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유조안 ( Yoo Joan P. ),이상균 ( Lee Sang-gyun ),그레이스 정 ( Chung Grace 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잠재계층유형을 확인하고, 이들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참여 동의를 얻은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820명과 주양육자 820명에게서 수집한 서울교육복지건강패널 1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16개의 지표로 구성된 건강증진행위 결과를 바탕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였다. 건강증진행위를 많이 수행하며, 건강위험행위의 실천정도가 낮은 `긍정적 건강증진행위군`, 건강위험행위의 실천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건강행위군`, 기본적 운동량이 적고, 비활동적 좌식생활의 경험가능성이 높은 `비활동적 중위험 건강행위군`이 그것이다. 3개 잠재계층유형은 교차분석과 일원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따라 잠재계층유형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심리 사회적 요인이 상호통제된 조건에서 건강증진행위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정도를 다항로짓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부모·조손가구, 주양육자의 낮은 학력, 모의 근로활동 참여, 남자아동, 중학생, 방임경험, 낮은 자기효능감, 높은 우울 등의 특성을 가질 경우 고위험 건강행위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초등학생, 높은 가족활동빈도, 높은 자기 효능감의 특성을 가질 경우 긍정적 건강행위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latent class analysis to identify heterogeneous subgroups with respect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Multiple dimensions assessing physical activity, eating and sedentary behaviors were explored. This study used wave 1(2014)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and Health Welfare Panel(SEHWP), which consists of 820 matched pairs of mother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Seoul. The final model yielded three latent class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posi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high-risk health behaviors`, and `sedentary lifestyle & middle-risk health behaviors`. We also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latent classes and predictors to determine how the patter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lates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Results indicated that low-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low maternal education level, maternal employment, children`s gender and age, neglect experienc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o the above latent classe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the patter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health promo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ll need to consider this heterogeneity and enhance attention to health promoting predictors depending on the subpopulation.

      •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따른 의료공급자 행태변화 연구 - 암질환 중심으로

