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의 적용과 실천 : 교육과 연구를 중심으로

        김지원 기독교학문연구회 2013 신앙과 학문 Vol.18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basic model to apply Christian worldview in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and to find ways to practice Christian worldview in these fields. How we look at health and disease, builds the basis of application of Christian worldview in health and medical fields. The contents of whole health, the origin of disease, caring pati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of medical and heath science was applied to the Christian wordlview frame including creation, degradation, salvation. The creation frame of Christian worldviw in medical and health fields is that huma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t creation is the state of perfect health. Namely, the comprehensive and whole health mean the state of intact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Degradation frame in medical and health is that disease is originated from the distortion of the creation due to original sin. The corruption coming from the original sin ruins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and led to a slanted view of health. Salvation frame means a recovering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beyond curing a disease. It also includes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edical and health fields. In order to practice the Christian worldview applied to healthcare,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were explained separately. Christian scholars need to develop Christianity based curriculum and Christian College with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should be reorganized overall to apply Christian world view in total curriculum framework. Studies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were divided in terms of the Creation, the Fall, and the Redemption, accordingly. Through this, role of each educational studies were identified via Christian Worldview framework. Also, studies within hea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were redefined in the light of Christian worldview. This research hopes to revisit the basics and to promote the practice of Christian worldview in each educational fields including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본 연구는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보건의료 분야의 각 영역에서 기독교세계관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건강과 질병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의 문제가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을 적용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온전한 건강의 상태, 질병의 기원, 환자의 치료, 보건의료학문의 연구와 교육에 대한 내용을 기독교세계관의 창조, 타락, 구속, 완성의 기본적 틀에 적용하였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창조의 틀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창조 당시의 인간을 온전한 건강의 상태로 보는 것이다. 이는 하나님, 이웃, 나와의 온전한 관계를 이루고 있는 포괄적이고 전인적인 건강의 상태를 말한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타락의 틀은 인간의 죄와 이로 인한 창조세계의 왜곡으로 인해 질병이 기원했다고 보는 것이다. 죄로 인한 타락은 하나님, 이웃, 나와의 관계를 훼손시키고 건강에 대한 왜곡된 현상을 초래하였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구속의 틀은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단순히 질병의 치료를 넘어 하나님, 이웃, 나와의 온전한 관계성을 회복하는 것으로 보았다. 학문의 영역에서는 과학적 자연주의, 진화론, 포스트모더니즘에 물들어 있는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점들을 찾아 하나님나라를 회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기본적 틀을 실천하기 위해 교육과 학문연구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해당 보건의료 분야의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기독교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구하고 교육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분야의 기독교학자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교과목을 개발하고 보건의료분야의 대학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대학에서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교육과정의 틀을 개편하도록 해야 한다.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학문연구에 있어서는 보건의료분야 안에 있는 해부학, 생리학, 임상의학, 간호학, 물리치료학 등의 학문 연구내용이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창조, 타락, 구속의 틀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분류하여 기독교세계관의 틀에서 각 학문의 위치와 역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독교세계관의 관점에서 보건의료분야 내에 포함된 학문의 정의를 내려 봄으로서 기독보건의료분야의 학자들이 하나님나라를 향해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학문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가 보건의료분야에 포함된 다양한 학문들이 기독교세계관의 틀 안에서 기초를 다지는 계기가 되고 각 학문 영역에서 기독교세계관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기독교 학문의 비전 - 가능성과 필요성 -

