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 학술활동의 현황과 과제 :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양은용(梁銀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이 논문은 원불교의 학술활동상을 살펴 그 전망과 과제를 제기하는것이 목적이다. 이를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원광대학교 교책연구기관으로 1974년 설립된 원불교사상연구원은 원불교학의 센터역할을 해왔으며, 그 학술·연구활동을 살펴보면 원불교학계의 현황과 과제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학술활동은, 첫째 가 1982년부터 2010년까지 29회 열려 57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가 원광대학교와 일본의 불교대학 간의 학술자매결연에 의해 1973년부터 2009년까지 21회 열려 19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셋째 가 1974년부터 2010년까지 176회 열렸고, 넷째 그 밖에 특별 주제를 내건 학술회의가 1977년부터 2010년까지 15회 열려 8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연구활동은, 첫째 학술연구지『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를 1975년부터 2010년까지 45회 발간하여 587편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둘째『원불교사상연구원 원보』를 1979년부터 2010년까지 62회 발간하였고, 셋째 10권과 12권을 발간하였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은 성과에 있어서도 원불교학을 주도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0년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에 이 아젠다로 선정되어, 10년간 새로운 차원의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원불교학계가 안고 있는 현안의 여건과 관련해 보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첫째 연구인력의 육성, 둘째 연구방법론의 개발, 셋째 특수과제의 진행에 따른 원불교학 연구의 위축 등의 문제이다. 원불교 개교100년을 내다보는 시점에서 원불교사상 연구원은 원불교학계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바탕하여 학술·연구활동을 조직적으로 추진할 때 교단적인 협력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prospect and task of academic activities in Won-Buddhism by investigating it. It is mainly focused on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It is the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for policy of Wonkwang University at 1974, and has been played a role of center of Won-Buddhist studies. Therefore, investigating its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would manifest current status and tasks.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can be divided into academic and research. For academic activities, firstly, has been held 29 times with 572 presented articles between 1982 and 2010; secondly, has been held 21 times and presented 193 articles between 1973 and 2009 by academic alliance with Bukkyo Univesity in Japan; thirdly, has been held 176 times between 1974 and 2010; fourthly, other academic conferences for specific themes have been held 15 times and presented 85 articles. In research activities, firstly, a research journal, 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has been published 587 articles in 45 volumes between 1975 and 2010; secondly,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has been published 62 volumes between 1979 and 2010; thirdly, 10 volumes of the Collections of Won-Buddhist Thoughts Research and 12 volumes of Commemoration Journal have been published. Those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lead Won-Buddhist studies and brought an outstanding result. Especially, on 2010, its new agenda“ Mind Humanities: New Hope of Human Spiritual Civilization”has selected for Humanities Korea Supporting Project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nd will carry on new dimension of research for next ten years. However, considering current condition of Won-Buddhist studies, following tasks can be pointed out. Those are 1) upbringing of human resources for research, 2)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and 3) shrinking research on Won-Buddhist studies for development of special theme. On the point of com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Won-Buddhism,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s has to establish middle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future of Won-Buddhist Studies. On the such ground carrying on systematic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the Institute can attain help from order of Won-Buddhism.

