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간호윤리교육의 효과

        유명숙,손기철 한국생명윤리학회 2011 생명윤리 Vol.12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nursing ethics education. Participants were 11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65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52 student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12 weeks after the nursing ethics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moral sensitivity, and P scores of moral judgment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contrar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4 stage scores of moral judgment. Therefore, in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dicators and teaching method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본 연구는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간호윤리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2개 4년제 간호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실험군 65명, 대조군 52명이며,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하였다. 총 12차에 걸친 간호윤리교육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판단력의 P값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도덕 판단력의 4단계 점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도덕 판단력 외에도 간호윤리교육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와 교수기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후보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김정아,오승민,김평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Biomedical ethics education as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has crucial role in medical education for student, interns, and residents. It helps clinical faculties to educate their trainees about the importance of medical ethics in clinical situation, and to encourage the trainees to integrat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ey have been taught in formal medical ethics education program with the new clinical context they are dealing with. However,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in this area has been neglected. This article introduces an attempt for faculty development on medical ethics education which is provided to new faculty members in one medical center. We developed workshop program for two days and also wrote a book on medical ethics for clinicians. We found changed perception on medical ethics education and received positive feedbacks. New faculty members came to have more self-efficacy on medical ethics and perceive more need on medical ethics education. This would help them to be a good role model for their trainees as well as a good doctor for patients.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 교육, 특히 의학교육 내에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중 필수적 부분인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의 분야를 다룬다. 생명의료윤리 교육이 의학교육 내에서 받아들여지고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나, 이를 의(醫)의 실무 속에서 행함으로써 학생과 전공의를 위한 롤모델이 되어 줄 의학교육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은 지금까지 크게 부각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개 의료원에서 신임교원을 대상으로 제공한 생명의료윤리 교육을 교수개발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분석한다. 새로운 구성원에게 기관의 윤리적 사명을 명시적으로 표명하는 것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그들이 받고 있는 기대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진료 현장과 교육의 현장에서 윤리적 실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재 개발과 워크숍으로 이루어진 본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대하여 학습자들은 생명의료윤리 지식에 관한 자기평가와 필요성 인식 모두 증가한 양상을 보였고,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를 만족도 결과와 더불어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교수개발의 차원으로 생명의료윤리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당위와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생명윤리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 인식, 죽음 태도,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

        이윤정,김윤수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2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생명의료 윤리 의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생명의료 윤리의식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간호대학 재학생 253 명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 사망에 대한 태도, 생명의료 윤리에 대한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및 서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죽음에 대한 인식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비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중립적 수용이 더 높았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죽음에 대한 접근적 수용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죽음에 대한 탈출적 수용, 중립적 수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죽음 회피, 죽음 공포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중절, 신생아 생명권, 장기이식 영역에서 생명윤리교육 이수군의 생명윤리 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 종교, DNR 교육 여부, 죽음 경험, 가족에게 DNR을 시행여부, 본인에게 DNR을 시행 여부에 따라 생명의료 윤리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의 형성, 생명의료 윤리의식의 향상을 위한 생명 윤리 교육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유의미한 종교, 죽음에 대한 태도, DNR 찬성 여부가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ioethics education on death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5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tools measuring perception of death, attitude to death, awarness of biomedical ethics were us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t-test,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In the perception of death, the students who received education on bioethics were more positive about death (p=.014). In the attitude towards death, the non -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a higher neutral acceptance for death (p=.022). In the right to life of fetus (p=.040), artificial arbortion (p<.001), right to life of newborn (p=.021), organ transplantation (p=.049), the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the higher awareness of the biomedical eth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depending on grade, religion, DNR education, death experience, whether DNR will be administered to the family, and will DNR would be administered to them.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d the need to take bioethics education to form positive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death and improve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Suggest that the bioehtics education program needs to include religion, attitude toward death, and opinion about DNR on terminal patients.

