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년 「의료법」 개정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언 - 간호사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유경(Cha, Yu-Kyung)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1 No.-

        2015년 「의료법」 개정은 간호사 업무와 관련된 ‘모호성’들이 해소된 중요한 기점으로 볼 수 있다. 법 개정 이전 「의료법」은 간호사의 업무를 추상적으로 ‘간호’ 혹은 ‘진료보조’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여기에, ‘진료보조’를 간호사의 고유업무로 규정하면서도, 하위규칙에는 이를 간호조무사의 업무로 정하고 있어 법률의 정합성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 외에도, 의료기관의 간호조무사 대체 문제, 간호보조인력 양성 기관의 관리체계 부재 및 감염병에 취약한 병원 간호 환경 등이 주요 문제점들로 부각되었다. 2015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상기한 주요 문제들이 해소되었다. 간호사의 핵심 업무인 ‘간호과정’을 명확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간호사의 업무에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 기획과 수행 등을 신설 하였다. 또한, 하위 규칙에 간호조무사의 업무로 규정된 ‘진료보조’를 삭제하였으며, 간호사에게 간호조무사 지도권을 부여하였다. 간호보조인력 양성 및 관리와 관련해서는, 간호조무사 양성기관 관리체계를 확립하여 간호보조인력의 질을 관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간호인력들의 수급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도록 취업교육센터를 설치하고 지원하게 되었다. 한편,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하여 전세계가 팬데믹 사태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여느 때보다 사태의 중심에 서 있는 간호사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2015년 개정 「의료법」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하여 신종호흡기감염병으로 인한 병원 내 감염 문제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도입 이후 입법 취지에 맞는 순기능도 있었지만, 서비스 체계 미비, 간호사의 업무 과중, 스트레스 증가 및 불합리한 보상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간호사들의 감염병 실무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더 나아가, 간호사들에게 희생적 역할은 강요되고 있지만, 그들의 처우 및 업무 환경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개정 「의료법」의 주요내용 중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간호사와 관련된 부분을 제도, 교육 및 처우 부분으로 나누어 개선방향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첫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내실화하여야 한다. 의료기관별·질환별·중증도별로 병동을 세분화하고, 체계화 된 시스템 내에서 간호사를 배치하여야 한다. 또한, 본 서비스 운영의 방식인 ‘팀 간호체계 방식’을 간호사가 적극 주도 할 수 있도록 하여 2015년 개정 「의료법」에서 신설된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 활동 기획·수행 업무’ 규정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팀 간호체계 방식을 표준운영절차(SOPs)화 하여야 한다. 그리고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보호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서비스를 안정화 시킬 필요가 있으며, 서비스 병동을 환자질환별, 중증도별로 구분하여 이에 필요한 처치의 종류, 난이도, 방법 및 횟수 등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는 간호사들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간호사의 감염병 실무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코로나19와 같은 신종호흡기감염병이 대유행하게 되면, 간호사의 감염병에 대한 지식이나 실무 대응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들의 실무교육은 현재 보수교육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신종호흡기감염병과 유관한 교육들이 이론 위주로 소수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코로나19 사태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할 또 다른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신종호흡기감염병과 관련한 교육과정을 필수과목으로 증설하여야 하며, 특히 중증환자를 위한 기기사용법 등과 같은 실습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간호사 최저 임금제를 도입하고 의료인 법정 인력기준 준수를 강화하여야 한다. 코로나19 발생으로 간호사들에게 희생적 역할과 책임감 등을 강요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이들에 대한 처우와 업무 환경이 열악한 점에 대해서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는 간호사 배출 수에 비해 임상 간호사 수가 매우 적다. 그러한 이유는 ‘낮은 연봉 수준’과 ‘과중한 업무량’ 및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이 주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호사를 위한 최저 임금제를 도입하여 보건 전문직인 간호사들의 활동을 유인할 필요가 있으며, 낮은 연봉 수준으로 인해 저하된 동기를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 더불어, 간호사 법정 인력기준 준수를 강화하여야 한다. 현행 「의료법」과 「의료법 시행규칙」에 인력기준이 있지만, 대부분의 의료기관들이 이를 준수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간호사들의 업무가 과중하게 부과되고 근무환경이 더욱 열악해져서 간호사들이 이직을 하게 되는 등 많은 부작용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해 의료기관의 간호사 법정 인력기준 준수 여부를 철저히 감시하고, 위반한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행정처분을 부과함으로써 해당 문제를 개선하여야 한다. 