        김대중,김영애,이수형,서제희,김진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부는 진료비 부담 경감을 위해 2005~2008년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계획을 수립한 이후 2009~2013년 제2차 중기보장성 강화계획, 2014~2018년 제3차 중기보장성 계획을 수립하여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보장성 강화 방법으로 본인부담금 완화, 급여 확대, 본인부담상한제 등이 실시되었다. 암질환의 경우 본인부담금 완화정책에 따라 2005년 9월 본인부담이 총비용의 20%에서 10%로 경감되었고, 이어서 2009년 12월 다시 10%에서 5%로 경감되었다. 환자의 비용 부담 감소는 의료이용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는데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가 소비자의 의료이용 및 공급자의 의료공급에 미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의 효과성을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도입 이후 환자의 본인부담이 낮아지면서 의료이용이 어떤 양상으로 변화되었는지, 공급자 특성 등에 따른 행태변화는 어떠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주요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첫째 2005년 이후 도입된 제1차, 제2차, 제3차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현황과 특히 암질환 관련 보장성 강화정책의 세부 도입내용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이 되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중 암환자 본인부담 경감 산정특례제도를 살펴보고, 비급여대상 급여 확대 추진 현황 및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건강보험 본인부담률 강화 전후의 3개암(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의료이용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2009년 12월부터 1년동안 발생한 신규환자를 기준으로 5년 동안의 의료이용 통계를 보면 대장암의 총입원일수(58일)가 가장 길었고, 이어서 유방암(51일), 전립선암(29일) 순이었다. 외래방문건수로는 유방암 42건, 전립선암 28건, 대장암 26건의 순이었다. 본인부담금과 국민건강보험공단 부담금을 합한 심결 총비용은 유방암 2,068만원, 대장암 1,736만원, 전립선암 949만원의 순이었다. 암종별로 입원일수, 외래방문건수, 심결 총비용이 차이가 나는 것은 질환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인부담금 완화의 효과를 보기 위해 이중차분법(DID)을 사용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본인부담금 완화는 의료서비스 양(quantity)에 대한 증가를 유발하고 있지만, 이중차분값의 편차가 암종별로 컸음을 알 수 있었다. 가격 인하에 따라 의료이용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은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으나, 의료이용량 증가는 본인부담금 인하로 설명할 수 없는 다른 외생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외생적 요인으로는 수술 방법 등 암종별 치료기술의 변화 및 발전, 수요자의 의료이용 행태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본인부담금 완화가 의료기관 종간 교차 대체(cross-substitution)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원일수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외래방문 건수에서는 교차대체가 발생하였다. 입원일수의 경우 본인부담금 완화로 대장암의 Big5병원을 제외하고는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고 할 수 없었다. 대장암의 경우 Big5병원에서 입원일수가 감소한 것은 ERAS(Early Recovery After Surgery) 권고에 충실하게 따르면서 금식기간이 줄었거나 대장암 복강경수술이 증가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외래방문건수에서는 Big5의 방문건수가 암종 구분 없이 다른 의료기관 설립형태에 비해 이중차분값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본인부담금 완화가 외래방문의 Big5 쏠림 강화로 이어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Big5병원의 경우 병상가동률이 높기 때문에 병상회전율을 높이는 대신 외래방문수를 늘린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득수준에 따라 심결 총비용의 이중차분값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보험료 등급이 높은 계층이 낮은 계층에 비해 심결 총비용 이중차분 값이 낮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은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유한 환자는 본인부담금 완화에 덜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 3. 결론 및 시사점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로 중증·만성 질환의 의료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선진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건강보험의 보장률과 큰 질병에 걸렸을 때 취약한 보험기능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OECD와 비교 시 전반적인 보장성 수준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의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 강화와 증가하고 있는 암 발생률 등을 고려할 때 환자 부담 경감정책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건강보장정책의 지속적인 추진은 필요하나, 본인부담금 완화 등 정책 추진에 따라 의료의 과다 이용, 공급자의 유인수요 창출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한 바로는 본인부담금 완화에 따른 의료이용 증가는 입원일수 증가, 외래방문 증가와 의료총비용의 증가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료이용의 증가를 설명하는 데는 의료기술의 발전과 의료에 대한 순응도 등 가격 요인 이외의 외생적 요인이 더 크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인부담금 완화로 Big5병원에 대한 외래방문건수와 총비용이 증가하여 본인부담금 완화가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th the goal of reducing the copayment amounts required of patients, the Korean government first established the Mid-Term National Health Insurance Plan for the period from 2005 to 2008, and followed it up with two subsequent Reinforced Mid-Term Insurance Plans spanning 2009 to 2013 and 2014 to 2018, consistently expanding the range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the Korean public. As a result, the copayment rate for cancer patients was reduced from 20% to 10% in September 2005, and again to 5% in December 2009.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ncreasing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benefits for serious diseases, including cancer, some criticize this policy trend on the grounds that it encourages moral hazard and a supplier-induced rise in demand for health services. The decreasing cost burden on patients leads to greater competition among medical institutions to attract patients and may increase demand for large hospitals equipped with high-tech equipment and high-caliber medical professionals, thereby aggravating the concentration of patient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increasing health in surance coverage on the use of medical services in relation to supplier characteristics, with a view to estimating the impact of the policy and highlighting futur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일본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행정주체의 동정화(同定化)와 지방종합행정

        강광수 대한지방자치학회 2013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일본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형성과정에서 보험사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가 장 적합한 단위구역 및 실시주체의 설정이라는 원리에 따라 다양한 제도설계의 선택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종합행정의 실현이라는 요청에 따라 행정주체의 동정화과정을 통해 국민건강보험사무가 지방자치단체의 기능 및 구역에 총체적으로 수렴되어가는 과정 을 분석한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건강보험제도 형성의 전사로서 일 본 최초의 사회보험입법으로서 건강보험법이 성립한다. 둘째, 전전에는 국민건강보험사업 을 둘러싼 중앙정부 내의 대립 및 조정을 반영하여 그 설치 단위가 기초자치단체의 행정 구역으로 설정되었지만, 그 사업주체는 기초자치단체 행정과 분리된 임의제에 의한 조합 주의가 채택되었다, 셋째, 전후에는 경제공황과 재정적자 상황 속에서 국민건강보험제도 의 기초자치단체 공영제의 실시와 기초자치단체 임의의 자치사무로 전환되었다. 넷째, 사 회보험에 대한 중앙정부 책임의 명확화와 국민의 개보험화가 요청되는 가운데 국민건강 보험사업은 중앙정부 책임으로 인식됨과 동시에 그 실시가 기초자치단체의 단체위임사무 로 됨으로써 국민건강보험 사업주체의 기초자치단체 행정으로의 동정화가 실현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의 의미와 과제를 정리한다.