      • KCI등재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안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찾아보았다. ``의료해석학``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원용해서 생명의료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가 필요한 이유와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생명의료영역에 해석학적 접근이 요청되는 이유는 우선 생명현상을 자연과학적 접근으로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탄생과 성장, 죽음에 대한 생명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명은 설명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이해와 해석의 대상이라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생명의 과학적 의미, 철학적 의미, 해석학적 이해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의료해석학의 관점에서 인간이 내러티브 텍스트로서 간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생명의료영역에서 바른 진단은 과학적 자료 못지않게 환자와 의사의 소통에 있다는 점에서 내러티브 텍스트가 갖는 비중을 고찰하였다. 생명의료영역은 순수과학으로서가 아니라 해석학적 기획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 레더(Drew Leder)의 주장을 논거로 삼고, 내러티브 텍스트가 의사와 환자의 지평융합의 중심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 해석은 의사와 환자를 주종관계로 서열지우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성을 토대로 자기이해와 행동으로 이전된다는 점에서 윤리학적 관점을 동반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다음 장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모델로서 내러티브 탐구가 어떤 의의를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내러티브 해석을 하는 생명의 료윤리교육의 목적은 모든 인간은 흠이 있다는 점을 수용하고 타자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이라는 것을 제시하고,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에서 내러티브 탐구와 해석을 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생명의료윤리교육은 생명의료현장에서 의사가 환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과정과 유비될 수 있다. 생명의료윤리교육에서 직접 환자들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의사가 환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듯이 생명의료윤리 주제들의 교수학습에 있어서 기존의 내러티브를 활용해서 탐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paper investigates narrative inquiry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on the view of hermeneutics. I tried to explore the advantage of the narrative inquiry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biomedical area is helpful to understand human life phenomenon. We can``t understand fully the human birth, growth and death for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has its limits. Life and disease is not only the scientific object but also human life`s experience. Hermeneutics is an instrumental argument for the exact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clinical hermeneutics and narrative inqui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human life, the possibility of human life text, The role of narrative 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hermeneutics and ethics in narrative inquiry, Narrative analysis in medical practice and education courses. There is an ontological and ethical meeting point in narratives. Comprehension is both an epistemological as well as an ontological phenomenon. Physician and the patien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intersubjectivity in narratives. Teachers and students can meet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s experience and the truth in their narratives.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clinical field and the educational field as the similar narrative space, physicians are require to understand patient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clinical field and the patient to make ethical judgm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수준 및 영향요인

        강현희,강복희,원선애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concern and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ight be influencing or correlated with nursing students’ level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Participants were 435 nursing students in one nursing college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 one way ANOVA, a Scheffé test, a Pearson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concern of bioethics (β=.517, p<.000), followed by teaching methods (β=.129, p=0.02), age (β=.115, p=.004), desire to study ethics (β=.103, p=.011), interesting teaching methods (β=.096, p=.016), effective teaching methods (β=.090, p=.016) and information source (β=.079, p=.026).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4.9% of the variance in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F=158.279, p=.000).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ategies can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nursing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수준 및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생명의료윤리 교 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1개 대학 간호 대학생 43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생명 윤리관심, 윤리교육방법, 연령, 윤리교육 참석여부, 흥미 있는 학습법, 효과적인 교육방법, 정보 습득처 였다. 이들 요인들은 생명윤리의식에 대해 34.9%의 설명력을 보였다. 간호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은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과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강조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을 활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의 모색

        백지연,이은애,정창록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3

        2005년 10월 19일 프랑스 파리 제33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은 의학, 생명과학 및 관련 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 제들을 그 사회적, 법적, 환경적 측면에서 다룬다. 유네스코는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실천을 위해 전 세계 의과대학생들을 위한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 프로그램(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는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이 번역, 출판되어 있지 않으 며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필자들은 국제적인 합의를 바탕으로 한 유네스코 생명윤리교육 과정을 한국의 의대, 약대, 간호대를 비롯한 보건의료 관련 대학 학생들의 도덕에 관한 비판적 사고력 향 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먼저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가 되 는 생명윤리와 보편적 인권선언과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목적 및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대해 소개한다. 다음으로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및 사례집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본다. 마지막으로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 프로그램 중 사례집을 활용한 생명의 료윤리교육의 구체적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안(교수학습방법으로 콜버그[L. Kohlberg]의 딜레마 토 론법[Dilemmas for Moral Reasoning]을, 학습평가방법으로 레스트[J. Rest]의 도덕 판단력 검사법[DITDefining Issues Test])을 제안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module that is used in the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Many universities across several countries have not yet incorporated bioethics into their curriculums. We believe that introducing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Casebook Series in universities will provide an incentive to include such a module in study programs, thus offering a strong foundation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biomedical ethic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 how they introduced teachers and students to the UNESCO-Bioethics Core Curriculum, based on the 2005 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 and then examined the model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provided in the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Casebook Series. As per the curriculum,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teaching module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four elements: objective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의료윤리학 교육에 대한 한의대생의 인식과 경험