한편, 의료기관들이 간호사 법정 인력기준 미준수의 이유로 ‘낮은 의료수가에서 비롯된 병원 경영상 재정난’을 이야기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의무화’를 ‘의원급’까지 확대 할 필요가 있다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Law」 in 2015 can be seen a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where the ambiguity related to nurse work is resolved. Prior to the revision of the law, the 「Medical Service Law」 stipulated that nurses' duties were abstractly included only 'care' or 'assistance in medical treatment'.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istency of the law did not coincide with that, which is 'assistance in medical treatment' was defined as the unique work of the nurse and the subordinate rules set it as the work of the nursing assistant. Furthermore, problems such as the replacement of nursing assistants in medical institutions, the absence of management system of nursing assistant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hospital nursing condition vulnerable to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highlighted as major problem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Law」 in 2015, the above problems have been solved. The 'nursing process', which is the core task of nurses, was possible to clearly reflect. Furthermore, the work of the nurse was created to establish activities planning and performance for education and consultation to a person in need of nursing, planning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assistance in medical treatment', which is defined as a nursing assistant's job in the sub-rules, was deleted, and the nurse was given the right to supervise the nursing assistant. In relation to the training and management of nursing assistants, it became an opportunity to manage the quality of nursing assistants by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for nursing assistant training institutions, and established and supported 'Employment Training Centers for Nursing Work Force' to solve the imbalance in supply and demand of nursing personnel.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the world faced the crisis of Pandemic.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a nurse who stands at the center of the situation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vised 「Medical Service Law」 in 2015 introduced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 opening the possibility of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problem of infection in hospitals caused by new respiratory infection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 through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Act」 in 2015, it has had a net function that fits the legislative purpose,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service system, overload of the nurse's work, increased stress of nurses and unreasonable salary. In addition, nurses' practical training on infectious diseases is being emphasized. Furthermore, although the sacrificial role of nurses is being compelled, their treatment and work condition are not being improv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im is to review that the major contents of the 「Medical Service Act」 revised in 2015 by dividing the part related to nurses into the system, education and treatment in context of so-called the post-corona world. First,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 should be improved. The wards should be subdivided by medical institution, disease, and severity, and nurses should be assigned within a systematic system. In addition, the 'team-based nursing system', which is the method of operating this service, should be actively led by nurses so that the regulations of 'activities planning and performance for education and consultation to a person in need of nursing, planning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implementation' newly established in the revised Medical Law of 2015 should be utilized. To achieve this, the team-based nursing system should be standardized operating procedures (SOP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service by providing a protection system to relieve the stress of nurses, and the service ward is divided by patient disease and severity, and salary for the nurses correspondi

