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크 데리다의 『Archive Fever』읽기 : 유령론과 차연에 주목하며

        박수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015

        이 글은 자크 데리다의 『Archive Fever』를 깊이 읽은 것이다. 그동안 기록학계는 『Archive Fever』를 주류 아카이브 체계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비판의 근거로 자주 다루어왔다. 그러나 이는 데리다 철학이 참고하고 있는 다양한 내용과 해석 및 실천의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 글은 데리다의 철학 세계와『Archive Fever』가 기록학계에 주는 함의를 살펴본다. 『Archive Fever』는 프로이트의 무의식, 아카이브의 탈구축(해체)과 유령적 구조, 기호와 기원의 간극, 차연과 흔적 등을 다루고 있다. 이에 이 글은 프로이트의‘무의식’개념을 통해 아카이브를 추동하는 힘을 밝히고, 데리다의 차연과 유령으로 아카이브에 질문을 던진다. 처음 던졌던 질문이 마지막에 유령처럼 다시 되돌아온다. 우리는 아카이브에 떠도는 유령을 어떻게 환대할 것인가? This paper is an in-depth read of Jacques Derrida’s 『Archive Fever』. Derrida and 『Archive Fever』 have been frequently cited as the basis for postmodernist criticism of the mainstream archive structure especially in the field of domestic archival science. However, this did not fully take into account the various discussion referenced by the Derrida’s philosophy an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and practice.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philosophical world of Derrida and the implications of 『Archive Fever』 for the archival science. 『Archive Fever』 deals with several topics such as Freud, unconsciousness, spectral structure of archive, déconstruction of archive, gaps in sign and origins, différance and traces.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drive of archive through Freud's psychoanalytical concept of‘unconsciousness’and asks questions on the archive with Derrida's différance and hantologie. The question asked in the introduction returns to the conclusion like ghost. How will we welcome the ghost of the archive?

      • 존 웨슬리의 성화와 자크 데리다의 대리보충 : 포스트구조주의적 해석

        안상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1996

        Why should we bring Wesley’s sanctification against justifica–tion? When our understanding is based on sanctification, what does Derrida’s supplement expand the meaning and hermeneutic horizon of sanctification? This thesis begins with two key questions, I would like to respond the critical analysis and questions through Derrida’s hermeneutic attempt toward Wesley's sanctification. Based on Wesley's understanding, the supreme goal of Luther's salvation is justification which discovers and appropriates the grace and forgiveness of God. Therefore Luther describes that the whole life of the new people, the believing people, the spiritual people, is this: with the sigh of the heart, the cry of the deed, the toil of the body to ask, seek, and pray only for justification ever and ever again until our death. For Luther, justification by 'sola gratia(grace alone)' is the end, the goal of salvation. This thesis having the viewpoint of Wesley, brings up a critical analysis upon Luther’s justification The emphasis on justification of Luther make it unnecessary that holiness effort and good works in order to be saved. As the salvation is only justified by God, Luther could conclude that all human efforts are equally far removed from divine perfection. However, Wesley describes that great salvation of God is not only justified, thereby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the new life, but opens up unimagined possibilities of growth in grace. In Wesley, God's salvation goal is to create new being and to transform us to be the image of God. This is the Wesley’s understanding on sanctification. In Derrida’s term, persuing only for justification signifies self-identity to faith. As if justification is fixed, it is brings up consequences of closed-faith to experience, producing only identifical meaning all th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be going on Wesley’s sanctification which seeking wide horizon and possibility of salvation. Nevertheless, Wesley’s sanctification has a large number of boundaries and riskiness. According to Wesley’s understanding on sanctification, grace is an intervention to remove sin. This seems to imply that sin is a substance which is to removed by grace. So, Wesley falls back on a substantialist metaphysic to explain both sin and grace operative in sanctification. It confines dynamics sanctification which go on for wide horizon, again, return to repetitive rule system and thus close in structural idea, reinforcing the rule system. Sanctification would be never repetitive rule system or structure that sin as substance is to be removed by grace. Therefore, It brings up the reason, why we need to interpreted sanctification from the view of post-structuralism. In particular, Derrida’s ‘supplement’is similar to the idea of ‘sanctification’, and it surpassing to further substantialist metaphysic. To conclude, the attempt of reinterpretation on Wesley’s sanctification through Derrida’s ‘supplement’ is discovering and appropriating the attributes of supplement in sanctification, it penetrates self-identity principle, in order to surpass its idea and situation. 우리는 왜 칭의에 맞서서 웨슬리의 성화를 가져와야 하는가? 데리다의 대리보충 개념을 통한 성화의 재해석은 어떠한 의미와 해석학적 지평을 확대시키는가? 본 논문은 핵심적인 앞의 두 질문을 갖고 시작하며, 웨슬리의 성화를 향한 데리다의 해석학적 시도를 통해 앞에서 제기된 문제의식과 질문으로부터 대답하고자 한다. 웨슬리가 본 루터의 구원에 있어서 최상목표는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발견하고 일어서게 하는 칭의이다. 따라서 루터는 새사람 곧 영적 사람은 마음의 눈과 행동의 부르짖음, 육신의 노고와 더불어 죽음의 시간에 이르기까지 거듭거듭 오직 칭의만을 찾고 추구해야 함을 기술한다. ‘오직 은혜만으로’로 이루어지는 칭의는 구원의 종착점이며 목적이 된다. 여기서 본 논문은 루터가 강조했던 칭의에 대해서 웨슬리의 시각을 갖고 첫 번째 문제제기를 던진다. 루터의 칭의에 대한 강조는 구원을 얻기 위한 인간의 선행과 거룩이라는 어떠한 노력도 필요 없게 만든다.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의로부터 난 것이며 인간의 모든 노력과 행위는 신적 완전과 완전히 떨어져 있다고 결론지어 버린다. 따라서 웨슬리에게 있어서 칭의만을 계속 추구하는 것은 마치 구원의 영역을 제한하며 어떠한 구원의 목적도 잃어버리게 만들어버린다고 보았다. 이에 칭의를 구원의 목적으로 보지 않는다. 하나님의 위대한 구원은 우리를 위하여 단순히 의롭게 할 뿐만 아니라, 새 삶을 위한 터전을 준비함으로 성장해 나갈 형용할 수 없는 가능성들을 열어 놓으신다는 것이다. 웨슬리에게 하나님의 구원 목적은 하나님의 형상이 된 우리를 새롭게 창조하는 것이며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웨슬리의 성화이다. 칭의만을 추구하는 것은 데리다의 용어를 빌려 말하자면 신앙의 자기 동일성, 곧 정체성(停滯性)으로서 매번 동일한 의미만을 경험하기 위해 추구하며 변화를 모르는 패쇄된 신앙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구원의 넓은 지평과 가능성을 추구하는 웨슬리의 성화로 나아가야하며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웨슬리의 성화는 많은 한계와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독특하게 웨슬리는 성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인간 안에 있는 죄를 완전히 제거하며 깨끗하게 하는 것으로 여긴다. 즉, 이것은 마치 죄가 하나의 실체로서 영혼 안에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는 것을 의미하는 실체론적인 견해를 가져온다. 완전 성화 안에서 죄와 은혜가 어떻게 활동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다시금 실체론적인 형이상학으로 되돌아가게 만든다. 이러한 이해는 넓은 구원의 지평으로 향하게 하는 동적인 성화를 다시금 기존의 규칙체계로 환원시키며 체제 자체를 강화시키는 구조적 사유 안에 갇히게 만든다. 결코 성화는 실체하는 죄를 은혜가 제거해야하는 반복적인 규칙의 체계 또는 구조가 아니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가 웨슬리 성화를 포스트구조주의 관점에 봐야만 하는 이유를 가져오게 한다. 특별히 자크 데리다의‘대리보충’은 ‘성화’의 사유방식과 유사하며 더 나아가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을 뛰어넘는 수행을 가져온다. 즉, 웨슬리의‘성화’를 데리다의 대리보충의 개념 중심을 통해 해석학적 시도를 이루는 것은 성화 안에 갖고 있는 대리보충적 속성을 발견하는 것이며 이를 재해석함으로 성화가 갖고 있는 신앙의 정체성, 자기 동일화의 원리로부터 뛰어넘고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기 위한 시도이다.

