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언어에 나타난 모호성이 시각디자인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혜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3

        다양한 예술·디자인 영역에서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일상적인 인식체계에서 벗어난 다양한 생산력과 상상력을 추구하는 자율적인 사고의 중요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미를 풍부하게 확장하여 다의적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모호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여러 다양한 예술 분야에 나타난 모호성의 형태·의의·효과를 살펴보았다. 보다 체계적인 모호성에 대한 접근을 위해, 윌리엄 엠프슨(William Empson)의 <모호성의 일곱 가지 유형>에서 시적언어에 나타난 모호성의 근거를 살펴보았고, 그 안에서 수사법의 적용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작용하는 수사학적 접근방식과 표현방법을 통해 발휘되는 의미작용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의 수업 안에서 선별된 시각디자인과 학생들의 인쇄물 북 디자인 1점, 포스터 2점의 프로젝트 결과물을 분석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예술 분야 전반에 걸쳐 모호성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의미영역을 확장시키고, 수용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도구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시적언어에서 모호성의 유형에 적용된 언어에서의 수사학적 접근은 시각언어에서도 연상적·정서적 의미를 부여해 인지적 접근의 이해와 효과를 높여준다. 이러한 모호성에 기반을 둔 콘텐츠의 진행은 잘 구축된 콘텐츠와 의미작용에 의해 창의성이 발현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시각디자인 교육 안에서 학생들은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시각적 단절과 사고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고체계와 개념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모호성을 근거로 디자인 프로세스 상에서 접근방식과 표현방법의 향상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넓은 시야를 가지고 다각도로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디자이너로서의 소양을 축적하고, 통찰력(Insight)을 키워나가 사고·개념 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해 나감이 중요하다. In a variety of art and design areas, it is demanded to practice autonomous thinking pursing productivity as well as imagination not being restricted to the ordinary recognition system trapped in fixed ideas.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s a theoretical system about ambiguity which extends meaning richly and also opens the possibility of polysemous analysis and examines the forms, meanings, and effects of ambiguity found in a variety of art areas. To approach ambiguity more systematically, the researcher has investigated the grounds of ambiguity with regard to poetic language found in William Empson’s <Seven Types of Ambiguity> and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rhetoric exerts significant influence in it. In order to examine signification exhibited through rhetorical approaches and rhetorical expressions working in detail, the researcher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a book design and two posters made by the students of design from the researcher’s class. To sum up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mbiguity extends its semantic area in different forms covering all the areas of art and has value as a tool that intervenes in receivers’ active participation. Also, in poetic language, rhetorical approaches in language applied to the forms of ambiguity have both associative and emotional meaning in visual language, too,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and effect of cognitive approaches. Hence the development of contents based on such ambiguity draws well-established contents and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through signification. Through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students get to overcome visual interrup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nking with this methodology and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system of thinking and the conceptual system. In addition, they will be able to realize the improvement of their approaches as well as expressive methods in the design process based on the utility of ambiguity. To attain thi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accumulate knowledge and elevate insight as a designer who can approach a problem multilaterally with a broad view and also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inking and conceptual systems.

      • KCI등재

        모호성과 모호성 회피성향의 증가가 보험 수요에 미치는 영향: 배경위험을 중심으로

        전용호 ( Yong Ho Cheon ),홍지민 ( Jimin Hong ) 한국보험학회 2020 保險學會誌 Vol.122 No.-

        본 연구는 배경위험의 분포가 불확실할 경우 모호성 회피성향을 고려할 때의 보험 수요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배경위험을 다루고 있는 문헌에서 언급되지 않은 모호성 회피성향의 증가 및 모호성의 증가가 보험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호성 회피적인 개인이 모호성 중립적인 개인에 비해 더 많은 보험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보험구입에 따른 기대효용함수 및 한계효용함수가 배경위험의 상태의 변화에 따라 각각 증가 및 감소함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배경위험의 분포함수가 1차확률지배 또는 2차확률지배에 따라 변하고 효용함수가 신중성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면 모호성 회피적인 개인에 대해 모호성 회피도가 증가하면 더 많은 보험을 구입한다. 마지막으로 모호성 회피적인 개인에 대해 모호성이 증가할 경우 개인의 더 많은 보험을 구입하기 위한 충분조건에는 모호성 함수의 상대적모호성회피도 및 절대위험회피도가 영향을 미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ffect of ambiguity aversion on insurance demand when the distribution of background risk is uncertain. In particular, this article analyzes the effect of increase in ambiguity aversion and ambiguity which were not cover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insurance demand with background risk. We find that first, the conditions that ambiguity averse individual purchases more insurance than ambiguity neutral one are as follows: (i) the expected utility with insurance is increasing for the state of the distribution and (ii) marginal expected utility with insurance is decreasing for the state of the distribution. The sufficient conditions to hold these conditions are as follows: (iii) the distribution follows the first-order stochastic dominance, or (iv) the distribution follows the second-order stochastic dominance and the utility function is prudent. When conditions (i) and (ii) hold, greater ambiguity aversion increases insurance demand. Lastly, in case that the ambiguity increases for ambiguity averse individual, the relative ambiguity aversion and the relative prudence of ambiguity preference affect the sufficient condition to increase insurance demand.