      • KCI등재

        원불교 개벽사상 연구사 고찰

        정향옥(鄭香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원불교는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표어를 내걸고 1백년의 역사를 걸어온 한국의 신종교이다. 한국에서 원불교가 창립된 시기는 한반도의 모든 역사 가운데 가장 어두운 때였다. 서양 문명이 침투되고 조정은 문란했으며 타국에 의해 주권을 잃은 시기였던 것이다. 이 시기 민중들은 살아나갈 다각적 방법을 모색하였고 이러한 열망은 종교적 신앙과 결합하여 대단위의 조직적 운동으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동학?천도교, 증산교 그리고 원불교(불법연구회)이다. 동학ㆍ천도교와 증산교, 원불교는 현실변혁의 사상적 토대를 ‘개벽(開闢)사상’에 두고 있다. 개벽사상은 선천의 물리적 개벽에 대한 인문(人文)개벽을 말하는 것으로 이들 신종교는 이로써 시대의 변혁을 도모하였다. 이들 신종교 중 가장 뒤에 설립된 원불교는 동학과 증산교의 개벽사상에 영향을 받았고 창조적으로 승화시켰다. 개벽사상이 학계연구의 중심 주제로 인식된 시기는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이다. 이전에도 동학과 정역, 증산교, 원불교의 개벽사상에 대한 연구자들의 논의가 있었지만 단편적 고찰에 머물렀고 김홍철의 「원불교의 후천개벽사상」이라는 석사논문(1980)을 기점으로 전문적 연구성과가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로 연구의 명맥을 이어가지 못하고 기존 연구를 답습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고는 개벽사상을 원불교의 중심사상 중 하나로 보는 관점에서 격동기 시대를 뚫고 성장한 백년의 역사 가운데 어떠한 역할과 발전을 하였는지 지속적이고 심도있는 연구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그 연구의 첫 단계로 원불교 개벽사상의 연구사를 고찰하여 선행연구들을 정리하고 앞으로 연구되어야할 과제를 살폈다. 먼저 원불교 개벽사상 연구의 기반이 되는 동학?천도교와 증산교 개벽사상의 초기연구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원불교 개벽사상의 논저류 및 원불교의 대표적인 기관지인 「원광(圓光)」에서의 개벽사상에 대해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원불교 개벽사상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Won-Buddhism is entering its 100th year since its founding and is considered one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with the founding motto: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Won-Buddhism emerged during a turbulent period in Korea’s history. During this era, western civilization started to penetrate the country and politicians were disorderly and the nation lost its sovereignty to a foreign country. In response to the difficult times, people yearned for change and started creating large-scale movements combined with religious belie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were as follows: Donghak?Cheondogyo(東學ㆍ天道敎), Jeungsangyo(甑山敎) and Won-Buddhism(圓佛敎:佛法硏究會,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One of the key concepts in Korean modern new religions is the Gaebyeok(開闢) theory hereby new religious leaders aimed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era. The Gaebyeok(開闢) theory refers to the Humanities(人文) Gaebyeok for a congenital physical Gaebyeok. Won-Buddhism was influenced by the Gaebyeok theory of Donghak and Jeungsangyo and creatively sublimated this theory into its doctrine. The Gaebyeok theory is recognized as a central theme of academic research starting from the 1980s. Even before there was discussion among researchers about this theory. In 1980, Kim-Hong-Chul wrote a master’s thesis titled, “Won-Buddhism’s Theory of Hoochungaebyeok(後天開闢, The Great Opening of the Latter Heaven)” that is deemed the starting point of academic research on this topic. But after 2000, research on this theory started to wane. This paper argues that the Gaebyeok theory is one of the central ideas of Won-Buddhism and therefore requires continuous and in-depth research about its historical role and development which grew during turbulent times. The first step is to study the research history of Gaebyeok theory of Won-Buddhism by organizing previous research and examining research tasks in the future.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earlier works of Gaebyeok theory in Donghak?Cheondogyo, Jeungsangyo because those theories were based on Won-Buddhism; Secondly, organizes Gaebyeok theory of Won-Buddhism in books, articles(including thesis) and a representative periodical of Won-Buddhism “WonKwang(圓光)”. This study is helpful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Gaebyeok theory of Won-Buddhism.