      • Writing as mise-en-scène : Derrida, signification, and the work of art

        이민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1996

        의미는 어떻게 가능한가? 본고는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가 “미장센(mise-en-scène)”이라 부르는 것을 의미의 가능 조건으로서 규명하고자 한다. 미장센으로서의 의미 작용은 본래부터 어딘가에 있는 의미를 표현 또는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꾸며내고 생성한다. 나아가 본고는 의미의 생성으로서의 의미 작용을 예술 작품과 그에 대한 글쓰기의 측면에 집중해 고찰한다. 이로써 본고는 예술 작품에 대한 글쓰기가 작품의 의미를 다양한 방식으로 부단히 생산해 낼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주장의 단초를 데리다의 텍스트 「프로이트와 글쓰기 무대」로부터 발견한다. 해당 텍스트에서 데리다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텍스트를 인용하는 과정에서 프로이트가 독일어로 ‘Darstellung’이라 적는 것을 무언가를 무대에 올리고 연출한다는 뜻의 프랑스어 ‘mise-en-scène’으로 옮긴다. 이러한 번역은 ‘Darstellung’을 ‘représentation’ 또는 ‘representation’이라 옮기는 프랑스어 또는 영어 프로이트 전집의 번역을 의도적으로 비껴가는 것이다. ‘représentation’이나 ‘representation’은 모두 한국어로는 ‘재현’이라 번역되는 것으로서, ‘현전(present)’하는 무언가를 표상 또는 대리한다는 함축을 갖는다. 반면 ‘mise-en-scène’은 연극이나 영화와 같은 공연 예술의 분야에서의 시청각적 연출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스크립트 등에 미리서부터 주어지지 않은 무언가를 꾸며내고 만들어낸다는 함축을 가진다. 통상적이지도 않고 개념적으로도 이질적인 번역어를 채택하면서 데리다는 그 이유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고는 데리다가 ‘재현’이라는 번역어를 ‘미장센’으로 대체함으로써 의미가 어딘가에 본래부터 ‘현전’하고 있는 것이라는 관념을 문제 삼으면서 의미란 생산되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고 본다. 본고는 미장센으로서의 의미작용을 1장에서는 기호학 및 언어학적 측면에서, 2장에서는 심리학적 측면에서, 그리고 3장에서는 예술 작품과 그에 대한 담론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먼저 언어학적 측면에서 우리는 의미 있는 내용을 먼저 마음 속에 가지고 있어서 이를 말이나 글로 표현한다고 여긴다. 데리다에 따르면 이러한 일견 상식적인 견해는 정신-말-글을 위계화하는 형이상학적인 사유의 틀에 근거한다. ‘현전’의 관념을 특권화 해온 서구 사유의 전통에 따르면 의미 ‘그 자체’는 먼저 정신에 직접적으로 ‘현전’하고 말이나 글과 같은 기호(sign)로 표현된다. 이때 말이 의미 ‘그 자체’를 가리키는 일차적인 기호라면 글은 그러한 말을 받아 적는 기호로서, 의미 ‘그 자체’가 아니라 말이라는 또 다른 기호를 가리키는 “기호의 기호”이며 따라서 이차적이고 파생적인 것으로 취급된다. 그런데 데리다에 따르면 의미 ‘그 자체’의 순수한 현전은 불가능하고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의 ‘재현’ 역시 성립하지 않는다. 모든 기호는 의미 ‘그 자체’를 지시함으로써가 아니라 또 다른 기호와의 관계 속에서만 작동하며 그런 한에서 기호 일반은 “기호의 기호”다. 이는 정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현전중심주의적 전통에 따르면 외적, 혹은 내적 현실은 지각 당시에 직접적으로 정신에 현전한다. 그리고 지각된 바는 이후 기억으로 바래져가거나 고차원적 사고로 발전해 나간다. 그런데 데리다가 보기에 지각이나 사고는 모두 현전이 아니라 분화와 지연을 그 가능 조건으로 가진다. 이러한 주장은 그의 프로이트 독해로부터 연유한다. 프로이트는 정신을 분화된 체계들로 이루어진 기계와 같이 작동한다고 말했다. 데리다에 따르면 그러한 기계로서의 정신은 기호를, 그것도 일종의 문자 기호를 생산해낸다. 나아가 우리는 “원초적 장면(primal scene)”에 대한 프로이트 분석에서 데리다가 사용하는‘미장센’이라는 번역어의 출처를 짐작할 수 있게 된다. 데리다가 보기에 정신이 경험하는 바 일반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후, 또는 이전에 발생한 다른 사건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가진다. 그 점에서 정신적 경험은 역시 “기호의 기호”다. 이때 사건들 간의 상관관계는 상호적이어서, 프로이트가 “원초적 장면”이라고 이름 붙인 사건은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사건들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그 자체 이후의 사건들의 영향을 받아 오직 사후적으로만 결정적 장면으로서 재구성된다. 이로부터 우리는 사건의 이해에 있어서 실로 “원초적”인 것은 단일한 장면이 아니라 하나의 장면을 다른 사건들과 관계시키는 연출, 그러니까 미장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의미가 단순히 현전하거나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져 나가는 것이라는 점에서 미장센은 언제나 무대 뒤 편에서 진행중에 있다. 우리는 이러한 미장센을 그 가능조건으로 잘 드러내는 사례를 데리다가 출연한 영화 <D’ailleurs, Derrida (Derrida’s Elsewhere)>, 그리고 그가 감독 사파 파티(Safaa Fathy)와 함께 해당 영화에 대해 쓴 텍스트 『Tourner les Mots (Turning the Words)』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예술 작품과 그에 대한 글 각각을 기존의 관념이나 현실을 단순히 재현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의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먼저 <D’ailleurs, Derrida>는 데리다에 관한 영화인데, 실존 인물에 대한 영화인만큼 더더욱 데리다의 삶이나 그의 철학과 같이 이미 존재하는 무언가에 대한 재현일 것이라는 기대 또는 요구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그런데 영화 속 데리다의 이미지들은 데리다 ‘그 자체’로 수렴하지 않는, 데리다에 대한 “기호의 기호”들에 불과하다. 이 점에서 영화의 미장센은 완결되지 않은 듯 보인다. 『Tourner les Mots』는 이러한 미완의 미장센을 이어나간다. 그렇다고 해서 『Tourner les Mots』에서 데리다나 감독이 마침내 데리다 ‘그 자체’나 영화의 의미 ‘그 자체’를 드러내 주는 것도 아니다. 해당 텍스트에서 데리다는 완결되지 않은 영화의 미장센을 계속해 나가려는 듯, 영화 속 장면들을 이리저리 배열해 이어 붙인다. 그런데 이러한 미장센을 통해 영화 속에서는 별다른 의미를 지니지 않던 장면들은 사후적으로 마치 결정적 의미를 담고있는 장면인 것처럼 연출된다. 미장센은 특정 작품에 국한되지 않고 영화, 연극, 회화, 문학 등 장르를 불문하고 모든 예술작품, 그리고 그에 대한 글쓰기, 가령 예술사, 예술 이론, 비평 등에서 언제나 진행중이다. 이때 미장센을 그 의미작용의 조건으로 인지하는 글쓰기는 작품을 작가의 의도, 시대 배경, 이론과 같은 소위 단일하고 본래적인 의미에 귀속시키기보다 작품 내에서 주변적인 것처럼 보이는 요소들을 전경에 배치해 보는가 하면 작품을 생각지도 못한 맥락 속에 위치시켜 봄으로써 작품의 의미를 끊임없이 작품의 생산해 나가는, 끝나지 않는 과정으로서의 글쓰기가 될 것이다. How does meaning come into being? Before answering, this question might appear questionable, especially if one conceives of meaning as something that is, rather than something that comes into being. This thesis seeks to elucidate what Derrida calls “mise-en-scène” as the condition of signification and to maintain the argument that meaning is fabricated and generated, rather than simply revealed and communicated the way it i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signification as mise-en-scène with regard to the realm of art and to writings on art. By doing so, we aim to say that any attempt to write on a work of art does not simply reveal the presupposed meaning of the work but continues to contribute to the generation of new meaning. We find the clue of such a claim in Derrida’s invocation of the term mise-en-scène in his text “Freud and the Scene of Writing.” In that text, Derrida translates Freud’s German terminology of ‘Darstellung’ into the French translation of ‘mise-en-scène,’ instead of the more conventional translation of ‘représentation’ or its English translation, ‘representation’. While ‘re-presentation’ implies a reinstatement of something already ‘present,’ mise-en-scène, which usually means the production of a work of performative art, implies the production of something that is not already given. We maintain that Derrida’s unconventional translation takes issue with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something is meaningful in itself and invites us to think of meaning as something that is produced. We try to figure signification as mise-en-scène, first in the realm of semiology and linguistics in Chapter 1, then in the realm of psychology in Chapter 2, and finally in those of art and writing on art in Chapter 3. We proceed in this order, so as to follow Derrida’s argument, which takes issue with the conventional stratification of the psyche, speech, and writing with regard to signification. The most common-sense model of signification is to assume that we have something meaningful in mind and then express it via speech or writing. According to Derrida, this seemingly common-sense notion takes its support from the metaphysical tradition that has prioritized the value of presence. Under this tradition, meaning ‘as such’ is immediately ‘present’ to the psyche when one thinks and then is ‘re-presented,’ first by the spoken sign and then only secondarily by the written sign. Representation by sign has been relegated to the function that is secondary to the presence of meaning and such relegation is inseparably related to the debasement of writing. While speech is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sign that refers directly to the supposed presence of meaning in the psyche, writing has been regarded as the mere trace that writes down the spoken signs, and therefore as “the sign of a sign.” However, Derrida argues that it is a general law of the sign that it operates only so long as it is in relation to other signs. In other words, any sign, whether spoken, written or even “thought,” indefinitely refers to another sign, not to meaning ‘itself,’ and is therefore always “the sign of a sign.” Furthermore, Derrida’s reading of Freud reveals that this is also the case for the psyche. It seems common-sense that reality, when perceived, is immediately present to the psyche and then either fades into memory or develops into thinking of a higher order. However, following Derrida, we argue that both perception and thinking are possible only by virtue of differing and deferring, not of presence. According to the Derridean reading of Freud, the psyche operates like a machine, the differentiated parts of which produce signs and particularly a type of a written sign. Further, we find the source of Derrida’s invocation of the term ‘mise-en-scène’ in Freud’s analysis of an event called the “primal scene.” In Derrida’s view, Freud’s observation of the “primal scene” suggests that anything that the psyche experiences is meaningful not in itself but only in relation with other events and is no less “the sign of a sign.” The relation between events are mutual. Even what Freud calls the “primal scene” triggers a series of later events while itself is also affected by those later events and is belatedly constituted as something meaningful in particular ways. In that the “primal scene” is not meaningful in itself, we can say that what is “primal” is not the single scene but the work of mise-en-scène that relates the scene with other scenes. Insofar as meaning is not simply present and represented, but produced, mise-en-scène is always at works insofar as something appears meaningful. We delve into two instances that best acknowledges mise-en-scène as its condition of meaning and thus elucidates the possibility of signification other than representation. The two instances are respectively D’ailleurs, Derrida, a film about Derrida, and Tourner les Mots, a text about the film, co-written by Derrida and the director of the film, Fathy. On the one hand, the film does not seek to represent Derrida. The images of Derrida in the film do not and cannot point at Derrida ‘as such.’ They are only the “sign of a sign” of Derrida. Neither does the text reveal the final presence of meaning of Derrida or of the intention of the director of the film. However, we see that the text nevertheless reframes the film and opens new possibilities for meaning, which was not and never will be simply present in the film. By taking a detailed analysis of how the text stages the film it writes about, we see that the text does not converge into a single interpretation but shows that writing on a work of art diverges into indefinite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this thesis seeks to suggest that Tourner les Mots is one among indefinite possible mise-en-scène’s of a work of art. Any writing on a work of art, be it art history, art theory, or critique, if it were to acknowledge mise-en-scène as its condition of signification, can no longer purport to be simply a representation of an artwork, reducing the artwork to the supposed presence of meaning in the work itself, the intention of an artist, or to reality. Rather, writing as mise-en-scène will endeavor to produce the work of art anew, opening up indefinite possibilities of further interpretation.