      • 모호성(Ambiguity) 프리미엄과 기대수익률

        이은정,이유경,채준 한국재무학회 201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본 연구에서는 주식수익률 분포의 모호성에 대한 대리변수로 최근 주식수익률의 확률분 포와 과거 수익률의 확률분포 간의 차이를 비모수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Kolmogorov-Smirnov(KS) 통계량과 Kuiper (K) 통계량을 제시한다. 주식수익률의 모호성 이 커질수록 이를 싫어하는 투자자들은 이러한 주식에 대해 프리미엄을 요구할 것이고, 따 라서 모호성 프리미엄에 따라 기대수익률은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식시장 내에 이러한 모호성 프리미엄이 존재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살펴보 면, 분포의 모호성이 큰 주식이 평균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포의 불확실성이 가장 큰 포트폴리오(B)를 매수하고 가장 작은 포트폴리오(S)를 매도하 는 전략을 구사하여 각각의 포트폴리오에서 월평균 2.04%(KS 통계량 정렬)와 1.96%(K 통 계량 정렬)의 유의한 평균수익률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Fama and French(2015)의 5요인 모형으로 추정된 위험조정수익률을 비교하면, 분포의 불확실성이 가 장 큰 포트폴리오(B)는 분포의 불확실성이 가장 작은 포트폴리오(S)에 비해 수익률이 월평 균 1.15%만큼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실증결과의 강건성을 위해 베타, 기업규모, 장부가 대비 시장가비율, 모멘텀, 단기 수익률 반전, 그리고 비유동성과 같은 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후에 도 분포의 불확실성의 영향이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고유변동성, 왜 도, 첨도, 그리고 최대수익률과 같은 수익률 분포의 특성을 통제한 이후에도 매우 유의미하 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별기업 수준의 횡단면 회귀분석 결과, 다양한 기업특성 변수를 통 제한 후에도 분포의 불확실성의 정도와 주식의 기대수익률 간의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기존의 이론 연구에서는 주장했으나, 실증적으로 밝혀내지 못한 모호성 프리미엄이 한국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공공조직에서 모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 모호성의 유형별 효과와 공공봉사동기의 조절기능을 중심으로

