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사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길이, 직경, 플랫폼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와 주위조직의 응력분포

        강지은,정현주,구철회,양홍서,Kang, Ji-Eun,Chung, Hyun-Ju,Ku, Chul-Whoi,Yang, Hong-So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02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16 No.3

        Seven finite element models were constructed in mandible having single screw-type implant fixture connected to the premolar superstructure, in order to evaluate how the length, diameter and platform shape of a screw-type fixture influence the stress in the supporting tissue around fixtures. Each finite element model was varied in terms of length, diameter, and platform shape of the fixture. In each model, 250N of vertical load was placed on the central pit of an occlusal plane and 250N of oblique load placed on the buccal cusp.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supporting tissue and the other components was analysed using 2-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each reference area was compared. Under lateral loading, the stress was larger at the abutment/fixture interface, and in the crestal bone, compared to the stress pattern under vertical loading. The amount of stress at the superstructure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length, diameter and platform shape of a fixture. Around the longer fixture, the stress was decreased at the bone crest and subjacent cancellous bone and increased in the cancellous bone area apical to the fixture. Around the wider fixture, the stress was decreased at the abutment/fixture interface, and the bone crest and increased in the cancellous bone area apical to the fixture. Around the fixture having wider platform, less stress was produced at the abutment/fixture interf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cortical bone, compared to the fixture having standard platform. In conclusi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supporting tissue was affected by length, diameter, and platform shape of a fixture, and the fixture which was larger in diameter and length could reduce the stress in the supporting tissues at the bone-fixture interface and bone crest area.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강지은,구덕회,Kang, Ji-eun,Koo, Dukhoi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5

        최근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과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지만, 초등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융합교육 연구사례가 있는 노벨 엔지니어링 기법을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1차 프로그램 개발 후 전문가 타당도 검사로 검증을 하였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개발하였다. 그 결과 한글 해득 과정 중인 저학년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문자 언어보다는 음성 언어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교과 간 통합으로 교육 시수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정보 교과가 별도로 신설되어 있지 않은 초등 저학년의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국어, 수학, 통합교과와 융합하여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various platforms and conten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but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learner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was designed using the Novel Engineering with various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 cases for software education. After the first program was developed, it was verified by expert validity test, and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developed 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construct a program based on spoken language rather than written language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learners in the lower grade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Hangeul, and to secure the number of educational hours through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suggest a new direc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lower grade learners.

      • KCI등재후보

        최근 5년(2006-2010)간 소아 혈액 종양 환자에서 발생한 균혈증의 원인균 및 임상 양상: 단일기관 연구

        강지은,석준영,윤기욱,강형진,최은화,박경덕,신희영,이환종,안효섭,Kang, Ji Eun,Seok, Joon Young,Yun, Ki Wook,Kang, Hyoung Jin,Choi, Eun Hwa,Park, Kyung Duk,Shin, Hee Young,Lee, Hoan Jong,Ahn, Hyo Seop 대한소아감염학회 201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9 No.3

