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문형호스피스 시범사업 성과평가 및 건강보험 적용방안 연구

        박영택,오주연,신양준,이다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 2020 연구보고서 Vol.2020 No.0

        배경: 보건복지부는 2017년 8월 14일부터 말기환자를 대상으로 일반병동에서 호스피스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문형호스피스” 시범사업을 시작하였다. 자문형호스피스는 일반병동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독립적 병동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원형호스피스”와 차이가 있다. 그 동안 이 시범사업을 평가한 어떠한 연구도 없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문형호스피스 시범사업을 평가하고, 건강보험시스템 적용을 위한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결과: 2019년 12월 31일 현재 27개 병원이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2년 반 동안 총 7,910명의 환자가 자문형호스피스를 이용하였다. 시범사업을 구조, 과정, 결과적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구조적 관점에서, 시범사업기관은 지역적 불균형이 있었지만, 인력기준, 관리체계, 교육체계, 수가 등은 평균이상의 적정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과정측면에서, 2019년도의 평균입원일수는 19.1일 이었으며, 의료기관종별, 의료보장 유형별 재원일수의 차이는 없었다. 호스피스서비스 이용을 위한 대기시간은 자문형이 입원형에 비하여 짧았다. 반면 초기상담 후 등록거부율은 47.8%로 높았다. 자문형호스피스 서비스의 제공은 원활하였으나, 환자의 병동 주치의와 자문형주치의간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암환자 이외의 환자비율은 1.5% 수준으로 낮았다. 자문형과 입원형 환자 중 생애 첫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자문형호스피스 환자의 비율(입원과 외래)은 약 25.2%이었다. 결과측면에서, 환자당 총진료비와 환자1일당 진료비는 각각 약 900만원과 45만원이었다. 사망1~6개월의 입원진료비는 자문형이 입원형보다 높았지만, 암환자보다는 낮았다. 사망1~6개월의 모든 진료비는 자문형이 입원형과 암환자보다 낮았다. 자문형호스피스 프로그램은 환자가 호스피스를 조기진입하도록 하는 것에 효과가 있었다. 자문형호스피스 입원환자의 입원 후 7일 이후 통증정도는 크게 낮아졌다. 그러나 자문형호스피스 환자가족 및 국민의 자문형호스피스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입원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자문형호스피스의 효율적 건강보험적용방안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대안이 필요하다. 첫째, 정부는 지역적 불균형을 없애기 위하여 자문형호스피스 제공기관을 늘려야 한다. 둘째, 완화의료와 자문형호스피스를 포함한 호스피스 돌봄이 잘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전달체계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는 자문형호스피스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며, 질 평가 결과에 따른 수가적인 인센티브를 주도록 한다. 질 평가는 환자와 그 가족의 경험평가를 주로 반영하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호스피스서비스 제공의 구조와 과정 평가결과를 고려토록 한다. 넷째, 정부는 2~3개의 수가항목을 신설 또는 기존 수가를 조정하도록 한다. 대표적인 예로, 사전상담료의 신설과 임종실료의 수가를 현실화(인상)하는 것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자문형호스피스 돌봄 지침 표준화, 호스피스 데이터 공유 및 서비스질 개선을 위한 사용, 정책지원에 대한 거버넌스의 개발 등이 필요하다. 토론: 자문형호스피스 시범사업은 비용이 다소 높을 뿐 구조, 과정, 결과적 측면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시범사업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은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의 통합, 일반급성기 병동에서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현재의 모델에서 오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정부는 호스피스와 완화의료가 각각 독립 및 상호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향으로 정부가 정책을 만든다면 말기환자를 위한 호스피스와 완화의료서비스의 질은 크게 향상될 것이다. Background: On August 14, 2017,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of South Korea implemented the Consultative Hospice Care (COHC) for terminally ill patients in the acute-care wards. COHC is different from the hospice care provided in the Independent Hospice Unit (IHU) in that COHC was offered to those in acute-care wards.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evaluated this pilot project. Objective: To evaluate the COHC project and to review application potential and method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NHIS). Results: There were 27 hospital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s of December 31, 2019. A total of 7,910 patients received COHC for 2.5 years. This study evaluated the project in the standpoints of structure, process, and results. As for structure, although accessibility to COHC varied upon regions, the level of appropriateness on staffing, governance, training system, and fee schedule showed above the average. Regarding process, average length of stay of COHC patients was 19.1 days which did not differ by type of hospitals nor type of insurance status (NHIS or Medical Aid). Waiting time for COHC was shorter than those of IHU. Denial rate of registrating COHC after initial consultation was 47.8%. Although the delivery of COHC was well processed, some communication difficulties were observed between attending physicians of acute-care unit and those in COHC program. Percent of non-cancer patients was as low as 1.5%. Among COHC and IHU patients who used hospice care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ir entire life, COHC inpatients took up 21.3% of all patients. For result perspective, total healthcare expenditure (HE) and daily health expenditure of COHC per patient were approximately KRW 9 million and KRW 450,000 respectively. Inpatient HE of COHC per patient before 6-month death was higher than those of IHU, but lower than that of cancer patients. Both total and daily expenditure of COHC per patient were much lower than IHU and cancer patients. The COHC program was effective on early entry of terminally ill patients to a hospice program. Patient pain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7th day from admission to COHC. However,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low among patient’s family and general public using COHC program compared to that of IHU. There are a set of prerequisite to cover COHC under NHIS efficiently. First,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COHC providers to reduce accessibility imbalance by region. Second, current healthcare delivery system needs to improve connectivity to palliative medical care and hospice care including COHC. Third, the government should introduce evaluation program to COHC and provide financial incentives to high-performing hospice providers upon the result. The quality assessment should reflect experience of patients and their family as the main input, and additional evaluation item should include th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of hospice service.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add a few new items to the fee schedule and/or adjust existing fees. To name a few, pre-consultative service fee can be newly introduced, and rate on the use of bereavement room in hospitals should be increased. Last but not least, other necessary items include standardization of COHC practice guideline, sharing and utilization of hospice data for quality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governance for policy support. Discussion: Although the HE of COHC was higher than those of IHU, overall performance level of COHC project was successful in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Observed issues were predicted given the integration of palliative care and hospice care, and delivery of hospice services in acute-care setting. Thus, the government needs to prepare policies to allow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o develop independently, yet in a mutually beneficial way, so that the quality of care can improve significantly in both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KCI등재