        김서용,김선희 한국행정연구원 2015 韓國行政硏究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행정학 분야에서 이론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모호성(ambiguity)`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 수준에서 분석하며, 모호성과 조직효과성 사이에서 공공봉사동기의 조절역할을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모호성, 공공봉사동기의 유형별 효과에 주목하는데 이를 위해 모호성을 역할모호성, 업무모호성, 목표모호성으로, 공공봉사동기를 공익몰입, 자기희생, 동정심으로 구분하고 이들과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 성과지향성, 스트레스, 이직의사)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모호성이 증가할수록 조직효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모호성과 업무모호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 성과지향성에, 역할모호성은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모호성 중에서는 목표모호성의 부정적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공봉사동기는 모호성과 負(-)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공공봉사동기가 모호성과 조직효과성 사이에서 수행하는 조절효과 기능은 약하며, 상반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제임스 터렐의 빛과 색에 나타난 공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김소영 ( Soyoung Kim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들어서 디자인 전반에서 예술가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문화현상을 만들어 내고 있다. 라이트 아트의 미니멀한 공간에서 빛과 색으로 공간을 표현하는 공간 표현 방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라이트 아트의 공간 표현은 빛으로 보다 자유로운 상상력을 통해 공간을 표현하고 경험하게 한다. 특히 공간에서 빛과 색의 실재성과 표현 형식에 따라 공간의`모호성`이 나타나는데,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의 모호성은 건축과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모호성과 비슷하지만 감성적 차별화가 느껴진다. 이런 관점에서 터렐의 작품은 우리 공간디자이너들이 작업에 임할 때 어떤 감성과 태도를 가져야하는지 힌트를 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모호성`의 개념과, 공간의 모호성을 고찰하여 터렐의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의 `모호성`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제임스 터렐의 작품 경향을 조사 하고 빛과색의 시지각적 공간이 주는 공간의 `모호성`의 관계에 대해 문헌 조사와 방문 조사를 통해 연구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서 빛과 색으로 나타나는 공간의 모호성과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사례분석의 결과로 터렐에 공간의 모호성은 비물질적 이지만 상당 부분 물질적 특성과 비슷하게 인식 되었다. 특성으로는 첫째 경험적 공간의 모호성, 둘째 관찰적 공간의 모호성, 셋째 경계적 공간의 모호성으로 분류 되었고, 작품 시리즈에 따라 모호성의 빈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이상의 연구를 통해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에 `모호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빛과 색으로 표현 된 비물질적공간의 모호성은 현대건축과 공간 표현의 일시적 현상이 아닌 창조적인 공간 창출의 요소로서 발전 가능성을 기대한다. 공간 사용자들의 감성인식과 경험은 우리가 디자인하는 공간 이상의 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표현 요소임을 다시 한 번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빛의 비물질적 공간 표현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작품이 아닌 실재 공간에서 활발하게 표현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Recently, a new design culture phenomenon has been created in overall design through artist collabo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of expressing space that represents the space with light and color in a minimal space of the light art.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light art allow people to experience more liberal imagination in a space with ligh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ambiguity of space, the appearance of which depends on the reality of light and color in the space, and method of expression. The spatial ambiguity showed in the works of James Terrell is similar to the ambiguity seen in architecture and space, but with palpable emotional differentiation. In this perspective, the works of James Terrell give hints on the sensibility and attitude space designers should adopt when they engage in work.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ambiguity” of space and characteristics in Terrell`s works by exploring the concept of “ambiguity,” particularly spatial ambiguity. (Methods)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ndencies of James Terrell`s work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visual perception of light and color with spatial “ambigui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visiting.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mbiguity with light and color that appear in the works of James Terrell are identified though comprehensive case analysis. (Results)The comprehensive case analysis revealed the Terrell`s spatial ambiguity was immaterial but recognized similarly to materialistic characteristic to a certain extent. Th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first, the ambiguity of experiential space, and second, the ambiguity of observed space. The ambiguity of boundary space and frequency of the ambigu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ries of works. (Conclusions)The study determined the spatial “ambiguity” in Terrell`s works. The immaterial spatial ambiguity expressed by light and color may have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creative spatial creation rather than a temporary phenomenon of modern architecture and space expression. The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users indicated that design gives value to physical space. Future studies may focus on the expression of immaterial space of light made in a variety of ways and expressed in actual space rather than in works.

      • KCI등재
      • KCI등재

        정책사업목표의 대상집단 모호성 : 목표모호성 하위차원의 개념, 측정, 그리고 타당화

        권태욱 한국행정연구원 2016 韓國行政硏究 Vol.25 No.4

        이 연구는 정책사업 목표모호성에 대한 이해를 진전시키기 위해 새로운 모호성 하위차원으로 대상집단 모호성을 제시하고 기존의 하위차원(우선순위 모호성, 평가적 모호성)과 함께 타당화하였다. 한국 중앙행정기관의 1,160개 정책사업을 표본으로 세 가지 모호성 차원의 측정지표에 대해 수렴 타당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타당도가 나타났다. 또한 새 하위차원과 기존의 두 하위차원을 상관분석으로 비교했을 때 대상집단 모호성이 우선순위 모호성 및 평가적 모호성과 구별되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보험금 불확실성 하에서 모호성 회피가 보험 수요에 미치는 영향: 비교정태분석을 중심으로