      • <모멘트리움> 프로젝트에 나타난 '순간'의 표현에 대한 연구

        김혜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1982

        본 논문은 2018년 이후의 연구자의 작업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의 작업은 개인적인 순간(瞬間)을 목격하고 이를 아카이빙(archiving)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과정은 현재의 순간이 기억으로 저장되거나 과거로 잠식되어 잊혀져가는 유한한 현실에 도전하려는 연구자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 순간들을 기록한 상태 그대로 현실에 체화하여, 그 순간에 생성된 아카이브를 언제든 다시 환원시켜 재생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자 하는 고민으로부터 발생되었다. 이것은 실현 불가능한 것들을 포착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집착과 의지의 표현과 연결되며, 연구자 본인을 둘러싼 세계와 그 안에서의 본인의 삶에 대한 유한성의 집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많은 동시대 예술가들은 연구자와 같이 이전의 어떤 시대보다도 개인의 특수성(特殊性)이 반영된 삶의 형태를 적극적으로 예술에 개입시키며, 자신의 삶을 체화된 형태로 표현하려고 적극적으로 시도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일상적 시간의 연속성을 예술적 형태로 그려내는 일상 기록의 예술이 개념미술의 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자도 동시대 예술가들 중 한 사람으로서, 2007년부터 진행한 연구자의 삶에서 나타나는 물리적인 변화에 반응하는 정신적 요소, 실재적인 것과 비실재적인 것, 현존하는 것과 현존하지 않는 것, 무의식과 의식 사이의 틈에서 발현되는 특징들을 드로잉, 레진으로 제작한 부조, 투과성을 지닌 조각 그리고 텍스타일을 활용한 설치와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탐구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각기 다르게 주어진, 특수성을 지닌 시간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것을 이미지화하는 데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정형적 형태의 드로잉과 조각, 신경세포나 바다 생물체의 형상과 동적 움직임이 연상되는 설치작업, 투과성을 지닌 매체의 실험을 통해 겹겹이 중첩되는 시간성을 시각적 형태로 재현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 작품의 형태와 매체 선택의 독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우연한 반응에 의해 출몰하는 내재적인 요소들을 이미지화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연구자는 본인이 경험한 미시적인 시간의 조각, 즉 일상적인 ‘순간’을 사유하고 탐구하게 되었다. 순간에 대한 탐구 과정의 시작은 ‘순간의 사유와 탐색이 가능할까?’라는 의문으로부터 ‘비실재적인 순간의 시각화는 과연 진정한 순간의 현실화된 표현인가?’라는 문제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더 나아가 ‘순간을 어떻게 조우할 것인가?’, ‘어떠한 실천으로서 이 순간에 접근할 것인가?’라는 보다 실천적인 물음으로 귀결되었다. 이 물음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연구자는 2018년부터 ‘모멘트리움(Momentrium)’ 프로젝트를 통해 순간에 대한 조형적 연구를 시작하였다. 포스트모던 이후의 예술이 조형이라는 자체 문제에 천착(穿鑿)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 제기적인 활동이라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단순히 순간을 재현하거나 추상하는 것이 아니라, 순간에 대한 사유의 실체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연구자가 본 연구의 소재로 사용한 ‘순간’은 일시적인 한때로서 찰나적 순간을 의미한다. 이는 물리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목격할 수 없는 성질의 것으로 데리다가 말하는 유령의 특성과 비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데리다(Jacques Derrida)는 유령(spectre)을 과학적이거나 현실성을 갖는 혹은 객관성을 띄는 모든 대립으로 빚어진 이원적 개념들을 일정한 방식으로 초과하는 양가적 속성을 지닌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유령의 속성을 밝히기 위해 유령의 논리, 즉 유령성(Hauntology) 및 해체주의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이중적인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유령적 특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유령의 특성 중 유령이 정신과 관계하며, 양가적 틈에서 출몰하며, 언제든 그 틈에서 회귀할 수 있는 존재이자 가변적이라는 점을 바탕으로 유령과 ‘순간’ 간의 개념적 유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자만의 순간의 성질을 정의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모멘트리움의 구성요소인 순간의 개념을 모색한다. 이와 관련하여 순간의 시각화 과정으로서 기록-아카이브 방식에 주목하고, 온 카와라와 로만 오팔카의 작품 세계를 살핀다. 기존의 작품과 차별화된 연구자의 프로젝트는 텍스트와 드로잉의 조형적 결합을 나타내는 ‘기록 이미지’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순간을 목격하는 것으로서의 재현을 넘어 순간을 현실화(現實化)하는 순간의 입체적 구현으로 진전되었으며, 회화적으로 표현된 시각 인덱스의 설정, 입체 조각과 설치, 가상현실로의 매체로 구체화되었다. 일련의 과정은 ‘모멘트리움’이라는 연구자의 최종적인 주제 의식을 구현해 나가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과제를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과제는 순간의 조형적 구현이라는 작품의 주제와 작업의 본질에 관해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작품을 통해 어떻게 순간을 다루고 구현하는지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설명한다. 두 번째 과제는 시간성을 지닌 순간을 어떻게 목격하고 기록하여 표현하는지를 다루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순간을 기록하는 방식과 다양한 매체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연구자의 표현 방식을 소개한다. 세 번째 과제는 조형적인 방식을 통해 순간에 영원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연구자가 ‘모멘트리움’을 구현해 내는 과정에서 창작한 작품들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어떻게 순간을 조형화하고 시간을 초월한 영원성을 부여하는지를 탐구한다. 연구자가 수행한 일련의 창작 과정은 그 자체가 ‘순간’에 대한 아카이브로 기능한다. 연구의 최종 목적인 ‘모멘트리움’을 지향하는 과정과 그 결과는 순간의 아카이브를 언제든 다시 복귀시켜 재생할 수 있는 세계를 창조하고자 하는 영원한 순간에 대한 지향으로 설명된다. 이렇듯 영원이라는 유토피아를 가상의 시공간에 현실화하는 ‘모멘트리움’의 지향은 연구자뿐 아니라 작품의 감상자에게도 연구자의 삶을 각자 재해석하고, 자신의 삶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순간들에 대한 고찰을 위한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미적 실천을 이끌어내는 유의미한 행위로 기능한다. This doctoral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work of the researcher since 2018. The researcher's work stemmed from witnessing personal moments and archiving them. This process originated from the researcher's desire to challenge the finite reality where current moments either fade into memories or are engulfed by the past. It emerged from the researcher's aspiration to manifest these moments as recorded archives in their original state, aiming to bring them back to life whenever desired. This quest aligns with humanity's inherent inclination and determination to capture the unattainable, entwined with the researcher's obsession with the finite nature of their life within their surrounding world. Many contemporary artists, like the researcher, actively involve their individual uniqueness in art more than any previous era. They deliberately integrate their lives into art, attempting to express their lives in an embodied form. In this context, the art of depicting the continuity of everyday time in an artistic form emerges as a realm of conceptual art. As a contemporary artist, the researcher has explored various mediums such as