        목 적 : 소아 종양 환자의 균혈증의 원인균과 위험 인자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 및 조사를 통해 적절한 치료와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고자, 2006년부터 2010년의 최근 5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 소아 종양 환자에게 발생했던 균혈증의 원인균 분포와 이들의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여 항생제 선택에 실제적인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5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 종양환자들에게 발생한 균혈증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의무기록 분석 시, 선행 질환 및 호중구 수치, 치료 경과 등을 조사하였고, 호중구 감소증, 중심 정맥관 등 균혈증의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을 함께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176명의 소아 종양 환자에게 226례의 균혈증이 발생하였고, 246균주가 분리되었다. 이 중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 진균이 각각 63.4%, 34.6%, 2.0%이었다. 그람 음성균 중에는 Klebsiella species, E. coli, 그람 양성균 중에는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S. aureus 등이 높은 비율로 분리되었다. 그람 양성균의 penicillin, oxacillin, vanconycmin 내성률은 각각 85.7%, 65.9%, 9.5%이었으며, 그람 음성균의 cefotaxime, piperacillin/tazobactam, imipenem, gentamicin, amikacin 내성률은 각각 37.2%, 17.1%, 6.2%, 32.2%, 13.7%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치사율은 12.7%였다. 그람 음성균 균혈증의 쇼크 발생률이 그람 양성균 균혈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48.4% vs. 11.9%, P<0.01), 치사율 역시 그람 음성균이 더 높았다(12.1% vs. 3.0%, P=0.03). 쇼크 발생률은 호중구 감소증을 동반한 환자군에서 호중구 감소증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39.6% vs. 22.0%, P=0.04). 결 론 : 그람 음성균이 소아 종양 환자의 균혈증의 흔한 원인균이며, 불량한 예후와도 관련성이 높은 점들은 기존 연구결과들과 일치하였다. 향후 원인 균주의 분포와 항생제 내성률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tiologic agen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organisms responsible for bloodstream infections in pediatric cancer patients for guidance in empiric antimicrobial therapy. Methods : A 5-year retrospective study of pediatric hemato-oncologic patients with bacteremia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2006 to 2010 was conducted. Results : A total of 246 pathogens were isolated, of which 63.4% (n=156) were gram-negative, bacteria 34.6% (n=85) were gram-positive bacteria, and 2.0% (n=5) were fungi. The most common pathogens were Klebsiella spp. (n=61, 24.8%) followed by Escherichia coli (n=31, 12.6%),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n=23, 9.3%), and Staphylococcus aureus (n=22, 8.9 %). Resistance rates of gram-positive bacteria to penicillin, oxacillin, and vancomycin were 85.7%, 65.9%, and 9.5%, respectively. Resistance rates of gram-negative bacteria to cefotaxime, piperacillin/tazobactam, imipenem, gentamicin, and amikacin were 37.2%, 17.1%, 6.2%, 32.2%, and 13.7%, respectively. Overall fatality rate was 12.7%. Gram-negative bacteremia was more often associated with shock (48.4% vs. 11.9%, P<0.01) and had higher fatality rate than gram-positive bacteremia (12.1% vs. 3.0%, P=0.03). Neutropenic patients were more often associated with shock than non-neutropenic patients (39.6 % vs. 22.0%, P=0.04).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gram-negative bacteria were still dominant organisms of bloodstream infections in children with hemato-oncologic diseases, and patients with gram-negative bacteremia showed fatal course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 gram-positive bacteremia.

      • KCI등재

        방향족 산증식제 2-hydroxy-2'-tosyloxy Biphenyl의 레지스트 레진의 종류에 따른 효과에 관한 연구

        강지은,정용석,정연태,Kang, Ji-Eun,Jeong, Yong-Seok,Jeong, Yeon-Ta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8 No.6

        We compared the effects of a representative aromatic acid amplifier, 2-hydroxy-2'-tosylory biphenyl, doped in poly(tort-butyl methacrylate) (PTBMA), poly (tetrahydropyranylmethacrylate) (pTHPMh) or poly[tert-butoxycarbonyloxystyrene) (pTBOCST) resin film as acid labile polymer in view of thermal stability and photosensitivity enhancement. The acid amplifier was stable up to 60 min in pTBMA and pTBOCST film and up to 10 min in pTHPMA film at $120^{\circ}C$. pTBMA and pTHPMA film doped with the acid amplifier showed 9 times and 3 times higher photosensitivity, respectively. But pTBOCST film showed a negligible photosensitivity enhancement. Photosensitivity enhancement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acid amplifier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the resin.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명칭권에 관한 小考

        姜知恩(Kang, Ji-Eu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6 공법학연구 Vol.17 No.2

        이 논문은 프랑스의 지방자치단체의 명칭권과 그 보호에 관한 법제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오늘날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의 특성을 보다 살리고, 주민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행정구역이나 지역 내 시설물의 명칭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명칭변경은 해당 지역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보다 많은 관광객을 유치함으로써 실질적인 지역 경제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명칭이나 그에 내포되어 있는 이미지는 지역의 특성을 함축적으로 집약하고 표출할 수 있는 무형의 자산으로서의 가치마저 갖게 된다. 이러한 무형적인 자산이 지니고 있는 상품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명칭의 독점적인 사용 내지 우선권을 놓고 지방자치단체간, 또는 이를 영리적으로 사용하려는 일반 사인과 지방자치단체간의 다툼의 양상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오랜 지방자치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프랑스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명칭 변경에 관한 구체적인 절차 및 관련 법제를 정비하고 나아가 지적재산권법에 무형의 재산권으로서의 지방자치단체의 명칭, 이미지, 명성 등에 대하여도 일정한 보호 법제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프랑스의 법제와 판례에 관한 고찰은 우리 지방자치단체의 명칭변경을 둘러싼 최근의 분쟁의 해결책과 관련하여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학습자 중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강지은(Kang Ji Eu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한국어교육연구 Vol.- No.5

