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연구 : 업무 상급자 면담을 통하여

        최정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27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함께 사회적으로 기록관리의 중요성 인식이 확산되고, 국내 대학에서 연사편찬을 위해 대학사료 수집과 대학 역사기록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본격적으로 국내 대학에서 대학기록관이 설치·운영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기록관이 설치·운영되기 시작하고 현재까지 대학기록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이론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이용자 및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분석을 통한 기록정보서비스, 업무 실태, 직무인식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지만, 대학기록관 운영에 있어 업무 상급자에 대한 기록물관리 인식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및 이용자가 아닌 업무 상급자를 대상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과 업무 및 기록관의 운영문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물관리 교육기관에서 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현장의 일반 구성원이 아니라 조직을 통제하고 있거나 책임지고 있는 조직의 상급자들을 대상으로 면담한 것으로, 조직을 책임지고 있으며 조직의 구조와 역사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 구성원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번 연구로 인해 대학기록관의 운영의 문제점과, 향후 예비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교육과정의 보완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를 통해 해당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둘째, 현재 대학기록관의 운영문제점은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였고, 셋째, 향후 대학기록관과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발전방향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해당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조사하기 위해 기존의 실행된 연구가 거의 없고, 실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상급자를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이 유효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질적 연구방법의 한 종류인 심층면담을 통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를 대상으로 직접적인 면담을 통해 대학기록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인식과, 운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대학기록관 홈페이지를 통해 대학기록관 현황을 파악하고 그 중 대학기록관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헌 연구 및 실제 근무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교수님을 통해 사전 면담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본격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 7곳의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면담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통해 면담 참여자 배경정보,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인식, 대학기록관 현황에 대한 상급자의 인식, 기록관 및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발전방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학기록관 운영의 문제점,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보완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학운영의 문제점, 대학기록관의 인식부족, 대학기록관의 독립 방향, 법령 제정, 경영진들의 인식, 교육과정의 보완해야 하고 교육과정에서 인턴쉽 및 실습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시사점 및 제언하였다. 현재 대학기록관에 대한 인식연구는 주로 이용자 및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분석을 통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고, 상급자를 통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로 인해 대학기록관 운영의 문제점과, 향후 예비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교육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 기록전문직의 기록관리 사업예산 확보 전략 연구

        서화열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711

        예산은 기록관리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필수 조건 중 하나다. 어떠한 조직이 아무리 좋은 사업을 계획하더라도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그 계획과 아이디어는 무용지물이 된다. 그동안 기록전문직이 예산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기록관리 업무에만 집중해 왔다면, 앞으로는 예산을 어떻게 하면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기록전문직의 예산 확보 과정과 전략적 선택은 예산 자료를 통해서는 극히 일부분밖에 분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록전문직의 예산 확보 과정의 이면을 탐구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의 기록전문직들이 기록관리 사업예산의 지속적 확보를 가능케 하기 위한 예산 확보 전략을 탐색하는 데 있다.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기록전문직들의 예산 확보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예산 확보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과 그에 따른 예산 확보 전략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예산 확보와 관련한 기록전문직의 역할과 제도개선 방향 등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공공기관에 근무하며 기록관리 사업예산을 확보한 경험이 있는 기록전문직 1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의 결과 분석이다. 분석 결과, 예산 확보 영향 요인으로 4개의 상위범주, 10개의 범주를 추출하였다. 상위범주 4개는 기록전문직의 직무환경, 모기관과 조직문화, 사업과 예산 특성, 제도와 사회 환경이다. 기록전문직의 예산 확보 전략으로는 총 3가지 범주, 13개 전략 코드를 도출하였다. 기록전문직은 ‘개인 중심의 역량 동원’, ‘조직과 대내 환경 중심의 관계 맺기’, ‘대외 환경 중심의 트리거 찾기’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들은 구체적인 자료 근거 제시, 인간관계 활용 등 자신만의 고유한 방법으로 목표 예산을 관철시키고 있다. 이 연구는 기록물관리기관의 예산 환경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기록전문직의 예산 확보 전략 분석에 기여하고자 한다. 상당수의 선행연구들이 거시적 연구 혹은 예산 확보에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예산결정권자의 관점에 치중했다면, 이 연구는 실제 기록관리 사업을 추진하는 기록전문직의 현장에서의 시각을 강조하였다. 또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기록전문직의 예산 확보 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향후 기록관리 예산 수립과 확보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The budget is one of the prerequisites that can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cords management business. No matter how well an organization plans for a business, its plans and ideas become useless if it fails to secure the planned budget. Whereas archival professionals have focused only on records management withou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budget, they need to focus on how to secure larger budgets in the future. Since only a limited analysis can be done from budget data on archival professionals’ budget securing process and strategic choice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hidden side of archival professionals’ budget activities which require various budget securing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budget securing strategy to enable archival professionals in public institutions to continuously secure the budget for record management projects. It is intended to present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budget securement and the resulting strategies for budget securement through the case study on budget securement of archival professionals working for public institutions and suggest implications such as the role of archival professionals in securing the budge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4 archival professionals who have worked for public institutions and secured budget for the records management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 upper categories and 10 categories are extracted as factors influencing budget securement. The top four categories are the job environment of archival professionals, umbrella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business and budget characteristics, system and social environment. As the budget securing strategy for archival professionals, a total of 3 categories and 13 strategic codes are derived. The three categories are utilizing individual-centered competencies, establishing organization-centered relationships, and finding external environment-centered triggers. Archival professionals are implementing their own methods such as presenting specific data evidence and using social network to attain their target budge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analysis of the budget securing strategy of archival professional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udget environment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decision makers who have authority to secure and exercise budgets on macroscopic research, this study emphasizes the view of archival professionals actually practicing in the field. In addition, by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ecuring the budget for archival professionals is promote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and securing a records management budget in the future.