      • KCI등재

        일부지역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허아롱(A-Rong Heo),송귀숙(Kwui-Sook Song),차은종(Eun-Jong Cha),김경아(Kyung-Ah Kim),손호선(Ho Sun Sh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조사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6월23일∼7월30일까지 전라북도 일부지역 임신부 12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주요 측정변수에 대한 Shapiro-Wilk 정규성을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심도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46.5%가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51.2%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응답했고, 57.5%가 자신의 구강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삶의 질은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칫솔질 횟수가 3회 이하인 경우,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 치석제거 경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OHIP-14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임신기간이 길수록, 분만경험이 없고,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행태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performed an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pregnant women on quality of life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data was tested using the Shapiro-Wilk normality test for the key measuring parameters by using PASW Statistics 18.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iod of in pregnancy. 46.5% of surveyed subjects considered themselves as ‘healthy’, and 51.2% considered their oral health status was ‘healthy’ while 57.5 responded they were interested in the oral health. As for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behaviors, when the subjects did not have any experience of receiving oral health education, when the tooth brushings were ≤ 3 times, when they had not received examination on a regular basis, and when they had no experience of scaling, the quality of life was very low. Significant impact variables on the OHIP-14 include longer pregnancy term, no experience of childbirth,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oore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lo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as necessary to develop improv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becaus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s perceived subjectively.

      • KCI등재

        Y시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관련 요인

        박순옥,김현숙,김봉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tatus of health literac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literacy among rural resident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02 aged over 20 years residents in three Ri in Y-city,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 face-to-face interview by trained interviewers between July, 18 and August, 4, in 2013. The mean score of health literacy was 6.66 (SD=3.79) and 44.1% of the participants showed a low score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In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low health literacy were associated with bereaved or divorced, no educational attainment, and poor self-rated health status. The findings imply that public health nurses need to assess their client’s health literacy status and those who have inadequate health literacy with spouseless, uneducated, and poor self-rated health status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self-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본 연구는 경기도 Y시 3개 마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주민 202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18일부터 8월 4일까지 일대일 면접조사를 통해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 및 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결과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 평균 점수는 6.66점(SD=3.79)이었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은 집단의 비율은 44.1%이었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가구월소득, 우울증상 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결혼상태,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5.5%이었다. 결론적으로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은 낮은 수준이므로, 지역사회간호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먼저 사정하고, 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에 적합한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만성질환 관리 개선을 위한 건강교육 제공시에 이혼, 사별 및 별거 상태이고, 교육수준이 무학인 대상자들의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에 적합한 교육전략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중장년층의 건강정보 지향 관련 요인

