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BT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문항 개발 연구

        김모라(Mo-ra Kim),박경애(Kyung-ae Park) 한국REBT인지행동치료학회 2023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비합리적 신념에 관한 이론적 근거와 실증적 자료를 통해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문항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및 국외 문헌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상담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적 신념을 대표하는 하위 차원으로는 ‘수용’, ‘좌절에 대한 인내력’, ‘현실적 평가’, ‘비절대성’으로 나타났다. 비합리적 신념을 대표하는 하위 차원으로는 ‘당위성’, ‘과장성’, ‘인간가치비하’, ‘좌절에 대한 낮은 인내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에 대한 선행연구와 면접을 통해 추출된 문항은 대부분 고르게 분포하였다. 본 연구는 REBT 인지정서행동치료에서 설명하는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의 추상적 개념을 동시에 밝히고 측정 가능하게 문항화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신념체계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임상 장면에서 내담자의 왜곡된 지각과 자기 패배적인 비합리적 사고들을 최소화하고, 개인이 지향하는 삶의 목표를 획득해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신념체계들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the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 scale and develop items through theoretical grounds and empirical data on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s. For this,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counseling experts were interviewed. In the process of content analysis and itemization of the results through literature and interviews, the researcher, one professor majoring in counseling, and one doctoral major in counseling went through several discussion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items to form items about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rational beliefs were 'acceptance', 'endurance for frustration', 'realistic evaluation', and 'absoluteness'. the sub-factors of irrational beliefs were 'justice', 'exaggeration', 'low human value', and 'low tolerance for frustration'. Second, most of the questions extracted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sub-factors and interviews were divided even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imultaneously reveals the abstract concepts of rational beliefs and irrational beliefs explained in REBT cognitive-emotional-behavioral therapy and items them in a measurable way. By presenting the standards of the belief system, the distorted perception and self-defeating irrational thoughts of the client are minimized in the clinical setting, and the standards for specifying the belief systems that help individuals achieve their goals in life are presented. It has meaning.

      • KCI등재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윤선아,김광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1 초등상담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G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 감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18명)으로,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1개 학급(18명)을 통제집단 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5주간 총 10회기의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에는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5.0을 사용하여 검사지 반응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의 설문 지, 회기별 아동의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집단 간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검사지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비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 의 하위요인 중 과잉 염려 및 회피 신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과다한 자기 기대 신념, 이분법적 신 념, 결정론적 신념, 과잉 의존 신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 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아동의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아동은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생각과 감정, 행동이 연관되어 있음을 깨닫고 실생활에서 생각 바꾸는 방법을 활용해 비합리적 신념을 줄여나갔다. 또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신의 장점을 확인하고 주장을 표현하면서 가정과 학교에서 경험하는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판 단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술치료를 활용한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o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selected one class as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homogeneous class as control group among three classes of fifth grader students at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0 sessions of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for five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After the experiment, both groups conducted post-test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test site response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5.0, and questionnaire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session-specific children's comments and researcher’s observations were analyzed. A covariate analysis(ANCOVA) was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among grou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significantly reduced excessive concerns and avoidance among sub-factors of irrational beliefs and irrational beliefs compared to control groups. However, excessive self-expectation beliefs, dichotomous beliefs, deterministic beliefs, and over-dependence belief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overal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domestic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compared to control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children's impressions and researcher's observations, children were able to reduce irrational beliefs by realizing that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were related while participating in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In addition, the judgment of one's ability and existence experienced at home and at school has changed positively, identifying one's strengths and expressing one's arguments in many ways. These findings show that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therapy have been effective in reducing children's irrational beliefs and improving self-esteem. The development of follow-up programs to maintain positive changes and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various variables of the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are proposed as future research tasks.

      • KCI등재

        2019년 특허법 제128조 제5항의 개정으로 인한 ‘실시료(royalty)’ 산정방법의 변화 여부

        황성필 ( Hwang Sungpill ),정차호 ( Jung Chaho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0 지식재산연구 Vol.15 No.4

