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헬스케어를 위한 TMO기반의 액티브 모델

        윤영민(Young-Min Yoon),정창원(Chang-Won Jeong),주수종(Su-Chong Joo)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3 No.5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되었던 u-헬스케어지원 분산 프레임워크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헬스케어 홈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적응형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티브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실시간 헬스케어 홈서비스에 적용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홈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환경과 헬스케어를 위한 센서, 장치 그리고 기기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타 및 가공된 정보를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 구축된 헬스케어 데이타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하며, 서로 다른 주기적인 특성을 해결하기 위해 TMO 스킴을 이용하여 액티브 모델을 구현하였다. 특히, 분산 객체그룹 프레임워크(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DOGF)를 기반으로 u-헬스케어를 지원하기 위한 분산 프레임워크와 다양한 헬스케어 홈서비스 간에 적응형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끝으로 본 모델을 헬스케어 모니터링 서비스에 적용하여 수행 결과 및 성능 평가를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ctive model based on the 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 which provides adaptiv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o support it to various Healthcare home service. And we applied it to Healthcare home service. This proposed model provides information that collected from physical environment of the home network and sensors for healthcare service according to situation of the user. We uses information of the healthcare information database which was constructed previously, and we uses TMO scheme for to solve each other different periodic quality. We uses information of the healthcare information database which was constructed previously, and we uses TMO scheme for to solve each other different periodic quality. Specially, We wrote about interaction of various Healthcare Home services for adaptive information services, and wrote about u-healthcare framework based on DOGF. Finally, we apply active model to healthcare monitoring service, and we showed its result and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헬스케어 홈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응용 서비스 구현

        이충섭 ( Chung-sub Lee ),정창원 ( Chang-won Jeong ),주수종 ( Su-chong Jo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8 No.1

        본 논문은 헬스케어 홈 환경에서 얻어진 정보를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헬스케어 홈 서비스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둔다. 특히, 본 논문에서 우리는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설계 및 이전에 우리가 개발한 헬스케어 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FSHIS)상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다. 헬스케어 정보는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의 특정 저장타입에 맞추어 설계하였고, 헬스케어 홈 서비스의 사용목적에 따라 구축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는 실제 스키마를 가진 기본 정보와 뷰 스키마로 제공되는 상황정보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기본 정보는 물리적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건강, 환경관련 가공없는 데이터와 개인 건강관련 프로파일 정보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의 상황정보는 기본 정보들을 이용하여 혼합 가공한 정보이다. 이 상황정보는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뷰 스키마를 통해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구축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의 실질적인 활용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는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FSHIS상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독거노인을 위해 생활 활동 영역으로 부터 필요한 기본정보와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응급상황 호출 그리고 홈 가전 제어 등의 헬스케어 홈 모니터링 서비스를 보였다. This paper is to construct a healthcare database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healthcare home environments, and use this one for healthcare home services. Especially, our researching focus in this paper is how to design healthcare database scheme and how to use this constructed database on the Framework for Supporting Healthcare Integrated Service(FSHIS) we developed previously. Healthcare information is designed to database schemes in accordance to the specific save types of the data collected from various typed-sensors. The healthcare database constructed by using this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healthcare home services is divided into the base information with real schemes and the context based information with view schemes. Firstly, the base information includes low data obtained from physical sensors relevant to locations, healths, environments, and the personnel healthy profiles. The other is the context based information that is produced and fused by using the based information. This context based information might be got via various view schemes according to healthcare application services. Finally, for verifying the practical use of healthcare database constructed in this paper, Via interconnecting this database to our FSHIS, we show an example of healthcare home monitoring service using information (basic and context based information), emergency call, home appliance control, and so on needed from living activity area for elderly living alone.