      • KCI등재

        숭산 박길진 박사의 일원사상(一圓思想) 고찰

        허석(許錫)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5 No.-

        숭산 박길진은 원광대학교 초대 총장으로 대학의 발전에 공헌했을 뿐만 아니라 원불교사상을 정립하고 체계화하는데 초석을 다진 인물이다. 그는 원불교의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의 장남으로 태어나 유년시절부터 우주의 이치, 인간의 성품 등 형이상학적 의문을 평생의 화두로 삼고 살아온 구도자이자, 종교적 깨달음과 생활 속 실천이 둘이 아님을 늘 강조하며 학문과 인격의 일치를 강조한 실천가였다. 또한 일본 동양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받은 근대적 교육을 바탕으로 원불교사상의 학문적 정립을 위해 노력하였고, 자신의 배움과 깨달음을 후진들에게 열정을 다해 전한 교육자였다. 뿐만 아니라 불교 교단의 교정원장·수위단원·원불교 개교 반백년기념사업회 회장 등 원불교 교단의 중요역할을 맡아 교단행정을 이끌었고, 1946년 유일학림 학감을 시작으로 1952년 원광대학교 학장, 1972년 원광대학교 총장에 선출되어 1986년 72세로 열반할 때까지 재직하며 학교발전에 헌신한 교육행정가였다. 본 연구는 숭산의 ‘일원사상(一圓思想)’을 분석하고 그것의 의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숭산의 ‘일원사상’이란, 숭산이 일생의 화두이자 학술연구의 핵심 주제로 삼았던 일원상, 법신불 일원상의 진리, 또는 형이상학이나 실재(實在)에 관한 교학적·철학적 논의를 종합한 그의 사상을 가리킨다. 이러한 숭산의 일원사상은 소태산이 오랜 구도 끝에 이룬 대각(大覺)으로 천명된 원불교의 종지이다. 언어나 동작으로 표현할 수 없는 궁극적 진리 당체를 일원(一圓)이라 한다면, 그것을 형상화하여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은 것이 일원상(一圓相)이다. 숭산이 이에 대해 천착한 「일원상 연구」(1967)는 원불교학의 효시이다. 그가 동양대학에서 졸업논문으로 제출한「 실재의 연구: 쇼펜하우어를 중심으로」(1941)는 숭산의 일원사상을 형성하는 학문적 바탕이 되었는데, 특히 형이상학적 실재에 대한 개념, 인식론적 문제의식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이 일원사상으로 집대성되고 있다. Soongsan Park Gil-jin, the first president of Wonkwang University, is a pers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not only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education, but also in establishing and systematizing the doctrine of Won-Buddhism. He was born as the eldest son of Sot`aesan Park Chung-bin,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Since childhood, he has been an investigator who has lived with metaphysical questions about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human nature as the top topic of his life. In addition, he was a practitioner who always emphasized that religious enlightenment and practice in life are not dual, and emphasized the harmony of knowledge and conduct. In addition, he was an educator who devoted his passion to teaching his own experiences and academic knowledge to the younger generation. When he was young, Soongsan majored in philosophy at Toyo University in Japan. After studying abroad, he took on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Won-Buddhist order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starting with the Yuil Academy in 1946, and after being elected as the first president of Wonkwang University in 1972.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Soongsan"s academic attitude and ideological framework, focusing on the academic course from his childhood to the youth.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Il-won thought in his research from the viewpoint of ideological history. Through this, I will discuss the modern significance of his Il-won ideology in terms of the globalization of Won-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e data on which Soongsan"s Il-won Thought was compiled is the「 Research on Il-won-sang」, which he wrote in 1967. This study examines the Il-won thought of Soongsan, focusing on the content of his thesis. However, in order to expand and deepen the contents of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by collecting the bachelor"s degree thesis,「 A Study on Existence: Focusing on Schopenhauer」, which he wrote while studying at Toyo University. In his bachelor"s thesis, the concept of metaphysics and reality, the background of the so-called epistemological trend, and its meaning are introduced in detail. These contents are of great help in further developing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Il-won thought of Soongsan.

      • KCI등재후보

        원불교 100년, 경전 주석의 현황과 과제

        이성전(李聖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경전은 성자의 가르침을 기록한 문헌을 지칭한다. 종교의 사상은 교조와 후래 제자들의 사상적 집적이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 사상 또한 소태산 대종사의 사상과 소태산 대종사 재세 당시 제자들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이를 전승하는 후래 제자들의 노력이 집적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원불교 경전은 소태산 대종사의 친저에 가까운『정전』과 그의 사후 제자들이 소태산 대종사의 언행을 기록한 내용을 편집한『대종경』을 비롯한 7대 교서를 일컫는다. 이 가운데『정전』과『대종경』은 원불교의 ‘본경’으로 중시되고 있다. ‘원불교 100년’을 맞이하면서 원불교는 세계 보편종교를 지향하고 그에 상응하는 준비를 진행 중에 있다. 근래에 인류 사회가 다양하고 급격히 변화하고 교화의 범위가 세계화되면서 경전에 대한 재해석의 요청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청들에 주목하면서 논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전 발전사를 유가 경전을 중심으로 간략히 검토하여 경전의 변화 역사를 살펴보았다. 원불교 교사와 교리에서도 그 근거를 찾아보고 현재 경전 해설서들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오늘의 원불교는 궁극적 진리(일원의 진리)에 대한 끊임없는 긴장과 수행의 증험에 바탕한 반성과 성찰이 요구된다. 구도의 열린 정신과 실행의 열정이 새 종교 원불교의 생명임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교리에 대한 학문적 천착과 일관된 체계의 정립, 문화적 정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 입각하여 원불교 경전 주석의 첫 걸음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경전의 주석 상황과 과제를 점검해 보고 전망을 예측해보았다. 경전의 재해석과 관련된 전초 작업의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승기신론』과 원불교