        우리 특허법 제128조가 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 산정의 방법들을 제시하며, 특히 동조 제5항은 ‘실시료(royalty)’에 근거한 산정방법을 제시한다. 2019년 그 제5항의 개정을 통해 기존의 ‘통상적’ 실시료라는 용어가 ‘합리적’ 실시료라는 용어로 변경되었는데, 실무적으로 실시료 산정 법리에 실체적인 변화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있다. 그런 견지에서 이 글은 그 변경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새로운 규정의 개정안을 발의한 원혜영 의원의 의도, 국회 수석전문위원의 검토보고서, 특허청의 의견, 대법원의 2003다15006 판결, 미국의 상응 법리의 변천, 일본의 상응 규정의 변화를 종합하면, 2019년 특허법 제128조 제5항의 개정의 내용 및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① 2019년 개정이 제5항(실시료)에 의한 손해배상액 산정의 금액이 높아지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점, ②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일반적(통상적) 실시료(율)에 지나치게 의존하던 법리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점, ③ 대상 특허발명의 개별적, 구체적 가치가 더 중요해지는 점, ④ 미국에서는 합리적 실시료 산정 법리가 오래전부터 도입되어 실무적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미국의 합리적 실시료(reasonable royalty) 산정법리가 우리나라 법원 실무에 개정 전보다는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미국의 합리적 실시료 산정법리를 연구할 필요가 높아졌으며, 그 후속 연구를 다짐한다. In 2019, Korea Patent Act Article 128(5) has been amended, which ‘usual’ was substituted by ‘reasonable.’ Thus,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implied meaning of the amendment. After scrutinizing a legislation history of the amendment, the opinion of KIPO, 2003da15006 decision of the Korea Supreme Court, transition history of the U.S. reasonable royalty jurisprudence and revision of the corresponding article of Japan Patent Act, this paper summarizes the intent of the amendment of the provision as follows: (1) the purpose is to increase reasonable royalty damages for patent infringement, (2) it aims to avoid a usual practice in heavily depending on industry-wide average royalty rate to the related invention when evaluating value of the invention in suit, (3) it is to have the courts consider individual and specific value of the patent in suit as more important, (4) it is to more actively accept the U.S. reasonable royalty damages theory to improve the current law of Korea. Given that intent, this paper asserts it would be necessary to deeply study the methodology of calculating reasonable royalty damages under the U.S. jurisprudence. This author will try to publish a paper on the U.S. jurisprudence in the near future.

      • REBT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학업적 좌절경험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감소에 미치는 효과

        이은희(Lee, Eun Hee),김소영(Kim, So Young) 한국통합예술심신치유학회 2015 통합심신치유연구 Vol.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REBT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학업적 좌절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감소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C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명이다. 미술치료는 2014년 7월부터 9월까지 주 2회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REBT의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측정도구는 비합리적 신념 검사(IBT)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고, 총 10회기의 사례 진행과정에 대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미술치료 실시 후, 비합리적 신념이 감소되었으며 질적 분석 내용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REBT를 활용한 미술치료는 학업적 좌절을 경험한 대학생의 비합리적인 신념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REBT를 활용한 미술치료는 학업적 좌절을 겪은 학생의 문제를 구체화, 외현화하여 자신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하였고 비합리적인 신념을 인식하고 합리적인 신념으로 전환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using REBT on the irrational belief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desperate feel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as a twenty one-year-old female student at a college, which is located in Daejeon. There were 10 therapy sessions, twice a week over five weeks from July to September, 2014. The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ory REBT. As the measurement method, Irrational Belief Test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those results were compared. Furthermore the quality analysis was conducted for 10 therapy sessions. These are the results through the study and discussion.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n decreasing in the score for the irrational belief and there was positive change in quality analysis. Therefore, the art therapy using REBT has meaningful efficiency for a college student who experienced desperate feelings. To conclude, Art therapy using REBT had students, who experienced desperate feeling, view objectively one's own problem with making concrete and externalizing. Thus it was helpful to recognize the rational belief and convert to.

      • KCI등재

        논리중심치료의 철학치료적 성격

        이영의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5 No.2

        The causes of a lot of the diseases of mind are not neuro-physical origines but existential ones. In the case of the diseases of mind with neuro-physical causes we have developed efficient methods of therapy according as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dvanced, but things are very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disease of mind from our existential characters. Still, we don’t understand what it is and how we can cure i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therapeutic method of the disease of mind from our existential characters. I shall characterize the object of philosophical therapy as philosophical disease and from the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argue that while medical therapy and psychological therapy are based on the notion of causation, philosophical therapy is based on the practical reason. The paper goes as follows. First, it deals with the two types of philosophical disease and their features. Second, it examines Cohen’s logic-based therapy in comparison to rational-emotive behavior therapy in order to show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therapy. 우리를 괴롭히고 있는 다양한 마음의 병들 중 상당수는 신경생리적 원인이 아니라 실존적 원인에 기인한다. 신경생리적 원인을 갖는 마음의 병의 경우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라 치료법도 발달해 가는 추세에 있지만, 실존적 원인에 기인하는 마음의 병의 경우는 사정이 그렇지 못하다. 우리는 여전히 실존으로 인한 마음의 병의 본질이 무엇이고 어떻게 치료해야 할 것인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인간의 실존에서 비롯되는 마음의 병에 대한 이해와 치료를 구체적 모형을 통하여 검토하는 데 있다. 나는 철학치료의 대상을 철학적 병이라고 규정하고, 방법론적 측면에서 의학치료와 심리치료는 인과에 근거한 반면에 철학치료는 실천적 이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논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철학적 병의 두 가지 유형과 그 특징을 검토할 것이다. 이어서 철학치료의 가능성을 코헨(Cohen)이 제시한 논리중심치료(Logic-based therapy)를 중심으로 심리치료 모형과 비교하면서 분석할 것이다.