      • KCI등재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에 관한 연구

        Zekun Zheng(鄭澤坤) 한국정책과학학회 2015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9 No.3

        현대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면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도 우리 삶과 밀접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에 관한 연구로서 건강신념모형(HBM)과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 이론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건강행위와 기술적인 특성에 맞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의 수용에 관련 사용자의 이용의도와 실제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이용의도를 매개변수로써 실제 이용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기존 UTAUT모델에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로 검증된 4개의 변수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에 건강신념모형에서 정의된 ‘질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 ‘질병에 대한 민감성 인식’ 그리고 ‘지각된 장애요인’을 추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 사용자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정규성 검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에 따라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측정모형의 타당성은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모든 측정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모형에 부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수정지수를 이용해서 제안모델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고 수용이 가능한 수준에서 구조적 관계가 성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기본 가설들을 검증하였고, 이용의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MOS에서 Bootstrap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적 영향’과 ‘질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이용의도에 대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촉진조건’, ‘질병에 대한 민감성 인식’ 그리고 ‘지각된 장애요인’이 실제이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영향’과 ‘질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은 매개변수인 이용의도를 통해 실제 이용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선행연구와 달리 UTAUT모델을 기반으로 건강신념모형의 핵심변수가 외부변수로 결합된 새로운 연구모형을 만들어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함에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증대와 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방안과 고도화 추진 정책, 헬스케어 개발 기업의 지원 정책 등 실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기업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영업전략, 지원 전략 그리고 개발전략 등 기업 활동전략 수립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With the growth in smartphone users, mobile application is increasingly closely linked to our life. As the aging population is on the rise, people are attaching more and more importance to health. This also enlarges the demand for health care application. Focusing on health care application and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fforts were made in the paper, by literature review, to study the health behavior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application. Targeted analysis was made of relevant factors, in an attempt to ascertain whether these factors exert any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and actual using behavior of user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Besides, with the intention to use serving as medium variables in the paper, efforts were made to study whether there was any factor indirectly influential to actual us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paper: the addition of HBM’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arriers’ while testing the UTAUT model core variables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hich were influential to the intention to us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based on smartphone us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erved as the primary research approach.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hypothesis testing, technical statistics and analysis, relevant factor analysis, test of norma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mong all variables with SPSS. Then deterministic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MOS based on two-step approach.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odel adequacy inspection, the model-inspection adequacy was classified into centralized adequacy and discriminant adequacy. The inspection results showed that all the inspection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odel met the essential requirements. With the adoption of practice index, the model fitness improved. Besides, assumptions presented in the paper were analyzed with SEM, and tested with the Bootstrap approach of AMOS by using the media effect of inten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Social Influence’ and ‘Perceived Severity’ had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Facilitating Conditions’,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Barriers’ affected the actual use. ‘Social Influence’ and ‘Perceived Severity’ exerted an indirect influence on actual using behavior through the medium variable ? the intention to use. The paper is of referential significance,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HBM core variables were introduced into the paper, based on UTAUT model, as exogenous variables for the first time, and used as a completely-new integrated model to ascertain which factors would affect the use of health care application. Besides, with the rise in people’s concern about health care application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arke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aper can be used by enterprises to collect marketing and development strategies. Also they can be used by governments as reference for the promotion and policy-making of health care application.