      • 지식경영을 기반으로 하는 기록관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채민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711

        기록관리는 1999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행정적 발전을 이룩해내었지만, 사기업, 공공기관의 직원 및 경영진은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부족하다. 하지만 전자적 환경에서 기록은 경영의 한 축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한 것이 ISO 30300시리즈 기록경영 표준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 표준은 기관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지 못했고, 여전히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은 개선되지 않았다. 한편 기록관리의 영역과 경영학의 주요영역인 지식경영과의 상관성을 다룬 논문들이 다수 발표되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Yakel(2000), 김익한(2004), 노정란(2005)의 논문들이다. 이 논문들은 지식경영과 관련하여, 형식지들이 기록의 형태로 생산, 저장되고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식경영과 기록관리는 상호 보완적임을 알 수 있다. 지식경영은 오랜 시간 동안 경영의 한 축으로 인식되어 왔고 기록관리는 업무의 한 단위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ISO 15489-1: 2016 표준은 기존의 평가, 보전, 폐기를 넘어서 기록관리의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기록은 기관의 정보자산으로 관리해야함을 강조함으로써, 결국 전자 환경에서 기록은 단순히 조직에서 관리의 영역이 아닌 경영의 한 축으로 바라보아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에서 제시하는 형식지들이 기록의 형태로 생산, 저장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기록관리와 지식경영을 비교 분석하고, 기록경영과 지식경영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록관리와 지식경영이 상호보완적인지, 경영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운용이 가능한지, 기록이 기관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적용될 수 있을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3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1) 실질적인 형식지 관리와 보존은 기록관리 프로세스가 표준 및 법률 등을 통해서 더 발전되고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 방법을 제시한다고 보고, 기록관리프로세스에서 보완해 줄 수 있는 지식경영의 측면과 방법이 무엇인지 연구한다. (2) 지식경영은 경영 전략 측면에서 조직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운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암묵지와 형식지 포착 방법을 나누어 효율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기록관리는 업무의 한 영역에서 시행하는 방법론으로 제시되어 왔다. 기록관리도 경영에 있어 한 축의 전략으로 운용되어야 함을 제시한 것이 기록경영이다. 기록경영과 지식경영의 비교를 통해서 유사점과 보완점을 도출한다. (3) 기록관리, 기록경영, 지식경영의 장점을 통합하여 경영전략의 하나로 운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통합모델을 제시하고, 이 통합모델이 경영측면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ISO 15489-1: 2016의 기록관리프로세스와 Dalkir(2011/2012), 최재화(2009), Nonaka(1995) 제시한 지식경영프로세스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ISO 30301의 경영시스템 모델의 기록경영 구성요소 7가지와 박용기(2016)가 제시한 지식경영 구성요소 8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록관리와 지식경영의 프로세스 비교, 지식경영과 기록경영의 비교, 기록관리 및 지식경영 프로세스 통합모델 순으로 정리하였으며 이 후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종합분석해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종합분석을 바탕으로 두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 번째, 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기록을 단순한 업무의 한 과정으로 인식하는 것을 탈피해야 한다. 두 번째, 기록관리 직원들의 역량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록관리와 기록경영, 지식경영을 비교 분석 했다는 점에서 유의하며 지식관리부서와 기록관리부서를 가진 공공기관과 아직까지 기록관리부서 및 지식관리부서가 없는 기업들에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합모델 및 실행방안은 기록 및 지식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기업의 목표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 경영진에게 설득할만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Records management has achieved administrative development since the enactment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in 1999, however employees and management of private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a significant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However, in an electronic environment, records should be recognized as an axis of management, and ISO 30300 series record administration standards reflect this need. However, in practice, this standard has not been fully introduced in institutions, and the perception of records management has not been improved.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record management and the main areas of management, including those by Yakel (2000), Kim (2004), and Roh (2005). Regarding knowledge management, these papers suggested that explicit knowledge are produced and stored in the form of records, and based on this, knowledge management and record managem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Knowledge management has been recognized as an axis of management for a long time, and records management has been recognized as a unit of work. However, the ISO 15489-1: 2016 standard specifies that the role of record management should extend beyond existing assessment, preservation and disposal, emphasizing that records should be managed as an institution's information assets, which in turn can be seen as an axis of management in the electronic environmen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based on the theory that explicit knowledge presented in knowledge management are produced and stored in the form of records, and analyzed the components of record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Based on this, it was investigated whether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whether they can be integrated in management, and how records can be efficiently managed and applied in institution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The actua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explicit knowledge are considered to suggest more advanced and effici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ethods through standards and laws, and investigate the aspects and methods of knowledge management that can be supplemented by the records management process. (2) Knowledge management presents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throughout the organization in terms of management strategy, especially by dividing methods of capturing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On the other hand, records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as a methodology implemented in one area of ​​work. Records management suggested that record administration should also be operated as a strategy for management. Similarities and complementary points are deriv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record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3) To integrate the advantages of record management, record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into one of management strategies, an integrated model is presented and the integrated model is applied efficiently in terms of management. The research method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cords management process in ISO 15489-1: 2016, and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presented in Dalkir (2011/2012), Choi (2009), and Nonaka (1995). In addition, seven record administration components of the management system model of ISO 30301 were compared with eight knowledge management components presented by Park (2016).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record management, record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comparison, knowledge management and records management comparison,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integration model, and then comprehensive analysis centered on the research issues to derive implications. Two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First,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avoid recognizing records as a simple process of work. Second, the competencies of records management staff must be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and could be referenceable to public institutions with knowledge management departments and companies that do not yet have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departments. In addition, the integrated model and implementation method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persuasive material to corporate management as a way to achieve the company's goals and vision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records and knowledge.