        김도공(金道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9 No.-

        『대승기신론』은 비록 인도 찬술설과 중국 찬술설로 논란이 많지만, 불교사상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논서이다. 그러나 불교와 원불교의 관계 속에서 볼 때, 『기신론』이 원불교의 교리와 문화 형성과정에는 어떤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관계는 발견할 수 없다. 원불교 교리의 핵심내용인 일원상의 교리구조를 볼 때『기신론』의 핵심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일심사상과 원불교의 일원상진리는 그 구조와 의미에서 서로 상통하고 있다. 이 점을 인정할 때 『기신론』의 이해와 해석을 둘러싼 많은 논쟁점들은 원불교의 일원상진리 해석상의 논점들에 매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이는 원불교에서 일원상진리를 해석 · 전개시켜 가는데 참고해야 할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국불교 근대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양문회의 사상과 그의 문하생들이 중국불교를 실제로 근대화시키는 주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시기와 소태산이 근대 조선불교를 새롭게 개혁하기 위해서 『조선불교혁신론』의 저술 속에 새로운 관점들을 전개하여 근대한국의 새로운 개혁불교를 열고 있는 시기와 그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기신론』과 원불교의 역사적 연결관계는 없다. 그러나 불교사상이나 원불교사상이나 한마음 일심의 세계를 밝혀가고자 하는 같은 맥락의 사상이기 때문에, 이미 불교사상 내에서 충분히 성숙된 『기신론』을 유의 깊게 음미하는 것은 원불교사상의 발전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 분명하다.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though it very controversial for Indian work theory and Chinese work theory, is exquisitely important treatise in history of Buddhist thought. However, in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Won-Buddhism, it is unable to find out the actual factor that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had given direct influence to establishment process of doctrine and culture of Won-Buddhism. Concerning on doctrinal structure of Il-Won-Sang, the core of Won-Buddhist doctrine, one mind thought, the central doctrine of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nd the Il-Won-Sang truth are mutually connected in its structure and meaning. Considering on this point, various arguments on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o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could provide valuable suggestion for the discussion on the interpretation of Il-Won-Sang truth in Won-Buddhism. It means that the thought i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has many suggestive resources to interpret and develop Il-Won-Sang truth in Won-Buddhism. The time that Sotaesan had opened new reformative Buddhism in modern Korea by developing new view points in his work the Reformation Theory of Choseon Buddhism for change was very similar circumstances and structure to the thought of Yang Wen Hui who called the father of modernization of Chinese Buddhism, and the time that his pupils had appeared as main stream of actual modernization of Chinese Buddhism. As it has already mentioned,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nd Won-Buddhism have no historical connection. Close research o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s a matured Buddhist thought is worthful for development of Won-Buddhist thought, since the both thoughts of Buddhism and Won-Buddhism are contextually identical stream of thought to illuminate the world of one mind.