      • KCI등재

        DOGF 기반의 모바일 프락시를 이용한 u-헬스케어 상황정보 시스템

        정창원,안동인,강민규,주수종,Jeong, Chang-Won,Ahn, Dong-In,Kang, Min-Gyu,Joo, Su-Ch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5 No.3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 홈 서비스를 위해 가정 내에 설치된 센서/기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건강 그리고 쾌적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지원하는 u-헬스케어 상황정보 시스템(HCIS)을 구현했다. HCIS는 분산자원의 맞춤형 관리모델인 분산객체그룹프레임워크(DOGF)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홈 환경에서 다양한 상황정보, 응용 그리고 장치들을 논리적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그룹화하고 관리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DOGF의 구성요소인 모바일프락시와 컨텍스트제공자를 통해 가정 내 거주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연속적인 헬스케어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거주자에게 필요한 상황정보를 제공한다. 본 시스템의 수행성을 검증하기 위해 홈 내에서 제공되는 헬스케어 응용으로 거주자 위치기반의 끊임없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처방 주의 및 스케줄 알림/알람 서비스를 구현했다. 그리고 시나리오에 따라 거주자가 위치한 영역의 서비스 장치를 통해 헬스케어 홈 서비스의 수행결과를 보였다. This paper implemented the u-Healthcare Context Information System (HCIS) supporting ubiquitous healthcare by using location, health and tit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sensors/devices equipped in home for healthcare home service. The HCIS is based on the 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 (DOGF), a management model which can customize distributed resources, and manages various context information, applications and devices as a group in healthcare home environment, as one more logical units. Also, this system provides continuous healthcare multimedia service considering a resident's location using Mobile Proxy, and the healthcare context information through Context Provider to a resident in home. For verifying execution of our system, we implemented the seamless multimedia service based on resident's location and the prescription/advice and schedule notification/alarm service as healthcare applications in home. And we showed the executing results of healthcare home service by using service device existed in the residential space on which the resident is located according to the healthcare scenario.

      • 라이프스타일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수용 영향요인 연구

        윤상현,강명수,이정훈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8 No.-

        헬스케어에 IT 기술이 접목되면서 획기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헬스케어 부문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웰빙에 대한 가치가 더해지면서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기 시작하였다. 전통 의료산업에서는 개별 소비자들이 스스로 의료시설을 찾아 서비스를 요청하여 제공받게 되는 구조로 서 산업 내에서 중요한 니즈는 소비자의 입장이 아니라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니즈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IT의 접목으로 인해 견고했던 의료산업 구조가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IT가 의료서비스 제공 수단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전반의 편리성, 이동성을 극대화시켰고, 이로 인해 언제, 어디서, 누구나가 의료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의료 산업 생태계의 중심이 의료 서비스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소비자가 헬스케어 서비스를 수용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라이프스타일이다. 라이프스타일은 활동영역, 관심분야, 태도 및 가치관 등에 의해서 구체화되고 집단적으로 차별화된 생활양식이다. 라이프스타일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어서 소비자의 전반적인 소비 성향에 대한 예측변수로서 매우 효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라이프스타일 개념의 유용성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마케팅 분야에서 다양한 시장을 세분화하는 기준이 되며 두 번째는 사회과학적 분야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수 이외의 현상을 설명하는 또 하나의 변수로서의 기능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의 라이프스타일 관련 연구는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 경영학 일반에서뿐만 아니라 가정학, 심리학, 신문방송학 등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이론적인 연구뿐만이 아니라 실무적으로도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마케팅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실제 기업 경영에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최근 최태원(2018)은 라이프스타일이라는 개념부터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세계의 성공한 라이프스타일 기업들, 그리고 소규모 샵들을 분석해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란 무엇이며 어떻게해야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로 성공할 수 있을지를 말하고 있다. 해당 저서에서는 IKEA, MUJI, LUSH, 일본 도쿄의 모리오카 서점 등의 사례를 제시한 후 어떤 라이프스타일에 소구하여 성공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중에서도 헬스케어 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맞춤화된 구성요인이 무엇이며 그 요인들이 현대 삶에서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과 관련해서는 여러 선행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는 메타분석 연구 방법을 사용해서 주요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수용에의 영향 정도를 실증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또한 헬스케어 서비스와 라이프스타일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본 연구들이 많지 않으므로, 이의 관계를 파악해 볼 수 있는 실증 연구도 수행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를 생산, 배포하여 커뮤니케이션하고자 하는 부분에 있어 보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부합되는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헬스케어서비스의 실용적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KCI우수등재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지속적 사용의도 영향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에 대한 분석

