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 및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가 해외직접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정민지 ( Jung Minji ),정재은 ( Chung Jae-eun ),양희순 ( Yang Heesoo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1

        한국 화장품의 대 중국 수출은 세계적인 경기 침체 및 한·중 간의 외교적 마찰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국내 역직구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거주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 ‘Kmall24’ 웹사이트의 지각된 유용성 및 이용편리성을 측정하여 한국 화장품에 대한 해외직접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만 20세 이상의 남·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한국제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는 주로 중국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제품 중 화장품 및 뷰티제품, 의류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결과 한류는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와 한국 온라인 쇼핑몰의 지각된 이용편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는 한국의 온라인 쇼핑몰의 지각된 이용편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 및 제품이미지는 해외직접구매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각된 이용편리성 및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온라인 쇼핑몰의 지각된 이용편리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유용성이 한국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한국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해외소비자의 한국제품 구매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국시장에 중소기업의 소비재 수출 판로 확대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기대된다. Cross-border shopping is defined as domestic consumers’ direct purchase of foreign products via online platforms, Korean cross-border shopping market exhibited extraordinary growth. According to the Korean Customs Service Office(2017), Korean e-commerce exports reached 2.3 trillion won in 2016 and increased by 84 percent year-on-year, and China is Korea’s largest e-commerce export market. Furthermore, due to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the demand for Korean consumer-goods among foreign consumers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wave, product imag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Chinese consumers’ cross-border shopping intention toward Korean cosmetics. Our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consumers older than 20 years of age and who live in China using a quota sampling method. An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 ‘Kmall24’ website, was utilized to evaluate how participants perceive usefulness, ease of use and cross-border shopping intention. For the analysis, SPSS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and AMOS 21.0 was used to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wav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roduct image and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product imag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ease of use. Third, Korean wave and product image had indirect effects on cross-border shopping intention toward Korean cosmetics. Forth,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which, in turn, was positively related to cross-border shopping intention toward Korean cosmetics. The results help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cross-border e-commerce and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Korean cosmetics firms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emphasizing Korean wave and product image of Korean cosmetics to enhance export performances.

