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선호 임종장소와 결정요인 분석

        어유경,고정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8

        현대사회의 고도화된 의료기술로 갑작스런 죽음보다 서서히 진행되는 죽음이 증가하고 있고, 이 같은 현상은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자연스럽게 증가시켰다. 웰다잉의 주요 요소가 자기결정권과 임종장소임을 고려한다면, 노인이 선호하던 장소에서 죽음을 맞을 수 있는 권리도 중요하다. 이러한 권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노인들이 어떤 임종장소를 선호하며, 이러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를 위해 2019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전국의 만 65세 이상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건강한 노화 및 웰다잉」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가 선호한 임종장소는 자택(37.7%)이었으며, 일반병원(19.3%), 호스피스 기관(17.4%), 요양병원(13.1%), 장기요양시설(12.5%)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각 선호결정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낸 자택을 기준으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노인의 연령, 건강, 경제상태, 거주도시 유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후 2025년이면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전망되는 우리나라 인구구조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당사자 입장에서의 선호 임종장소와 그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웰다잉을 지원하고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웰다잉과 관련된 산업기술의 방향성에 대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progress to death is slow compared to the instances of sudden death. This phenomenon has naturally increased social interest in well-dying. Considering that the main elements of well-dying ar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place of death, the right of the older persons to die in their preferred place is also important. To support these right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hoices for the place of death of the older people in Korea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preferences. In relation to well-dying, the preferred place of death of older adults in Korea was investigated, and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each preference decision were explored. For this study, a nationwide survey "Healthy Aging and Well-Dying of the Older Adults" was conducted on 1,500 adults over the age of 65 living in local communities in 2019,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The most preferred place of death by the respondents was home (37.7%), followed by hospitals (19.3%), hospice care institutions (17.4%), nursing hospitals (13.1%), and nursing homes (12.5%).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ge, health, economic status, and types of the region of residence of older adul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references. Korea faces a demographic crisis and is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by 2025.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thus provide clues about how to support well-dying by exploring the preferred place of death and its determinants from the perspective of older adults and about the dir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related to the well-dying of the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 KCI등재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rauma Narratives across Asian and European Americans: Effects of Implicit Audience and Ethnic Identity

        어유경,Leslie R. Brody,박수현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0 No.4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emotional expression carries different meanings for different people depending on eth- nicity and the context of measuring emotional expressivenes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thnicity, implicit audience, and ethnic identity on emotional expressiveness. We collected data from 136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68 East Asian Americans and 68 European Americans). Self-disclosure, emotional expressivity, and ethnic identity were also assesse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about their traumatic experiences. For half of the participants, their ethnic identity was primed before writing the essays. Within each of the two conditions,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imagine that their own ethnic group would read their narratives, whereas the other half were asked to imagine that another ethnic group would read theirs. A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Contrary to expectations, Asian Americans expressed more pride and sad words in their narratives, and more sadness in the ingroup condition than European Americans. Across both ethnic groups, participants with higher ethnic identity expressed less affect and positive emotions. Ethnic identity prim- ing did not affect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ultural differences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complex, with ethnic identity, participants’ ethnicity, and ethnicity of the implicit audience assuming significant roles.