        기연수,안성만,조민국,최병구 한국전자거래학회 201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4 No.1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dop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s. However, few studies have paid their attention to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s even though success of healthcare applications is determined by Continuous usage intention rather than adop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empirically. In addition, the role of gender and age in the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inno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of healthcare application, while self-efficacy,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enjoy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showed positive impact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 Finally,age and gender had a moderator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contributions to the existing research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s, but also to give a guideline for managers who want to provide healthcare application services.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 및 도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공이 기술 수용이나 도입이 아닌 지속적 사용의도에 의해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있어 성별과 연령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자기효능감, 혁신성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지향, 즐거움은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은 지속적 사용의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성별은 유용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영자들에게 일정 정도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헬스케어와 보험업법상 쟁점 - 헬스케어서비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김영국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29 No.2

        국민건강보험은 의료진과 환자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 역할을 통해, 국민건강의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환자의 치료에 주안점을 둔 의료체계에 더하여 건강관리 및 유지와 같은 질병의 예방과 사후관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 조성되고 있다. 고령화의 진전으로 인해 제기되는 만성질환자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사회 구조적 상황에 직면하여 정보통신기술과 의료 빅데이터의 축적․분석 능력이 획기적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실손보험상품 판매 등 민영의료보험 영역에서는 국민건강보험이 수행해온 의료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일부 보완해 온 측면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보험업은 보험모집을 통한 보험계약이 중요한 사업 구조이고, 보험사고의 발생이후 보상 과정에서 의료진과 연계되는 상황이어서 보험가입자의 건강관리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었다. 그런데, 민영보험은 기본적으로 보험사고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더라도 치료를 효율적으로 할 경우, 보험금액을 줄일 수 있으므로 위험 관리 차원에서 헬스케어서비스를 제공할 유인이 존재한다. 금융당국도 이러한 점을 직시하고 건강증진형 보험상품의 출시를 장려하는 등 관련 정책도 추진하고 있어 긍정적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건강증진형 보험상품의 판매를 위해서는 의료법상 의료행위 해석 문제 및 의료정보 공유 문제, 신용정보법 시행령상 보험업의 해석범위 문제, 보험업법상 특별이익 제공금지 문제,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비의료인이 할 수 있는 건강관리행위의 범위에 대하여 해석의 방향과 의료법 개정 방안을 제언하였고, 의료정보의 공유와 관련하여 의료법의 개정은 물론 개인의 동의절차를 거친 정보에 대해서는 치료 또는 건강관리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 활용가능 하도록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단기적으로는 정보가 필요한 보험가입자에게 관련 개정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보험업의 범위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을 촉구하였고, 웨어러블기기 등을 활용한 보험상품의 개발과 모집에 숨통을 트여 주기 위해 이러한 기기에 대해서는 특별이익 제공금지 규정을 제한 적용하거나 배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앞으로, 헬스케어 분야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보험업 영역에서 인슈어테크가 활성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비대면 거래의 특성을 반영한 보험업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아울러 포지티브 방식에서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예외적으로 금지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규제체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규제체계의 변화는 다른 법령과 연계된 것이므로 먼저 금융당국이 관련 허가와 심사를 간소화하고 이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하며, 동시에 기존 법률의 개정 또는 신규 입법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 예컨대 규제 샌드박스 3법 등을 헬스케어서비스에 적극 적용하거나 건강관리서비스법의 신규 입법을 통해 헬스케어서비스가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Financial authorities have acknowledged the fact that private health insurance acts as a supplement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in turn, they have been working on to promote relevant policies. For instance, the launch of public-health-promoting health care insurance products has been promoted by them. Nevertheless, the actual sales of public-health-promoting health care insurance products are facing with various limitations, including the conflicts in interpretation of a definition of medical practices in terms of Medical Service Act, of a scope of insurance business, stated in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Credit Information Act and of a scope of prohibition on the offering of special benefits in Insurance Business Act as well as medical information sharing issues. Therefore, this article proposes the proper direc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a scope of medical practices allowed to be performed by non-medical personnel, and possible amendments to Insurance Business Act. and asserts the necessities of revision of Medical Act in terms of sharing of medical information and of other relevant Acts, including Privacy Act, to allow the use of medical information, of which the permission of its use is granted, within limited boundaries: medical treatment and/or health care. This article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spective interpretation of a scope of insurance business in order to provide of relevant information on the aforemen- tioned revision to insurance policy holders in need of such information, and states that the development and launching of insurance products using wearable devices could be promoted by limiting or excluding the prohibition of offering of special benefits in association with these devices. Considering that Insuretech would inevitably get active in most of insurance sectors as in health care sectors,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of insurance business, focusing on face-to-face transactions, should be changed to focus on untact transactions and from a positive method to a negative method, which is to allow in principle and to prohibit exceptionally. However, since the amendment of the regulatory system is closely associated with other regulations and Acts, it states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regulatory authorities to make efforts to simplify and speed up the examination and issuance of relevant permissions, and the revision of existing Acts and/or the legislation of new Acts should be made promptly. It is believed, for example, that the prompt application of the Regulatory Sandbox and of Health Care Service Act could be the foundation from which health care services could develop.