      • KCI등재

        인지왜곡의 이분법적 사고에 대한 기독교상담 방안

        서영희 ( Young Hee Seo ),전요섭 ( Jo Seph Jeon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0 신앙과 학문 Vol.15 No.4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를 중심으로 인지왜곡에 있어서 이분법적 사고에 대한 이해와 치료접근에 관한 고찰을 통해 기독교상담 입장과 치료 방안 및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분법적 사고의 원인은 초기 부정적 경험들을 통한 부정적 자기상에 의한 부정적 신념으로 인한 방어적 분리된 사고구조가 정서와 행동에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분법적 사고는 여러 가지 정서적 문제와 영적 폐단과 함께 우울과 성격장애 및 자살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심리적, 행동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나치게 병리적 증상 중심의 심리학적 접근에 치우쳐 있는 것에 반해 기독교상담 관점에서의 이분법적 사고에 대한 성경적 입장을 밝혔다. 이분법적 사고에 대한 치료방안으로는 인지행동치료에서 흔히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 외에 본 연구에서는 엘리스(Ellis)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를 중심으로 그들이 주장하는 합리성에 대한 모순과 그 한계성을 함께 찾아봄으로써 기독교상담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해 보았다. 그 구체적인 대안으로 말씀을 기준으로 둘 수 있는 베커스(Backus)의 진리요법을 ABCD이론과 비교분석함으로서 합리성 대신 절대적 진리를 기준으로 하는 기독교상담 치료도구로 제시했다. This research is to clarify Christian counseling about dichotomous thinking as cognitive distortion on the focu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ichotomous thinking is one of cognitive distortions. The cause of dichotomous thinking is seen as the result of negative beliefs about negative self image through the early negative experiences. As the results of dichotomous thinking, such negative self image is seen to appear in various mental problems along with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negative spiritual effect and it triggers to depression, personality disorder, suicide, and other sever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is research is to help in understanding dichotomous thinking from the view point of Christian counseling on the base of the Word of truth from the Bible.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cessity of Christian counseling plan, on the center of Ellis`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as to search for what they advocate regarding rationalization and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As a detailed plan on the base of the scripture, it suggests a treatment tool of Christian counseling on the base of the absolute truth instead of rationaliz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Backus` truth therapy and ABCD theory.

      • KCI등재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의 평가

        신동일(Syn, Dong-Yiel) 한국형사정책학회 2011 刑事政策 Vol.23 No.1

        2011년 7월 24일부터 발효되는 "성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은 아동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소위 화학적 거세를 가능케 하고 있다. 아동 폭력범죄는 사회적으로 상당히 심각한 문제이며, 피해자의 정신적 고통이나 가족들의 불안감을 감안한다면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화학적 거세는 의과학적으로 제안되는 약물을 주입하여 성충동을 억제시키는 방안이며, 일부 외국에서는 이미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다만, 의학적인 부작용이 상당히 많이 보고되며, 모든 성범죄자가 이러한 치료에 효과를 보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또 한가지 생각해야 하는 것은 아동 성폭력범죄의 우리사회에서의 심각성이다. 비교적 우리 사회는 아동 성폭력 범죄의 발생수가 많지 않았다. 국제적인 기준인 만 13세 미만을 아동으로 판단할 때는 한 해 평균 100여건에 그쳤고, 법률처럼 만 16세로 판단해도 한 해 1000여건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정책은 극단적이다. 심지어 약물치료 대상자의 동의 없이도 강제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화학적 거세가 대체형벌이 아닌 중복형벌로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헌법적인 측면에서 논란이 될 수 있다. 사실 형사정책은 과학이다. 그러므로 충분한 사실 자료의 관찰과 그에 따른 엄밀한 이론설계와 검증된 이론의 현실적용이 필요하다. 여기서 논의하는 형사제재로서의 화학적 거세가 이러한 기본적 과정을 거쳐서 등장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Chemical castration is the medical administration to reduce libido and sexual desire, in the design of preventing serious rapists, child molesters and other types of sex offender from repeating their crimes. Some of countries have already surgical castration, which means to remove the testicles or ovaries through an incision in the body. Chemical castration is not the way to castrate the person, nor is it a way of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e medical report, the effect of chemical castration is just temporal, not permanent. Castration is considered reversible when treatment is discontinued. Side effects are the problematic concern. A medical report indicates that chemical castration can cause bone density loss because of Depo Provera use. Child molestation is a serious problem in the world. In Korea recently a few related child molesters are occurred and caught huge interests of mass media. People begin to think that the legal system is lenient with pedophiles, punishing them with insufficiently brief prison sentences. Some child molesters are released back into society. Legislation plans new law to activate chemical castration from 24th of July, to reduce biological desire of male pedophiliac, injecting Depo Provera or other chemical injection. However other experts argue that chemical treatment for castration is ineffective and will not prevent molestation. Forced castration may have the adverse effect of angering a criminal, increasing his violent tendencies. Additionally it easily reversible. Regardless, the chemical castration has been criticized as inhuman criminal policy, in the consideration of constitutionality. As the law shows, a mandatory injection without consent could be unconstitutional. Although chemical treatments can decrease the aggressive fantasies of male offenders, it should be reviewed in line of criminal rationality and specific data-analysing. Chemical castration is not the perfect solution to inhibit child molestation, additionally it discourages the rationality of criminology which dignifies human rights.