      • 공공기관에서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인증 도입을 위한 연구 : 지방공기업 및 출자?출연기관을 중심으로

        박정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711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은 기록을 관리에서 경영이라는 영역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만들어진 경영시스템 표준이다. 기록관리가 경영적 차원에서 추진될 수 있는 표준체계가 마련되었지만, 인증을 받은 기관은 극소수이며 알려진 사례도 많지 않다. 현재까지 ISO 30301 표준 및 인증제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도입 방안을 논의한 연구들은 많았으나, 인증 획득을 위한 사례 및 실제적 적용방안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ISO 30301 표준 인증 획득에 필요한 기준과 요건을 절차별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인증을 도입하고자 하는 지방공기업 및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기관에 적합한 기록경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필수 요건을 제시하며, 실무적으로는 우수한 성공 사례를 통해 인증 관련 제반 사항을 숙지하여 ISO 30301 표준을 도입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ISO 30301 표준 인증 획득 기업의 확산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인증을 획득한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기관의 사례와 인증기관(Certification Body:CB)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정보공개청구를 통한 내부문서 분석을 진행하였고, 인터뷰를 통해 인증심사 과정을 경험한 담당자 개인의 노하우과 전문지식을 포착하였다. 인터뷰 대상 인원은 5명으로, 공공기관 직원 4명과 인증 기관(CB) 심사원 1명을 면담하였다. ISO 30301 표준 인증 심사기관 및 획득기관의 사례에서는 인증 획득 과정을 계획에서부터 마무리까지 절차의 순서대로 조사하였으며, 최초심사 이후에 도래하는 사후심사와 갱신심사를 받은 기관도 조사하였다.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인증을 도입하려는 기관이 효과적으로 인증을 획득할 수 있도록 1단계에서 5단계까지 수행 범위를 나누어 ‘ISO 30301 표준 인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1단계는 계획수립에서부터 추진 TF를 구성하고 조직의 현황을 확인하여 인증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며 2단계는 조직의 시스템 상태를 진단하고 위험요인 및 프로세스를 확인하여 매뉴얼, 절차서 등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에 맞추어 전 직원 및 실무자와 내부 심사원 교육을 시행한다. 3단계에서는 기록경영시스템을 실행하며 검토하고 보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내부심사와 경영검토를 통해 심사 전 최종 검토를 하게 된다. 4단계에서는 인증기관(CB)에 인증심사를 신청하고 문서심사와 현장심사 과정을 거치게 된다. 5단계는 인증이 결정되면 인증서가 발행되고 인증의 성과를 대내외 홍보한다. 이후 지속적인 개선과정을 통해 1년 이내 주기의 사후심사와 3차연도에 갱신심사를 수행한다. 단계별로 세부 추진내용과 실행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증을 효과적이고 실질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ISO 30301 표준은 경영시스템 표준이므로 기록업무를 전사적 경영 차원에서 진행해야 한다. 기록경영시스템 구축을 통해서 기록관리는 기록전문가들만의 관리 업무가 아니라 조직의 성공을 위해 타 경영 업무와 상호 협력하여 수행하는 업무로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인증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관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인증 확산을 도모하여야 한다. 둘째, 인증 도입을 결정하고 나면 전담할 수 있는 조직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별도 추진위원회(T/F)를 구성하여 지원 조직을 구성하여야 한다. 현실적으로 조직 구성이 어렵다면, 담당자 지정이나 전담 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인증을 준비하는 효율적인 방법은 기관이 먼저 획득한 다른 ISO 경영시스템의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다. 다른 ISO 경영시스템 획득 경험이 있다면 최고 경영진과 구성원이 도입에 대한 반감이나 저항이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이를 인증 도입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넷째, ISO 30301 표준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있어야 인증제도가 활성화될 수 있다. ISO 30301 표준 인증제도는 기록관리 실태를 경영의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검증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으므로 국가기록원과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서는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하여 기록경영시스템 구축을 통한 기록관리의 전문성을 도모해야 한다. 다섯째, 기록경영시스템을 도입하였다면 지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증과정은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매해 사후심사 및 3차연도에는 갱신심사를 통해 인증을 유지하게 된다. 기록경영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시스템을 준수할 수 있도록 최신화된 교육훈련을 정기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홍보를 통한 직원 의식 개선, 경영진의 추진 의지와 지원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21년 현재 공공기관의 인증 획득 경험 사례를 전부 조사하여 분석한 연구이므로 실무 담당자의 실제 업무추진에 참고가 되길 바라며, 표준 인증 도입을 확산하는 환경이 만들어져서 조직 내 기록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ISO 30301 Management systems for records(MSR) Standard is a standard of management system created by paradigm shifting records from management to administration. Although a standard system has been established for records management to be promoted at the management level, very few institutions have been certified and there are not many known cases. So fa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have been discussed based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ISO 30301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 but research on the analysis of cases for obtaining certification and actual application method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criteria and requirements necessary for obtaining certification of ISO 30301 standards shall be presented on a procedural basis according to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e study presented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MSR suitable for the invested and funded institution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local governments that want the certification to be introduced, and through excellent cases of success in practice, various matters related to certification were used to help the standard of ISO 30301 to be introduced.