        박선주,최은지,김송이,Park, Sunju,Choi, Eunji,Kim, Song-Yi 대한예방한의학회 2018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22 No.2

        Objectives : Recently, the interest on medical education in flipped learning has been grow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also required through changes in teaching methods within the Korean medicine education. In this study, flipp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medical ethics' clas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from the Korean medical student's perspective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on 15 preparatory course freshmen students who took the 'medical ethics'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year 2017 at 'A' University. The study was proceded in two steps; 1) fill-in the questionnaire twice (before and after the class), and 2) in-depth interview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1^{st}$ questionnaire in the first step was consisted of 'Experience on flipped learning before the class', 'Which section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 do participants have expectation', 'Interest and expectation on flipped learning'. In the $2^{nd}$ questionnar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Which section of the flipped learning section that the learning effect was maximized', 'Association between 'flipped learning' method and 'Medical ethics' course' with 5-point Likert scale and frequency.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flipped learning method works very effectively in the 'medical ethics' course (63.6%). After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 in a attitude of the class (72.7%). However, this teaching method might be inappropriate for participants who had difficulties in pre-learning or a passive attitude and lecture-centered instruction (LCI) classes. Conclusions : Though applying flipped learning method to the 'Medical Ethics' was effective, to make pre-learning better, the instructors should prepare countermeasures for passive participants, help interact well among the participants, and plan a lesson thoroughly for changing LCI classes to student-centerd instruction(SCI).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간호윤리교육의 효과

        유명숙(Yoo Myung-Sook),손기철(Shon Ki-Cheul) 한국생명윤리학회 2012 생명윤리 Vol.12 No.2

        본 연구는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도덕적 민감성,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간호윤리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2개 4년제 간호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실험군 65명, 대조군 52명이며,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하였다. 총 12차에 걸친 간호윤리교육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생명의료윤리의 식과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판단력의 P값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도덕 판단력의 4단계 점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도덕 판단력 외에도 간호윤리교육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와 교수기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nursing ethics education. Participants were 11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65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52 student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12 weeks after the nursing ethics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moral sensitivity, and P scores of moral judgment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contrar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4 stage scores of moral judgment. Therefore, in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dicators and teaching method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

        박소연,박경영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특성과 자존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 간에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의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을 포함한 대학생 651명으로 생명윤리의식과 자존감에 대해 2015년 5월 2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존감은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이 높은 대학생이 생명의료윤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의 생명의료윤리 인식을 비교한 결과 생명공학을 제외한 안락사, 뇌사 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f correlation of characteristcs of bio-medical ethics and self-esteem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compare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between health science and non-health science undergraduate students. We investigated bio-medical ethics and self-esteem of 651 undergraduate students including health science students and non-health science students for two weeks in May,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io-medical ethics. The higher self-esteem, the more important bio-medical ethics. But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bio-medical ethics about brain death, euthanasia except biotechnology.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 후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김지연(Kim, Ji-Yeon)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9 젠더와 사회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 전, 후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J시에 소재한 일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253명(임상실습 전 2학년 127명, 임상실습 후 4학년 12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4월 2일부터 6월 1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생명의료윤리 의식 평균점수는 2학년 2.97점, 4학년 2.88점으로 임상실습 전 2학년이 유의하게 높았다(p=.003). 세부항목으로는 태아생명권(p=.000), 인공임신중절(p=.000), 신생아생명권(p=.001)에서 2학년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임상실습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며 간호대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whether the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fluence their ethical value and, to determine what factors influence the understanding of biomedical ethic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a total of 253 nursing students(127 second-year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and 126 four-year nursing students after clinical practice) from J city were selected.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 reported questionnaire filled from April 2 to June 16, 2016.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When the difference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second-year nursing students and four-year students were compared, second-year nursing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2.97 for second-year, 2.88 for four-year, p=.003). second-year nursing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he following areas: Right life of fetus(p=.000), Artificial abortion(p=.000), Right to life of newborn(p=.001).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and developed of education program in biomedical ethics for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