        세계의 다양한 나라에서 한국문화에 대한 호기심, 여행, 언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언어적인 특징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과 어려움을 항상 대면하기 마련이며 이런 갈등이 어떤 부분에서 발생이 되는지, 또 어떻게 해소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에게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그룹을 지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착화된 문화적 갈등이 드러나게 되며 그룹 안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해소되어지는지 살펴볼 수 있다. 총10주간 50명의 학생은 10그룹으로 나뉘어 사전 설문조사, 영상 감상, 토론, 팀 프로젝트와 영상 제작 및 발표 그리고 사후 설문조사의 과정을 통해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의 과정들을 보여주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교재, 교사 중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면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연구 출발과 설계, 과정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도 세계 시민의 자질과 역량을 갖춘 학습자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students who have interests about Korea have constantly been increasing.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have their own cultur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 and these differences might be able to cause many communicative problems. The Korean education field for foreign students has been studied with focus on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but there is no variety and clear result on intercultural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focus on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 of project for improv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ies with focus on learners. Chapter I examines the no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tudies in Korean Education. Chapter II reveals the processes of improv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and proposes the method of project. Finally,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Korea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method using project and specially focus on learners, which has rarely been studied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ed a new direction through this.

      • 최근 20년간 국내 동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강지은(Kang, Ji-Eun),이신동(Lee, Shin-Do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7 특수·영재교육저널 Vol.4 No.2

        본 연구는 동화와 관련된 연구 논문 중에서 최근 20년간, 1998년부터 2017년 사이에 발표된 국내 학술논문 380편의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독립변인, 종속변인, 관련 교과를 분석하였다. 동화는 문학의 한 장르로서 창의적이고 상상적인 산물로 간주하며 4차 산업혁 명을 맞이하여 창의성와 다양성의 중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동화 관련 국내 연구는 매년 증가하였고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동화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또는 모형개발의 실험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와 아동을 대상으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인은 특정언급이 없었던 동화, 전래동화, 외국동화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영향을 받는 종속변인에 따른 결과, 인지적 영역, 언어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순으로 연구가 많았고 관련 교과는 언어라는 매개로 동화가 전달되듯이 영어, 언어, 국어, 문학 등에서 많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에 기반을 두어 국내 수행되어온 동화관련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지향해야 할 연구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아동의 인지 적, 정의적, 언어적 영역의 계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children’s stor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for the last twenty years, from 1998 to 2017. The number of domestic academic treatises (380) on research methods, research subject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related subjects were analyzed. Domestic studies related to children’s stories have grown yearly and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the pilot study on program or model development using children’s stories took the highest percentage. This study shows that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used were infants and children and that the most widely used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children’s stories which were mentioned unspecifically. Next, ranked folk tales and foreign fairy tales. The most used dependent variables, affected by the study, were cognitive domains, the linguistic domains, affective domains, and the social domains. Finally, as children’s stories are conveyed by means of language, these studies are mostly conducted in the subject of English language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ased on these analyzed findings, the trends in the study of domestic research we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that should be explored in the future was examined. Based on this study, a wide range of program development of children s cognitive, affective, and linguistic domains is expected.

