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석란(Kim Seak r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1

        암환자의 죽음인식에 따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활동이 그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여 사회복지 실천서비스로서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활동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죽음인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웰다잉과 영적안녕을 종속변수로, 호스피스활동을 조절변수로 하여 변수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지역의 호스피스 간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암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28일 사이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64부를 제외한 286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확인한 결과,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수용력이 높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웰다잉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불안이 적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영적안녕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호스피스활동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에 긍정적인 것을 나타났으며,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 중에서 상담, 사정, 사별관리, 퇴원계획, 지역사회 자원관리 등의 직접개입관련 활동에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 웰다잉의 사이 및 죽음인식과 영적안녕 사이에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의 웰다잉 및 영적안녕 각각은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의 사이에서 암환자가 인지하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로 분석되어, 조절변수(호스피스활동)는 독립변수인 죽음인식과 종속변수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관계를 각각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절변수 상호작용 항의 베타 값이 플러스(+)로 나왔으므로 호스피스활동이 왕성할수록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웰다잉 및 영적 안녕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to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hospice care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of hospice care intervention geared toward cancer patients as one of practical social welfare services.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elected moderator variable was hospice care, and the mutual influence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selected cancer patients who were provided with hospice care in the metropolit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28, 2016, and the answer sheets from 286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64 data that included unfaithful answ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 more adaptive awareness of well-dying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whose financial status were more stable and were less burdened with medical expenses.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there was a more compliant attitude in the respond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in the initial stage of cancer, who were in more stable financial condition, who were under less pressure about medical expenses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death awareness and hospice care. A more immersion in death ideation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male,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se cancer was in worse condition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And the way of looking at hospice care was more positive among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offered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eath awareness on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s a result, there were better preparations for well-dying and better awareness of it among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were more receptive to it, who were usually more concerned about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And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felt less anxiety over it, who were usually more interested in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were better ready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and looked at spiritual wellbeing more favorably.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이경화 ( Lee Kyeong Hwa ),심은주 ( Sim Eun Joo ),홍성희 ( Hong Sung H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자녀 및 어머니의 개인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변수군 간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2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차이검증을 비롯하여 영성의 변수군(삶의 의미와 목적, 내적 자원, 상호관계성, 초월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변수군(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간의 관계 및 각 개별변수들의 상호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녀의 연령이나 성에 따른 어머니의 영성 및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연령이나 취업여부에 따라 일부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 변수군 간의 관계는 상호적인 한편, 영성의 예측변수로서 심리적 안녕감을 설정하는 인과관계모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성 변수군중 삶의 의미와 목적, 심리적 안녕감 변수군 중 환경에 대한 통제력은 각각 심리적 안녕감과 영성에 대해 예측력이 가장 높은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고,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다양한 맥락의 변수를 고려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ir own and their children. It`s als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 group(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inner resources, interrelationship and transcendence) of spirituality and that(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the purpose of life and personal growth) of psychological wellbeing. 425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and surveyed for the study.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in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of their children,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of the factors according to their own age and employ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 groups of their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interactive, and it turned out to be possible to set up a causal relationship model in which psychological wellbeing could be selected as a predictor variable of spirituality. In addition,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which belonged to the variable group of spirituality, and environmental control, which belonged to the variable group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to make the best predic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iritua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영성 교육 프로그램이 영성, 영적안녕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귀성(金貴聲)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1 No.-

        이 연구는 ‘마음과 행복’이라는 대학생의 영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과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 95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통하여 이 프로그램이 영성, 영적 안녕,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질적 제고에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대학생의 영성 교육 프로그램이 영성의 하위요인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양은미(2012), 이경열(2005), 김찬목(2010) 등의 연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둘째, 대학생의 영성교육 프로그램이 영적 안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실존적 공허수준과 관련된 국내 연구결과 중에서 김유진(1996), 김찬회(1991), 박선실?이준석(2002) 등의 연구에서 대학생 과반수 이상이 실존적 공허감 즉, 영성의 결핍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귀성(2014)의 연구 결과, 종교의 필요성을 느끼는 집단과 종교 신앙을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실존안녕, 영적 안녕, 안녕 전체에서 높은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영적 안녕 전체에서, 그리고 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에서 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대학생의 영성 관련 교육프로그램이 영적안녕 발달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영성교육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영성교육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해보면 대체로 관련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런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인 안관수등(2010), 고시용?백현기(2012) 등의 연구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한계인 실험집단에 참여한 연구대상의 제한, 종단적인 연구를 통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 등을 극복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ry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the R/D of related program and upgrade of its quality. For this, I would like to acknowledged it’s effect upon the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and self esteem through the experimental approa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iritual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 effect upon the development of Spirituality. This results partly will be agree with the study precedent, Yang Eun Mee(2012), Lee Kyung Ryeul(2005). Second, Spiritual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 effect upon the Spiritual wellbeing. Third, Spiritual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 effect upon the increasement of Self esteem. This results partly will be agree with the study precedent, Ahn kwan Soo(2010), Go Si Yong etc(2012). Finally I’d like to suggest some ideas concerning the further study. Most of all, it need the expanding the study objects and to be approached the longitudinal study etc.