        신국원 기독교학문연구회 2013 신앙과 학문 Vol.18 No.4

        What should be the vision of Christian scholarship after the demise of the myth of academic neutrality in the contemporary postmodern situation?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scholarship is still the important principle for Christian scholarship in our pluralist and relativist culture. Contending for the uniqueness of Christian scholarship because of faith is more strategic than defending how it is possible in spite of faith. Christian scholarship must be able to present a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interesting to non-believing scholars and to show excellence of results in order to be credible and persuasive. Active participation to scholarly traditions is necessary. It is unwise and even impossible to ignore age-old traditions and to start all over. An effort to transform the traditions with biblical perspectives is needed. Academic excellence as well as service toward God and neighbor is important for this purpose. Christian scholarship should neither fall into dogmatic hubris on the basis of faith, nor have a defeatist, avoiding attitude. Instead, Christian scholarship must hold onto a vision to overcome the opposition that regards it as “outrageous ideas” and “the academic atmosphere that makes it despair,” through excellent scholarship and contributions that. 학문의 중립성 신화가 깨어진 오늘의 포스트모던 상황 속에서 기독교 학문은 어떤 비전을 가져야 하는가? 신앙과 학문의 통합과 변혁은 다원주의와 상대주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기독교 학문의 중요한 원리이다. 지금은 기독교 학문이 가능함을 변호하기보다는 신앙으로 인해 어떻게 독특한 학문을 할 수 있는지를 보이는 것이 전략적으로 좋다. 기독교 학문이 불신자에게도 신빙성과 설득력이 있으려면 연구 방법론과 가정이 불신자에게도 흥미롭고 결과적으로 탁월함을 보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문 전통에의 적극적 참여가 선행되어야 한다.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학문 전통을 무시하고 새로 시작하려 하는 것은 어리석을 뿐 아니라 사실 가능하지도 않다. 물론 학문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변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문적 탁월성은 항상 중요하지만 그와 함께 학문을 통해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려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기독교 학문은 신앙을 토대로 독단적 오만에 빠져서도 안 되지만 패배주의적 소심함이나 회피적 태도에 빠질 이유가 없다. 오히려 기독교 학문이 “터무니 없는 생각”이라는 격렬한 반대나 “좌절감을 느끼게 만드는 학문적 풍토”를 넘어서는 탁월한 기여를 통해 하나님과 이웃 섬김을 실천하는 비전을 갖추어야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교회 고등학생의 기독교세계관 실태와 세례 유·무와 신앙경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희영 ( Hee Young Jeoung ),권태경 ( Tae Kyoung Kwon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 고등학생의 기독교세계관 실태와 세례 유·무와 신앙경력과의 관계에 대 한 조사를 통해 헌재 우리나라 교회 고등학생들의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현 주소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앞으로 우리나라 교회 고등학생의 기독교세계관 확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우리나라 교회 고등학생들의 기독교 세계관은 어떠한가? 둘째, 우리나 라 교회 고등학생들의 기독교세계관과 세례의 유· 무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우리나라 교회 고등학생들의 기독교세계관과 신앙경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등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설문지로서 5명의 학자들의 기독교서l계관의 기본 틀을 비교 분석한 것에 근 거하여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6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23문항과 일반적인 문항 6문항으로 총 29문 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805영이며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t-test. 그리고 one-way ANOVA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회 고등학생들의 기독교 세계관은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교회 고등학생들의 기독교서l계관은 제례의 유·무와 관계가 없다. 셋째, 우리나라 교회 고등학생들의 기독교세계관은 신앙경력과 관계가 없다. 본·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원론적인 삶의 방자를 위해 창조의 계속성에 대한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리에 치우친 이론적 지식이 아닌 실제 삶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지식을 가르치는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응답자들이 진화론과 포스트모던 사상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고려한 교육이 요구된다. 넷째 세례 전·후의 교육과 강조되고 확장되어야 한다. 다섯에 일반 교육과 세상의 특징을 뛰어 넘는 영향력 있는 교회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Christian worid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woridview with baptism and their periods of Christian life among the young people of Korean churches through a study on their Christian worldview, and to provide a suggestion as to how to establish a proper Christian worldview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n churches. This paper dealt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ir Christian woridview like?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woridview of the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n churches and their baptism?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hristian world view and their periods of Christian life? This study used a survey based on questions drawn from S scholars`` frames on the Christian worldview, and the survey was composed of 29 questions: six questions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urveyee and 23 questions on the Christian worldview.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12.0 and was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ristian world view of Korean church high school students is positive approximately. Second, the Christian world view of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n churches is not related with their baptism. Third, the Christian world view of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n churches is not related with their periods of Christian life. The sugges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vent dualistic life styles, education on the continuation of the creation must constantly take plac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an education that is applicable to real life instead of a theoretical one that is focused on doctrines. Third, an educ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surveyees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evolution theory and postmodernism thoughts is required. Fourth, education before and post baptism must be enforced and enlarged. Fifth, church education must be more effective than secular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need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pattern of this world.