      • KCI등재

        한,중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이용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주혁균 ( Yi Jun Zhou ),류미현 ( Mi Hyun Ryu ),이승신 ( Seung Sin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최근 한국과 중국의 소셜커머스 시장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문제들이 발 생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소셜커머스 이용시 가장 불만족한 유형을 비교하고, 불만 경험 시 불평행동의 유형별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 중국소비 자들이 각각 소셜커머스를 이용하여 재구매의 의도가 어느 정도 있는지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 엇인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소셜커머스 이용에 있어 소비자 측에서는 양국 소비자들의 불만을 최 소화하고, 만일 소비자들이 불만족이 있다면 적극적인 불평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 할 것이며, 소비자들의 무분별한 재구매를 감소시키고 정확한 판단 아래 재구매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아 울러 기업 측에서는 소비자들의 불만족 및 불평행동을 파악하여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 히 중국 진출 기업에게는 유용한 정보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커머스 소비자불만족은 한국보다 중국소비자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인 사전 기대불일치불만, 모바일 및 결제서비스불만, 사후서비스불만의 세 영역 모두 중국소비자의 불만이 더 높게 나타났 다. 둘째, 한·중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소비자불평행동은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들이 사적, 공적불평행동 모두 더 많 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가 한국 소비자보다 소비자불만족과 소비자불평행동이 높은 것은 아직까지 중국에서 소셜커머스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이나 법률의 부재로 인한 결과라 생각된다. 셋째, 한·중 소비자의 소셜 커머스 재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결과가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중국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에 비해 소셜커머스 재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중국소비자 모두 구매횟수가 많을수록 재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소셜커머스 이용 관련 소비자교육시에는 소비자들의 의사결정과 관련되어 제품 구매시 습관적인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매 의사결정관련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소비자들의 경우 사적대응행동을 많이 할수록 오히려 재구매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적행동으로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기업에 반영되기 어려우므로 기업에서 소비자들의 잠재 불만을 파악하기 전에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결국은 재구매 의도를 낮추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므로 기업은 향후 공적행동과 함께 사적 불평행동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인 파악 이 요구된다. Social Commerce market already has rapid grown and got strong spread for consumers` behavior in South Korea for consumption behavior. Aslo many consumers in China has almost same phenomenon in using social commerce near from big city. However, more problems such as service quality decline and consumers` complaints occurred as commerce market grows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This paper is related consumers` behavior using social commerce market. It reviews situation and explanation of current social commerce market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Consumers` dissatisfaction, complaints, re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This research especially focused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for consumer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Survey using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conducted in October 6th -25th, 2011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ere delivered to 20s` and 30s` Sout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rough Internet. The total number of 382 consumer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Beijing, Xinjiang, Hebei and Shanghai in China. In South Korea, quesionnaire were delivered in districts Seoul, Inechon, Kangwando.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consumers have more frequently visit, more purchasing behavior, more diverse items purchased were shown in social commerce than South Korean consumers.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for social commerce was found higher in Chinese consumers. This result is supposed to be caused by larger rapid growth in internet shopping, home shopping. Second, Chinese consumers were reported to be more satisfied with social commerce than S. Korean ones, and this disparity is significant. Third, Chinese consumers committed more complaining behaviors than consumers in South Korea. This difference was verified to be significant. It is supposed that is caused lack of legal regulation on social commerce market in China, compared to South Korea. Fourth, Social Commerce consumer repurchase intentions were higher for consumers in China compare to South Korea. The number of purchases, number of visits per month were affect repurchase behavior in social commerce both in Sout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propose some suggestions on improving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First, because South Korean electronic trade is comparatively more developed and more policy-ruled than China, Related legal laws and regulations for consumer protection are insufficient in China, yet. As the market rapidly develop, more diverse, severe problems will arise. I is necessary for formulating related policies and laws especially in social commere market for protecting consumers. Second, it is necessary giving consumer education for consumers related electroing transaction because of rapid growth and professional knowledge for using social commerc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express complaints through several channels such as company, non-government organization, government. Al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consumers for dealing with dissatisfaction and resolve the problems.

      • KCI등재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김도연 ( Kim¸ Doyeon ),송찬기 ( Song¸ Changi ),강정석 ( Kang¸ Jungsuk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감정욕구를 측정하기 위한 신뢰할 만하고 타당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3개의 하위 연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 Maio와 Esses(2001)의 감정욕구 척도에 대한 한국인 대상의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1개 문항의 3요인 구조 (감정회피, 감정이해, 감정체험)로 구성된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1에서 확정한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를 기반으로 연구 2에서 9개 문항의 3요인 구조로 구성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를 국내용으로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두 하위 연구(연구 1과 연구 2) 결과에 의하면,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가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보다 심리측정학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인(만 20-29세 집단 vs. 만 60세 이상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 3에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의 교차 타당도와 준거 타당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Korean version of a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to measure Koreans’ need for affect reliably and validly. To obtain the goal, three sub-studies were conducted online. In Study 1, the need for affect scale developed by Maio and Esses(2001) was validated for a Korean sample. As a result, a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with a 21 items, three-factor structure (emotional avoidance,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al experience) was developed.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a Korean version of a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with a 9 items, three-factor structur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same Korean sample in Study 2. The results of the two sub-studies (Study 1 and Study 2) confirm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is psychometrically and economically superior to the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In Study 3 with other Korean sample (Koreans aged 20 - 29 years vs. Koreans over 60 years), the cross validity and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were found to be high.