        국내 가정 호스피스 운영 실태

        박재순,윤수진,정연,Park, Chai-Soon,Yoon, Soojin,Jung, Y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가정 호스피스 기관의 서비스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가정 호스피스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가정 호스피스의 표준 설정과 제도화, 다양한 호스피스 유형들의 연계 체계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2011년 5월을 기준으로 확인된 호스피스 기관 166개 중 의학적 돌봄을 포함하는 가정 호스피스를 운영한다고 응답한 29개 기관 전수의 질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대상 기관 중 호스피스 입원 병실이 있는 경우는 51.7%, 순수 가정형은 34.5%이었다. 팀 구성원은 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각각 62.0%, 62.1%, 팀 구성원의 방문은 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각각 평균 8.84회와 6.0회, 팀 회의는 월평균 2.65회, 비용은 대부분 무료로,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방법에는 개인의 기부가 가장 많았다. 하루 평균 방문 환자 수는 평균 2.46명, 비암성 환자는 6.9%의 기관만이 돌보고 있었다. 58.6% 기관에서 협력의뢰를 위한 공식적인 체계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방문 범위는 44.8%에서 거리나 시간에 제한을 두고 있었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가족 상담과 서비스 연계가 가장 많았고, 가정 호스피스 의뢰방법은 환자 및 가족의 직접 의뢰가 51.7%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의료장비 및 물품을 갖추고 있는 반면 특수 장비는 부족하였다. 호스피스 전용병상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정부 및 공공기관의 후원으로 이루어지고 서비스 측면에서는 팀 회의, 통증조절, 증상조절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기관운영 장애요인으로는 재정문제, 인력부족, 호스피스 인식 부족의 순위를 보였으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수가제도화'라고 주장하였다. 결론: 현재 우리나라의 가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많은 제한이 있으므로 빠른 제도화와 서비스 표준 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home-based hospice care is provided in Korea. Methods: From July 2011 through August 2011, 29 hospice facilities that provide home-based hospice care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staff members, service programs, difficulties. Results: Among the surveyed, hospice care was hospital-based for 11 (37.9%) facilities, hospital-independent center-based care for four (13.8%) and home-based care only for 10 (34.5%). Near half the participants we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aregivers included nurses for 62.1% of the participants, volunteers 62.0%, pastors 44.8%, social workers 37.9%, coordinators 31.0% and doctors 31.0%. The facilities offered service programs such as family counseling (96.6%), transfer to other facilities (93.1%), psychological support (89.7%), bereavement support (86.2%), dying care (79.3%), clinical care (75.9%) and spiritual support (75.9%). The major obstacles were financial issues (24.1%), lack of trained staff (20.7%) and staff members' lack of awareness of home-based hospice care (13.8%). Conclusion: In Korea, home-based hospice care is provided by an insufficient number of facilities. Moreover, the service provide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trained staff,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 and staff's lack of awareness of home-based hospice ca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home-based hospice care facilities with consideration of even distribution across regions and standard staffing and service programs and develop related insurance policies.