      • KCI등재

        비대면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선옥,강진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3

        This study compares and verifies the effects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s for stress reduction among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Live Zoom.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 of 12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as an experimental group. From the last week of October to the third week of November 2020, it was hel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a total of 4 times for 480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In conclusion the non-face-to-face cinematherapy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way university students deal with stress and reduce stres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se effects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is is as meaningful result of performing cinematherapy using general cinema for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t has been shown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need to have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the difficult psychological state faced by non-Christia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activities can reach non-Christians outside churches. 본 연구는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라이브 Zoom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도시에 소재한 A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2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여 2020년 10월 마지막 주부터 11월 셋째 주까지 주 1회 120분, 총 4회 48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반응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반응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한 영화치료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기독교 대학생과 비기독교 대학생 간에는 이러한 효과들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를 대상으로 일반영화를 활용한 영화치료를 실행했을 때 거둔 의미있는 결과이다. 기독교 영화치료사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기독교인이 처한 어려운 심리상태를 돌보고자 하는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기독교 영화치료사의 활동영역이 교회를 벗어나 비기독교인들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교육 실천에 관한 제언

        김성원 ( Sung Won Kim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2

        2007년 이후 영유아교육계에는 평가정책의 개발과 시행, 교육과정 개정 및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 등 많은 변화와 진보를 보이고 있다. 특별히 2011년과 2012년에는 사립유치원 교사에 대한 지원 확대와 아울러 보육교육비 지원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유아교육에 있어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여 본 연구는 공교육의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기독교교육(학교)의 중요성과 기독교 유아교육의 가능성과 원칙을 논하고자 한다. 기독교 유아교육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교사, 기독교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기독교적 목표, 유아교육기관-교회-가정과의 연계, 성령 하나님의 일하심등을 기본 조건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이제까지 개발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을 분석하였는데, 교육과정 개발자, 교육내용과 성경의 통합 원리, 도서 안에서 제시하는 기독교 유아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제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을 조사하여 각 교육과정의 특징과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독교 유아교육의 이론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토대로 기독교 유아교육에서의 강조점-성품교육, 도덕교육, 자연교육,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교육-과 아울러 교육현장의 인적 자원인 부모와 교사에 대한 교육을 제언함으로 기독교 유아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Since 2007, there has been progress in the evaluation policy development, the development new curriculum, and curriculum revis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specially, during the years 2011 and 2012 several changes in support funding poli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ccurred. The standardized policy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at deprives the empowerment of Christian schools, school choice rights of students and student choice rights of school have affected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s. The funding for childcare prevents the official teaching of Christianity/religion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At this significant tim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regarding the crisis in public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 Christian school, and the possibilities and principle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also analyzed Christian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and provided a vision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character education, mor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for serving the weak, parent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프란시스 쉐퍼의 기독교 변증학에 따른 유튜브의 이해와 활용

