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 환자용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 개발(2)

        박경영,이충휘,정민예,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1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실정에 맞는 뇌졸중 환자용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만드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의 일상생활 평가항목들을 수집한 후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낮춘다고 지적된 바 있는 항목들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작업치료 전문가 집단에 의뢰하여 이 평가목록 중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평가항목으로서 부적절한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34개 항목으로 서울에 소재한 병원급의 근무하고 있는 임상경력이 3년 이상인 27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Q표본분류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치료하고 있는 환자들을 고려한 중요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조사를 통해 얻어진 Q점수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순위가 낮은 10개 항목을 삭제하였다. 이로써 하위항목을 포함하여 29개 평가항목으로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구성하였으며, 주변인의 도움 정도(%)로써 채점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평가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를 조사하여 신뢰도가 낮은 5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남은 항목을 수정한 뒤 검사자간 신뢰도를 재조사한 결과 0.75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뇌졸중 외래환자 72명을 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을 함으로써 설명력이 99.0%인 항목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입원환자와 달리 외래환자의 경우 ‘용변을 보기 위해 옷 벗고 다시 입기’, ‘방바닥, 침대에서의 기능적 이동성’, ‘신체 각 부위에 대해 비누질 한 후 씻고 수건으로 닦기’, ‘자동차로 옮겨 앉기’ 항목이었다. 또한, 각 평가항목에 대해 다중회귀 계수의 비를 구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외래환자는 ‘실내보행’ 항목에 4배, ‘자동차로 옮겨 앉기’, ‘양치질하기’, ‘적절한 식사도구 사용하기’의 3개 항목에 3배, ‘신발, 양말 신고 벗기’ 항목에 2배의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총점의 범위가 0-80점에 해당하는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완성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평가도구의 평가항목간 내적 일치도는 Cronbach α계수가 0.93이었다. 앞으로 본 평가도구에 대한 공인타당도, 구성타당도 연구 그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연구가 필요하며, 뇌졸중 환자 집단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o develop a basic ADL instrument for persons with stroke, reflecting our cultural values. Methods : The ADL instrum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previously were gathered, excluding the ADL items, which lowere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 surveyed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 values of basic ADL with a total of thirty-four item cards. The value of ADL was measured by Q sorting technique. And seventy-two outpatients with stroke were evaluated to gain final items selection and weighted items. Results : Ten items for outpatients were selected. For outpatients, functional ambulation at indoor was weighted to four times; ‘transferring to car’, ‘brushing teeth’, and ‘using proper utensils’ were weighted to three times, and ‘dressing and undressing shoes and socks’ was weighted to two times. Conclusion : We developed a basic ADL instrument for outpatients and the range of score of each instrument was 0~80. The internal consistency for outpatients was high(Cronbach α=0.93). However, further study requires the concurr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present ADL items.

      • KCI등재

        정책 입안자의 편향에 대한 투명성이 정책 전문가의 정보 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경영 한국응용경제학회 2015 응용경제 Vol.17 No.4

        본 논문에서는 정책 전문가가 정책 입안자의 편향의 방향과 크기에 대해 불확실성을 갖는 상황에서의 전략적 정보 전달을 분석한다. 또한 정책 입안자가 자신의 편향을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는 투명성 정책 하의 사회적 후생과 그러할 의무가 없는 상황에서의 사회적 후생을 비교ㆍ검토한다. 분석 결과 먼저 정책 입안자가 작은 편향을 가졌을 확률이 큰 경우에는 투명성 정책이 경기자들에게 더 높은 기대보수를 가져다준다. 반면 정책 입안자가 큰 편향을 가졌을 확률이 큰 경우에는 비공개 정책이 경기자들에게 더 높은 기대보수를 가져다준다. 한편, 정책 입안자의 편향의 기댓값의 절댓값이 두 편향의 절댓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항상 비공개 정책이 경기자들에게 더 높은 기대보수를 가져다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strategic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an unbiased policy expert and an biased policy maker. We compare mandatory disclosure of the bias and non-disclosure. When the policy maker’s expected value of bias is in the middle of two bias values, mandatory disclosure allows for higher expected payoffs for both parties for higher probability of small bias. But for lower probability, non-disclosure leads to higher expected payoffs. Meanwhile, when the policy maker’s expected value of bias is less than two bias values, mandatory disclosure leads to lower expected payoffs for both parties.