      • 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정미영,차경숙,조옥희 한국성인간호학회 2015 성인간호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Cross-sectional method was used 671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d the Self-esteem developed by Rosenberg, the Fear of Death Scale revised by Lester and Abdel-Khalek, and Spiritual wellbeing developed by Paloutzian and Ellison. Results: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reveale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eath anxiety, and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Conclusion: In order for students of establishing identity to lead a healthy life, there is a need for studies aiming at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results of consultation and education programs for maintaining spiritual wellbeing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logotherapy at the university or regional community level.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영성이 영적 안녕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이도영,박진경,최애숙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영성이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2개 대학의 간호대 학생 1학년 148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8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 분 석하였다. 영성과 영적 안녕의 하위 영역 간의 상관관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종교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에는 종교유무, 매일 기도하기와 영성 의 내적자원으로 65.1%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실존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는 삶의 의미, 내적 자원으로 59.3%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영적 안녕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piritua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 on spiritual wellbeing. We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structural survey to 148 freshmen from 2 nursing college from October to December, 201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18 program by mean, SD,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ubdivisions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wellbeing, the resul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all of the subdivisions. As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variables influencing religious wellbeing such as religious status, daily devotion, and inner resource of spirituality had 65.1% of explanation power, while the variables influencing existential wellbeing such as meaning of life, inner resource had 59.3% of explanation power. We expect this study will provide with base data to develop the improvement program of spiritual wellbeing considering the qua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

      • KCI등재

        기독청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과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박진희,전요섭 기독교학문연구회 2013 신앙과 학문 Vol.18 No.4

        이 연구는 기독청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과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일부 교회와 대학교에서 기독청년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론은 첫째, 기독청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 하위변인 중 인정욕구/자기거대환상과 목표 불안정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독청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영적 안녕감 중 실존적 안녕감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기독청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영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독청년의 경건훈련에 따른 내현적 자기애에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독청년의 경건훈련과 예배참석 빈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왜곡된 자기애를 가진 내현적 자기애자들이 건강한 자기부인을 통해서 건전한 인간관계와 신앙생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smart phone addiction and spiritual wellbeing in Christian adolescences. The research object is 334 people of Christian adolescences in churches and universities around Seoul city and GyeonggiDo.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s: firstly,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Christian adolescence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sire need/self-ostentation fantasy and lack of stability of lower factors of covert narcissism. Secondly,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vert narcissism, spiritual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irdly,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spiritual wellbeing. Fourthly,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ious discipline and covert narcissism. Fifthly,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ious discipline, frequence of worship service attending and smart phone addiction. Accordingly,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healthy faith and pious discipline have an effect on modification for distorted narcissism. Also, to prevent covert narcissism in Christian adolescences is to have healthy human relationship/ faith through self-denial of exhibition/desire need.

      • 정신장애인을 위한 영성프로그램 사례분석

        박희정 ( Park Heejung ),최별 ( Choi Byeol ) 한국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회 2022 기독교 사회복지 Vol.4 No.-

        본 사례는 감리회태화복지재단 태화샘솟는집에서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영성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사회복지현장의 경험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기독교 영성을 중심으로 성경공부, 합창활동, 감사모임, 성지순례, 음악공연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 반응’, ‘영적안녕’, ‘삶의 의미’ 척도의 사전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하나님과의 관계’, ‘나와의 관계’,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하나님의 속성과 종교적 영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참여경험을 바탕으로 정신장애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상군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종교적 영성 외에도 실존적 영성 등의 영성을 함께 다루어서,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개별화된 욕구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share a case of the spirituality program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conducted from 2018 to 2019 at Taiwha Fountain House, which is affiliated with Methodist Taiwha Welfare Foundation and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he social welfare field. The program consisted of Bible study, chorus activity, appreciation gathering, pilgrimage and watching music performances focu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After the program, pre-post scores of ‘stress response’, ‘spiritual well-being’ and ‘meaning of life’ among people with mentall illnes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oreover,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relationship with myself’ and ‘relationship with people’, they experienced attributes of God and religious spirituality.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participatory experience, it is required to meet individualized needs of diverse clients by applying programs to diverse groups includ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including other kinds of spiritualities, such as existential spirituality in addition to religious spirituality.