drawings, resin-made reliefs, translucent sculptures, installations employing textiles, and performances since 2007, responding to the physical changes observed in their life. These explorations traverse the realms of the mental facets reacting to physical transformations, the tangible versus intangible, existence versus non-existence, and the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the gap betwee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realm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researcher focused on revisiting and visualizing the significance of time, characterized by uniqueness inherent to each human being’s existence. This journey involved creating nonconventional forms of drawings and sculptures, installations evoking neural cells or marine organisms' shapes and dynamic movements, and experimenting with translucent mediums to visually reproduce the overlapping temporality, thus showcas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searcher's work in form and medium selection. In the course of visualizing the inherent elements emerging from these coincidental responses, the researcher delved into pondering and exploring the microscopic fragments of time—everyday 'moments' experienced personally. The exploration of these moments commenc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rationalizing and exploring moments is possible,' leading to a contemplation on whether 'visualizing intangible moments truly embodies the essence of those moments.' Further introspection ensued, contemplating on 'how to encounter these moments' and 'what practical actions lead to accessing these moments.' To seek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initiated a sculptural study of moments through the 'Momentrium' project starting in 2018. As art after the post-modern is a campaign of raising questions, transcending the researching of the problem of sculpture itself, the researcher's work showcases an explorative process of the materialization of reasoning about moments, transcending mere reproduction or abstraction of moments. The 'moment'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represents a fleeting instance, a temporary moment in time. Recognizing its nature as something physically unfixable or unobservable, it was liken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ter, as described by Jacques Derrida. Derrida presents the specter as having ambivalent attributes, transcending binary concepts stemming from oppositions that are scientific, realistic, or objective, with a consistent method. To elucidate these attributes, the logic of the specter, namely "hauntology," was proposed, suggesting the ghostly features that enable duality based on deconstructive methodology. Drawing from the specter's traits—its connection to the mind, emergence from the gap of duality, ability to reappear from these gaps, and its variable nature—a conceptual similarity between the specter and the 'moment' was derived. The researcher defined and interpreted the nature of moments unique to themselves based on this exploration, further probing the concept of moments, the building blocks of Momentrium. In relation to this exploration, attention was given to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moments, exploring the recording-archiving method and examining the artistic worlds of On Kawara and Roman Opalka. The researcher's distinct project diverges from conventional artwork, initiating from the amalgamation of text and drawing into 'record images.' Evolving beyond the mere representation of witnessing a moment, these images advance towards the three-dimensional embodiment of actualizing a moment, manifested through painterly visual indices, three-dimensional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and concretization into virtual reality as a medium. This sequential process encapsulates the ultimat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researcher's 'Momentrium.' In this context, the main tasks of this dissert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task involves elucidating the essence of the theme and nature of the artwork concerning the sculptural embodiment of the moment.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will analyze and elaborate on how the moment is handled and realized through the artwork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second task focuses on exploring how the moment inherent with temporality is witnessed, recorded, and expressed.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ill introduce their method of recording moments and thoroughly analyze various mediums employed in their expression. The third task revolves around how to imbue eternality to the moment through sculptural means.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specific artworks created during the realization of 'Momentrium,' the researcher aims to explore how moments are sculpted and endowed with eternality transcending time. The series of creative processes undertaken by the researcher serve as an archive of the 'moment' itself. The pursuit of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Momentrium,' is explained as an aspiration toward an eternal moment, aiming to create a world where the archive of the moment can be replayed at any time. The direction of 'Momentrium,' which seeks to materialize the utopia of eternity in a virtual space, functions as a meaningful act that elicits artistic practice through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reinterpret the researcher's life and reflect on the numerous moments they encounter in their own lives.