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mote the spread of companies that acquire ISO 30301 standard certification. To this end, cases of investment and contributions from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that have been certified first, and the Certification Body(CB)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internal documents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apture the know-how and expertise of the individual in charge who experienced the certification screening proces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 was five, with four public agency employees and one certified body(CB) auditor being questioned. In the case of ISO 30301 standards certified body and acquisition agency, the process of obtaining certification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rom planning to finish. Agencies that received follow-up and renewal audit after the initial audit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the study of these cases, the scope of the performance was divided from stages 1 to 5 so that organizations that want the certification to be introduced can effectively obtain certification, and the ‘ISO 30301 Standard Certification Process’was presented. In the first stage, from planning, the promotion TF is organi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organization is confirmed, and the scope of the certification is determined, and the second stage is a process in which the state of the organization's system is diagnosed and risk factors and processes are identified to create manuals and procedures. Accordingly, training will be conducted by all employees, practitioners, and internal auditors. In stage 3, the MSR is implemented, reviewed, and supplemented. At this time, the final review will be conducted before the audit through internal audit and management review. In the fourth stage, the certification audit will be applied to the certification body(CB) and the document audit and on-site audit process will be carried out. In stage 5, when the certification is decided, the certificate is issu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certification is promote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Subsequently, a follow-up audit within 1 year and a renewal audit in the 3rd year will be carried out through a continuous process of improvement. Details of the implementation were presented step by step, and five ways were proposed to ensure that certification could be introduced effectively and practically. First, the ISO 30301 standards is the standard of the management system, so the management of records work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enterprise-wide management level.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MSR, the management of records can be recognized not only as a management work of record experts, but in mutual cooperation with the work of other management for the success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institutions that want to introduce certification should actively utilize it to promote the spread of certification. Second, once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is decided, an organization that can be dedicated will have to be formed. A separate promotion committee (T/F) should be formed to form a support organization. In reality, if it is difficult to organize an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 person in charge or assign a dedicated personnel. Third, an efficient way for certification to be prepared is to take advantage of the experience of other ISO management systems acquired first by institutions. Experience in acquiring other ISO management systems has found that top management and members have less antipathy or resistance to adoption,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to introduce authentication. Fourth, there must be incentives for certification of ISO 30301 standards to activate the certification system. Since the ISO 30301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can also be used as a tool for verification so that the actual status of the management of records can be judged comprehensively at the level of management, incentives should be prepar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local archives, and expertise in the management of record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promoted. Fifthly, if a MSR has been introduced, it must be ensured that it is maintained continuously. The certification process does not end in one time, but the certification will be maintained through a follow-up audit every year and a renewal audit in the third year. Updated education training shall be regularly provided to raise awareness of the MSR and ensure that the system is complied with. It should be based on the improvement of employee awareness through public relations and the will and support of top management. Since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ll cases of experience in obtaining certification by public institutions as of 2021, it is hoped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actice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promotion of actual work, and it is expect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introduction of standard certification will spread, which will increase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f records within the organization.