      • KCI등재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의 이용의사에 대한 이용 동기의 영향과 서비스 유형의 조절 효과

        김종필(Kim, Jongpil),송유진(Song, Eugene)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의 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이용 동기의 효과와 사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유형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신기술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이용 동기는 사용자의 잠재적 이용 동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헬스케어서비 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용 동기를 경제적 동기와 유희적 동기로 분류하고 모바일 헬스 케어 서비스의 이용 의사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바일 헬스 케어 서비스는 사용자 입장에서 실용재 또는 쾌락재로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식에 따라서 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 동기 요인이 달라질 수 있다는 조절 효과를 가정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고려한 구조 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고 확인적 요인 분석과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모형에서 경제적 동기, 유희적 동기, 지각된 위험이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희적 동기만 이용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적 동기와 지각된 위험은 전체 모형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유형의 인식에 따른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헬스케어서비스를 실용재로 인식하는 그룹에서는 이용의사에 대해서 경제적 동기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를 실용재로 인식하는 그룹에서는 사용자의 경제적 동기가 이용의사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밝혀져서 이용의사에 대해서 서비스 유형의 조절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쾌락재로 인식하는 그룹에서는 유희적 동기만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유형은 이용 의사에 대해서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use motiv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type that users perceive as a factor affecting the usage intention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In case of new technology service, user s usage motive determines user s potential use motive It is kn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Therefore, in this study, users motivation for mobile health service is classified as economic motive and delinquent motive, and the effect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on willingness to use is analyzed. In addition, the mobile healthcare service can be perceived as a practical or pleasure material for the users, and it is assumed that the use motiv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s perception. Constructive equation model considering causality between variables was constructe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conomic motivation, delinquent motivation, and perceived risk on the intention to use, motivational motivation and perceived risk were not significant in the whole model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service type, it was found that only the economic motive affects the willingness to use the service in the group that recognizes the health care service as the practical item. Therefore, in the group that recognizes the mobile health care service as a practical item, the economic motivation of the user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usage intention, so that the control effect of the service type is significant for the usage intention. In the group of perceived pleasure, only the delinquent motive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type perceived by the user in the mobile healthcare servic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 KCI등재