      • KCI등재

        칸트와 니체의 미학적 인간 연구

        강지은(Kang, Ji-Eu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본 연구는 산업자본주의 시대의 인간이 안고 있는 고립화와 개별화 물질만능주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치유할 수 있는 인간형으로 칸트와 니체의 미학적 인간을 내세우고자 한다. 서양의 근대에 태동한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였다. 이러한 자유와 권리에 대한 강화는 타자의 간섭을 철저하게 배제하면서 정치적으로는 신자유주의를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개인은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점차 잃어갔다. 이러한 개인은 대중의 형태로 집단을 이루면서 이데올로기에 잠식당하고 미디어의 감각적 문화에 순간순간의 괴로움을 잊으며 살아간다. 논자는 이러한 현대인의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인간의 전형을 칸트와 니체의 미학적 인간을 통해 구성하고자 한다. 먼저 논문은 칸트의 미학적 인간을 음악철학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칸트에게 음악은 어떠한 매개 없이 직접적으로 미적 감동을 전하는 예술이다. 그 속에서 미적 공통감은 의사소통의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니체의 미학적 인간에서는 음악을 통해 힘에의 의지를 확장해나가는 데에 주목하였다. 니체에게 음악은 힘에의 의지를 확장해나가는 생동하는 예술이다. 특히 니체는 낭만주의를 극복하는 바그너의 음악극과 합창, 민요 등을 통해 퇴폐적인 근대문명을 이겨나갈 힘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결국 현대산업자본주의 사회를 사는 사람들이 겪는 여러 가지 질병은 칸트와 니체의 음악철학에서 가능한 미학적 소통에서 치료될 것이다. This paper puts Kant and Nietzsche’s homo aesthetic as human form that can overcame and healed problem in isolation, individualization, and materialism of industrial capitalism. Industrial capitalism was developed in liberalism, which was born in western modern guarantee freedom and the right of individual. Reinforcement of this freedom and right established neo liberalism in politics and capitalism in economy. But after that time individuals lost the ability to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take it upon unfair system from structural contradiction of capitalism. Individuals living under these conditions created an ideology of consumption communities and culture under the name of mass. Kant saw music as a form of art that directly deliver aesthetic affect without media. He also considered the possibility that music can extend infinitely, contrary to visual arts. In music, aesthetic common sense was affected by good communication. Nietzsche’ music was not art of simple an aesthetic contemplation but dynamic art that to extend the will to powe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17세기(世紀) 경학방법론(經學方法論) 연구(硏究) -독창성(獨創性) 및 비판성(批判性)을 척도(尺度)로 한 경학연구(經學硏究)를 대신하여-