      • 차연적 읽기 지도 방법 연구

        김예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1980

        본 연구는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독자의 이해 확장을 돕는 읽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는 모든 대상이 텍스트에 해당하며, 텍스트에는 차연의 논리가 내재하여 있음을 설명한다. 차연의 구조는 하나의 기의가 여러 기표들과 대응하는 모습으로, 각각의 기표는 기의의 일면을 지시한다. 따라서 텍스트의 의미는 차연으로 인하여 한 가지로 고정되지 않고, 다른 텍스트와 접목되는 진행의 과정에서 드러난다. 읽기 과정에서 학습자가 구성하는 텍스트의 의미는 의미 본질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드러난 의미 이외의 다른 의미 부분들은 뒤로 밀려나 흔적으로 존재한다. 학습자는 텍스트들의 접목을 이루는 주체로서, 자신의 독자 자아를 반영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한다. 학습자의 독자 자아는 고유한 특성과 가치관을 가진다. 독자 자아에 따라 학습자가 주목하는 기표가 결정되고, 기표가 기의를 지시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한다. 차연적 읽기 교육에서 학습자는 의미의 중심성에서 벗어나 텍스트의 차연으로 밀려나는 의미 부분들을 밝혀 텍스트 이해를 확장한다. 학습자는 텍스트 의미 구성 과정에 반영되는 독자 자아를 인식함으로써 자기 이해를 실현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데리다의 텍스트 이론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살피며 텍스트 의미 구조를 탐색한다. 또한, 데리다의 차연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차연과 텍스트 읽기를 접목한다. 끝으로 차연적 읽기의 특성과 과정을 논의하여 차연적 읽기의 교육적 의미를 정립한다. Ⅲ장에서는 비결정성의 원리, 지연성의 원리, 현재진행의 원리, 외부성의 원리의 차연적 읽기를 위한 지도 원리를 바탕으로 읽기 지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표면적 읽기-초점적 읽기-차연적 읽기-확장적 읽기’의 차연적 읽기 지도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6학년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5편의 텍스트를 선정하여 10차시의 차연적 읽기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활동지에 나타난 반응과 교사의 관찰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차연적 읽기를 통해 학습자가 텍스트에 대한 이해 확장과 자기 이해를 실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의미의 중심성에 기반한 텍스트 이해와 지식의 획일화로 학습자의 잠재성을 제한하는 읽기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독자의 다양성과 잠재성을 존중하고, 학습자가 독서를 통해 유의미한 삶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와 학습자 모두 고유성과 다양성의 세계를 이해하는 의미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읽기 교육에서 독자의 이해 확장을 독려하고 독자의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ading instruction method to help readers (learners) expand their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reading. According to Jacques Derrida, all objects are texts, and the logic of Différance operates in all texts. Différance is a term for a structure of language in which a single signifié responds to countless signifiants, and each signifiant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signifié. The structure of Différance, therefore, makes the meaning of the text, not fixed as one, but revealed in a progressive way through a process which grafts one text onto another continually. In such process of reading, the meaning of the text constructed by the learner is only a part of the essential meaning, and other parts are pushed back and present as traces. The learner is the subject of grafting text, who constructs the meaning of text by reflecting his or her reader-self to it. The learner’s reader-self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values. This determines the signifiant which the learner pays attention to, an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signifiant moves towards the signifié, the learner constructs the meaning of the text.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the theory of Différance reveals the parts of the meaning which are delayed by Différance, so that the reader may break away from the centrality of meaning and expand his or her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of the text, learners can achieve self-understanding by recognizing their reader-self reflected. Chapter Ⅱ discusses Derrida’s thoery of text from the perspectives of semiotics and explores the structure of meaning in text. In addition, it combines the practice of reading and the theory of Différance. Finally, it discusses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reading based on the theory of Différance and present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Chapter Ⅲ, the researcher developed a reading instruction model based on the principle of non-determination, the principle of delay, the principle of present progress, and the principle of externality for the reading based on the theory of Différance. The four-step reading instruction model of ‘surface reading-focused reading-reading of Différance-extended reading’ was designed and appli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researcher selected five texts for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ed 10 series of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the theory of Différance, and analyzed responses and observations obtained in the research participants’s activities. The result confirmed that reading based on the theory of Différance expanded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texts and their self.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uggesting a new direction of education which respects the diversity and potentiality of each reader and helps learners pursue meaningful changes of life through reading which breaks away from a form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centrality of meaning and uniformed knowledge. It also guides both teachers and learners to achieve meaningful education that makes them understand the world of uniqueness and diversity. The researcher hopes this study encourages other various studies on reading education which enable readers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and to make meaningful changes in their lives.