      • 크라우드소싱을 통한 참여형 기상기록정보의 수집에 관한 연구

        이재능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11

        A Study on Collecting Participatory Meteorological Record and Information through Crowdsourcing Lee Jae Neung Major of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Seung Hwi Meteorology influences not only our daily life but also the whole of our industry, including manufacture ∙ construction ∙ distribution ∙ insurance ∙ agriculture etc. Moreover, it has become a crucial consideration in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national policy. However, due to the influence of global warming, meteorological phenomena such as rainfall or snowstorm are hard to predict accurately even with current scientific technology. In order to predict local meteorological phenomena, a more dense meteorological network is needed. This research ha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It has been confirmed that, as an alternative, meteorological information collection through crowd-sourcing has been the focus, since it shows more potential in accurate and local weather forecast by collect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from a spatially more dense region than the existing meteorological network. First of all, this research investigates each of the present condition, problem, and alternative of the following meteorological network: national meteorological information intelligence that provides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ivate meteorological enterprises which target specific consumers, and private enterprises that provide meteorological information through crowd-sourcing. 크라우드소싱을 통한 참여형 기상기록정보의 수집에 관한 연구 이재능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 전공 지도교수 이승휘 기상은 우리의 일상 생활을 비롯하여 제조∙건설∙유통∙보험∙농업 등 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국가의 정책 수립과 이를 이행해 나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기습 강우나 폭설 등의 기상현상은 현재의 과학 기술로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우며 이와 같은 국지적으로 일어나는 기상현상을 예측하기 위해 지금보다 더 조밀한 기상 관측망이 필요하다. 기상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크라우드소싱을 통한 기상정보수집을 주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의 기상 관측망 보다 더 조밀한 공간적 범위로부터 기상 관측 데이터를 수집함으로 정확하고 국지적인 기상예보의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상정보제공 기관인 국가기상정보기관, 특정수요자 대상의 민간 기상 기업, 크라우드소싱을 통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민간 기업의 각각의 기상관측망의 현황과 문제점을 밝혔다. 둘째, 실제 아마추어 기상관측기기를 설치하여 기상 크라우드소싱에 참여하였다. 셋째, 향후 크라우드소싱을 활용한 기상기록정보 수집과 활용 방안에 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크라우드소싱을 통한 기상정보의 수집은 기상관측데이터의 객관성과 신뢰성에 관한 문제가 큰 약점으로 언급되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와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향후 현재보다 더 상세하고 정확한 국지적인 예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 대중이 기상관측정보를 생산할 뿐 아니라 기상예보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둘 수 있다.

      •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중심으로

        이창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기록 관리는 기록을 선별하고 수집하여 보존하는 것에서 이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록관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잠재적 이용자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개발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적용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선정하고 이용자 요구 및 질의 분석을 진행하였고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어 IBM Watson Conversation과 카카오톡 메신저를 통해 챗봇을 구축한 뒤, 시험 실행(Pilot run) 과정을 통해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이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 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챗봇 도입, 챗봇의 수준 결정, 이용자 요구 분석, 챗봇 구축을 위한 도구 선정, 대화식 상호작용을 위한 구문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와 기록관 챗봇 구축의 시사점에 대한 논의는 기록연구사가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여 기록관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Records management is evolving from collecting and preserving records and archives to utilizing them, but there are still many potential users who are not aware of the existence of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Therefore, this study has developed a record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hat suppor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and it examined the specific development procedure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chose the Archives of Myongji Univers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hatbot, analyzed user requests and questions, and proposed a logical structure design for Chatbot development. After building the Chatbot based on IBM Watson Conversation and KakaoTalk Messenger, we were able to find how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Chatbot interacted with the user through a pilot run process. Also,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he implication on the introduction of the Chatbot,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the Chatbot, the analysis of the user requests, the selection of the tool for the Chatbot, and the syntax setting for the interactive interaction we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s about the logical structure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ervice Chatbot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hatbot will help the archivist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applying the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o the archives.

      •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의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 :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업무수행을 중심으로