      • KCI등재

        북아프리카 이슬람교도는 한국에서 어떻게 음식을 소비하는가: 소비실천과 소비자문화변용 측면에서

        전승우 ( Seungwoo Chun ),제두아니아미나 ( Amina Djedouani ),엘파트히지넵 ( Zineb Elfathi )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1

        북아프리카에서 한국으로 이주해 온 이슬람교도들은 어떻게 음식 소비를 하는가? 이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모로코와 알제리에서 한국으로 온 15명의 이슬람교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Holt(1995)의 경험, 융합, 유희, 분류로 구성된 소비실천 유형을 활용하여 면접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면접 참여자들은 한국에서 한국 음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음식을 경험하면서, 나름의 해석 틀로 이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들의 음식 소비가 이들이 추구하는 자기 정체성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이들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즐거움을 높이기 위해 음식 소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음식 소비를 통해 특정 그룹과 자신을 구별짓거나 제휴하는데, 이것은 음식 소비가 한국 문화의 적응 정도나 이들의 문화적, 종교적 규율을 지키는 정도를 드러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문화변용 연구 분야에 몇 가지 공헌점을 제시한다. How do Muslims from North Africa consume food in Korea? To search for the answers of this question, this study interpreted the interview data of fifteen people from Morocco and Algerie using Holt(1995)’s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 including experience, integration, play, and classif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y are experiencing a variety of food in Korean and evaluate and respond to them using their own frames of reference. Their food consumption practic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current and pursuing self-identities. In addition, they are found to employ food consumption extensively to increase enjoyment when they interact with others. Finally, they are using food consumption to make distinction from or associate with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because the consumption practices are advantageous to reveal the extent to which they are accustomed to Korean culture while they keep their own cultural and religious principles. Based up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contributions to the consumer acculturation research area.

