charging-driving” are major EV adoption barriers.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fast/slow charging infrastructure on demands, awareness improvement of EV by education and promotion, and the facilitation of EV adoption among early adopters who are favorable to EV are anticipated to play a crucial role in overcoming the Chasm.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재택근무에 대한 수용의도 영향 요인 연구: 조직문화 및 기술수준을 중심으로

        이지영,권규현 한국기술혁신학회 2023 기술혁신학회지 Vol.26 No.6

        최근 디지털 기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증하는 환경에서 COVID 19로 인해 더욱 가속화된 재택근무의 실효성을높이기 위한 기업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조직문화와 기술수준에 따른 재택근무에 대한 조직 내 구성원의 수용의도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재택근무 경험이 있는 직장인 200명으로 경쟁가치모형(CVF)과 수정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Updated IS Model)을 활용하여 수용의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관계지향문화가 강할수록, 혁신지향문화가 약할수록, 합리지향문화가 강할수록 수용의도가 높아졌으며 위계지향문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이 높을수록 수용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보 품질은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재택근무를 실시할 때 조직 내 공유 및 협업 확산 노력, 성과를 측정하고 보상하는 적절한 방안 개발, 직원들의 테크노스트레스를 줄이는 조직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새롭게 인식하였으며 실질적 활용 측면의 ICT 기대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이해하였다. In the current landscape characterized by a rapid surge in societal demand for digital technology, there arises an imperative for corporate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the efficacy of telecommuting, a trend that has been further expedited by the ramifications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intention of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towards remote work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chnological levels. The research involved 200 employees with experience in remote work, and the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s in acceptance intention using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and the Updated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stronger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weaker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stronger rational-oriented cultur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acceptance intentions. However,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Higher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led to higher acceptance intention, while information qu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acceptance.

      • KCI등재

        Distinguishing Supportive Activities at Industry-Level Value Chain Analysis

        김의성,한지은,권규현 한국콘텐츠학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9 No.1

        Although globalization gives us a more efficient product system, recent collapse of the Global Value Chain raises a severe problem for a company's sustainabilit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upportive activities of industry-level value chai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e used reported transaction data from a Koreancredit rating company in the investigation. By applying analysis of structural equivalence, we classified some companies in the transactional network.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group classified as supportive activities in the industrial value chain using network parameters. This result will provide vital information to establish corporate-level strategies considering their industry-level value chain. Moreover, this result is a starting point to classify primary activities in the industry-level value chain accurately.

      • KCI등재

        CCTV 통합관제센터의 실내공간특성에 대한 사례분석연구 - 인간공학디자인(HFD)의 관점에서

        한지은 ( Han Ji Eun ),권규현 ( Kwon Gyu Hy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앞으로 도시 시민의 안전보호와 시설물 관리를 위하여 공공부문의 통합관제서비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서울 소재의 CCTV통합관제센터에 대하여 유형별 분류와 실내공간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2007년 이후 구축된 서울의 통합관제센터 8곳으로 일반적인 특성, 공간기본정보, 실내공간특성의 기준에 맞춰 분석하였으며 조사의 결과를 정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관제센터의 공간기본정보를 살펴보면 소규모 CS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 현재 통합관제센터 공간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면적 비중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관제 센터의 공간기본정보를 살펴보면 보안영역, 사무영역, 공공영역의 순으로 공간의 크기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현재 국내의 통합관제센터는 행정안전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획일적인 형태나 구조, 실내 환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 연구 분야에서 깊이 있게 다루지 못했던 통합관제센터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함으로써 향후 더 나은 통합관제센터를 계획할 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본 연구는 조사대상의 사례 수가 많지 않다는 한계가 있으나 추후 사용자 인터뷰나 공간 사용성 평가 분석 등을 통해 사례분석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모니터링 실내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이길 기대한다.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control service of the public sector will be increased for the safety of citizens in the futu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lassification of CCTV control cent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The survey was conducted at eight control centers in Seoul that were constructed since 2007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general matters, services, spatial basic information, spatial structure, and internal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is a space where the ratio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s not high but performs important tasks for the citizens of the city, which are operated 24 hours a day, and security and security. It is characterized by the efficient space allocation for the treatment, the design of the moving line, and th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urgent work f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other integrated control center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