        전성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이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어떻게 대처해 나가고 있는지, 그리고 업무 수행과정에서 어떠한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살펴봄으로써,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이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 12개 기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기록관리 업무현황과 기록관리 업무수행 환경을 조사하였고, 인터뷰는 전화 혹은 이메일을 통한 질문지 작성방법 중에서 응답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2017년 4~6월에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 12개 기관의 기록물관리 수준은 기록물 관리체계를 만들어 나가는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은 업무수행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경영성과로 이어지기 어려운 기록관리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예산지원을 받기 어려웠고, 기관 내 직원들에게 기록관리가 자신들의 공식적인 업무 외 추가업무로 인식되고 있어 업무협조를 받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록관리 업무수행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게 하는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혼자서 해야 하는 외로운 업무, 기관에서 중요성이 낮은 우선순위가 아닌 업무, 낮은 직위 및 직급으로 인해 겪게 되는 상황들로 회의감을 느껴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그에 합당한 대처를 하기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은 기록관리 업무를 진행하면서 실행과정에서 세부적인 처리방법에 관한 사항들은 타 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과의 교류, 국가기록원 문의 등 기관 외부자원을 활용하고, 기관 내부직원들과의 관계관리, 회의, 전화, 이메일, 대면 등으로 기관 내부협력 조율을 통해 대처하는 등 나름의 개인적인 방법으로 어려움에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위에 나열된 어려움의 근본 원인은 기관 내에서 기록관리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인식 때문이므로, 이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혼자서 대응하여 근원을 해결하기는 매우 힘든 것으로 이해된다. 결과적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업무 수행과정과 근무환경에서 바라는 점은 다음과 같았다.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에 적합한 업무지침이 만들어져서,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하면서 세부적인 처리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국가기록원에 문의하거나 타 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과 교류를 통해 도움을 얻고자 하는 수고가 줄어들기를 원했다. 또한, 국가기록원으로부터 기록관리 평가를 받는 것을 원했는데, 국가기록원에 의해 기록물관리 업무에 대해 평가를 받는다면, 기관의 내부직원들도 업무진행과 더불어 당연히 해야 하는 업무로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별도의 기록물관리부서가 만들어지고, 업무분장을 통해 기록관리 업무 이외의 다른 업무를 배정받지 않고, 정규직으로 채용되어 안정감 있게 기록물관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기를 원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언 하였다. 첫째,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의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인 업무 지침이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자체관리기관에서도 의무적으로 기록관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기록원에서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까지 평가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는다면, 공공기관 경영공시제도에 기록관리평가에 대한 사항을 추가하여 의무적으로 공시하여 국민들에게 공개하는 방안과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에서 경영관리 평가 항목에 기록관리 사항을 포함하여 기획재정부의 경영평가단에 의해 평가 받는 방법을 제언한다. 셋째,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기록물관리에 전념할 수 있도록 다른 업무분장을 지양하고, 안정적인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difficulties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independently operated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experience during their work process, how they deal with the problems and what help is needed for them to perform better in their work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ypothesize the requirements for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to work effectively. To analyze the work environment, the current work process and the problem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2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from different independently operated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All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either by a phone call or an email, whichever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ere comfortable with after they received the questionnaire, between April to June of 2017. The interview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work proficiency in records management wa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 and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below.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are facing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work procedure. Budget allocation to their work was difficult due to the specialty of their work, the obscurity in measuring its business performances.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also faced hardships in seeking cooperation at work from other colleagues as their role at the work place was perceived as a supplementary to the official work of the institution. Moreover,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and skepticism of their role because of the solitude in their work place, their work being considered lower on priority within the institution and their low work position or rank within the organization. As listed above,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ere facing numerous hardship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were thriving to resolve the problems.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consult other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orking in different institutions or utilize resources from external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find solutions to specific work process-related problems such as regulations in record management. At the same time, to gain internal support for issues such as budget allocation and promotion,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devote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tay connected in the internal communication loop through meetings, email and phone calls.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ere trying to resolve the difficulties with their own personal methods. However, the above listed problems seem to occur because the records management work is not taken seriously or viewed importantly,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origin of the problems cannot be solved with just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personal endeavors. As as result,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requests as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their work environment and work process were as following. Since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he details of records management,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suggested a work process guideline specifically for the independently operated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so that they did not have to contact other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from other institutions 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r specific inquiries. At the same time, they sought the need of an official evaluation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garding the records management work. They believed that a government evaluation will enhance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the records management work within their institution, which will also make it easier for them to receive internal support. Additionally,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proposed an official team of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placed within their institution, specify the work scope and job description of that team to just records management so they would not have to be pulled into other positions that are not related to records management, and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to be hired as a permanent position to focus on the records management work. With above findings, below proposals were made for improvements. First, a practical work process guideline needs to be 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 situations of each independently operated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Second, an internal evaluation within each independently operated organizations need to be conducted. If it is not feasible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evaluate the institutions, it is recommended to include a feature regarding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in the Management Disclosure System and make it mandatory to be announced to the public, and add records management in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o be inspected by the evaluation group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Last,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should not be assigned to other roles beside records management and a stabl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hiring them in a permanent position should be formed for them to focus on their sole role of records management.