      • KCI등재

        한국, 미국, 스웨덴의 소비문화 비교 -성별, 세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선우 ( Sunwoo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시장이 세계화되고 글로벌기업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소비문화 이해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 미국, 스웨덴 삼국의 소비문화를 비교하고 성별, 세대별 소비문화 차이를 살펴보았다. 한국, 미국 및 스웨덴 삼국의 20~40대 성인 각 500명 등 총 1,500명을 조사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는 김선우와 김난도(2011)의 연구에서 개발된 소비문화 차원 척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세 국가에서 모두 상징지향적 소비수준보다 기능지향적 소비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지향적 소비수준보다 개인지향적 소비수준이 더 높게 나타나 소비의 의미는 보편적으로 기능적이고 개인적인 특성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미국, 스웨덴의 소비문화적 특징을 살펴보면, 한국은 집단주의 문화권에 속하여 타자승인지향적이고 미국은 개인주의 문화권의 영향으로 개인지향적이었으며, 한국과 미국이 상징적 소비성향이 높은데 반하여 스웨덴은 전반적으로 소비성향이 낮고 개인적 기능지향 차원에 대한 고려가 발견되었다. 성별과 연령대에 따른 소비문화 수준을 살펴본 결과, 상징적 소비차원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개인적 상징에 더 큰 비중을 두는 반면 남성은 사회적 상징에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한편 젊은 층일수록 상징 차원의 소비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기능적 소비차원의 경우 성별과 연령대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마케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면, 한국에서는 사회적 상징, 미국에서는 개인적 상징으로 소구하고 스웨덴에서는 기능적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여성은 개인적 상징에 더 어필하며 남성에게는 사회적 상징을 강조하는 것이 소구 포인트가 될 수 있겠다. 아울러, 20대는 상징적 소비에 매 우 적극적이었으므로 20대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20대가 원하는 상징의 기원 및 유포과정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since 1990``s, many global companies are actively pursuing crosscultural consumer understanding for optimized marketing decision. A lot of marketing efforts may be wasted or even hurt its brand due to the cultural or linguistic failure. With this background, culture has been a major research theme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business management and consumer psychology. But the early researches with cross-cultural perspectives were mostly adopted qualitativ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the consumer culture. Empirical researches for cross-cultural consumer understanding from the global point of view are still emerging area.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consumer culture and investigate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 in the global contex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1,500 respondents in 20``s to 40``s of three metropolitan cities in Republic of Korea, USA and Sweden: Seoul, New York, and Stockholm. The dimensions and measures of consumer culture were adopted which was developed by S. Kim and R. Kim in 2011. Shortly introducing the dimensions and measures of consumer culture, consumer culture can be defined as an interaction of meaning via consumer goods, and herein, a meaning and an interactivity can be the main analysis unit. A consumer culture is classified into two dichotomies by meaning and interactivity; functional-symbolic and individual-social. These two dichotomies are combined into a 2×2 cross-classification, and four-celled dimensions of consumer culture are produced; individual-functional, socio-functional, individual-symbolic and socio-symbolic. Each dimension has two sub-dimensions; ‘economical efficiency’ and ‘frugality’ (individual-functional dimension), ‘fun pursuing’ and ‘self expression’(individual-symbolic dimension), ‘approval by others’ and ‘brand-good preference’(socio-symbolic dimension), and ‘ethical action’ and ‘pro-environmental action’(socio-functional dimension). The main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consumption is dominantly perceived as a functional and individual human activity with the finding that the functional consumption level was apparently higher than the symbolic and the individual consumption level was higher than the soci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conomical efficiency’ by country while it was scored around 4 points among 5 points likert type scale. ‘Economical efficiency’ is perceived as the main consideration point for consumers in the developed market economy countries to achieve a consumption task. Second, Korean consumers scored higher in ‘approval by others’ based upon their collectivism culture, while American consumers concerned more on ‘self expression’ influenced by their individualism culture. Swedish preferences were more located in individual-functional dimension, while Korean and American were striving more individual or social symbolic consumption. This finding supports the theory that culture and consumption is interdependent. Third, there was an apparent difference in symbolic consumption by gender and gener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nd generation in the functional consumption. By gender, female was more focused on individual symbol but social symbol and ‘brand good preference’ was more important to western male. This is an evidence that the consumption is a mechanism to form and reinforce culture and habitualize its fixed stereotype systematically. In the perspective of generation, the younger was attached more to the symbolic consumption than the older. Generational commons were found in 30``s and 40``s in Korea and 20``s and 30``s in America and sweden.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maturity of the market economy and that of the consumer culture is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In western society, the market economy was already matured in early 1970``s and the generation X in 30``s and the early 40``s is the first generation born to be a consumer. But Korea was transformed to the consumption society after the middle of 1980``s and the generation Y in their 20``s and early 30``s has its own identity as homo consumens. One more discussion point from the generation difference perspective is that the younger in America and Sweden is more eager to the ethical and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activity while the older has higher tendency in the socio-functional consumption activities in Korea.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long civic engagement tradition in the western country affects consumer culture as well. To expand ethical and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in young generation, it is important for them to provide an well-organized education program to reinforce Korean civil society and enhance their identity as consumer citizen. This research tried to provide business managerial implication from the global marketing``s point of view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empirical consumer culture study. The research findings imply several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icient global marketing. Frist, Korean``s aspiration is a social symbol but an individual symbol appeals to American, while Swedish is mainly focusing on the functional benefits. In addition, female prefers to individual symbols but social symbols are the key for the male targeted marketing. Furthermore, Y generation in their 20``s and in early 30``s is eager to consume the symbolic images, which need to be deeply explored more 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symbols and their preferred touch points.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as below. First, this research didn``t limit the product category and measured the overall consumer culture. If the different category dynamics can be considered in the future research, it will be much more clear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to provide more sharpened implications. Furthermore, there was a tendency of lower score in some question items from Swedish consumers even though the author tried to make a best effort to achieve equivalence of the measures. More thorough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response styles for the elaborate cross-cultural comparison study. Finally, this research only included countries with matured market economy but it is suggested to consider developing countries or eastern european countries as well to investigate the consumer adjustment process and their identity as consumer.