        심재란,손연정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1

        Background:It is important time for middle-aged because they should shift to a healthy elderly by utilization of correct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y behavi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HIO) and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IO according to socio- demographic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in community. Methods: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by self-repor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14 with 465 middle aged and 40 to 64 years old living in the community.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determinant of HIO. Results:In the two sub-domains of HIO, health information engagement mean score was 2.30±1.09 and the health information apprehension level was 1.34±1.15 on average (maximum 4 point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ub-domains of HIO, the level of health information engag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0-49 age group than 50-64 age group (β=-0.094, P=0.048) and high school or above education level (β=0.224, P<0.001). Those who pay more than 100,000 won per month (β=0.097, P=0.047)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level of health information apprehension. Conclusions: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HIO,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ailored health promotion education considering the sociodemographic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t is required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tools and multidimensional factor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middle-aged when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연구배경: 중장년층은 올바른 건강정보 활용 및 건강행위실천으로 건강한 노년으로 이행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지향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기입식의 횡단적서술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6월부터 7월까지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40-64세 이하의 중장년층 465명을대상으로 하였다. 건강정보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건강정보 지향의 수준은 건강정보 참여 수준이 평균 2.30±1.09점, 건강정보 걱정 수준이 평균 1.34±1.15점이었다. 회귀분석 결과 중장년층의 건강정보 지향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으로 건강정보 참여는 연령이 낮을수록(β =-0.094, P=0.048), 최종학력이 고졸 이상일수록(β=0.224, P<0.001) 높게 나타냈으며, 건강정보 걱정은 월평균 의료비지출이 많을수록(β=0.097, P=0.047) 높았다. 결론: 건강정보 지향 수준이 낮은 집단에 대해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관련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추후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건강정보 추구행위 영향요인 파악시 대상자 특성에 맞는도구개발 사용 및 다차원적 요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것이다.

      • KCI등재

        자전거 이용여부 및 이용목적과 주관적 건강인식 간 관계: 성별 집단비교를 중심으로

        강서윤(Kang, SeoYoon),전희정(Jun, HeeJu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21 도시 행정 학보 Vol.34 No.4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며 건강도시 역시 주목을 받고 있다. 건강도시의 달성을 위한 제도적 접근들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보다 건전한 행태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전거 이용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사람 중심으로의 도시계획 패러다임 변화와 COVID-19과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대표적인 개인이동수단(PM)이자 활동적 이동수단(AT)인 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는 근력 향상과 체중감량 등 신체적 건강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자전거 이용의 건강증진 효과를 확인해왔으며, 자전거 이용목적에 관해서는 종합적 연구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건강과 자전거 이용 간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명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2019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자전거 이용여부 및 이용목적과 주관적 건강인식 간 관계를 분석하며, 이때의 성별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자전거 이용여부는 주관적 건강인식과 정(+)의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건강도시의 달성을 위해 자전거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자전거 관련 인프라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자전거를 운동 목적으로 이용할 때 이동 목적으로 이용할 때보다 주관적 건강인식에 있어 그 관계가 보다 높다는 점에서, 관련 인프라 조성에 있어 이동 목적의 자전거 이용에 관한 고려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과 주관적 건강인식 간정(+)의 관계가 여성 집단에 비해 남성 집단에서 높게 나타나며, 운동 목적의 자전거 이용이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 집단에 비해 여성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남을 밝히며,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에 있어 성별 집단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여성 집단의 자전거 이용활성화, 특히 이동 목적 중 가사 활동을 위한 자전거 이용이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과, 남성 집단이 운동 목적의 자전거 이용의 건강증진 효과를 더 느낄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s the social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recently, the concept of health city is also drawing attention. Institutional approaches to achieving the healthy city are focusing on the use of bicycle as a way to promote healthier behavior,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Also, both of the paradigm shift of urban planning to people and pandemics such as COVID-19 increase the interest in bicycles, which are representative personal mobility(PM) and active transportation(AT). Existing studies have only confirmed the health promotion effects of bicycle use regarding physical health, such as muscle strength and weight loss, and studies on bicycle use have only been at the level of basic statistics. There are also few studies that shed light on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bicycle use.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cycle use and purpose and subjective health rate,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on effect between gender groups, using data from the 2019 Seoul Survey Urban Policy Indicat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icycle use and subjective health rate, which helps achieve the healthy city.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bicycle-related infrastructure. Furthermore, the finding shows the greater influence on subjective health rate when using bicycles for exercise purposes than for transport purposes, suggesting the need for consideration of the use of bicycles for transport purposes in the creation of infrastructure.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impact of bicycle use on subjective health rate is higher in men"s groups than in women"s, and that exercise purpose bicycle use is greater in women"s groups than in men"s. This finding suggests that gender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in health city policy. Specifically, it suggests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to positively affect the health of women"s use of bicycles, and to create some space for men"s groups to feel the health effects of bicycle use for exercise.