      • 말기환자 부양자의 호스피스 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연구

        최명주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8 임상사회사업연구 Vol.5 No.3

        의학의 발달로 질병의 조기 발견과 수명의 연장은 가능해졌으나 말기환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말기환자들의 고통을 제거하고 편안한 삶을 유지시키기 위한 호스피스와 완화 의학의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호스피스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National Hospice Organization, 1996). 이 연구는 호스피스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구조 요인으로 개별 수퍼비전, 환자 대 직원 비율이 유의미하였다. 서비스 양에서는 교육, 간호, 영적 서비스, 서비스 질에서는 교육, 간호 서비스가 유의미하였다. 주요 요인 분석 결과 교육 서비스(질), 교육 서비스(양), 간호 서비스(질), 간호 서비스(양), 환자와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 호스피스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고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With advanced medicine, diseases can be detected early on and people’s life span can be extended. However, terminal patients are increasingly growing, and a need is naturally raised to secure hospice and foster palliative medicine in order to alleviate the pain of many terminal patients and help them remain comfortable. It is very important to verify the efficiency of hospice services (National Hospice Organization, 1996). An analysis of satisfaction factors for hospice workers programs suggested that as structural factors, individuals’ supervision and the ratio of patients to workers were significant. In the serv-ice quantity, education, nursing, and spiritual servi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in the service qual-ity, education and nursing services were significant. An analysis of major factors indicated that education service (quality),education service (quantity, nursing service (quality), nursing service (quantity), and rela-tions with patient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is order. The findings suggested what are the major satisfaction factor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aimed at boosting satisfaction over hospice social welfare services.

      • KCI등재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조사: 실무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고수진,김열,송미옥,최영심,최성은,조현정,허윤정,박명희,박선주,권소희,Koh, Su-Jin,Kim, Yeol,Song, Mi Ok,Choi, Youngsim,Choi, Sung Eun,Jho, Hyun Jung,Huh, Yun Jung,Park, Myung-Hee,Park, Seon Ju,Kwon, So-H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me hospice care status and problem in Korea, and ultimately to develop the home hospice standar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home hospice in Korea.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representatives of seven home hospice agency where have provided home hospice service for years was conducted. All of the participants agreed to the essential components for home hospice service including 24 hour on call service, multidisciplinary team visiting, and periodical team meeting. Visiting frequency was 1-3 times per week mostly by nurses. And they agreed requisitely to fulfill an office for home visiting nurses, storage space, and home visiting bags. The obstacles of providing home hospice were 1) no reimbursement system, 2) difficulties to change medication at home, 3) lack of inpatient beds for symptom control. Standardization of home hospice is critical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to develop reimbursement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to develop home hospice standards and guidelines. 본 연구는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도입방안 연구의 일부로 가정호스피스 기관들의 실태를 파악하여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별도의 인력을 배정하고 지속적으로 가정호스피스를 운영하고 있는 7개 기관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개방식 서면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기관들은 24시간 on call 서비스,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사목자를 포함한 호스피스팀 구성, 정기적 팀회의, 사별가족관리 등을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필수사항으로 여기고 있었고, 필수 시설은 방문간호사 사무실 및 물품준비 공간, 필수 장비는 방문용 가방으로 파악되었다. 방문을 가장 많이 하는 인력은 간호사였고, 가정방문서비스를 위한 전담인력을 두어야 한다는 데에 합의하였다. 가정호스피스 활성화의 장애요인으로 가정 호스피스에 대한 보험수가보상이 없어 팀원의 방문이 제한적이고, 집에서 처방변경이 어려우며, 24시간 주 7일 입원연계가 어려운 점, 가정 내 돌봄제공자가 없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점 등이 제시되었다. 가정호스피스 제도화를 위해 가정호스피스 서비스의 표준 개발은 매우 시급하고도 중요하며,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서비스 표준안의 초안 마련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 도입을 위한 국민 인식도 조사