        강진구 ( Jingoo Ka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20 신앙과 학문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란시스 쉐퍼의 기독교 변증학에 따라 유튜브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첫째는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유튜브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교회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도록 프란시스 쉐퍼의 ‘변증학(Apologetics)’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쉐퍼는 ‘변증학’의 목적을 방어(defense)와 전달(communication)이라고 말하였다. 방어는 비기독교 혹은 반기독교적 메시지로부터 기독교 신앙을 보호하기 위한 논증적 방어이다. 전달은 어떤 특정한 세대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기독교를 전하는 것을 의미한다.둘째는 유튜브의 기술적 특징을 잘 활용하고 프란시스 쉐퍼의 ‘기독교 변증학’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다마스커스 TV’는 유튜브 세계에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의 관심을 모으며 기독교 변증 전략을 펼치는 기독교 유튜브 채널이다.셋째는 유튜브의 미디어적 특성을 밝히고 아울러 프란시스 쉐퍼가 라브리에서 기독교 변증학을 실천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을 연구하여 유튜브에 적용한다. 프란시스 쉐퍼는 라브리 사역을 통해 기독교 변증학을 몸소 실천했는데 뜻밖에도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이 유튜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다.이 논문의 결론에서 우리는 한국교회가 필요로 하는 두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하나는 유튜브 사회를 바라보는 교회의 변화된 인식이며, 다른 하나는 유튜브의 현실에 맞는 문화전략을 수립하는 일이다. 이것은 교회가 유튜브를 사역의 현장이며 도구로 삼았을 때 과거와는 다른 인식과 자세를 필요로 하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present the strategies necessary to utilize YouTube in accordance with Francis Schaeffer's Christian Apologetics.First, Francis Schaeffer's “Apologetics” approach allows Christians in Korea to more actively intervene on YouTube and fulfill the mission of the church needed for this era.Schaeffer said the purpose of “Apologetics” was defense and communication. Defense is an argumentative defense to protect Christian faith from non-Christian or anti-Christian messages. Communication means delivering Christianity in a form that any particular generation can understand.Second, it presents specific examples of making good use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YouTube and realizing Francis Schaeffer's “Christian Apologetics.” “Damascus TV” is a Christian YouTube channel that draws attention from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n the YouTube world and carries out Christian Apologetics.Third, it reveal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YouTube. And study the strategy Francis Schaeffer used to practice Christian Apologetics in L’Abri and apply it to YouTube. Francis Schaeffer is offering a strategy that Christians can use on YouTube.From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we can make two suggestions that the Korean church needs. One is that the church needs a change in its perception of YouTube society, and the other is to establish a cultural strategy that suits the reality of YouTube. When the church uses YouTube as the site and tool of the ministry, it requires a different perception and attitude than in the past.

      • KCI등재

        기독교사회복지 연구방법에 관한 소고 -이론적 고찰 중심으로-

        강상우 ( Sang Woo Ka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1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 연구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다. 오늘날 사회복지는 실증주의 연 구 방법에 경도(傾量)되어 있다(이른바 methodolatry= method+ idolatry라고 불리는). 실증주의는 계량(計量)화로 인해 영성이나 종교를 배제한다. 그러나 기독교사회복지는 기독교와 사회복지의 통합을 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영성이나 종교를 배제하는(논리)실증주의 연구방법은 기독교사회복지의 연구방법으로서 한계를 지닌다. 그렇다면 기독교사회복지 연구방법은 어떠해야 하는가? 다음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1) 실증주의 연구방법이 유일한 연구방법이 아니라는 점이다. 사회복지에 있어서 ``않은 종류의 앎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회복지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않은 연구방법들에 대해서 고려해야만 한다. (2) 기독교사회복지학은 신앙에 근거한 학문적 정체 성을 지닌다는 점이다. (3) 그리고 연구자(윌버와 윌슨의 경우)들이 자신들의 세계관에 근거하여 자신들의 세계관(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사회복지 연구방법은 특정한 연구방법에 경도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학문적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기독교세계관을 고수해야 할 것이다. ``모든 진리가 하나님의 진리이다``라고 한 것처럼, 모든 연구방법 또한 하나님의 것"인 점을 기억하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ristian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In the present days, most of the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s are inclined to the research method of positivism (so-called, methodolatry method + idolatry). Because the method of (logical) positivism pursue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t excludes concept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On the other hand, since Christian social welfare seeks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social welfare, applying the research method of positivism to develop a method of Christian social welfare would not be suitable. How should we approach Christian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 There are three considerations to follow. (1) Method of positivism is not the only approach to this research. Since there are ``Many ways of knowing`` in social welfare, we should consider other approaches of method in order to develop the knowledge of social welfare. (2) Significantly, Christian Social Welfare has distinct academic identity based on Christian faith. (3) Many Researchers such as Ken Wilber and Edward 0, Wilson, based their world-views to integrate between their faith or belief and the academic knowledge. Therefore Christian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 should not be inclined to specific approach of research methods, but adhere to true academic identity. Christian social welfare researchers should base their Christian faith as their world-views. Keep in mind that as all truth is God`s truth, all research methods are God`s.