      • KCI등재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작용하는 영향요인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유경 ( Yoo Kyung Cha ),원숙연 ( Sook-Yeo Won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3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기혼여성이 노동시장에 참여하는데 어떤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며, 그 요인의 차이가 경제위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까? 이상의 질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로 2007년과 2009년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작용하는 요소를 정책과 인식, 그리고 개인 및 가구 특성 모두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과 2009년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상황과 무관하게 보육비 지원정책(+), 연령(+), 교육수준(+), 미취학자녀수(-)의 영향력은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되었으나, 여가생활만족도(-), 수입만족도(+)는 경제위기 이후에 더 강하게 작용하였다. 둘째, 경제위기 전에 비해 경제위기 후에 정책 특히 취업지원정책의 영향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였다. 이는 경제위기에 따른 노동시장의 위축 시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여성과 같은 소수집단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재확인 한다. 셋째, 경제위기 이후에 여성에 대한 성고정관념적 이데올로기 중 남성부양자인식(-)은 약화되는데 반해 엄마역할(-)에 대한 인식의 영향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위기에 따라 인식이 전반적으로 보수화된다는 논의에 부합한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ddresses the questions. What are the factors effecting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others? In what ways do the factors work different along with economic conditions? In order to find possible answers to the questions, the main focus is o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factors, comparing the results of 2007 to that of 2009, which were based on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In particular, a comprehensive model including various factors such as policy for child care, gender stereotypes, personal and family factors was built. For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model was proved with Korea Welfare Panel Study(KWP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economic condition,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age(+), educational levels(+),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had a stable impact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others. On the contrary, the impact of satisfaction with leasure(-) and with income(-) became stronger in 2009 than that of 2007. Then, state policy for job placement and training worked particularly strong in 2009 when economic condition were getting worse. It confirm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state policy for social minority like women under the economic hardships Interestingly, along with economic crisis, the impact of male breadwinner ideology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for mothers became weaker, while mothering ideology worked rather strong.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간호교육 4년 학제 일원화를 위한 「고등교육법」 개정의 주요 내용 및 현재적 의의