      • KCI등재

        신흥종교 이탈자를 위한 기독상담 연구

        백소영,유영권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analyzed the psychological issues and counseling of seceders of the new religious movement and proposed alternative Christian counseling. Distorted beliefs lead to religious addiction and susceptibility to new religions’ adverse effects. This significantly impacts individuals, their families, churches, the society, and the nation. Currently, counseling for seceders is conducted in heresy consultation centers, focusing on heretic doctrine falsification. Churches and Christian counseling centers require counseling knowledge and manuals regarding seceders. We applied three compositional theories: a relational framework with counselors utilizing self-psychology was established;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was applied to aid the discovery of alternative beliefs distinct from distorted religious beliefs and God images; and seceders’ psychological issues were analyzed and explained from a family systems theory perspective. These applications recommend alternatives and integrated Christian counseling methods. Furthermore, they have implications for seceders’ psychological care concerning religious ministry and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신흥종교 이탈자를 ‘종교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내담자’로 바라보면서 기독상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종교를 추구하는 인간의 영적인 측면이 왜곡된 신념의 영향을 받게 될 때, 종교중독과 더불어 신흥종교의 폐해에 빠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것은 개인․가정․교회․사회․국가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회와 기독상담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상담지식과 매뉴얼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탈자의 심리적 문제와 상담의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기독상담적인 대안과 통합적인 기독상담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상담이론들로서 자기심리학,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그리고 가족체계이론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탈자의 거울․이상화․쌍둥이 자기대상의 결핍에 대해 자기심리학을 적용하여 상담자와 관계적 틀을 구축하고, 다음으로 합리적 정서행동치료를 적용하여 왜곡된 신앙과 하나님 이미지에서 벗어나서 대안적 믿음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이탈자의 문제를 가족체계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가족들이 상호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촉진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통합적인 기독상담방법은 이탈자에게 안전하고 존중받는 치료적 분위기를 제공하고, 왜곡된 신념을 대안적인 믿음으로 변화시켜서 건강한 행동의 변화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한 연구로서 임상연구를 위한 예비연구라는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목회와 상담의 현장에서 이탈자와 가족들의 심리적 돌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REBT를 활용한 유아기 어머니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김문정,이희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현대사회의 시대적 특징으로 인해 오늘날 어머니들은 높은 양육 스트레스와 낮은 양육 효능감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여 양육 스트레스 감소와 양육효능감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상담이론 중의 하나인 REBT(합리적 정서적 행동 치료)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절차는 첫째, 부모교육의 사회적 요구, 부모의 흥미와 필요, REBT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인 신념,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REBT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셋째, 10회기의 프로그램 내용과 활동을 구성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와 REBT 전문가의 검증을 받았다. 프로그램의 활동방법으로는 인지행동 치료에서 주로 사용하는 논박, 심상법, 책읽기, 역할극, 근육이완법 등이 사용되었다. 넷째, 5명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과정평가와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그들의 비합리적 신념을 수정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자녀를 잘 양육할 수 있도록 돕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치료자 워크북 활용 집단의 효과성 검증: 워크북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백용매 한국재활심리학회 2013 재활심리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workbook for the self-analysis and psychological growth of therapists affects the child within and irrational beliefs of therapist. For four months, there were total 8 sessions of group meetings with 2-week intervals in experimental group. Each meeting was done for two hours. Eight experts(clinical psychologist, counselor, art therapist) in the fields of mental health conducted the therapist's workbook, and the child within and irrational belief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ajor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the group using the workbook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 in the child within temperament and the overall irrational belief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lso, irrational beliefs related to other's approval,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rom people, avoid tendency from people, and self-worthiness based on external achievement had positive changes. But, there was no meaningful change on irrational beliefs related to helplessness and loss of contro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