      • 의원기록물관리를 위한 의원기록관 설립에 관한 연구

        우윤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11

        국회의원은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를 견제하고, 수많은 국민을 대표하여 그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법을 만드는 입법부의 구성원이다. 그러므로 대통령의 기록을 행정부의 여타 기록들과 구분 지어 따로 관리하듯 국회의원의 기록 역시 공공성과 대표성을 고려해볼 때 국회의원 기록만을 전담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국회는 기록관리에 있어 상대적으로 행정부보다 먼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세우고 기록연구사를 배치하는 등 선제적인 모습을 보였었다. 하지만 국회기록보존소는 독립되기는커녕 국회사무처에서 국회도서관 산하로 소속이 변경되면서 기관의 위상은 점점 위축되어 갔다. 회의록과 의안과 같은 기록은 그나마 관리가 되고 있었지만, 의원기록은 전혀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원들이 생산한 의원기록들을 관리하는 의원기록관 설립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미 국회기록보존소가 국회의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데 의원기록관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국회기록보존소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이다. 현재 기록관이 없어 기록관의 일도 동시에 수행을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의원기록은 국회기록보존소가 관리하는 기록들과는 다른 성격의 기록이다. 행정부에서 생산되는 기록과 마찬가지로 국회기록보존소에서 관리하는 기록들은 업무의 연속성을 띠고 있다. 즉, 해당 기록을 생산하는 생산자가 바뀌더라도 업무의 연속성 때문에 비슷한 기록의 성격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국회의원은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임기가 존재한다. 대통령과 달리 횟수의 제한 없이 연임할 수 있지만, 임기가 끝이 나면 폐지기관과 같은 성격을 띠기 때문에 의원기록만을 따로 관리해야 한다. 국회의원과 보좌직원은 의원기록을 관리하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신축과 리모델링을 통해 과거보다 의원실이 넓어졌지만, 단순히 기록을 보관할 공간이 부족하다. 또한, 보좌직원의 업무가 획일화되어 있지 않고, 기록관리가 업무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의원기록관리를 위한 공간과 기록관리 전문가의 부재는 의원기록관의 설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의원기록관을 기관 내에 설치할 경우 해당 의원에 맞춤 기록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300개나 되는 기록관을 설치하고 300명의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인건비 등 많은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의원기록관을 기관 밖에 설치하면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국회의원 300명의 의원기록을 관리하기에는 하나의 의원기록관으로는 부족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 기록관을 제안한다. 층별로 혹은 정당별로 기록관을 세우는 것을 제안했지만 이는 수많은 종류 중 하나일 뿐이다. 의원기록관이 설치되면 국회의원과 보좌직원들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으로부터의 전문적인 기록관리와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를 통해 의정활동의 효율이 증대된다. 주기적인 이관으로 의원실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기록을 쉽고 빠르게 기록관으로부터 받을 수 있다. 나아가 기록관으로부터 선제적으로 필요한 기록들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의원기록관이 생기면 주기적으로 이관해야 하므로 보좌직원 중 한 명이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보좌직원들은 별정직으로 임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매번 초선의원이 당선된다. 이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은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포함한 의원기록물을 생산하는 모든 사람을 상대로 교육을 시행하게 된다. 꾸준한 교육을 통해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개선될 것이다. 이렇게 의원기록관의 설치로 인하여 국회의 기록관리 수준을 한층 높아지는 발판이 될 것이다. Lawmakers are members of the legislature who check the president and other administrations and make laws on behalf of numerous people to reflect their opinions. Therefore, just as the President records are managed separately from other records of the administration, the records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need to be managed exclusively in consideration of publicity and representation. But the reality was not so. The National Assembly had a relatively pre- emptive appearance in the record management, such as setting up the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rchive, and arranging records researchers before the administration. However, the status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has been gradually reduced as its membership has been changed from the Office of the Secretariat of the National Assembly to the Offic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rather than independent. Records such as minutes and bills were managed, but the records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ere not managed at al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to manag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as an alternative. As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is already managing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one might wonder if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eparat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is the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archive. Because there is no record center, the record center's work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bove all,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are of a different nature than those managed by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Like the records produced by the administration, records managed by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have a continuity of work. In other words, even if the producer producing the record changes, the nature of the record does not change because of the continuity of the work. However, the term of office of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esident. Unlike the president,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can repeat the number of times without restriction. However, if the term ends, they will have to manage the Records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separately because they have the same nature as the abolition agency.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aides are practically impossible even if they want to manage their records. Although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ffice has become wider than in the past through new construction and remodeling, there is simply not enough space to keep their records. In addition, the work of the aides is not uniform, and the record management is not specified as work. The absence of space and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for the manage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can be resol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I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is installed in the institution, it can perform custom records management. However,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300 record center and the cost of personnel for 300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Conversely, installing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outside the institution can save a lot of money. However, it is not enough to manage the records of 300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o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Record Center are proposed. It has proposed setting up archives by floor or by political parties, but this is only one of the numerous options. Onc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is set up,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ir aides will be provided with professional records management and services from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This will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ity. It is possible to use the office room comfortably with periodic transfer. And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can get the desired record easily and quickly from the record center. Further, it may be provided with necessary records preliminarily from the record center. One of the aides will be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as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will have to be transfered regularly. The aides do not have a fixed term for their posts, and a first-term the National Assembly member is elected each time. Therefore, the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 will provide education to all people who produc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including those performing records management tasks. Recognition of records management will gradually improve through steady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will be a stepping stone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improve the record management level.