        유경(Cha, Yu Kyung) 대한교육법학회 2020 敎育 法學 硏究 Vol.32 No.3

        과거 우리나라 간호교육 과정은 3년제 전문대학 간호과와 4년제 대학 간호학과로 이원화 되어 있었다. 2006년 「고등교육법」 개정안 발의를 기점으로 간호교육 4년 학제 일원화를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으며, 제17대~제19대 국회에 걸쳐 「고등교육법」과 「의료법」 개정안 제출이 이루어졌고, 2011년~2016년 「고등교육법」 및 「의료법」 개정을 통해 마침내 제도의 일원화가 이루어졌다. 2011년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전문대학 내 의료인 양성을 위한 4년 수업연한의 과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본 과정을 이수한 자들에게는 학사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4년제 간호과를 운영하고자 하는 전문대학은 교육여건 등의 기준을 갖추고 평가인증기구를 통해 지정 받도록 하였다. 또한,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입학조건으로 동일계열 전문대학 졸업 후 관련분야 재직 경력이 요구되었으나, 간호과에 한해 산업체 재직 경력이 없어도 입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심화 교육 과정 선택의 자율성이 확대 되었다. 2012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간호사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간호학을 전공하는 전문대학이나 대학을 졸업한 자로 제한하였다. 마지막으로, 2016년 「고등교육법」은 전문대학에 개설된 수업연한 4년 교육과정의 명칭을 ‘과’에서 ‘학과’로 개정되어, 두 교육 과정이 모두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동일한 과정 임에도 불구하고 명칭의 차이로 인해 유발될 수도 있는 차별 및 불이익을 방지코자 하였다. 상기 법률 개정으로 간호교육을 4년제로 일원화하고, 간호교육의 표준화를 위한 법적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현재 미국・독일 등 주요 서구 국가에서 간호 인력의 학사학위 과정 이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흐름에 비추었을 때, 이미 10여 년 전,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4년제 학사학위 과정으로의 간호교육 일원화는 제도적 차원의 선제적 선진화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일찍이 구축된 4년 학제를 통해, 우수한 인력들을 간호사로 배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현장의 서비스 질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열악한 근로조건 등으로 인해 졸업생들이 간호사로서의 취업 포기나 해외 취업 등을 선택함으로써 일선 병원들은 간호사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 처우 및 근무환경 개선을 통해 양질의 교육을 받은 인력이 노동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간호사법 제정 등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개정 「고등교육법」상 의료인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 수업연한 및 학위에 관한 특례 규정은 현재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자발적으로 신청하지 않은 전문대학들은 3년 학제 간호과로 남아 있어 4년제 일원화를 완전하게 이루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게 되었다. 또한, 간호사 면허 시험 응시자격 요건이 여전히 간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이나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 규정되어 있어, 학사학위 취득이 간호사 면허 취득의 필수 조건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의료인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 수업연한 4년 규정을 강행규정화 하고, 간호사 면허 시험 응시자격 요건을 학사학위 취득자로 제한하는 등 제도의 통일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본 제도를 내실화 할 필요가 있다. In the past, the nursing curriculum in Korea was divided into a three-year junior college nursing department and a four-year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 The proposal to unify for the four-year school system of nursing education began with a legislative bill of amendment to the 「HIGHER EDUCATION ACT」 in 2006, and amendments to the 「HIGHER EDUCATION ACT」 and the 「MEDICAL SERVICE ACT」 were submitted in the 17th to 19th National Assembly. The system was finally unified through the revisions of the 「HIGHER EDUCATION ACT」 and the 「MEDICAL SERVICE ACT」 from 2011 to 2016. Through the revision of the 「HIGHER EDUCATION ACT」 in 2011, a four-year course in junior colleges designed to train medical personnel may be established, and a legal basis for conferring a bachelor s degree to those who completed this course was established. Junior colleges which want to operate a four-year course nursing department should have satisfied standards such as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should been designated through an accrediting institution. In addition, the prerequisite for admission to the advanced major course in junior colleges is that graduated from a junior college in the same department and has experience in the related field shall become eligible to apply for an advanced major course. Whereas the autonomy of choosing an advanced major course of been expanded by allowing the nursing department to be admitted even without a same career. Through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ACT」 in 2012, nurse was restricted to those who has graduated from a university, college, or junior college with a major in nursing which is certified by an accrediting institution. Finally, in 2016 the amendment of 「HIGHER EDUCATION ACT」 was that the name of departments having a four-year course in junior colleges was revised from ‘Department’ based on junior colleges to ‘Department’ based on university, in order to prevent discrimination and disadvantages that may be caused by differences in names even though both curriculums are the same courses for obtaining a ‘Bachelor s degree’. With the revision of the law, nursing education was unified on a four-year school system basis and provides a legal basis for standardizing nursing education. In light of the current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completing a bachelor s degree program for nursing personnel in major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e unification of nursing education into a four-year bachelor s degree course in Korea more than 10 years ago can be evaluated as a proactive advancement at the institutional level. Nevertheless, despite the fact that the excellent workforce is produced as a nurse through the four-year school system established earlier, it has not led to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in the medical field.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graduates are choosing to give up their jobs as nurses or to work overseas, leading hospitals are facing the problem of lack of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more active measures such as enactment of the Nurses Act so that the personnel who have received high quality education can enter the labor market through the treatment of nurses and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under the revised 「HIGHER EDUCATION ACT」, ‘Special Cases concerning Duration of Courses and Degree of Courses for Training Medical Personnel’ is currently non-mandatory provision. As a result, junior college that did not voluntarily apply remain in the three-year school system nursing department and have not fully achieved four-year unification. In addition,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taking the nurse license exam are still defined as those who have graduated from a university or junior college majoring in nursing, so obtaining a bachelor s degree is not prescribed as a prerequ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How Resilience Affect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Mediating Role of Acceptance