      • KCI등재

        『금강경』과 원불교 사상

        김방룡(金邦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9 No.-

        본고는 원불교와 불교의 새로운 관계모색을 제안하며 『금강경』과 원불교사상의 관련성을 다룬 논문이다. 소태산 박중빈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원불교 사상은 한마디로 대승불교의 개혁사상임을 주장하였다. 첫째, 소태산의 객관적이고 실재적인 사상을 접근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정전」에 의존하지 말고, 『불교정전』에 의존하자는 것이다. 둘째, 소태산이『금강경』을 가지고 불법이 주체가 된 새로운 불교회상을 만든 의미는 『금강경』에서 말하는 ‘반야지’가 바로 우리의 본래마음이며, 법신불임 알아 실생활에까지 활용하자는 데 있음을 밝혔다. 셋째, ‘원불교’ 제한적으로 말하면 ‘불법연구회’는 “정각정행 · 지은보은 · 불교보급 · 무아봉공”의 사대 강령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개혁불교, 생활불교 교단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넷째, 소태산의 사상은 용수, 혜능, 지눌의 대승불교 전통을 계승한 것이며, 그 사상적 토대는『금강경』에 두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다섯째, 소태산의 열반 후 정산종사의 주세불관, 『원불교정전』의 편찬, 불교재산관리법의 세 가지 문제가 원불교의 정체성을 독자적인 교단 방향으로 이끌어가게 한 것이며, 이제 소태산의 본래 취지에 입각하여 새로운 전환점을 모색해야 한다고 보았다. 여섯째, 소태산의 교리와 법문은 상당부분이 『금강경』의 내용을 인용하거나 활용하거나 용해하여 이루어져 있음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밝혔다. 일곱째, 소태산은 불법연구회의(원불교)의 교주가 ‘석가모니불’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으며, 『불교정전』의 제일 앞에 ‘불일 증휘(佛日增輝) 법륜상전(法輪常傳)’이라고 표방한 바와 같이 자신이 불제자(佛弟子)로서 부처님의 법(佛法)을 온 세상에 펼치고자 하였음을 밝혔다. Through this paper I aim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reformation of Buddhism of Sotaesan-Pakjungbin and his Seon thought. Sotaesan-Pakjungbin is a founder of Won Buddhism. First, I inquired into his recognition about Buddhism in those days and the contents of reformation of buddhism based on his work, 『the theory of reformation of buddhism』. That is summarized by the declaration of a change of Buddhism suitable to time, life and popularity and the slogan, “Buddhist truth is found in life, life is Buddhist truth itself” Second, I examined that his Seon thought is the practice of continuous meditation and Tan-Jun-Joo Seon, Concentrating the Mind on Lower Abdomen. I inquired into the practical method of those two Seon and the reason why he had presented those Seon. From this study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Sotaesan-Pakjungbin had clarified the reformation of Buddhism to have people practice Buddhism in life and his practice of continuous meditation and Tan-Jun-Joo Seon had also appeared in aim of the reformation of Buddhism.

      • KCI등재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圓의 의미 고찰

        박태봉(朴泰鳳)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논문은 원불교의 교명(敎名)에 있는 ‘원(圓)’ 의미를 동·서양 사상을 통해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전에는 ‘원불교’라 교명(敎名)을 정하면서 ‘원(圓)’의 의미를 분명히 밝혔지만 원의 진리는 드러낼 수도 말로도 표현하기 어려워 인류 정신문화사에서 동·서양에 걸쳐 사용되고 나타난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들을 비교해보는 것도 원의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필요한 과제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불교경전의 ‘원(圓)’에 중심을 두고 원의 진리가 우주만유의 본원으로서 우주만유를 통해 무시광겁에 은현 자재해 왔으며, 이러한 우주만유에 작용하는 진공묘유의 조화정신인 순환불궁, 원만구족 등 원의 특성을 넓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양사상과 철학의 근거인 역의 원리를 중심으로 원의 의미와 특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역의 이치야 말로 우주만물의 생성 변화하는 원리이고 이는 원의 속성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역에서는 ‘천도(天道)를 원(圓)’이라 하여 이를 명확히 언급하고 있다. 천지의 큰 덕인 생(生)을 영원히 반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원운동을 통해 종(終)하는 데서 다시 시(始)하여 순환하여야 가능하다고 했다. 천지의 운행이 순환운동의 원운동이어야 순환불궁(循環不窮)할 수 있으며 천체에서도 지구를 포함하여 일월성신들이 모두 원의 모양을 띠고 있는 것이다. 서양사상에서의 원의 의미 또한 동양 사상에서 나타난 원의 의미와 유사점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통학문은 아니지만 서양 비학(秘學)에서 원의 함의는 동양사상과 일치하였고, 심리학 분야에 있어서는 동·서양 사상이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서양 사상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원의 상징과 쓰임은 원불교경전에서 언급한 대로 우주만유의 본원이자 인간의 본성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생명의 생성 변화하는 작용면에서도 머무름이 없이 주기적으로 순환하여 생명을 완성시키는 ‘순환론적 생명관’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하늘이 만물을 낳는 지공무사한 큰 덕이야말로 바로 일원대도의 본체이며, 이 큰 덕을 영원히 작동하는 원만구족한 원의 진리가 천지대도의 정법임을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원(圓)’의 함의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원상(圓相)의 원만한 대도를 닮아가고 원상에 합치되는 생활을 하자는 것이 바로 원불교의 신앙이자 수행이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Won-Buddhism"s Circle" through Eastern and Western thought. While defining the teaching of the "Won-Buddhism" is clear, but it has been poorly supported research widely. The truth of ‘Circle’ can not be expressed or expressed in words,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ses that have been used in the history of human spiritual culture from east to west.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y to reveal the true meaning of "Circle" by looking at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rcle of the East and the West, focusing on the "Circle" of Won-Buddhism and the process of creation and chang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o do this, we intend to clarif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rcle based on the "book of Change". This is because it is the changing principle of creati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 the book of Change, It is made clear that The principle of Heaven is called ‘circle’. In order to repeat birth, which is the great virtue of heaven, forever, it is necessary to circulate through the circle movement again. In other words, the circle emphasizes that the movement is imminent. All of the operations of the heaven and earth are carried out in circular motion, and all the structures of all things are circle, and the forms of the planets including the earth are in the circular form. The symbol and the use of the "circle" in the East and Western thought mean the origin of life and human nature in the essence side, and furthermore, it means the "cyclical life view" in the operation side. In conclusion, the great virtue of heaven that gives birth to all things is the very essence of the truth of the Circle fullness, which operates the great virtue for eternity, can be seen from the implication of "circle". I hope that academic research that broadens understanding of this will be activated.