      • KCI등재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

        권영은(Kwon, Young-Eun),김선영(Kim, Seon-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다양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출한 충청남도 소재 2개 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중 노인대학에 등록된 자로 인지기능에 장애가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187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SPS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독거노인의 전체죽음불안은 2.94(±0.32)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죽음과정의 불안 3.06(±0.32)점, 사후죽음의 불안 2.88(±0.51)점, 존재상실의 불안 2.75(±0.43)점 순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특성에 따른 전체 죽음불안수준은 여성노인이 남성보다(t=125.39, p=.001), 나이가 적을수록(F=1.16, p=.003), 경제수준이 낮을수록(F=3.36, p=.000), 가족관계가 좋을수록(F=0.43, p=0.34), 종교가 있는 경우(t=125.39, p=.000)에 죽음불안이 높았다. 죽음불안은 우울할수록(r=.192, p=.009), 영적안녕이 낮을수록(r=-.234, p=.002) 삶의 질이 낮을수록(r=-.190, p=.009) 높았으며,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 우울, 영적안녕으로 경제상태(β=-.36, p=.000)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체 설명력은 20.3%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감소를 위해 우울, 영적안녕,삶의 질 개선을 위한 중재프로그램과 더불어 사회보장체계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death anxiety. The subjects did not have an impaired cognitive function, and were from one Chungcheongnamdo 2 district in the elderly University. The subjects were 187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living alone in the district. The character, communication, and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2014 to 2 May, 201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18 program. The death anxiety whole point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as 2.94 (±0.32); it was 3.06 (±0.32) points according to the sub-region 'death process anxiety', 2.88 (±0.51) points according to 'after-death anxiety', and 2.75 (±0.43) points according to 'presence loss anxiet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ath anxiety were economic status, depression, and spiritual wellbeing. Economic status (β= -.36, p= .000) had the largest effect with an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20.3%. Therefore, for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life needs to be strengthened through social security systems with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depression and spiritual wellbeing.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영적 안녕, 인터넷 중독, 공존병리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수현 ( Su Hyun Kim ),강연정 ( Yeon Jeong Ka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4 복음과 상담 Vol.22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영적 안녕, 인터넷 중독, 공존병리의 관계에 대해 살펴 본 것으로, 연구대상은 기독교계 고등학교와 교회에 출석하는 고등학생 212명이며,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 안녕, 인터넷 중독, 공존 병리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적 안녕, 인터넷 중독, 공존병리 간에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 졌다. 영적 안녕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와 영적 안녕과 공존병리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인터넷 중독과 공존병리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이룬다. 연구결과를 통해 영적 안녕, 인터넷 중독, 공존병리는 신앙 활동으로 인하여 차이가 났으데, 이는 종교생활 및 영성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영적 안녕 수준이 높아질수록 인터넷 중독과 공존병리의 정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및 공존병리 문제에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영적 안녕의 증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is concerned to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piritual wellbeing and internet addiction or comorbidity. Using questionnaire method, the study is based on 212 student’s answers in Christian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piritual wellbeing, Internet addiction, and comorbidity according to the general attribute. The students who go the church have been better spiritual wellbeing level and who don’t go to church have been higher internet addition and comorbidity. When the period of attending church is longer, their spiritual wellbeing level was higher. But the period is short their level of withdrawal symptoms of addition and comorbidity was higher. If the students have the conviction of salvation in Christianity, their spiritual wellbeing level was higher and withdrawal symptoms was lower. Second,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Internet addition or comorbidity there was meaningful connection. In relations of wellbeing and Internet addition, there wa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and between the Internet addition and the comorbidity has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piritual wellbeing, internet addition or comorbidity has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student’s spiritual activity. Moreover, the higher spiritual wellbeing leads lower Internet addition and comorbidity. For spiritual wellbeing cause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comorbidity. This research has significant meaning in understanding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internet addition or comorbidity. And discovering necessity that a society need to concern high school student’s spiritual wellbeing to protect internet addition disorder and comorb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