      • Swift's view of textuality in Gulliver's Travels

        진성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31980

        This thesis examines Swift’s view of textuality focused on Gulliver’s Travels. When we consider textuality in the work, we can compare Gulliver’s linguistic journeys in each different country. In Of Grammatology, Jacques Derrida delves in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state of nature and culture. He conceives “the origin” which is related to the primitive society not corrupted by the violence of culture. As much as the text is expanded, so far the society is positioned from the origin. Swift has a negative view toward the text-oriented society. He thinks that the text removes natural languages related to the voice. Therefore, writing is an obstacle to the state of nature. Terry Castle pays attention to the oral society, Houyhnhnmland in Gulliver’s Travels, which is linked to the origin and the primitive world. Although in reality humankind cannot go back to the state of nature free from textual corruption, we can find a utopia in Houyhnhnmland.In Swift’s time, various kinds of writings appeared and he was one of the writers who expressed opinions by their writings. Even though Swift also wrote several texts, Swift made use of his writings to contradict textual instability that led to the corruption of the society. For Swift, the text is not a useful instrument to communicate between people. Rather, it is an obstacle to the origin because the text cannot bridge the textual sign and the intended meanings. In this connection, Swift makes use of writings to uncover the instability of the text. Throughout Gulliver’s Travels, Swift presents Gulliver to show his own dual position. One position is showing his voice; the other is to ridicule Gulliver’s behaviors and values. In the work, Gulliver does not obtain his identities voluntarily; other people arbitrarily impose different names on him. If Gulliver’s learning of languages was identified with the acquirement of freedom, Gulliver should be a free person in the countries that he visits. On the contrary, his learning of languages comes to be a shackle to himself. The more that he learns languages, the more he is restricted by the text. Using this unfixed identity of Gulliver, Swift reveals the textual characteristic that is unstable throughout Gulliver’s Travels.Swift’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text is connected to deduction advocated by Descartes and induction by Bacon in their extremities. In Swift’s period, people trusted the ability of human reason. Therefore, the Whigs proposed several experiments in languages. With the trust of the deductive method which derives from human reasoning, the Whigs were sure of integrating all languages into one. However, the only results of their projects were inconveniencies to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accumulation of human experience is linked to the accumulation of text. However, the accumulation of text does not guarantee useful data in critical decisions. Therefore, the inductive method in its extreme is also unadvisable in Swift’s view.Swift shows his favor toward Brobdingnag and Houyhnhnmland in Gulliver’s Travels because these countries are not corrupted by the text, which means that these are part of the “pretextual world.” Even though Houyhnhnmland can be considered an ideal country, humankind cannot stay at this country because humankind already is contaminated after acquiring the text. Therefore, Swift describes this world as an ideal but impossible utopia.Until now, Gulliver’s Travels has been interpreted largely in terms of a satire of the British political situation of Swift’s period. However, since the aspects of complicated textuality are revealed throughout the work, Gulliver’s Travels needs to be considered as a work about the voice and the text, nature and culture. Swift’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imitive world that is not corrupted by the text appears in several parts of the work. Along with his favoring the primitive world, Swift yearns for the pretextual world that goes back to nature. 본 논문은 걸리버 여행기(Gulliver’s Travels)에 드러난 조나던 스위프트(Jonathan Swift)의 텍스트성에 대한 관점을 고찰하는 글이다. 작품 속에 드러나는 텍스트성을 고려할 때에, 각각의 나라에서의 걸리버의 언어 여행을 비교해 볼 수 있다. 그라마톨로지에 관하여(Of Grammatology)에서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는 자연과 문화상태 사이의 비교에 깊게 파고든다. 그는 폭력을 수반하는 문화에 의해 더렵혀 지지 않은 자연 상태와 관련된 “근원”에 대한 개념을 파악한다. 텍스트적 현상과 관련해서 그는 사회에서 텍스트가 확산될수록 그 사회는 근원으로부터 점점 멀어진다고 밝힌다. 이에 연관하여, 스위프트 역시 텍스트에 의한 사회의 오염에 대해 부정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스위프트가 텍스트와 관련된 글쓰기에 대해 고려할 때에, 글쓰기는 자연언어를 제거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글쓰기는 자연상태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장애물이 되는 것이다. 테리 캐슬(Terry Castle)은 걸리버 여행기의 후이늠랜드(Houyhnhnmland)가 음성중심언어인 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이것을 근원과 자연상태에 연결시킨다. 비록 현실에 있어서 인류는 텍스트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은 자연상태에 되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우리는 후이늠랜드에서 텍스트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은 자연상태의 유토피아를 발견할 수 있다.스위프트의 시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가 등장했고, 스위프트 역시 글쓰기로 자신의 의견을 공표하는 작가들 중의 하나였다. 비록 스위프트 역시 여러 작품들을 썼지만, 그는 사회의 오염과 관련된 텍스트의 불안정성에 대항하기 위해 글쓰기를 하였다. 스위프트에게 있어서 텍스트는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해주는 도구가 아니라, 오히려 이것은 의도된 의미와 표현매체로서의 언어기호들을 연결해주지 못하게 하는 방해물에 불과했다. 이러한 텍스트에 대한 견해로 인해, 스위프트는 자신의 이중적인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걸리버를 제시한다. 하나는 자신 스스로의 목소리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걸리버의 행동과 가치들을 우스꽝스럽게 보이기 위함이었다. 작품에서, 걸리버는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획득하지 못한다. 반면에, 여러 사람들이 자의적으로 걸리버에게 다른 이름들을 부여한다. 만약 걸리버의 언어 습득이 자유의 획득과 일치한다면, 걸리버는 자신이 방문한 나라들에서 자유인이 되어야 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의 언어 습득은 오히려 그를 구속시키게 된다. 그가 어떤 언어를 더욱 숙달하면 할수록 그는 그 텍스트에 의해 더욱 구속됐을 뿐이다. 걸리버의 고정되지 않은 정체성을 통해 스위프트는 텍스트의 불확정적 속성을 그의 작품에서 활용한다.스위프트의 텍스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극단적인 연역법과 귀납법과 연관된다. 스위프트 시대에 사람들은 인간 이성의 능력을 신뢰했다. 따라서, 휘그들은 언어에 대한 여러 실험들을 제안했고 이들은 모든 언어들을 하나의 언어로 통합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하지만 이러한 연역법적인 계획들의 유일한 결과는 사람들에게 불편함과 혼란만을 안겨주는 것이었다. 또한 인간 경험의 축적에 대해서는 이것은 텍스트의 축적과 관련된다. 당시 귀납법적 사고를 신뢰하는 사람들은 인간 경험의 축적이 중요한 판단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믿었지만 그렇지는 못했다.스위프트는 걸리버 여행기의 브롭딩낵(Brobdingnag)과 후이늠랜드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다. 왜냐하면 이들 나라들은 텍스트에 의해 오염되지 않았으며 “텍스트 이전 사회”(pretextual world)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후이늠랜드가 가장 이상적인 나라이기는 하지만 인간은 텍스트를 습득한 이후에 이미 오염되었기 때문에 이 나라에 머무를 수는 없다. 따라서, 스위프트는 텍스트로부터 자유스러운 이 나라를 이상적으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대체로 걸리버 여행기는 스위프트 당대의 정치 풍자로 읽혀져 왔었다. 하지만 작품 속에서 복잡한 텍스트적 현상들이 드러나는 것처럼, 음성과 텍스트, 자연과 문화에 관한 작품으로 읽혀질 필요가 있으며 작품 곳곳에서는 텍스트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은 문화이전의 소박한 “옛” 세계에 대한 스위프트의 긍정적인 태도들이 나타난다. 이러한 스위프트의 태도는 당대의 텍스트의 확산에 대한 혐오로 해석될 수 있다. 원시사회에 대한 그의 호의적인 태도와 마찬가지로 그는 텍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자연상태로의 회귀를 갈망하고 있었던 것이다.