      • 대학의 사회적 책임 실현을 위한 정보공시의 실천적 과제 연구

        김정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ies have increased following needs to guarantee the rights to know by citizens,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policy research promotion and institutional education and acquisition of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 top of this, following social responsibility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s known as ISO26000, an environmental foundation has been developed which requires universities to not only realize social responsibilitie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but also from economic, environmental, eth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This study selected information disclosure policies to demonstrate that universities have realized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he 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mplemented on December 1st, 2008 still has many areas requiring improvement to fully demonstrate social responsibilities. The study proposed five practical issues; first is that information recording specialist in charge of information disclosures are required while efforts to re-establish an expanded perception for the concept of information to include information recording are also needed. Additionally, deliberation by expert groups must be overseen to develop minimal essential production recording guidelines while it is important to create control systems to guarantee soci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as a found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is consideration for stakeholders, there is a need for sufficient understanding of user demands. At the same time, as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are discussed within the scope of records and information services, there are needs to investigate records and information requirements of users to reflect in information disclosures. Lastly, in order for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o become a device which fulfills social responsibilities, systems of organic information systems must be developed between various institutions. Implementation of such tasks will be significant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대학은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학술 및 정책연구 진흥 및 학교교육에 대한 참여, 교육행정의 효율성 및 투명성 확보 등 책임이 한층 높아졌다. 뿐만 아니라 곧 ISO26000 이라는 사회적 책임 국제표준화 동향으로 인해 앞으로 대학은 교육적 측면뿐만 아니라 경제적․환경적․윤리적․문화적 측면에서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환경적 기반이 형성되었다. 대학이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였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정보공시제도를 꼽았다. 2008년 12월 1일에 시행된 고등교육기관의 정보공시제도는 그러나 사회적 책임을 증명하기엔 개선해야할 점이 많았다. 실천적 과제로 다섯 가지를 제언하였는데, 먼저 정보공시를 담당할 기록정보 전문가의 배치가 필수적이고, 정보라는 개념에서 기록정보 개념으로 확대하여 인식을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관리기관과 대학 등 전문가 집단은 합의를 거쳐 최소한의 필수 생산 기록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사회적 책임에 대한 최소한의 제어장치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사회적 책임의 기반은 이해관계자에 대한 고려이므로 충분히 이용자에 대한 요구 파악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정보공시제는 엄연히 기록정보서비스의 범주에서 논의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용자의 기록정보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정보공시 항목 설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끝으로, 정보공시제도가 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장치가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관 간의 유기적인 정보시스템상의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제실행은 정보공시제도가 한걸음 나아갈 수 있는 의미를 지닌다.

      •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에 관한 연구

        전계청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1711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a nation, the Army has gathered all of its efforts under the slogan of detering war, achieving victory in ground warfare, and supporting civil interests. Army structure is hierarchical structure with pyramid form, yet it is divided by role and function. Therefore, the Army needs to embrace and place elite human resources who achieved professional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and efficiently use archives that are produced by each echelons and other staff units. However, in reality, the lack of personal to manage those archives is a problem in the field units. This paper will address this problem and analyze Army archive management procedure as well as give a solution to raise and place educated personnel in the right place by considering the personal capability and analyzing the demands for personal in each unit. First off, the paper sets the "Korea Archive Management Capability Table" as a sample to analyze the function of each echelon. It showed that the each echelon has different role and function which demands different needs for archives. Furthermore, the paper address the individual capability and their weakness which points out the necessary knowledge level for each individual. This data became the basis for setting educational plans for archive management personnel. Moreover, the paper looks into estimated time for an individual to address one archive so that is could anticipate the necessary demands for archive personnel in that unit, along with determining the number of personnel to educate, and how to place this personnel in each echelons. This paper apply the concept of 「work performance」to analyze the education and placement of the archive personnel within the military. In other words, the paper will focus on military archive management personnel to set quota, recruitment, placement, and research. I hope this paper will serve as a milestone and invaluable data to further develop the archive management capability in the military. Key word : Army record management, Army archive, Work function, Competency Knowledge design, Record management personnel fostering and allocation 육군은 한반도에서 전쟁억제와 유사시 지상전 승리, 국민편익을 지원한다는 목표아래 적으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영토를 지키고, 국가안전보장의 사명감으로 국가방위에 주력해 왔다. 피라밋 형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 군 조직은 임무와 기능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뉘며, 제대별, 참모기능별 조직과 계층에 따라 생산되는 각각의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활용하기 위해서는 시대 흐름에 부합된 기구체계의 개선과 전문교육을 이수한 우수자원의 양성 및 배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육군 야전부대의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육군의 기록관리 기관별 업무기능 분석을 바탕으로 각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기록관리 인력의 직무능력 수준과 필요인력의 소요, 그리고 그러한 인력을 어떻게 양성하고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기록관리역량표준(안)”을 분석모델로 하여 제대별 업무기능 분석을 실시하여 제대별로 핵심 업무기능이 다르다는 것과, 제대별 기록관 기능설계 시에도 각각의 기록관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이 상이하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과 실무자에게 필요한 역량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와 그들이 현재 갖고 있는 역량에 대한 정도를 측정하여 어떤 역량이 부족한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들에게 필요한 지식범주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관리자 양성방안과 실무자 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인별로 1건의 기록물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얼마인지를 분석하여, 각 제대별 기록관리 소요인력을 예측하였으며, 얼마만큼의 인력을 양성해야 하며, 이들을 각 제대별로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군(軍) 내 인력에 대하여 직무를 분석하여 인력소요 예측을 한 첫 사례로, 향후 군(軍)기록관리 인력에 대한 정원배정, 획득계획 및 편제반영, 직렬 신설 등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되어 군 기록관리 발전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육군 기록관리, 육군 기록관, 업무기능, 직무수행능력, 지식설계, 기록관리 인력 양성과 배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