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선희,조경우,설경환,고규영,Kim, Suhn-Hee,Cho, Kyung-Woo,Seul, Kyung-Hwan,Koh, Gou-Young The Korean Physiological Society 1987 대한생리학회지 Vol.21 No.2
수온변화에 따른 심맥관계 및 신장기능의 변화와 생체실험을 통한 온도에 의한 adrenoceptor의 변형을 알아보기 위해, 무마취 자라에서 $18^{\circ}C$에서 $25^{\circ}C$로 수온을 증가시 나타나는 혈압, 심박동수 및 신장기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epinephrine 1 ug/kg과 10 ug/kg을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의 정맥내 투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 $18^{\circ}C$에서 $25^{\circ}C$로 수온을 증가시킴에 따라 심박동수는 현저히 증가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혈압 및 혈장 renin 활성도는 변화하지 않았다. 온도증가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90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2) 수온 $18^{\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은 dose-dependent한 양상으로 혈압 및 심박동수를 증가시켰으며, 다량의 epinephrine 투여시 작용시간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25^{\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는 epinephrine에 의한 혈압상승 효과 및 심박동수 증가는 나타났으나, dose dependency나 작용시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3) 동량의 epinephrine에 의한 혈압 및 심박동수의 증가효과는 $18^{\circ}C$와 $25^{\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18^{\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의 작용시간 및 반감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4) Epinephrine 투여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dose-dependent 양상이었다. 그러나, 신장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두 군에서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온도증가에 의한 이뇨 및 sodium 배설효과는 혈관이완에 의한 사구체여과율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 효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은 본 실험에서 가한 좁은 범위의 온도의 변화 내에서는 adrenoceptor의 변형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추론하였다. 그러나 저온에서의 epinephrine의 작용시간의 연장은 아마도 epinephrine의 파괴 효소의 활성도의 감소인 것으로 사료된다.
김선희,박성미,조희숙,신세니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9 No.4
In modern societies, children spend significant amount of time at day care centers. Considering that early childhood experiences have impacts on whole lifelong process, the diverse experiences at the day care center could greatly influenc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hild. Psychologists and sociologists viewed “Environment” from different perspective. They argued that perceived environment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nvironment that existed in the objective reality.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recognize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everyday life through narratives, expressions of one's thoughts about routine experience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1 children aged five, who were attending P day care center in Bus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variety of children's recognitions of the day care center. They are as follows: exciting play, palpable nature, attentive teachers, happy friendship, tasty foo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formed stakehold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bout how young children perceived and recognized the day care centre, so that they could provide more appropriate and desirable day care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유아기의 경험이 한 인간의 생애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유아가 생의 초기에 접하는 어린이집에서 갖는 다양한 경험은 유아의 성장 및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집에 대한 경험 그 자체 보다는 유아가 어떻게 해석하고 인식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P시에 소재한 생태유아교육기관인 P어린이집의 만 5세반 2개 학급에 재원중인 유아 41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생태유아교육기관의 일상생활을 크게 신나고 즐거운 놀이, 몸으로 느끼는 자연, 따뜻한 선생님, 행복한 친구 관계, 맛있고 몸에 좋은 음식이라는 인식체계와 연결시키고 있었다. 이는 부모와 교사가 유아가 생활하는 환경 및 그 인식체계를 이해하고, 유아의 삶의 질을 관리하는 단서를 찾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은 물론 생태적 접근을 지향하는 유아교육기관과 그 안에서 생활하는 유아와의 관계성을 이해하는 길라잡이가 될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