        최정규,태윤희,최영순,Choi, Jung-Kyu,Tae, Yoon-Hee,Choi, Young-So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2010년도 인구센서스를 기반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는 15.9%였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 의향이 있는 대상자는 61.3%였다.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거주지역, 종교 및 민간보험 가입여부이다. 서울, 광주/전라, 부산/울산/경남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대한 인지도는 인천/경기에 거주하는 대상자에 비해 높았다. 종교를 보유한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종교를 보유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민간보험 가입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민간보험 미가입자에 비해 높았다. 결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국민과 의료진의 인식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요양기관과 지역사회 보건소가 일정 요건을 갖춘 호스피스 완화의료팀을 구성하여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법제화하고, 이를 건강보험 수가에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요양기관과 보건소가 가정호스피스 제공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중심의 가정 방문 호스피스 센터 설치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public perception of home-based hospice and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Between August 19, 2014 and August 30, 2014,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mail questionnaire that was filled by 1,500 adults who were over 20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mong the respondents, 15.9% were aware of home-based hospice care, and 61.3% were willing to receive home-based hospice c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o use home-based hospice services included residential district, religion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Respondents who lived in Seoul (OR: 1.56, 95% CI: 1.04~2.33), Gwangju/Jeolla province (OR: 2.02, 95% CI: 1.23~3.32), Busan/Ulsan/South Gyeongsang province (OR: 1.81, 95% CI: 1.17~2.82) were more well-aware of home-based hospice care than those who lived in Incheon/Gyeonggi province. The faithful were more informed about the services than those without non-faithful participants (Roman Catholics (OR: 2.03, 95% CI: 1.30~3.17), Protestants (OR: 1.76, 95% CI: 1.22~2.53). Participants who had a private health insurance plan knew more about the services than those without one (OR: 1.45, 95% CI: 1.03~2.04). Conclu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healthcare providers regarding home-based hospice care. The government should review a measure to institutionalize operation of a palliative care team at hospitals and community home-based hospice care centers.

      • KCI등재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민희(Minhee Jang),정태연(Taeyun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8 스트레스硏究 Vol.26 No.2

        이 연구는 호스피스 봉사 경험에 따른 삶과 죽음 태도 차이를 양적으로 검증하고, 호스피스 봉사를 통해 죽음을 직면한 후 변화된 삶과 죽음태도를 질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총 157명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봉사 유무에 따른 삶과 죽음태도를 측정하였으며, 이후 호스피스 봉사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하였다. 그 결과, 권력과 성취 등 자기중심적인 삶의 가치 추구는 호스피스와 관련이 없는 일반인이 가장 높게 보고하였지만 의미있는 삶의 요인으로 종교와 공동체는 호스피스 봉사자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게 보고하였다. 죽음 불안 역시 호스피스봉사자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질적 연구결과, 봉사 후 가족의 소중함과 이타적인 삶의 중요성을 느꼈으며, 죽음수용적인 태도 변화를 경험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호스피스 봉사 경험을 통한 죽음 직면이 자기초월적인 이타성과 공동체 지향, 종교적인 삶, 그리고 죽음 수용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hospice service experiences on the volunteers’ attitudes toward life and death. Methods: Study 1 examined differences in life and death attitudes between hospice volunteers, hospice service trainees, and lay people using one-way ANOVA. Study 2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0 hospice-patient care volunteers who had at least 3 years of experience. Results: After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of lay people, hospice trainees and hospice volunteers, both hospice trainees and hospice volunteers compared to lay people showed lower pursuit of power and achievemen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characteristic of people motivated to volunteer, rather than volunteering itself. However, only hospice volunteers reported highly of religion and community as factors of meaningful life. Also, the volunteer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ath anxiety compare to the group without volunteer experience. Result of qualitative study showed that people realized the importance of family and altruistic lifestyle and prepared their own demise in their lives after volunteering.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ces of hospice service may be associated with self-transcendent life and positive death attitudes.