        헬스케어 모빌리티 디자인 융합사례에 관한 연구 -응급의료 이동 수단을 중심으로

        김지은(Kim, Jieun),노재승(Roe, Jae-se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본 연구는 급성장하고 있는 헬스케어산업과 헬스케어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모빌리티와 융합된 디자인의 발전 가능성과 가치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헬스케어(Health Care) 산업은, 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변화와 융합기술의 발전에 따른 지능화, 모바일화로 인한 헬스케어기기 및 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라 개인화 서비스가 강화되는 추세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 전통적인 병원 중심의 의료서비스는 현재 지역 및 커뮤니티에 기반을 둔 헬스케어 서비스로 다변화되고 있으며, 새로운 개념의 의료서비스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의료서비스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의 의료서비스의 변화와 함께, 일상적이고 자발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대기업을 중심으로 미래의 성장산업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분석을 통하여 헬스케어산업 및 헬스케어 디자인에 관한 개념이해 및 디자인 적용 분야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둘째, 앞서 탐구한 헬스케어디자인과 함께,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헬스케어산업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러한 개념을 모빌리티에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중심 인클루시브디자인 개념에 대한 이해와 건강관리 산업에서 중요한 이슈인 고령자와 이동성의 상관관계, 그리고 셋째로, 미래 모빌리티와 헬스케어 산업의 융합을 통한 가치와 관련 사례를 함께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을 비롯한 전 세계 주요 도시의 고령화와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증가와 함께, 자율주행 및 공유기반의 다양한 모빌리티 솔루션이 새로운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 헬스케어디자인과 모빌리티의 효율적인 융합은 고령자를 비롯한 다양한 의료서비스 수요자에 더욱 효율적인 의료혜택을 받게 함은 물론, 일상적이고 자발적인 건강관리를 요구하는 수요를 충족하며, 향후 헬스케어 및 모빌리티 솔루션 디자인 분야의 핵심분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healthcare and healthcare design and to explore the value and prospect of converging healthcare design and mobility solution design. The main issues of healthcare industry are the changing of population composition due to ageing society and focusing on personalised service thanks to rapid growth of mobile and ICT. In terms of changing circumstance of medical sector, the healthcare service, that was used to be accessible only at the general hospital, is now also available at local clinic and GP as well. Along with the rise of demand of healthcare service user and increase of life expectancy, the healthcare industry has currently regarded as one of the fastest growing industries. In this paper, firstly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health care industry and healthcare design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is industry. Second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principle of inclusive design has been explo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user cent red design approach in combining healthcare and mobility design, along with co-relation of mobility and elderly, and value of fusing mobility and healthcare design with related case studies. In conclusion,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where the ageing society, the rising demands about well-being is rising due to increase of life expectancy, the fusion of healthcare design and mobility solution could provide medical service to various users including elderly and physically impaired people and play a prominent role in healthcare and mobility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

        헬스케어 디바이스 제품 특성과 서비타이제이션 사용가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쾌락적 가치의 매개효과

        김충건,송종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1 마케팅논집 Vol.29 No.3

        최근 전 세계 스마트 폰의 보급률이 확대되고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스마트폰 판매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어 IOT 산업을 이끌어갈 신성장 동력 및 4차산업 시대를 이끌어갈 새로운 산업의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건의료 분야인 헬스케어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헬스케어 산업 분야 내에서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제품의 개발 및 판매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헬스 케어 디바이스 제품의 생산 및 소비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소비자 측면에서 헬스케 어 디바이스 제품의 특성(정확성, 가시성)과 서비타이제이션 사용가치 특성(지식, 접근성, 관계성, 가격) 이 쾌락적 가치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적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서비타이제이션 사용가치 특성인 가격 만이 쾌락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정확성, 접근성, 관계성, 가격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수인 쾌락적 가치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헬스케어 디바이스 제품의 생산 및 소비 확산을 위해서는 쾌락적 가 치를 고려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growth of smartphone sales has slowed as the global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has expanded and markets have entered maturity. As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lead the IOT industry, the healthcare industry is drawing attention,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selling healthcare device products in the healthcare industry is rapidly rising.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healthcare device product characteristics(accuracy, visibility) and servitization value characteristics(knowledge, accessibility, relativity, price) on purchase intentions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pread of healthcare device products, and conducted empirical surveys on potential users.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only pricing, the value-of-use characteristic of servit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hedonic values. Second, accuracy, accessibility, relationship and price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 intention of purchase. The third parameter, hedonic value, is investiga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and product development should take into account hedonic valu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