        강지은 ( Ji Eun Kang ) 퇴계학연구원 2010 退溪學報 Vol.128 No.-

        본고는 17세기의, 朱熹 註釋을 비판한 註釋들을 經學的 觀點에서 재고찰한 것이다. ``經學的 觀點``이란, 經書의 本文 및 經學사를 의식하면서 주석을 논하는 것이다. 이는, 註釋으로부터 저자의 사상을 추출해내는 데에 그치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관점이기도 하다. 17세기의 경학을 재고찰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주자학에 대한 비판의식이 20세기 초에 재조명됨으로 인하여, 그 저술들이 말하고자 했던 본래의 의미가 제대로 읽혀지지 못했고, 현재까지도 그러한 이해가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동아시아가 식민지배의 가해와 피해 속에 있던 20세기 초, 한국의 사상계는, 식민지로 전락한 內的 요인을 주자학에서 구하고자 하여, 李丙燾(1896~1989) 등은 주자학을 비판한 17세기 註釋들을 부각시켜 그 비판의식을 계승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그 내용에 대한 고찰보다는 주자학비판정신을 고양하여 국가를 되살릴 사상적 밑거름을 조성하는 데에 중점이 두어졌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註釋에서 저자의 비판적 독창성을 추출하는 데에 주력하면서, 경서주석이 그 시기의 사상사를 포괄적으로 구현하거나 저자의 사회정치 사상을 담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간과되었다. 註釋에서의 평범한 표현이나 서술체계마저 주자학 비판을 위한 의도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되기도 하였다. 趙翼(1579~1655), 尹휴(1617~1680), 朴世堂(1629~1703) 등은 모두 朱熹의 註釋을 비판, 수정하였다. 하지만, 이 註釋들에 주자학의 체계 비판이라는 당시 지식인들의 사고가 드러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목적에서 쓰여지기도 했다는 주장은 실제 내용에 어긋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축적된 주자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朱熹의 註釋에 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경문을 더욱 ``명확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과정 속에 있었다. 주자학 체계의 비판이라는 관점의 등장은, 일본의 경학 저술이 독창적이며, 조선의 유학자들은 단지 朱熹를 추종하기만 했다는 일본인 학자의 비판에 의해 촉발된 점도 있다. 20세기초 일본에서는, 메이지 정부의 국가주의가 팽창하는 가운데, 그에 동조하는 이노우에테츠지로(井上哲次郞)가, 국민도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사상으로서 에도시대 주자학파의 도덕주의를 부각시켰고, 마루야마마사오(丸山眞男) 등은 그에 대한 반론을 펴면서 주자학적 사유양식의 해체를 논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비판없이 수용한 다카하시도루가 일본의 주자학 비판을 ``독창``의 관점에서, 조선의 주자학적 사유를 ``추종``의 관점에서 서술한 것이다. 그러나 에도시대를 주자학의 정착과 극복으로 그려낸 일련의 연구들은 이후 크게 수정되어, 에도시대는 유학사회가 아니었으며 따라서 주자학적 사유양식이 정착하거나 해체된 사실도 없었음이 논증되었으므로, 다카하시도루의 비교의 전제 자체가 오류였다는 사실이 이미 입증되었다고 하겠다. 이상과 같이 20세기의 동아시아에서 다시금 주자학이 논고의 대상이 됨으로 인하여, 17세기의 경학은 이미 17세기만의 문제가 아니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역사를 염두에 두면서, 이 시기의 조선의 註釋을 경학적으로 고찰하여 방법론상에서 논하고자 하여, 먼저 ``비판성``과 ``독창성``을 위주로 한 연구방법을 비판하였다. 조선의 지식인들이 주희의 註釋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직접적인 비판을 피하며, 주희 註釋과의 동일성을 주장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면서도 경문을 새롭게 해석하는 노력을 기울였던 점을 살펴봄으로써, 독창성이라는 잣대가 조선시대 경학 방법을 고려하지 못한 매우 부적절한 잣대임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17세기의 주석들을 주자학 체계 비판의 근거자료로서 제시한 선행연구들이 경학 자체의 특수성 및 조선시대 경학의 특성을 소홀히 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각 주석들을 비교 고찰하여 ``콘텍스트 상에서 텍스트의 의미를 확정하는 방법``을 조선의 경학방법의 하나로서 도출해 내었다. 이 방법은 일본의 이토진사이, 오규소라이 등의 주석이 ``단어의 형태로부터 텍스트의 의미를 확정하는 방법``을 취한 것과 매우 구별되는 것이다. 이상의 고찰은, 17세기 동아시아를 공동문화권으로서 묶어주었던 경학이라는 학문과 주자학비판이라는 현상을 종합적으로 서술하고자 한 것이기도 하다. Works that criticized Zhuxi`s commentary in the Choson period have received high praise since the tim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were taken as a model of a progressive idea because they rebelled against the authority of Zhuxi studies, which predominated the field. This appraisal is also supported by comparing them with works of the Edo period in Japan. It was said that the Japanese had composed strikingly original commentaries of the Confucian classics during the Edo period, whereas all of the Korean commentaries were composed by adherents of the Zhuxi tradition. So`called progressive commentaries have been reinterpre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y were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building a new system to replace the Zhuxi-based interpretive methods. But in these commentaries the source texts were frequently misread - even ordinary words and sentences were frequently interpreted as special expressions in order to compete against the Zhuxi-based interpretations. It shows that an inaccurate point of view obstructed an accurate reading of the Choson period commentaries. Thus, we differ with the existing theory, since we cannot find the point of view which advocates breaking the tradition of Zhuxi studies, and it is a method that gradually evolves in the works of the Choson period. It is said that intellectuals in the 17th century saw Zhuxi studies as an anachronism. I think that it is an incorrect theory based on so-called "historical evolutionism." Quentin Skinner derides it as being "mere mythology." Incidentally, the same mistake was also made in the study of thought in the Edo period. There was no officially-sanctioned system of thought in Japan, and Confucianism was not the predominant ideology. But it was said by many scholars that Zhuxi studies were generally known in Japanese academia and ways of thinking in the early period, although it fell out of favor over this period. This interpretation of events has been corrected in modern research. Jingxue (經學) is the Hermeneutics of the Confucian classics. This important point has been overlooked due to the intention to evaluate it in terms of originality in the study of Jingxue in the Choson period. And it is said that commentators worked with the intention of building a new system to replace the Zhuxi interpretations. I think that this point of view acted as a impediment in the study of Choson period thought. From now, we need to study how they tried to explain the Confucian texts through the close analysis Zhuxi`s comment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