      • KCI등재

        대학생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건강행위 간의 관계

        김미정,양인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 방법으로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161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및 흡연, 음주, 식습관, 신체활동, 비만도의 건강행위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과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은 각각 평균 10.14±1.39점, 3.96±0.60점이었고, 대상자의 9.9%가 흡연자, 23.0%가 문제음주자, 96.9%가 식습관의 모니터링을 요하는 자, 63.4%가 신체활동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자, 29.8%가 과체중 또는 비만인 자였다. 성별은 흡연에,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식습관에, 그리고 성별과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은 신체활동에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을 고려하여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161 participants between May and June 2020. The authors assessed functional health literacy, health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s. Mean score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health self-efficacy was 10.14±1.39 and 3.96±0.60, respectively. Of the subjects, 9.9% were smokers, 23.0% were problem drinking, 96.9% were those who needed monitoring of their eating habits, 63.4% were those with low 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29.8% were those who were overweight or obesity. Gender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had an effect on smoking and eating habits, respectively. Gender and health self-efficacy were affecting factors on physical activity. Researchers should be sought strategies to promote health behavior considering gender,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health self-efficacy.

      • KCI등재

        건강지향 소비자 행동에 대한 조사 연구

        손영화 ( Young Hwa Son ),조혜진 ( Hye-jin Cho ),박종철 ( Jong-chu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 따라 소비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소비행동에서 남녀차이가 있는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학생들과 일반인들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소비자들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서울, 경기, 대구 및 광주지역의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건강관심도에서 남녀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건강관심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비교한 결과, 건강관심도에서는 대학생보다 일반인들이 더 높게 나타났고,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관리 행동에서의 성별, 연령대별 그리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소비행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 성별 분석결과는 헬스클럽에 회원 가입해서 운동하는 것과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것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고, 음식조절과 같은 경우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대별 분석 결과는 30대가 회원가입해서 운동하는 것과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것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고, 50대는 건강식품, 기능성 약품 복용 및 음식조절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건강관리 행동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건강관리 행동에서 대학생보다는 일반인들이 높게 나타났고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의 건강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건강관련 지출 금액이 높은 소비자일록, 규칙적인 생활을 할수록,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건강관리 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across genders or age groups, or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accordance with one’s interest in health and self-perception of one’s own health. The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Seoul, Gyeonggi Province, Daegu and Gwangju. The findings are as follow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erms of their interest in health, self-perception appeared to b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across different age groups,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for self-perceived health. A comparis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registered higher in terms of their interest in health,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as found for health status. A review on the difference or lack thereof in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between genders an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howed that me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women to register themselves at a gym and work out, or to carry out exercises like jogging. In terms of dietary planning, women scored higher than me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analysi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hows that those in their 30s scored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when it came to joining a gym or doing workouts like jogging, while those in their 50s scored higher in terms of their intake of health supplements or dietary planning and control. A comparison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show that in all types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adults scored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노인의 건강상태 만족도의 영향요인

        박찬상(Chan-Sang Park),황선영(Sun-Young Hwang) 한국정책개발학회 2015 정책개발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노년기의 건강약화를 스트레스 사건으로 규정하고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자원이 노인의 건강상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2011년도 노인생활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상태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Ordered Logit 모형을 이용한 건강상태 만족도 결정요인은 분석결과 ADL, 우울, 흡연, 소득, 교육수준, 사회활동과 사회적서비스인지도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의한 상호작용으로는 ADL과 배우자 건강, 우울과 교육수준, 우울과 배우자의 건강여부, 우울과 사회활동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약화를 경험하는 노인들의 심리적 압박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함으로써 노후의 건강상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regulate health weakness of the elderly people as a stressor and focus on investigating whether personal, familial and social resources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health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Based on『2011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elderly people』, we will analyse the determinants of health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aged 65 or over. Analysis result of determinants of health satisfaction by using Ordered Logit model, it appeared as ADL, depression, smoking, income, education,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service level and so on. Also, similar interaction appeared as ADL and spouse's health, depression and education, depression and spouse's health, depression and social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health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by giving political proposal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 relieving mental pressure of the elderly people who are experiencing health weak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