        홍지민 ( Jimin Hong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20 리스크 管理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보험금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모호성 회피성향과 보험수요의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은 모호성 회피성향의 증가와 모호성의 증가가 보험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실이 베르누이 분포를 따를 때 모호성 회피성향의 증가가 언제나 보험 수요를 증가시켰다는 기존 연구결과와는 달리, 보험금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 모호성 회피성향이 증가할 때 언제나 개인의 보험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선호가 보험금 및 손실 위험에 대한 위험회피성향 및 불확실한 보험금의 분포에 대한 모호성 회피성향으로 나타날 때, 모호성 회피성향이 증가할 때 개인의 보험수요가 항상 증가하기 위해서는 (ⅰ) 불확실한 보험금의 분포들이 1차 확률지배를 따라 정렬되고 (ⅱ) 상대위험회피성향이 절대위험회피성향에 비해 충분히 커야 한다. 둘째, 모호성이 증가할 때 개인이 보험 수요가 언제나 감소하는 것은 아니며 이때 상대모호성회피성향 및 상대모호성신중성이 영향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보험수요가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guity aversion and insurance demand under uncertain indemnity.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increase in ambiguity aversion and the increase in ambiguity on insurance dem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mand of insurance does not always increase under uncertain indemnity distribution as ambiguity aversion increases, while existing studies which suppose that loss follows Bernoulli distribution state that increase in ambiguity aversion leads to increase insurance demand. In case that the preference exhibits risk aversion for the uncertain loss and indemnity and ambiguity aversion for uncertain distribution of indemnity, the demand increases as ambiguity aversion increases when the following conditions hold: (ⅰ) the distributions of uncertain indemnity can be ranked according to the first order stochastic dominance and (ⅱ) the relative risk aversion is sufficiently larger relative to the absolute risk aversion. Second, as ambiguity increases, the demand for insurance does not always decrease, and insurance demand may decrease or increase depending on the relative size of the effect of relative ambiguity aversion and relative ambiguity prudence.

      • KCI우수등재

        목표모호성, 사업성과, 그리고 관리적 재량: 한국 행정부처의 재정사업 분석

        권태욱 ( Tae Wook Kwon ),전영한 ( Young Han Chun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2

        이 연구는 정책사업의 목표모호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모호성-성과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을 탐색하여 관리적 재량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41개의 한국 행정부처에서 수행된 1,158개의 재정사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목표모호성의 하위 차원들 중 평가적 모호성과 대상집단 모호성은 사업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쳐서 이론적 예측을 지지하였다. 또한 관리적 재량의 조절효과는 우선순위 모호성과 평가적 모호성이 성과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완충하였으나, 대상집단 모호성의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의 방향성은 전자와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 목표모호성의 하위차원별로 차별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부문의 정책사업관리에 유일한 최선의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사업별 특수성을 반영한 관리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impacts of goal ambiguity in policy progra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anagerial discretion on the ambiguity-performance relationship. We hypothesize negative impacts of goal ambiguity dimensions such as evaluative, priority, and target-population ambiguity on program performance and a buffering role of managerial discretion on those negative impacts. Analyzing the dataset with a sample of 1,158 policy programs in 41 agen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we find strong evidence to support most of the hypotheses. Evaluative ambiguity and target-population ambiguity are negatively related to program performance, and managerial discretion is likely to buffer the negative impacts of most ambiguity dimensions. In the case of target-population ambiguity, however, the findings are not consistent with theoretical expectations.

      • KCI등재

        목표모호성과 조직성과: 비선형 관계의 탐색 및 모호성 측정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이하영,김경동,김범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2

        Although critical discussions on organizational ambiguit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existing empirical studies often uniformly presuppos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oal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ll aspects in which goal ambiguity can negatively and positively affect publ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goal achievement, customer satisfaction) for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goal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employing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mission comprehension ambigu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oal achievement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mission ambigu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s inverted U-shaped non-linear, with customer satisfaction up to a point, beyond which higher levels of mission ambiguity led to a decrease in customer satisfaction. Priority ambigu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arget achie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existing narro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uggests that the uniqueness of public organizat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manag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goal settings in the public sector.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study also proposed a new measurement metho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indicators by using semantic diversity of organizational official goals as a measure of goal ambiguity. “모호한 조직목표는 언제나 바람직하지 않은가?” 복잡한 정치적 환경 속에서 작동하는 공공조직의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조직의 목표모호성에 관한 비판적 논의가 활발히 이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실증연구들은 목표모호성과 조직성과 간 부(-)의 관계를 일률적으로 전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목표모호성이 공공조직의 성과(목표달성도, 고객만족도)에 부정적,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측면을 모두 살펴보고, 2차항을 포함한 회귀분석을 통해 목표모호성과 조직성과 간 비선형 관계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사명이해모호성은 목표달성도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 반면 고객만족도에는 모호성이 일정 수준을 넘는 구간에 한하여 체증하는 부(-)의 영향을 미쳤고, 우선순위모호성은 목표달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고객만족도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목표모호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단편적 관점을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지니며, 공공부문에서 목표 명료화를 통한 결과 중심의 성과관리 시 공공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조직의 공식 목표가 갖는 의미론적 다양성(semantic diversity)을 목표모호성의 측정지표로 활용함으로써 기존 지표의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 또한 방법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