      • KCI등재

        『유마경』과 원불교사상

        이재수(李在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2 No.-

        본 논의는 원불교가 새로운 실천불교운동이라는 이해에서 불교의 혁신과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에서 출발한다. 원불교는 불교와 불이적 관계에 있으면서도 종교적 정체성을 모범적으로 구현해왔다. 원불교의 사상의 근저를 『유마경』에 주목하여 규명하였다. 『유마경』은 대승불교 반야의 공사상을 천양하고, 대자비의 바탕에서 불이적(不二的)인 실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유마경』은 심오한 반야공관(般若空觀)에 기초한 불가사의한 해탈법문, 입불이(入不二)법문 등의 사상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는 현실에서 출발됨을 제시하였다. 현실 속에서 이상적인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실천행을 분명히 밝혔다. 그래서 현실을 바로보고 이상을 꿈꾸는 선각자들이 주목한 경전이다. 『유마경』 안에는 바로 교단에 안주하지 않는 새로운 인간형이 살아 숨쉬고 있다. 이는 원불교의 지향과 닮아 있다. 특히 기성 교단에 대한 비판, 붓다의 십대제자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불교관의 천명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는 원불교가 지향한 불교의 생활화 대중화를 넘어 불교의 시대정신 구현에 자산이 되었다고 본다. 유마의 침묵은 언어를 떠나 참다운 실천으로 보여주었으며, 소태산대종사는 이를 일원상으로 보여주고 실천에 옮긴 것이다. 아울러 그러한 정신은 ‘불법연구회’의 개혁적인 실천과 ‘사회개벽교무단’, ‘원불교 환경연대’ 등 교단의 사회 참여로 연결되고 있다. 유마가 설파한 실천을 불교혁신론을 통해서 구체적 실천의 구조임을 밝혔다. 소태산대종사의 혁신사상을 불교사상의 대중화, 수행의 혁신, 일원상 신앙으로 혁신 등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유마경』과 원불교의 만남을 통해 같은 길에서 닮은 듯 다른 모습으로 조화롭게 이 시대 진정한 종교란 무엇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함께하는 동반자로 대화의 길에 함께하며, 실천해 가는데 이바지하길 바란다. This study started with an assessment that Won Buddhism made a huge contribution to the reform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s a new practice Buddhism movement. Won Buddhism has implemented its religious identity in an exemplary manner in a non-dual relation with Buddhism.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Won Buddhism based on Vimalak?rtinirde?a-s?tra. Vimalak?rtinirde?a-s?tra announced and spread the ??nya idea of Prajna-Paramita-Sutra in Mahayana Buddhism and exhibited non-dual practice based on grand mercy. Vimalak?rtinirde?a-s?tra proposed that an ideal society should begin in reality through the mysterious nirvana law based on the profound ??nya idea of Prajna-Paramita-Sutra and the non-dual law. It also clearly suggested a range of methods and practice acts to build an ideal society in reality. Those are the reasons why pioneers paid attention to the sutra, seeing through reality right and dreaming of an ideal. There is a new type of person that does not settle down in the current religious body living and breathing in Vimalak?rtinirde?a-s?tra, which resembles the orientation of Won Buddhism. The criticism of the old religious body and Buddha’s ten pupils, clarification of a new Buddhist viewpoint, and proposal of a new paradigm became the assets to implement the zeitgeist of Buddhism beyond the familiar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sought after by Won Buddhism. The silence of Vimalak?rti showed true practice beyond language, and Master Sotaesan showed it as Ilwonsang and translated it into practice. The spirit has been connected to the reformist practice of “Institute of Buddha-Dharma”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Social Beginning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al Alliance of Won Buddhism.”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practice elucidated by Vimalak?rti had a structure of specific practice through the theory of Buddhism reform. The reform ideology of Master Sotaesan was arranged in three ideas, namely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ideology, reform of asceticism, and reform into Ilwonsang faith.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conversation and practice for such questions as what true religion is and what one should do in the contemporary times based on the similar and yet different aspects in harmony on the same path through an encounter between Vimalak?rtinirde?a-s?tra and Won Buddhism.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계승