      •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최명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 No.-

        현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고령화와 질병양상의 변화로 인하여 치유가능성이 없거나 죽음이 예견되는 말기환자의 수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관리할 시설이나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말기환자에 대한 프로그램과 시설의 증가와 함께 서비스 질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인간의 삶에 있어 삶의 질은 이제 웰빙(Well-being)과 함께 웰다잉(Well-dying)에 이르는 요구로 사회가 변화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할 때이다. 이에 이 연구는 점차적으로 필요성이 요구되어지는 호스피스와 호스피스 서비스의 질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한다. Today, due to aging population and diversified diseases, the number of terminally ill patients with no treatment possibility or death anticipated is increasing despite advanced medicine. However, facilities and programs to take care of these patients are very lacking. Therefore, increasing will be the importance of and need for programs and facilities for terminally ill patients as well as for their quality management. Therefore, society now needs to be prepared for both well-being and well-dying to enhance humans’ life quality. Against such a backdrop,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increasingly required hospice workers and their quality.

      • 호스피스 사회복지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여성사회복지사의 다학제적 역할

        김미연(Kim, Mi-Yeon)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8 젠더와 사회 Vol.29 No.-

        본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호스피스 관련 사회복지 분야 연구의 국내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호스피스 영역에서 여성사회복지사의 다학제적 서비스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술지에 등재된 호스피스 관련 사회복지 분야 연구의 국내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호스피스 영역에서 사회복지 서비스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 논문들은 연도별·주제어별·연구방법 등에 대해 분석틀을 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술지는 1990년대부터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학위논문은 2000년대 이후에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다. 둘째, 연구 주제별 동향은 개인 영역에서 정서와 관련된 주제어가 가장 많았고 환경 영역은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주제어가 가장 많이 연구 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가 질적 연구 보다 많았으며 특히 양적연구에서 상관관계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고, 조사연구가 다음으로 많았다. 질적 연구에서는 근거 이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은 문헌연구, 사회복지, 말기환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에서 여성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rends in the overall social welfare field research listed in domestic hospice related degrees and journals and to present the role and direc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the hospice field in the future. The research subjects set the framework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methods by year,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The first journal has been studied steadily since the 1990s, and has been active since the 200s. The thesis of the degree has been studied since the 2000s. Second, in the study subject, the most common theme related to emotion was in the individual author area, and in the environmental area, the theme of hospice service was the most.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significantly more significant than qualitative research, and correlation research was most active in quantitative research, followed by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showed a lot of ground theory.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many studies in the order of literature research, social welfare, and terminal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we proposed the role and direction of female hospice social workers in the future.

      • 일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

        김형철,김은숙,박광희,Kim, Hyung-Chul,Kim, Eun-Sook,Park, Kwang-H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3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입원 환자와 가족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4년 5월부터 10월 말까지 일 호스피스 병동에서 퇴원한 환자 76명과 가족 7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연령은 7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 진단명은 폐암이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 입원환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은 통증, 기운 없음, 식욕부진, 오심구토, 호흡곤란의 순이었고, 정서적 증상은 불안, 우울, 분노 순이었으며, 영적 증상은 신에게 의지하고 싶어함, 원목실, 성직자가 방문하여 종교의식을 원함 순이었다. 입원 환자의 요구도는 통증 조절, 통증 이외의 증상(구토, 호흡곤란, 복수 등)조절, 정서적 문제의 해결, 영적 문제의 해결 순으로 높았으며, 환자의 관심사는 본인의 건강관련문제, 혼자 남을 배우자에 대한 관심, 자녀의 장래문제 순이었다. 가족의 간호 요구도는 "환자의 상태 및 처치/간호에 대한 정보"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가족의 역할 알려주기", "영적 지지", "정서적 지지" 순이었다. 문항별로는 "환자의 예후에 대해 알려주는 것", "환자에게 행해지고 있는 각각의 간호가 왜 필요한지 알려 주는 것" 순으로 높았다. 가족들은 환자의 편안한 임종을 가장 높게 기대하였고, 서비스의 만족도는 자원봉사자 서비스가 가장 높았으며, 통증 조절, 간호사 서비스 순이었다. 결론: 의료인들은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실제적인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개별적인 대상자들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는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환자와 가족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ssess the needs of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provide basic data to meet with their need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using questionnaire method.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by mail from 76 discharged patients from a hospice ward from May until the end of October, 2004,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0.0. Results: Admitted patients had needs of pain control (85.5%), non-pain symptoms (63.2%) such as vomiting, dyspnea, ascites, etc, and emotional and spiritual problem solving (28.9%, 14.5%). Interests of patients were health care of himself/herself (65.8%), concern for their spouses left alone (32.9%), and future of their children (15.8%). In families' needs of care of 5 areas, "information on patient's status and treatment/nursing care" was shown most high score ($3.48{\pm}0.62$). In detailed questions, they request most 'to inform the prognosis of patients' and the next is 'to inform the reasons that nursing care was required'. The next highest score was to 'inform family roles' ($3.39{\pm}0.64$), and next was spiritual support ($3.11{\pm}0.79$), and emotional support ($3.08{\pm}0.72$). Expectations of family on the treatment were comfortable dying (73.4%) scored the highest. Patients' families were satisfied with volunteer service most in service area (97.4%). The next was pain control (89.5%) and nursing service (77.6%). Conclusion: Health care staff should identify the actual needs of families caring cancer patients and they should operate realistic programme which can give continuous and assistance by reflecting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istics. With these srategies,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families can be improved. And then the intervention programme should be developed to measure subjective nursing care need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한국 소아청소년 완화의료의 발전 방안 제언: 국외 제공체계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김초희,김민선,신희영,송인규,문이지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3