      • KCI등재

        기독교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교육과정개발이론의 검토와 그 활용

        김정효 ( Jung Hyo Kim ),이해지 ( Hai Ji Lee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1

        기독교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들은 북미의 기독교교육과정개발이론들, 즉 반브루멜른의 이론과 오버만과 존슨의 이론에 집중되어 있다. 기독교교육과정개발에서 일반 교육과정이론은 그 이론이 기반으로 하고 있는 기독교적 인식론과는 다른 인식론적 전제 때문에 쉽게 활용되지 못하여 왔다. 그러나 각 이론이 기반으로 하는 인식론적인 전제를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각 교육과정개발이론들은 기독교적 인식론에서도 받아들여 사용되어질 만한 다양한 전략들이 있다. 기독교 교육에서 이러한 각 교육과정개발이론의 다양한 전략들을 교육과정재구성에 기용하여 활용한다면 기존의 기독교교육과정개발이론이 가지는 제한점을 극복하게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대안으로 사용되어온 기독교적 교육과정개발이론인 오버만과 존슨의 이론과 반브루엘른의 이론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과정개발이론의 제한점을 검토하고 2) 일반교육과정개발이론이 가지는 전략적 장점을 타일러모형, 숙고모형, 그리고 프레이레 모형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교육과정개발이론의 전략적 활용의 예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시도는 기독교교육과정개발이론의 단편적인 수용에서 벗어나 비판적인 발전적 수용을 가능하게 하며 기독교육과정개발자들에게 다양한 개발전략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ecular and christian curriculum development theories in order to expand curriculum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biblical worldview.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curriculum development models such as van Brummelen model and Overman and Johnson model, 2) what are the limitations of those models, and 3)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secular curriculum development theories for christian curriculum reconstruction. As a result, the review addresses that 1) Tyler model as a positivist model can give us an idea on how to consider and input the needs of various sectors such as church or society, students, specialists of subject matters in developing christian curriculum, 2) Deliberation model as an interpretivist model informs us that various strategies can be used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of speculating the problems of current curriculum and making a decision as a group, and 3) Freire model as a critical scientist can enhance curriculum developers` awareness of the policial, social and spiritual meanings of the given curriculum and the learner`s response to curriculum.

      • KCI등재

        기독교 세계관으로 본 역사과 교육과정과 역사교과서

        허은철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3

        Value neutrality that is demanded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and history textbooks ground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ork currently as barriers when Christian history teachers give history lectures in their cla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history curriculum and history textbooks in Korea from the Christian viewpoint of the world grounded on the Bible in order to find out ways for teachers having a Christian viewpoint of the world to give lectures properly with those history textbook. History textbook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 righteous view of the Christian world and information with statements included in them. But it does not mean they should describe history biasedly in the Christian viewpoint. If like current textbooks, they describe Christian events only based on facts or outcomes with no explanation about why it has happened, students may end up having misconceptions. In order to explain Christian events properly and get rid of any controversies associated with biasness, when describing any Christian events, it is necessary to write a Christian view of the world briefly so that they can understand why such events have happened unavoidably. It is needed to provide historic distinctiveness associated with Christianity as well as explanation about general Christianity at least. A course should be set to describe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Christianity itself rather than religious biasness. If you avoid accurate descriptions about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to eliminate controversies related with religious biasness, it may rather result in arousing anti-Christianity sentiments and social conflicts, too. Therefore, above all, experts of history equipped with a systematic Christian view of the world should participate in writing history textbooks actively and describe related contents briefly but accurately. 현재 한국의 역사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가치중립성과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역사 교과서는 기독교 역사교사가 역사 수업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되고 있다. 따라서 성경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관의 입장에서 한국의 역사 교육과정과 역사 교과서를 검토하여 기독교 세계관을 가진 역사 교사가 어떻게 수업을 전개해야 하는지 그 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중요하다. 역사교과서는 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올바른 시각과 정보를 역사교과서 서술을 통해 학생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기독교에 편향적인 역사 서술을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지금처럼 왜 그러한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이 기독교와 관련된 사건을 사실 위주나 결과 위주로만 역사교과서에 기술한다면 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질 수 있다. 기독교 관련 사건을 제대로 설명하고 편향성 시비를 비켜나가기 위해서 기독교 관련 서술을 할 때 그 사건이 왜 일어날 수밖에 없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기독교 세계관을 간략하게 서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독교와 관련된 특수한 역사 서술 못지않게 기독교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도 제시되어야 한다. 종교적 편향성 논란보다도 기독교 자체의 중요성과 그 의미를 서술할 수 있도록 그 방향이 정해져야 한다. 종교편향성 논란을 비켜가기 위해 기독교 세계관에 대해 정확한 서술을 회피하는 것은 오히려 반기독교 정서를 자극할 수 있고, 사회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체계적인 기독교 세계관을 가진 역사전문가들이 역사교과서 집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간결하지만 정확하게 관련 내용을 서술해야 한다.