        박지영(朴智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논문은 류병덕 박사의 논고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에 담긴 ‘평화통일사상’을 계승하여 오늘날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해법을 원불교사상에서 찾아 본 것이다. 류병덕은 원불교사상, 한국 전통종교사상, 한국사상사에 걸친 방대한 학문세계를 구축한 원불교학계의 선학(先學)으로서, 올해 10주기를 맞았다. 그의 ‘평화통일사상’이 집약된 만년의 논고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을 재조명함으로써 선학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고, 오늘날 ‘한반도 평화’에 종교가 기여할 역할이 무엇인지 모색해 보았다.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에는 한민족 정체성 회복을 위해 ‘5대 민중종교’ 사상을 더듬어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그는 민중종교 사상을 통해 남북 양측 공감대를 형성하고, 평화통일의 정신문화를 창조할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논자는 최근 통일 담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에 맞추어 류병덕의 이러한 논지를 재조명해 보았다. 첫째, 한국 전통종교사상으로서 ‘동학’에 주목한 이병한의 발언과 북한이 한국 토착사상인 ‘동학’에 공산주의 평등사상의 근간을 두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둘째, ‘장마당’ 형성 등 북한 경제 구조 변화 주역이 체제나 제도가 아닌 북한 인민 즉, ‘민중’이라는 연구와 민중의 힘을 통해 혼란한 사회를 극복하고자 했던 ‘민중종교’에 주목한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사이의 접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류병덕의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이 나오기까지 류병덕 학문의 궤적을 되짚어 ‘평화통일사상’ 형성 배경에 ‘소태산의 국가관’과 ‘한국 전통종교사상’, 두 가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을 계승하여 오늘날 한반도 평화통일 문제에 대응할 원불교의 역할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오늘날 한반도 상황과 그동안 논의되었던 남북통일 방안을 검토하고, 백낙청의 ‘한반도식 통일과정’에 주목해 이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해법으로 원불교사상 중 ‘강자·약자의 진화상 요법’을 제시하였다. ‘강자·약자의 진화상 요법’이 현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원불교사상인 ‘일원철학’이 해당 공동체 전체에 폭넓게 공감될 수 있도록 원불교사상에 대한 ‘해석학’이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남북 협력 시 남과 북의 강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진정한 강점으로 선도되고 진화해 나갈 것임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Dr. Ryu Byeongdeok"s treatise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and finds a solution in Won-Buddhist thought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Ryu Byeong-deok was a Won-Buddhist scholar who built a vast academic system spanning Won-Buddhist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and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This year marks the tenth anniversary of his death. By revisiting the idea of Korea’s peaceful unification in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this paper commemorates his academic contributions and explores how religion can contribute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argues that to reclaim Korean identity we need to retrace the philosophies of ‘the five major folk religions’. Ryu was convinced that the philosophies behind folk religions would enable the two Koreas to form a consensus and create a spiritual culture of peaceful unification. In line with the recent discussions surrounding unification, the author sheds new light on Ryu"s thesis. First, this paper focuses on Lee Byeong-han"s discussion of ‘Donghak’ as Korea’s traditional religious philosophy and on the fact that North Korea"s communist egalitarianism finds its roots in that same indigenous philosophy. Second, this paper tries to find links between studies claiming that the main agents of change in North Korea"s general economic structure, and particularly in the emergence of ‘jangmadang’ (market grounds), are the North Korean ‘people’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regime or system, and Ryu"s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found in ‘folk religion’. Moreover, by tracing Ryu"s academic career, culminating in his「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emerges from two sources: ‘Sotaesan’s (Pak Chung-bin’s) idea of the state’ and ‘Korea’s traditional religious philosophy‘. Last, expanding upon Ryu"s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the paper explores how Won-Buddhism can contribute to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oday.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peninsula and the various measures that have been offered for reunification, it introduces Paik Nak-Chung "s ‘idea of a uniquely Korean unification process’. In this context, the Won-Buddhist theory of ‘The Essential Dharmas Regarding How the Strong and the Weak May Evolve’ is presented as a solution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apply this theory to reality, a deepening of hermeneutics in Won-Buddhist thought is necessary, so that ‘Il-Won (One Circle) philosophy’ can be acknowledged as a philosophy for all human beings. The paper also suggests that a careful analysis of the strengths of both Koreas is necessary if they are to be led by and progress toward true strength in their cooperation.