      • KCI등재

        한중 소비자의 식품안전인식과 위험지각 및 안전식품 추가지불의도

        김경자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자국의 식품안전 수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식품안전과 관련된 위해요소에 대해 어느 정도의 위험을 지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안전한 식품을 위한 소비자들의 추가지불의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여성 소비자 267명과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보완설명을 위해 면접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자국의 식품안전수준 평가점수는 100점 만점에 70점을 밑도는,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품생산에서 가공, 유통, 소비에 이르는 각 단계별 식품안전수준에 대한 평가는 한국과 중국이 달랐다.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15개 위해요소에 대한 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소비자들보다 위험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그러나 위해요소로부터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기 위한 추가지불의도는 한국소비자보다 중국소비자 집단에서 더 높았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소비자가 지각한 식품위험을 감소시킬 식품안전정책과 수출입 교역시 상대국 소비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방안과 시장 개척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저작권인식과 소비의도

        황혜선 ( Hye Sun Hwang ),이경희 ( Kyunghee Lee ),김기옥 ( Kee Ok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 산업이 큰 일본과 비교해 디지털문화콘텐츠 저작권인식과 소비의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디지털문화콘텐츠의 합법적인 소비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합리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소비태도와, 주관적 소비규범이 소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으며, 이때 저작권인식이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소비태도와, 소비의도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소비자의 경우 일본에 비해 저작권인식이 높았으나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긍정적인 소비태도가 합법적 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고 있었다. 디지털문화콘텐츠 소비의도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한국과 일본 두 모형의 통계적 차이는 없어 한국과 일본의 디지털문화콘텐츠 소비의도가 형성되는 양상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국 산업규모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합법적 소비의도를 형성하는 요인의 구조가 크게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한국의 저작권인식 수준이 일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는 점은 한국의 디지털문화콘텐츠 시장이 성숙될 수 있는 기반은 마련되어 있으나, 이를 실제 합법적 소비행위로 이끌 수 있는 요인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소비행위를 합리적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설명하면서 소비자의 저작권인식 수준을 모형에 포함함으로써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소비와 관련된 소비자의 지식과 태도, 행위를 하나의 모형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copyright and consumption intention between Korean and Japan consum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legal consumption decis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general understanding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study model was established that the attitudes of digital culture content,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had an impact on consumption intention. It was also set that the recognition of copyright had an effect on the attitudes of digital culture content and consump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it showed that Korean consumers had higher recognition than the Japanese consumers but the effect of positive consumption attitudes formed based on this on legal consumption intention was relatively small.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onsumption intent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and consumption intent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 was similarly formed between Korea and Japan. It can be said that the foundation was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cultural content market in Korea but there is a shortage of factors leading this by practical legal consumption behaviors in tha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factors that form legal consumption intention in Korea and Japan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industrial scale of both countries and Korean consumers show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rather than the Japanese consum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the consumer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consumpt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 were confirmed in one model by including the level of recognition of copyright in the model while explaining the consumption behavior of digital cultural content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KCI등재

        한국형 물질주의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강아롱,윤성욱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2

        지금까지 물질주의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사용되는 물질주의 척도는 30~40년 전 개발된 척도로 너무 오래 되었으며, 미국에서 개발되어 한국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척도는 전무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마다 물질주의 하위구성개념이 다르게 사용되어 왔기에 오래전 측정되었던 요인이 지금 현재에도 그대로 적용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물질주의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근거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한국인의 물질주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개방형 설문지, 심층면접을 통한 98개 예비문항에서 전문가의 내용타당성 조사를 거쳐 최종 45개 문항을 도출하는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이후, 총 747명의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3차에 걸쳐 본 연구가 진행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판별 타당성 진행과 함께 1,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그리고 물질주의와 유사개념과의 판별 타당성 및 과시소비, 충동구매, 삶의 만족도 등의 변수들과의 법칙타당성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총 11개 문항 3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3차례 진행된 본 연구로 개발된 척도의 3개 요인은 각각 물질의존형, 돈만능형, 과시지향형 이라고 명명하였으며, 물질의존형 4문항, 돈만능형 3문항, 과시지향형 4문항으로 총 11문항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시대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가치관, 인식을 반영한 물질주의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둘째, 한국의 문화와 정서 및 특성이 반영되었기에 한국인의 물질주의 가치관에 대한 후속 연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된 물질주의 척도와는 다른 새로운 요인이 도출 되었다. 이 요인들은 현대 사람들의 물질에 대한 사고와 인식이 변했음을 예상할 수 있는 결과이다. 물질주의 척도가 변화된 소비자들을 이해하는 후속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등 학문적 연구에 높은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