        유경,정안숙,성이,김남희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8 No.3

        Not every individual who experiences a traumatic event is diagnos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r shows its symptoms. Resilience has been understood to be a key factor that helps individuals adapt successfully following an adversity. Acceptance has also been considered a therapeutic factor for such individual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acceptance, and their impacts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e mediating role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A total of 140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rauma (80 females and 60 ma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ilience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acceptanc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underpinning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DACUM 기법에 의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 개발

        진아 ( Jin A Cha ),김강은 ( Kang Eun Kim ),김은미 ( Eun Mi Kim ),박미선 ( Mi Sun Park ),유경 ( Yoo Kyoung Park ),백희준 ( Hee Joon Baek ),이송미 ( Song Mi Lee ),최수경 ( Soo Kyong Choi ),서정숙 ( Jung Sook Seo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통해 국내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를 조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를 평가함으로써 병원 임상영양사를 위한 직무기술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 7월초에 DACUM 워크숍을 통해 1차적으로 직무기술서를 도출하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회의와 Delphi 조사 방법을 적용한 표적집단 면접을 통해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쳐 직무기 술서를 도출하였다. DACUM 위원회의 패널로는 3차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임상영양사 9인과 임상영양학을 전공하는 교수 4인, 직무분석을 담당하는 교수 1인 등 총 14명이 참여하였다. 전문가 자문단을 별도로 구성하였으며, 의사 1인, 간호사 1인, 임상영양분야 실무자 및 교수 5인이 포함된 전문가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였다. 도출된 직무기술서는 2011년 7∼8월까지 전국 500병상 이상의 종합 병원 90개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46개 병원에서 각각 임상영양 실무책임자 1인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현장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처음 도출된 직무는 총 8개의 직무, 33개의 과업, 114개의 과업요소였으나 수정 보완작업을 거쳐 총 7개의 직무, 27개의 과업과 93개의 과업요소로 재분류되었다. 최종적으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는 영양판정(A), 영양진단(B), 영양중재(C), 영양모니터링ㆍ평가(D), 자문ㆍ협력(E), 영양연구(F), 자기계발(G)로 도출되었다. 2. 각 직무영역별로 세부내용을 보면, (A) 영양판정은 A1. 영양 초기평가하기, A2. 식품영양관련 자료 수집·평가하기, A3.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A4. 신체계측 자료 수집·평가하기, A5.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A6. 개인력 및 과거력 점검하기, A7. 영양 요구량 결정하기, A8. 영양판정 기록하기의 8개의 과업으로 구분하였다. (B) 영양진단은 B1. 영양진단 도출하기, B2. 우선순위 정하기, B3. 영양진단 기록하기로 나뉘었고, (C) 영양 중재는 C1. 영양중재 계획하기, C2. 영양처방 관리하기, C3. 영양상담하기, C4. 영양교육하기, C5. 영양집중지원하기, C6. 영양중재 기록하기로 구분 하였다. (D) 영양모니터링·평가는 4개의 과업으로 D1.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D2. 영양중재과정 모니터하기, D3. 영양중재 결과 평가하기, D4. 영양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로 구분하였다. (E) 자문·협력은 E1. 영양자문하기, E2.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로 (F) 영양연구는 F1. 질 향상 활동하기, F2. 연구 활동하기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G) 자기계발은 G1. 전문성 향상, G2. 자기관리가 포함되었다. 3. 도출된 임상영양 직무기술서에 대한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 병원의 유형은 상급종합 병원이 65.2%를 차지하였으며, 종합병원은 34.8%였다. 병원의 재원일수는 8.0±1.5일이었으며 병원 조직에서 영양부서는 6곳을 제외한 39개의 병원에서 진료부서 또는 진료지원부서에 속하였다. 또한 병원에서 영양부서가 단독으로 편제되어 있는 경우가 9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병원 임상 영양사의 성별은 여자가 100%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분포는 40∼49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인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최종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과업요소의 인지된 중요도를 비교하면 6개의 과업요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업요소들이 4.0점 이상이었고 총 7개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는 ‘영양중재’가 4.6±0.6점으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진단’과 ‘영양모니터링·평가’의 직무가 4.5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조사 되었다. 전체 과업요소 중 수행도가 4.5점 이상으로 매우 자주 수행되는 과업요소가 13개, 4.0점 이상의 자주 수행되는 과업도 29개의 과업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영역 중 ‘영양중재’가 4.2±1.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영양연구’ 업무가 4.1±0.9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영양진단’과 ‘자문·협력’은 각각 3.8±1.0점, 3.7±0.9점으로 비교적 어렵게 인식되는 직무로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과업요소 전체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의 평균은 각각 4.5±0.8점, 3.7±1.3점, 3.5±1.0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임상영양사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격자도 분석에서 영양 초기평가하기, 영양요구량 결정하기, 영양판정 기록하기, 영양진단 도출하기, 영양중재 계획하기, 영양처방 관리하기, 영양교육하기, 영양집중지원하기, 영양중재 기록하기,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영양중재 과정 모니터하기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영역(doing great)에, 식품영양관련 자료수집·평가하기,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신체계측 자료수집·평가하기,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개인력 및 과거력 자료 점검하기, 영양진단의 우선순위 정하기, 영양진단 기록하기, 영양상담하기, 영양 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는 수행도는 높으나 중요도가 낮은 영역(overdone)에 속하였다.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영역(focus here)에는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질 향상 활동하기가 속하였고,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영역(low priority)은 영양중재 평가하기, 영양 자문 활동하기, 연구 활동하기, 전문성 향상하기, 자기관리하기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개발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는 현장에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인지된 중요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지만 그에 비해 수행도가 미흡한 과업들에 대하여는 임상영양사에 대한 교육 실시, 업무 분담, 적정인원 배치 등 제도적인 뒷받침을 마련하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질병별 맞춤형 임상영양 업무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다 전문적인 환자 영양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A developing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the job analysis of clinical dietitians. Based on DACUM analysis with 14 members, including clinical dietitians and professors majoring in clinical nutrition and job analysis, information on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was determined. To verify the job descriptions derived from DACUM analysis, a total of 46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The final develop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included 7 duties, 27 tasks, and 93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nutrition monitoring·evaluation, consultation·cooperation, nutrition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on the clinical dietitian`s task elements (out of a maximum score of 5.0) were 4.5, 3.7, and 3.5,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P<0.001).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grid of clinical dietitian`s tasks showed tha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ollaboration” (E2) and “activity of quality improvement” (F1)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for performance despite their high importance scores; thus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require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job descriptions of clinical dietitian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 KCI등재후보