        Purpose: Pediatric palliative care (PPC) is emphasized as standard care for children with life-limiting condi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a government-funded pilot program was launched only in July 2018. Given that, this study examined various PPC delivery models in other countries to refine the PPC model in Korea. Methods: Target countr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level of PPC provided there: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ingapore. Relevant literature, websites, and consultations from specialists were analyzed by the integrative review metho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PubMed, Google, and Google Scholar, focusing publications since 1990, and on-site visits were conducted to ensure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each country’s process to develop its PPC scheme, policy, funding model, target population, delivery system, and quality assurance. Results: In the United Kingdom, community-based free-standing facilities work closely with primary care and exchange advice and referrals with specialized PPC consult teams of children’s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hospital-based specialized PPC consult teams set up networks with hospice agencies and home healthcare agencies and provide PPC by designating care coordinators. In Japan, palliative care is provided through several services such as palliative care for cancer patients, home care for technology-dependent patients, other support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or chronic conditions. In Singapore, a home-based PPC association plays a pivotal role in providing PPC by taking advantage of geographic accessibility and cooperating with tertiary hospitals. Conclusion: It is warranted to identify unmet needs and establish an appropriate PPD model to provide need-based individualized care and optimize PPC in South Korea. 목적: 소아청소년 호스피스 완화의료(이하 소아완화의료)는 생명을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기 위한 총체적 돌봄 철학이자 실무의 표준이다. 국내에서는 2018년 7월 국가 지원의 소아완화의료 시범사업을 도입하였는데, 소아완화의료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국외 선진국의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를 고찰하였다. 방법: 소아완화의료 제공 수준을 검토하여 영국, 미국, 일본,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소아완화의료 제공체계를 다룬 국내외학술지 등 문헌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현지 전문가의 자문과 현지방문조사를 수행하였다. 1990년 이후 영어, 일본어로 발간된 문헌을중심으로 PubMed, Google, Google Scholar에서 검색하여 학술지, 정책보고서 등을 참고하였다. 각국의 소아완화의료 발전과정, 정책, 재정 모델, 대상 기준, 전달 체계, 질 관리 체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영국은 지역사회의 독립형 소아전문 완화의료기관이 일차 의료체계와 협력하며 어린이병원의 전문 소아완화의료 자문팀과 의뢰와 자문을 주고받는다. 미국은 병원기반의 전문 소아완화의료 자문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호스피스기관, 가정의료기관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돌봄 코디네이터를 지정하여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한다. 일본은 완화의료, 재택의료, 장애아동 및 만성질환아동 지원체계에서 완화의료 성격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싱가포르는 소아전문 가정완화의료 단체가 어린이병원의 전문 자문팀과 협력하여 높은 지리적 접근성을 토대로 중추적으로 완화의료를 제공한다. 결론: 국외의 제공체계를 참고하고 국내의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소아완화의료의 제공체계를 정비하여 미충족 요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국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최적화해 나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