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b/db 마우스에서 IH-901의 항 당뇨 활성

        최윤숙,한기철,한은정,박금주,박종석,성종환,정성현,Choi, Yun-Suk,Han, Gi-Cheol,Han, Eun-Jung,Park, Keum-Joo,Park, Jong-Suk,Sung, Jong-Hwan,Chung, Sung-Hyun 대한약학회 2006 약학회지 Vol.50 No.6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ginseng are mainly attributed to ginsenosides, the active constituents that are found in the extracts of different species of ginseng. Lately; the studies on ginsenosides are mainly focused on IH-901, a major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te of ginsenosid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IH-901 in C57BU61 db/db mice model. IH-901 was administrated orally at a dose of 20 mg/kg for 5 week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every week. After 5 weeks, db/db mice were sacrificed and diabetic parameters were analyzed. IH-901 treated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from 10.5 mM to 9.4 mM), insulin resistance index (from 163.6 to 100.2) and triglyceride levels (from 115.3 to 70.1)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In Pancreatic islets morphology; IH-901 treated group revealed much less infltrated mononuclear cells, indicating that IH-901 recovered ${\beta}$-cell damage due to hyperglycemia. In addition, IH-901 upregulated expressions of glucose transporter 4 (GLUT4) and PPAR-${\gamma}$ i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respectively. Taken together IH-901might be a potential anti-hyperglycemic agent with insulin sensitizing effect.

      • KCI등재후보

        무릎전치환술 환자에서 일회성 복재신경차단술이 수술 후 출혈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최윤숙,윤소희,조승연,송승은,김상림,Choi, Yun Suk,Yun, So Hui,Cho, Seung Yeon,Song, Seung Eun,Kim, Sang Rim 제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21 The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Vol.18 No.1

        In elderly patients, the vital parameters tend to fluctuate based on the blood volume status, which may cause sudden hypovolemic shock if the postoperative bleeding continues. Particularly, those who undergo surgery for arthritis needs to pay extra attention because the bleeding may persist over the joints after the surgery. Therefore, appropriate pain control is required to reduce the postoperative blood loss. This retrospective chart review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reduction of blood loss with a single injection of saphenous nerve block (SNB)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We review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knee total arthroplasty with spinal anesthesia between January and May 2016. A total of 51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additional analgesic agents were administered at a visual analogue scale above a score of 6. In 25 patients, SNB was performed using ultrasound with the administration of 0.75% ropivacaine (15 mL) after the surgery. Patients who received additional analgesic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nerve block group (P=0.009). Additionally, the volume of blood loss from catheter drainage was significantly low at 2 and 3 days postoperatively (P=0.013 and P=0.041, respectively) in the nerve block group. I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osteoarthritis, only a single injection of saphenous nerve block was sufficient for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reduced bleeding.