      • KCI등재

        숭산 박길진의 국제 활동과 그 의의

        유지원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1 No.-

        Soongsan Park Gil-jin served as the first President of Wonkwang University for over 40 year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Won Buddhism and Wonkwang University. The background of his International activities was greatly influenced by his father, Park Joong- bi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and was also based on various studies and experiences during the educated periods in Seoul and Tokyo, Japan. Soongsan’s International Activities began in 1956 when he visited 12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leading the development of Won Buddhism and Wonkwang University to a new level. He actively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religious organizations (WFB, WCRP, ACRP) and led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Won Buddhism and Wonkwang University by expanding the horiz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addition, Soongsan established the Institute of Won Buddhism’s Overseas Propagation, published the English journal Won Budhism,promoted the translation of Won Buddhism Books to play a key role in Won Buddhism’s overseas edification. Meanwhile, Soongsan signed an exchange agreement with famous overseas universities and le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Wonkwang University through various exchange activities such as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professors & student’s exchanges. Soongsan operated a regular language training program for students with Chinese Culture University of Taiwan. And he played a role in translating the Won Buddhism Books into Chinese translation characters. The Wonkwang University held a long-term and regular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with Japanese Bukkyo University to contribute to the in-depth research of Buddhism and religion and the Globalization of Won Buddhism. Such International Activities of Soongsan are the Manifestation of Soongsan’s Spirit, who self-sacrificed practiced the ideal of “University” and the role of “President”. This was finally able to bloom because there were Four Practices : the Practice of the Founding Spirit of Won Buddhism, the Expression of the Creating Newness from Nothing, the Application of Creative the Great Opening, and the Construction of the Yububmanggu(爲法忘軀) & Yugongmangsa(爲公忘私). 숭산 박길진은 원광대학교 초대 총장으로 40여 년간 총장으로 재직하면서 원광대학교뿐만 아니라 원불교의 국제화ㆍ세계화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의 이러한 활동의 배경으로는 아버지인 원불교의 교조 소태산 대종사 박중 빈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이며, 또한 서울과 일본 동경에서의 수학기간의 다 양한 연구와 경험이 밑바탕이 되었던 것이다. 숭산의 본격적인 국제 활동은 1956년 미국과 유럽 등 12개 국가를 방문하면 서 시작되어 원불교와 원광대학교를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먼저 국제적 종교 단체(WFBㆍWCRPㆍACRP)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인적 네트워 크를 구축하면서 국제 관계의 지평을 넓혀나감으로써 원불교와 원광대학교의 국제화와 세계화를 선도해 나갔다. 또한 숭산은 ‘해외포교연구소’를 설립하여 영문 학술잡지 Won-Buddhism을 발행하고 원불교 교서의 번역작업을 추진하여 원불교의 해외교화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한편 숭산은 해외 유명 대학과 교류협약을 체결하고 학술대회 개최ㆍ교수 및 학생 교환 등 다양한 교류 활동을 통해 원광대학교의 국제화를 선도하였다. 대 만의 문화대학(文化大學)과는 정례적인 학생들의 어학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 였으며, 또한 중국어 번체자(繁體字)로의 『원불교교전』 번역에도 일정한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일본 불교대학과는 장기적ㆍ정례적 국제학술대회를 개최 하여 불교학ㆍ종교학의 심층연구 및 원불교학의 세계화에도 공헌하였다. 숭산의 이러한 국제 활동은 ‘대학(大學)’의 이상과 총장(總長)의 역할을 자기 희생적으로 실천한 ‘숭산정신(崇山精神)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바로 ‘원불교 창립정신(創立精神)의 실천’ㆍ‘유무창신(由無創新)의 발현’ㆍ‘개벽(開闢)정 신의 적용’ㆍ‘위법망구(爲法忘軀) 위공망사(爲公忘私)의 체현’ 등 4가지 실천이 있 었기에 마침내 꽃피울 수 있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