      • 용인와이페이 성과 분석

        박경영,김남현,김의성 한국지방재정학회 2020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Vol.2020 No.7

        본 논문에서는 2019년 4월 22일에 도입된 용인와이페이의 성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를 용인와이페이의 주요 성과로 보고 이 성과가 잘 달성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첫째, 용인와이페이로 인한 용인시 소상공인 총매출액 증대효과를 분석하여, 용인와이페이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분석한다. 둘째, 연매출액 10억원 이상 점포와 10억원 미만 점포간의 소득격차 감소 분석을 통하여 용인와이페이로 인하여 용인시 소상공인들 간에 상생발전 가능성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용인와이페이 폐지 및 할인율 상향에 따른 연매출액 10억원 이상 점포의 매출액은 용인와이페이가 폐지될 경우(매출이 8.86% 감소)가 할인율이 상향될 경우(매출이 6.96% 증가)보다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 연매출액 10억원 이상 점포는 용인와이페이 할인율 상향으로 인해 순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긍정적인 측면으로서 용인와이페이 도입은 사회적 공평성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매출액 10억원 이상 점포와 10억원 미만 점포 간의 상생발전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용인와이페이의 도입으로 인해 소상공인 전체 총매출 증가세가 둔화되어 사회적 후생은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65세 이상 노인의 참여활동수준과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박경영,신수정,Park, Kyoung-Young,Shin, Su-Jung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들의 참여활동수준과 ICF에 기반한 기능장애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ACS)와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척도 2.0(WHODAS 2.0)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여활동수준에 대한 조사결과, 도구적 일상생활 영역이 75.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WHODAS 2.0 하위영역 중 사람들과 어울리기, 사회참여 영역에 어려움이 가장 많았고, 자기관리와 일상생활활동에서의 어려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참여활동 보유율과 기능장애에 대한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사회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의 참여활동수준, 직업상태(은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참여활동수준이 기능장애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표준화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and functional disability based on ICF for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Subjects were 100 senior citizens. We performed data collection using Korean Activity Card Sorting(KAC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WHODAS 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activity participation levels, retained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of instrumental activity was highest at 75.06%. Among the WHODAS 2.0 sub-domain, 'getting along with people', 'participation in society' had the most difficulties and 'self-care', 'life activities' were the lowest.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y retention rate and functional disabilit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functional disability were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of social activity, instrumental activity and main work(retirement). We confirmed that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was important factor on functional disability. Further, we need standardization study for generalization.

      • KCI등재

        뇌졸중 환자용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 개발(1)

        박경영,이충휘,정민예,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 To develop a basic ADL instrument for persons with stroke, reflecting our cultural values. Method : The ADL instrum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previously were gathered, excluding the ADL items, which lowere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 surveyed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 values of basic ADL with a total of thirty-four item cards. The value of ADL was measured by Q sorting technique. And ninety-eight patients with stroke were evaluated to gain final items selection and weighted items. Results : Ten items for inpatients were selected. For inpatients, functional ambulation at indoor was weighted to four times; the excluded items using proper utensils, and cleaning mouth were weighted to two times. Conclusion : We developed a basic ADL instrument for inpatients and the range of score of each instrument was 0∼80. The internal consistency for inpatients was high (Cronbach α=0.94). However, further study requires the concurr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present ADL items.