      • KCI등재

        치과 불안의 관련 변인, 설명 모형, 평가 및 중재: 심리학적 이해와 서비스를 위한 개관논문

        어유경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4

        Dental anxiety is referred to as expected anxiety or fear when one receives dental treatments or is exposed to dental treatment-related stimuli. Previous studies have proven that a high rate of people have been experiencing dental anxiety in the community, and dental anxiety plays an crucial role in people’s hesitation to seek adequate treatment, leading to people’s or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o worsen as time passes. Dental anxiety has multi-causality and is shown to very heterogeneous to people. Also, dental anxiety has been proven to be related to individuals’ physical, cognitive, and personality traits. However, dental anxiety cannot be diagnosed precisely with the current diagnostic system, and attracts less attention from psychologists. Thus, this paper reviews previous studies to understand the related variables, model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s of dental anxiety.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hat all related researchers such as dental experts and psychologists collaborate on various and useful studies, and that patients with dental anxiety seek practical assistance via appropriate psychological services. 치과 불안(dental anxiety)이란 치과 진료 시 또는 치과 진료와 관련된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에 예상되는 주관적인 불안이나 두려움을 의미한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상당히 많은 비율의 사람들이 치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치과 불안으로 인해, 제 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실제 구강 건강이 저해되고, 이러한 구강 건강의 저하는 개인의 안녕감 및 삶의 만족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치과 불안은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고 매우 이질적인 인구 집단에서 방대하게 나타나고 있다. 여러 가지 개인의 신체적, 인지적, 성격적 측면과도 관련이 있음이 여러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정신장애 진단 체계로는 치과 불안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특히 국내 연구에서는 심리학자들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해왔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논문의 개관을 통해 치과 불안을 이해해 보았고 치과 불안과 관련된 여러 요인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하는 치과 불안을 설명하는 모형, 치과 불안을 평가하는 도구와 치료 방법까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치과 불안을 활발히 연구하기 위해 치과계와 심리학계의 협업을 통해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실제 치과 불안을 경험하는 환자들이 적절한 심리학적 서비스를 받게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정서억제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

        어유경,최지영,박수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3

        A majority of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ultures suggest that emotion sup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such negative effects may differ depending on one’s self-constru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suppression on physical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o determine if self-construal moderates this effect in a community adult sample in Korea. Results demonstrated that emotion suppression significantly affected participants’ physical as well as depressive symptoms. In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sup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Whereas previous studies conducted with Koreans failed to examine the significant effect of emotion suppression on individuals’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emotion suppression in Koreans. The results highlight the role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in explaining the effect of emotion suppression on physical health. 정서억제가 개인의 신체증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이 때에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성인 한국인(N=201, 여: 148, 남: 53)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정서억제, 신체증상, 자기구성개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서억제는 신체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높은 정서억제 경향은 신체증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억제와 신체증상과의 관계에서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의 경우에만 유의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단술기울기 검증(slope analysis)을 통해 상호작용의 양상을 살펴 본 결과,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이 평균에서 1 표준편차 이상 높은 경우에만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이는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에만, 정서억제를 할수록 더 많은 신체증상을 보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는 정서억제에 대해 일관되지 않던 기존의 국내 연구결과와 달리, 한국인도 정서를 억제할수록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고, 특히 이 때 개인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자기구성개념의 종류나 그 패턴에 따라 정서억제가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여자 대학생의 일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어유경,박수현,정안숙 한국여성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들의 일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특히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효과와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여자 대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일상 스트레스 척도, 간이정신검사지, 부모-자녀 의사소통 질문지,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각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일차적으로 상관 분석, ANOVA,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인구통계학적 집단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고,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여자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여자 대학생들과 아버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스트레스 간 상호작용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자 대학생들에게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중요함이 밝혀졌는데 이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여자 자녀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중시되고 아버지들도 여자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비교적 덜 불편해하는 경향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 및 개입 장면에서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위한 제언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 KCI등재