      • KCI등재후보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채색 유물 연구

        최윤숙(Choi, Yoon-Sook),이동식(Lee , Dong-Sik)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2 조형디자인연구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채색 유물에 대한 고고•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주칠의 성분과 사용처와의 관련성을 살피고, 주칠 채색 유물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주칠이 채색된 수막새가 백제 미륵사에서 주로 사용된 이유를 검토함으로써 미륵사가 백제 말기 역사•문화상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살폈다. 첫째, 미륵사에서는 주칠 채색 유물의 사용처와 기능, 중요도에 따라 주사(HgS, Cinnabar)나 석간주(Fe₂O₃, Hematite)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사리봉영기 등 특별한 공간에 안치할 유물이나 중요한 부분을 장엄하기 위한 것에는 주사를 사용하였고 수막새와 같이 다량으로 채색하거나 외부 공간을 장엄하고자 할 때는 석간주를 사용하였다. 둘째, 주칠이 채색된 ⅡA형(인동자엽형) 수막새와 ⅡB형(꽃술형) 수막새는 특별한 전각에 올리기 위해 미륵사에서만 디자인하고 제작한 수막새임을 알 수 있었다. 주칠 채색은 수막새의 뚜렷한 양감을 더욱 부각시키고, 영원한 생명, 재생, 벽사의 의미를 강조하여 장엄의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을 두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이 두 유형의 수막새는 639년(기해년)이라는 절대연대를 가지고 있는 서탑 아래 토층에서도 확인되어 서탑 축조 이전부터 미륵사 창건 건물에 사용한 수막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륵사에는 음양오행사상에 맞춰 단청을 하듯 붉고 푸른빛의 기와를 올려 사찰을 장엄하고 경관을 새롭게 조성하려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백제 미륵사의 전각을 주칠 채색 수막새와 녹유연목와로 장엄한 이유는 미륵사가 무왕의 익산경영의 발판으로서 지어진 국가사찰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륵신앙을 중심으로 민심을 달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무왕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사찰이기 때문이다. 넷째,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유물에는 백제의 독특한 공예제작 기술뿐만 아니라 고구려의 주칠 수막새와 고분벽화 제작기술과 같은 문화요소가 반영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주칠 채색 유물이 가지는 상징성과 함께 미륵사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익산에서 꽃피웠던 백제문화의 가치를 알리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미륵사지 출토 주칠 유물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이 이루어져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rough the Analysis of Natural Sciences and Archeology on Baekje Red Coloring Relics excavated from Iksan Mireuksaji,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ingredients and used place of Red Coloring and reveal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d Coloring relics. In particular, by reviewing the meaning and reason that Red Coloring Roof-end tiles were used in Mireuksa temple among Baekje temple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 cultural meaning of Mireuksa temple in the late Baekje. The results of this revie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innabar(HgS) or Hematite(Fe₂O₃) was selectively used in Mireuksa temple depending on the importance, features and used place of Red Coloring relics. Second, it could be seen that Red Coloring ⅡA type(Indongjayup type) Roof-end tiles and ⅡB type(Stamen type) Roof-end tiles are Roof-end tiles designed and made only in Mireuksa temple to put them on the special and meaningful temple buildings. The purpose of Red Coloring was to further highlight apparent three-dimensional effects of Roof-end tiles and increase the effect of promotion of dignity and decoration by emphasizing the meaning of Byeoksa(Actions to prevent disasters and overcome misfortune), regeneration, eternal life. In particular, these two types of Roof-end tiles were also found in soil stratum under the west stone pagoda with accurate year, 639(Gihae year) and therefore, it turned out that they are Roof-end tiles used in the buildings constructed when building Mireuksa temple first before constructing the west stone pagoda. Third, it could be seen that by putting red and blue Roof tiles like painting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people tried to promote the dignity and decorate Mireuksa temple and newly create the whole atmosphere of Mireuksa temple. The reason that Red Coloring Roof-end tiles and Nokyuyeonmokwa(rafter roof tiles glazed blue) were used to promote the dignity and decorate only the buildings of Mireuksa temple among Baekje temples is because Mireuksa temple is a national temple for King Mu to rule Iksan. In addition, it is because the temple where the ruling ideology of King Mu to settle the public sentiment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around Maitreya beliefs is reflected. Fourth, it was checked that cultural elements such as Baekje’s unique craft production technology as well as Koguryo’s Red Coloring Roof end tiles and wall painting of the Tomb production technology were reflected in Baekje Red Coloring relics excavated from Mireuksaji Temple Site. This study will not only contribute to finding out the historical nature of Mireuksa temple together with Symbolism of Red Coloring relics but be used as materials to reveal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Baekje culture that bloomed in Iksan. We hope that comprehensive studies will be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Natural Sciences on Red Coloring relics excavated from Mireuksaji Tample Sit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노인 암환자 가족원의 돌봄 부담감 영향요인

        최윤숙(Choi, Yooun Sook),배주희(Bae, Joo Hee),김남희(Kim, Nam Hee),태영숙(Tae, Young Sook) 대한종양간호학회 2016 Asian Oncology Nursing Vol.16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cancer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7 family caregivers who visited inpatient & outpatient clinics for elderly cancer patients at two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tilizing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Herth Hope Index Scale, Medical Outcome Study-Social Support Scale, and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 Scale. Results: The level of burden in the participants was moderate to high.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hope, social support and burden.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burden in family caregivers was hope (36.0%). Overall, other caregivers, perceived economic status, caring time, gender, patients’ confusion, tangible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explained 61.0% of the variance of burden among the participants. Conclusion: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ope on burden in family caregivers. Thereby, integrative interventions are needed to enhance hope and social support and to promote caregivers’ health status for alleviating-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윤숙(Choi, Yoon Sook) 한국부모교육학회 2021 부모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스트레스와 유아회복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둘째, 유아스트레스가 유아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셋째, 유아스트레스와 유아회복탄력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10개의 국‧공립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유아의 어머니, 유아의 선생님으로 유의한 답변 202개로 이를 대상으로 SPS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측정한 문항들의 타당도는 요인분석을, 신뢰도는 크론바하 알파계수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는 첫째, 어머니 양육태도는 애정성과 자율성으로, 유아스트레스는 불안-좌절 경험, 비난-공격 상황, 자존감 손상으로, 유아회복탄력성은 공감능력, 낙관성,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 충동 통제력으로,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사회성, 자율성, 적극성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어머니 양육태도 중 애정성이 높으면 유아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관계가 성립하였으나, 자율성은 유아스트레스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스트레스와 유아회복탄력성 또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회복탄력성은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유아스트레스는 일부만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의 충동 통제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특히 남아가 여아보다 충동 통제력이 낮았으므로 어린이집에서는 남아의 충동 통제력을 키울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듣고 집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of 5-year-old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on infant stress, infant resilience, and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irst, the effect of mother s parenting attitude on infant stress is investigated. Second, the effect of infant stress on infant resilience is investigated. Third, the effect of infant stress and infant resilience on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for 202 significant responses to 5-year-old infants, mothers of infants, and teachers of infants in 10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validity of the items measuring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verified using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using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first, mother s parenting attitude was affectionate and autonomy, infant stress caused anxiety-frustration experience, criticism-aggression situation, self-esteem impairment, and infant resilience was empathy, optimism, problem-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ctive challenge. , impulse control, and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into sociality, autonomy, and activeness factors. Second, a relationship of reducing infant stress was established when affection was high among mothers parenting attitudes, but autonomy was not found to be related to infant stress. Thir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infant stress and infant resilience. Early childhood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ut early childhood stress only had a partial effec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influence of the impulse control ability of young children on the adap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the greatest. In particular, since boys have lower impulse control than girls, daycare centers ne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allows them to listen and focus on other people s stories so that they can develop their impulse control.