      • KCI등재

        척수손상환자 독립성지수 III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III)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박경영,정이정,김정희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3

        목적 : 본 연구에서는 SCIM III를 국내에 소개하고 SCIM III의 검사자간 신뢰도와 타당도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척수손상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두 명의 검사자가 SCIM III을 시행하여 검사자간 일치율과 Kappa계수를 통하여 검사자간 신뢰도를 제시하였고, SCIM III과 더불어 FIM평가를 동시에 실시하여 그 상관관계를 제시함으로써 공인타당도를 구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SCIM III의 두 검사자간 일치율은 67%이상이었으며, 19개 세부항목 중 16개 항목은 80%이상이었다. 또한 SCIM III에서 Kappa 계수의 범위는 .62~1.00이었다. 첫 번째 검사자와 두 번째 검사자에 의한 SCIM III와 FIM 총점간 상관계수는 각각 .97, .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척수손상환자의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한 SCIM III의 검사자간 신뢰도와 공인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검사-재검사 신뢰도, 문항의 난이도와 척도의 적합성을 확립한다면 앞으로 국내에서 SCIM III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박경영,유은영,정민예,수현,이재신,소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3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만 3∼5세 일반 유아 162명과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 204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번역판 감각프로파일의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라쉬 분석을 실시하여 단일차원모형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에서 23개 항목이 부적합 항목으로 판정되었고, 항목의 난이도 분석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난이도가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분석결과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난이도를 높인 새로운 평가항목과 3점 척도를 사용하여 한국형 감각프로파일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sory Profile in a sample of children diagnosed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 Methods : Parents of 162 normal children and 204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between the ages of 3 and 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sory Profile was investigated using Rasch analysis. Rasch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unidimensionality, item difficulty, and validation of the rating scale. Results : The results of Rasch analysis showed that 23 misfit items and item difficulty of the Sensory Profile was lower than the sensory processing level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As such, items of high-level of difficulty are needed as new items of the Korean Sensory Profile. A 3-point rating scale of the Sensory Profile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than the original 5-point scale. Conclusions : Finally, 4 items on the sedentary factor and 23 misfit items were eliminated, then the 5-point rating scale was converted into a 3-point rating scale.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linical utility of the Korean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 New items of a high-level of difficulty and new cutoff values using a 3-point rating scale is needed.

      • KCI등재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중 쓰기 항목의 국어 문장간 비교연구

        박경영,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0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1

        Objective: To test appropriateness of writing subtest translated into Korean. Method: Fourty-fiv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ime spent on each sentence was measured for both hand. We performed Repeated Measure as a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hen the averaged time spent on each sentence was compared, the second and the fourth sentences were longer than the first and the third sent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spent to write each sentences with nondominant hand, but not with dominant hand. For the nondominant hand, the result of contrast tes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second, third sentences, but not in the fourth sentence. Conclus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spent in writing the four sentences. Because equivalent time duration represents the validity of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a modification of the test is recommended.

      • KCI등재

        번역판 Sensory Profile의 내용 타당도 연구

        박경영,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번역판 Sensory Profile에 대한 전문위원회의 검토와 번역 문항이해도 검증을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우선 전문위원회의 면밀한 검토가 이뤄졌으며, 이후 문항이해도를 조사하였다. 3인으로 구성된 전문위원회는 원문과 번역판 Sensory Profile 평가도구를 비교하여 문장 표현과 의미를 검토하였고, 자녀를 둔 부모 33명과 임상경력 1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42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번역판 Sensory Profile의 문항이해도를 평가하였다. 각 항목별 응답자의 80% 이상이‘보통(3점)’이상으로 응답한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은 수정해야 할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전문위원회에서는 1차 검토 결과 부적절한 어휘 혹은 문법상 오류가 있는 37개 항목을 수정할 것을 제안하였고, 2차 검토에서는 13개 항목, 3차 검토에서는 3개 항목 수정을 권고하였다. 전문위원회에 의해 수정된 Sensory Profile에 대한 부모와 치료사간의 문항이해도를 비교한 결과 부모집단은 응답자의 87.9~100% 가‘보통(3점)’이상으로 응답하여 수정해야 할 항목은 없었다. 작업치료사의 경우 문항이해도는 2개 항목(75번, 101번)을 제외하고 나머지 문항은 응답자의 83.3% 이상이‘보통(3점)’이상으로 응답하였다. 최종적으로 2개 항목은 전문위원회의 검토를 통하여 수정하였다. 결론 : 번역판 Sensory Profile은 부모집단과 치료사집단의 문항이해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 문항이해도 측면에서 읽기 쉽게 표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전문위원회 검토를 통하여 일부 항목을 수정함으로써 내용 타당도를 높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