      • KCI등재

        기독교적 교수-학습 모형 탐색: D. I. Smith의 '기독교적 실천으로서의 가르침'

        유은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3 신앙과 학문 Vol.28 No.3

        본 논문은 칼빈대학에서 Kuyers Institute of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의 디렉터이며,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D. I. Smith의 기독교적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 시도를 탐색한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친다는 의미와 실천을 확장하고 더 온전하게 하기 위한 자신의 다양한 시도를 하나의 모형으로 명명하고 있지 않기에 하나의 접근이나 모형으로 소개하는 것은 부적절하나,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육내용과 쟁점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조명하며 기독 교사의 성품과모범을 강조하고 기독교적인 원리와 전제에 적합한 교수원리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넘어 기독교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논의를 더 확장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스미스의 시도가 중요한 통찰을 제시해주리라 기대하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의 이론은 매킨타이어의 습관과 덕의 형성에 있어서 실천의 중요성, 웽어의 실천공동체의 참여, 정체성, 레파토리, 개체화 등의 개념을 활용한 실천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과 실천과 공동체의 형성적 힘에 대한 다익스트라의 신학적 성찰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친다는 의미를 무엇을 가르치는가의 문제만 아니라 학생과 교수자가 함께 살아갈 삶의 패턴과 실천이 있는 페다고지적 집을 만드는 과정으로 확장하고, 그 실천에 참여함으로 특정한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으로 만들어가는 형성되어가는 학생의 전인적 형성에 주의를 기울였다. 기독교적 교수-학습을 설계하기 위해서 그는 새롭게 보고 상상하며, 학습 자료와 서로에게 관여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실천을 재구성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매킨타이어가 생각한 것과 달리 학생들을 전인적으로 성장하도록 돕고 그리스도의 제자로 세우기 위함이라는 내재적 선을 지닌 복잡하고, 정합성 있는 실천이다. 그 나름의 탁월성의 기준이 있고, 이는 구약의 기독교 공동체의 시작부터 연습해 온 역사적 실천이며, 멘토와 동료들을 포함하는 실천공동체와 함께함으로 더 성숙하고 온전해질 수 있는 사회적인 실천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attempts to design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by D. I. Smith, director of the Kuyers Institute for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and professor of education at Calvin University. While it is inappropriate to present his various and complex approaches as a single model because he does not label them as such, it is still beneficial to explore his approaches in order to expand and deepen the discussion of faith-informed teaching and learning beyond reframing curriculum from a Christian worldview, illuminating content and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emphasizing the character and modeling of the Christian teacher, and suggesting pedagogical principles and methods appropriate to Christian principles and premises. His theory draws on McIntyr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ractice in the formation of habits and virtues, Wenger's pedagogical ref lections on communities of practice using concepts such as identity, repertoire, participation and reification, and Dykstra's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formative power of Christian practices and faith community. Smith suggests to think of pedagogy as building a pedagogical home where teachers and students engage and participate in certain rhythms of life and by doing so, they are formed. To design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he proposed three strategies: seeing anew, choosing engagement, and reshapeing practice. Incorporating the definition of social practice by MacIntyre, teaching Christianly is a complex, coherent practice with an intrinsic good: to help students grow as a whole person and disciples of Christ. It is a historical practice that has been practic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e Old Testament, and it is a social practice that can be learned and done in a more fitting and mature way by practicing it with mentors and peers within the community of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