        건강한 한국인 자원자에서 나프토피딜(Naftopidil) 단회 경구투여에 의한 약동학적 특성 및 내약성에 관한 연구

        유정,김정원,전혜원,신광희,이승환,장인진,신상구,유경 대한임상약리학회 2010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8 No.2

        Background: Naftopidil is a selective α₁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which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dysuria caused by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We investigated the pharmacokinetic characteristics and tolerability of naftopidil after a single oral dose in healthy Korean male volunteers. Methods: Sixteen subjects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8 for naftopidil 50 mg and 75 mg, 8 for naftopidil 25 mg and 100 mg). Serial blood samples for pharmacokinetics were collected up to 24 hours after drug administration. Naftopidil plasma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HPLC.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noncompartmental methods. Tolerability assessments including vital signs, 12-lead ECG,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and adverse events were conducted. Results: The median time of maximum observed plasma concentration (Tmax) was 0.5 h in all dose groups.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max) of 25, 50, 75 and 100 mg dose group were 44.0 μg/L, 88.9 μg/L, 126.7 μg/L, and 179.5 μg/L, respectively. The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 to the last measured concentration over the limit of quantitation (AUClast) of respective dose groups were 71.1 μg*h/L/mg, 178.7 μg*h/L/mg, 316.2 μg*h/L/mg, and 342.6 μg*h/L/mg,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ystemic exposure of naftopidil expressed as AUClast and Cmax was increased dose proportionally, and all doses. Up to 100 mg were well tolerated without serious adverse events in healthy Korean male volunteers.

      • KCI등재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Carboxylesterase 1 (CES1) Gene in a Korean Population

        유정,정혜은,신재국,김은영,유경,조주연,윤서현,임경수 대한임상약리학회 2014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22 No.1

        Human carboxylesterase 1 (CES1) is a serine esterase that hydrolyzes various exogenous compound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CES1 may lead to inter-individual metabolicvariability of its substrates. The allele and haplotype frequencies of known SNPs have been demonstratedto vary among ethnic groups. We analyzed genetic variations of CES1 in a Korean population. Direct sequencing of all exons and flanking regions of the CES1 gene was performed onsamples obtained from 200 Koreans. We identified 41 SNPs. The most frequent SNPs was -914G>C(frequency: 99.5%), followed by 4256G>A (frequency: 65.8%), -75T>G (frequency: 59.3%). Haplotypeanalysis using the identified SNPs revealed fifteen haplotypes (≥1% haplotype frequency)in our samples. The most frequent haplotype was Hap1 (frequency: 15.4%). Among the identified41 SNPs, nine of which are novel variants and 14 SNPs were nonsynonymous variants. Using thefunctional predictive software PolyPhen-2, the G19V, E221G, and A270S variants were predictedto be most likely damaging to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CES1. In-vitro analyses for two of thesevariants have been previously performed; however, functional evaluation of E221G (11657A>G,rs200707504) still needs to be conducted.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characterizethe functional impact of E221G on CES1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