      • KCI등재

        조선후기 전북지역 불교건축의 양상과 장엄

        최윤숙(Choi, Yoon-sook)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8

        조선후기 전북지역을 포함한 조선 전역에서는 양란 이후 폐허가 된 국토와 주요 사찰을 복구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 전북지역에서 조성된 불교건축 중 주불전은 현재 17건이 남아 있다. 이처럼 불교건축 재건이 활발하게 진행 될 수 있었던 것은 전쟁의 피해를 입은 민중들이 불교를 통해 위안을 받고자 했으며, 왕자 탄생 등 왕실의 정치적인 현안이 사찰과 관련을 맺고 있었고, 특히 양란 때 보여준 의승군들의 활약으로 불교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졌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계의 자구책과 함께 부를 축적한 상인과 농민들이 사찰 재건시 새로운 시주자로 참여하였기에 가능하였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이나 사찰의 인문지리적인 환경 차이가 불교건축 조영에 적극 반영되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전북지역에서 조성된 주불전을 왕실 및 관청지원 사찰, 해안가나 강 하구에 위치한 농업 및 상업자본지원 사찰, 산성에 위치한 호국 · 승영사찰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사찰 건축 양상과 장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존하는 주불전은 대부분 양란 이후 17세기에 재건된 것이며, 동부산간지역보다는 서부평야지역에 더욱 많이 조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교건축은 불교의 세계관이 구현되는 공간으로서의 보편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서부평야지역과 동부산간지역이라는 지리적인 차이와 사찰 조성세력의 성격에 따라 불전의 규모, 봉안된 불상의 크기나 재질, 불전 내 · 외부 장엄 양상에서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러한 특징은 서부평야지역의 해안가나 강 하구에 위치한 농업 및 상업자본 지원 사찰에서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다. 숭림사, 내소사, 개암사 등은 불전 규모는 작지만 예불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내부공간에 변화를 주고 있다. 또한 불전에는 왕실 및 관청지원 사찰과 같은 대형 소조불상이 아닌 중대형 크기의 친근한 상호를 가진 목조불상을 봉안하고 있다. 더불어 불전 내 · 외부를 화려하면서도 간결하게 장엄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불전의 내부 공간을 넓히고 불전을 더욱 화려하게 장엄하여 많은 신자들을 사찰로 수용하고자 하는 불교계의 생존전략과 경제력이 향상된 서민들의 취향 및 요구가 맞물린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찰이 위치한 인문지리적인 환경과 함께 시주자의 성격 그리고 불전 내 · 외부의 장엄양상을 통해 불교건축의 특징을 살핀 최초의 연구로, 향후 충남이나 전남지역 등 지역 불교문화재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팀빌딩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프로그램이 임상실습 입문 전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최윤숙(Choi Yooun Sook),배주희(Bae Joo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임상실습 입문 전 간호대학생에게 팀빌딩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핵심기본간호술 지식,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 능감과 대인관계 이해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에 임상실습을 앞두고 있는 간호학과 2학년 과정을 종료 후 임상실습 입문 전학생으로 실험군 47명, 대조군 48명 총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2019년 12월 23일부터 2020년 1월 14일까지 진행되었다. 대조군은 일반적인 강의, 시범, 비디오 시청 및 팀별 실습을 내용으로 한 핵심기본간호술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의 핵심기본간호술 프로그램에 팀게임 및 팀 기반 학습을 접목시킨 팀빌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χ²-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와 Mann-Whitney U test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지식,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증진되어 프로그램의 효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법을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또한 임상실습 입문전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팀빌딩을 핵심기본간호술 교육 뿐 아니라 교과 및 비교과 과정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knowledg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nfidence, learning self-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by applying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using team building to the nursing students before intro to clinical practi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5 nursing students in B city, 4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9 students in control group from December 2019 and January 2020.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of the control group was conducted through lectures, demonstrations, video viewing and group practice, and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team building by combining group game and team-based learning to the general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of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 2 -test, Fisher 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SPSS WIN / 22.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fundamental nursing knowledg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nfidence, learning self-efficacy were verified as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dentified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and confirmed that it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skills of nursing students before intro to clinical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eam building is applied to various nursing subjects and programs as well as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