        성인자녀와의 결속감이 노인의 연명의료 결정에 미치는 영향

        어유경,김순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felt by elderly people in relation to their adult children on the decision about the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Assuming the condition of unrecoverable illness, the alternatives given in the survey were active hospital treatment, hospice focusing on pain relief, alternative medicine such as herbal medicine, and waiting for death.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families was measured by five sub-dimensions including normative solidarity, functional solidarity(parents helping adult children and adult children helping parents), affectual solidarity and consensual solidarit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data from the survey conducted to the 2,064 elderly people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normative solidarity,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active hospital treatment. When parents had a strong sense of functional solidarity in helping their adult children, the chances of choosing to die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nversely, if parents had a high sense of functional solidarity by receiving care from their children, the chances of choosing hospice were increasing, and the chances of choosing active hospital care and alternative medicine were diminishing. As the level of affectual solidarity was higher, parents were more likely to choose death and less likely to choose alternative medicine. Finally, the higher the level of consensual solidarity wa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hoosing alternative medicine was, and the lower that of choosing hospice w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affects their decision about the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and well-dying for preparing the end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성인자녀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결속감이 연명의료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명의료 결정은 회복이 불가능한 질병의 말기 상황을 가정 시, 적극적인 병원치료, 한방 등 대체의료, 고통 경감 중심의 호스피스, 죽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성인자녀와의 결속감은 5가지 하위 차원-규범적 결속감, 부모가 자녀를 돕는 기능적 결속감, 자녀가 부모를 돕는 기능적 결속감, 애정적 결속감, 일치적 결속감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전국 노인 2,064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규범적 결속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병원치료 선택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부모가 자녀를 돕는 기능적 결속감이 높을수록 죽음을 선택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줄어들었다. 반대로, 자녀가 부모를 돕는 기능적 결속감이 높은경우에는 호스피스를 선택할 가능성이 증가하고 적극적 병원치료와 대체의학을 선택할 가능성은 줄어들었다. 애정적 결속감이 높을수록 죽음 선택 가능성이 높아지고 대체의학 선택가능성은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일치적 결속감이 높을수록 대체의학을 선택할 가능성은 높아지고, 호스피스를 선택할 가능성은 낮아졌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노인이 성인자녀와 갖는관계가 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연명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 지방정부의 노인복지 효율성 평가 연구

        어유경,최지민,김순은 한국지방정부학회 2015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5 No.춘계

        본 연구는 현재의 복지서비스 효율성 평가 방식이 지방정부의 복지서비스 효율성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접근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공급자 관점, 현 이용자 중심의 지표 등 기존의 효율성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표에 더하여 접근성을 고려한 지표를 성과평가에 반영한 뒤 접근성과 지역 내 고령자 문제와의 관련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접근성은 기존 산출물과 다른 차원의 성격을 지녔으며, 이것을 산출물로 고려하자 기존 방식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던, 고령자 문제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는 시설 확충과 같은 가시적인 산출물뿐만 아니라 이것에 실제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 역시 복지 서비스의 산출물로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뜻한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current efficiency evaluation method is suitable for evaluating the welfare servic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in an appropriate way. It is our suggestion to consider the concept of accessibility as an output of welfare services. For this, we added accessibility index to current output elements which are generally used from a provider"s perspective or current user-based. Empirical examin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output elements and elderly problem in a region is conduct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character of accessibil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existing measured output. Considering accessibility as an output, it is our finding that the decrease of elderly problems is deeply related to accessibility of elderly welfare services, which is not found in the result of efficiency evaluation without it. This result means that effort to help people get access to welfare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output as well as physical output such as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정서억제가 친밀한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

        어유경,박수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on satisfact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on the relationship. Th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on reported degre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participants currently involved in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examined (N=100). Emotion suppres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Howev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simple slope analysis, to examine the specific interaction pattern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intimate relational satisfaction between participants with low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ose with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 other words, when individuals reported low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e more they suppressed their emotions in intimate relationships, less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reported. Whereas previous studies conducted with Koreans failed to examine the significant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on individuals’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for Korea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억제가 개인의 친밀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때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인 중 현재 연인 또는 부부 등 친밀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N=100). 연구 결과, 정서억제는 대인관계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가지지는 못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구성개념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단순기울기(simple slope)검증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 본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구성개념이 낮은 집단의 경우 정서억제에 따른 관계 만족도 차이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즉, 상호의존적 자기구성개념이 낮은 경우 정서억제를 많이 할수록 낮은 관계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외 연구 결과와 상충되었던 기존의 국내 연구결과와 달리 정서억제는 상호의존적 자기구성개념과 상호작용할 때 친밀한 대인관계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는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정서억제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때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에 대한 함의와 함께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How Resilience Affect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Mediating Role of Acceptance

        어유경,정안숙,차성이,김남희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8 No.3

        Not every individual who experiences a traumatic event is diagnos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r shows its symptoms. Resilience has been understood to be a key factor that helps individuals adapt successfully following an adversity. Acceptance has also been considered a therapeutic factor for such individual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acceptance, and their impacts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e mediating role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A total of 140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rauma (80 females and 60 ma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ilience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acceptanc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underpinning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