      • 구로사와 기요시 영화에 나타난 ‘유령’ 의 역사적·정서적 맥락에 관하여

        정은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79

        구로사와 기요시(黒沢清, 1955~)는 패러디와 인용으로 시작하여 ‘스멀스멀한 공포’라 불리는 독자적인 장르를 구축하기에 이르기까지 자신이 쌓아올린 영화적 세계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를 꾀하고 있는 감독이다. 변화 속에서도 일정한 긴장감을 유지시키는 것은 그의 영화에 출몰하는 ‘유령’의 존재다. 그의 유령적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 일본 공포영화 장르의 발전과 2000년대 초 탄생한 J 호러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J 호러를 대표하는 다른 작품들과 비교하여 새로운 양상을 띄는 구로사와 기요시의 공포영화 속 유령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구로사와 기요시가 어떻게 동시대의 흐름 속에 있으면서도 독보적인 호러 장르를 확립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구로사와 기요시의 호러 걸작으로 알려진 절망 3부작 <큐어(Cure)>(1997), <회로(回路)>(2001), <절규(叫)>(2006)와 비교적 최근 작품에 해당하는 <해안가로의 여행(岸辺の旅)>(2015), <산책하는 침략자(散歩する侵略者)>(2017)를 통해 호러와 멜로라는 장르적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며 출몰하는 유령의 표상이 그의 필모그래피와 함께 어떤 식으로 변모해가고 있는지 확인해본다. 이와 더불어 구로사와 기요시의 영화 속 유령들이 함의하는 바를 자크 데리다의 유령론(hantologie)을 통해 분석하고 더 나아가 일본 사회의 역사적, 정서적 맥락 안에서 유령의 징후에 대해 탐구한다. Kiyoshi Kurosawa is a director who does not settle for the established world of films by himself and pursues continuous variations, in that he began with a parody and references but finally built his own genre of horror. It is the advent of 'ghosts' in his films that keeps consistent tension amid the varia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Japanese horror movies and the progress of J-horror, which uprose in the early 2000s, to understand Kiyoshi Kurosawa's outlook on ghosts. In detail, it analyzes the ghosts in his horror films, which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typical films of J-horror. It would show how he could build his own horror genre, unlike other films of the same age. Also, it would look into how the presentations of ghosts, which appear with significant similarities even in the discrepancy between horror and romantic genre, are changing along his filmography, focusing on his 'depression' trilogy known as his masterpieces, <Cure>(1997), <Pulse>(2001), <Retribution>(2006), and his recent works, <Journey to the Shore>(2015), <Before We Vanish>(2017). In addition, it will examine how the ghosts in his films are connected to the Japanese society that Kiyoshi recognizes, applying Jacques Derrida's hantologie. It aims to figure out the implication of ghosts in his films, tracing back in memories that have not been mourned for in Japanese historical and emotion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