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연구 : 업무 상급자 면담을 통하여
최정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함께 사회적으로 기록관리의 중요성 인식이 확산되고, 국내 대학에서 연사편찬을 위해 대학사료 수집과 대학 역사기록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본격적으로 국내 대학에서 대학기록관이 설치·운영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기록관이 설치·운영되기 시작하고 현재까지 대학기록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이론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이용자 및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분석을 통한 기록정보서비스, 업무 실태, 직무인식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지만, 대학기록관 운영에 있어 업무 상급자에 대한 기록물관리 인식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및 이용자가 아닌 업무 상급자를 대상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과 업무 및 기록관의 운영문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물관리 교육기관에서 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현장의 일반 구성원이 아니라 조직을 통제하고 있거나 책임지고 있는 조직의 상급자들을 대상으로 면담한 것으로, 조직을 책임지고 있으며 조직의 구조와 역사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 구성원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번 연구로 인해 대학기록관의 운영의 문제점과, 향후 예비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교육과정의 보완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를 통해 해당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둘째, 현재 대학기록관의 운영문제점은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였고, 셋째, 향후 대학기록관과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발전방향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해당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조사하기 위해 기존의 실행된 연구가 거의 없고, 실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상급자를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이 유효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질적 연구방법의 한 종류인 심층면담을 통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를 대상으로 직접적인 면담을 통해 대학기록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인식과, 운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대학기록관 홈페이지를 통해 대학기록관 현황을 파악하고 그 중 대학기록관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헌 연구 및 실제 근무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교수님을 통해 사전 면담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본격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 7곳의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면담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통해 면담 참여자 배경정보,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인식, 대학기록관 현황에 대한 상급자의 인식, 기록관 및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발전방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학기록관 운영의 문제점,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보완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학운영의 문제점, 대학기록관의 인식부족, 대학기록관의 독립 방향, 법령 제정, 경영진들의 인식, 교육과정의 보완해야 하고 교육과정에서 인턴쉽 및 실습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시사점 및 제언하였다. 현재 대학기록관에 대한 인식연구는 주로 이용자 및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분석을 통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고, 상급자를 통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로 인해 대학기록관 운영의 문제점과, 향후 예비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교육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의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 :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업무수행을 중심으로
전성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본 연구는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이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어떻게 대처해 나가고 있는지, 그리고 업무 수행과정에서 어떠한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살펴봄으로써,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이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 12개 기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기록관리 업무현황과 기록관리 업무수행 환경을 조사하였고, 인터뷰는 전화 혹은 이메일을 통한 질문지 작성방법 중에서 응답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2017년 4~6월에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 12개 기관의 기록물관리 수준은 기록물 관리체계를 만들어 나가는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은 업무수행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경영성과로 이어지기 어려운 기록관리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예산지원을 받기 어려웠고, 기관 내 직원들에게 기록관리가 자신들의 공식적인 업무 외 추가업무로 인식되고 있어 업무협조를 받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록관리 업무수행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게 하는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혼자서 해야 하는 외로운 업무, 기관에서 중요성이 낮은 우선순위가 아닌 업무, 낮은 직위 및 직급으로 인해 겪게 되는 상황들로 회의감을 느껴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그에 합당한 대처를 하기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은 기록관리 업무를 진행하면서 실행과정에서 세부적인 처리방법에 관한 사항들은 타 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과의 교류, 국가기록원 문의 등 기관 외부자원을 활용하고, 기관 내부직원들과의 관계관리, 회의, 전화, 이메일, 대면 등으로 기관 내부협력 조율을 통해 대처하는 등 나름의 개인적인 방법으로 어려움에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위에 나열된 어려움의 근본 원인은 기관 내에서 기록관리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인식 때문이므로, 이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혼자서 대응하여 근원을 해결하기는 매우 힘든 것으로 이해된다. 결과적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업무 수행과정과 근무환경에서 바라는 점은 다음과 같았다.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에 적합한 업무지침이 만들어져서,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하면서 세부적인 처리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국가기록원에 문의하거나 타 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과 교류를 통해 도움을 얻고자 하는 수고가 줄어들기를 원했다. 또한, 국가기록원으로부터 기록관리 평가를 받는 것을 원했는데, 국가기록원에 의해 기록물관리 업무에 대해 평가를 받는다면, 기관의 내부직원들도 업무진행과 더불어 당연히 해야 하는 업무로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별도의 기록물관리부서가 만들어지고, 업무분장을 통해 기록관리 업무 이외의 다른 업무를 배정받지 않고, 정규직으로 채용되어 안정감 있게 기록물관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기를 원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언 하였다. 첫째,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의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인 업무 지침이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자체관리기관에서도 의무적으로 기록관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기록원에서 정부산하공공기관 자체관리기관까지 평가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는다면, 공공기관 경영공시제도에 기록관리평가에 대한 사항을 추가하여 의무적으로 공시하여 국민들에게 공개하는 방안과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에서 경영관리 평가 항목에 기록관리 사항을 포함하여 기획재정부의 경영평가단에 의해 평가 받는 방법을 제언한다. 셋째,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기록물관리에 전념할 수 있도록 다른 업무분장을 지양하고, 안정적인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difficulties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independently operated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experience during their work process, how they deal with the problems and what help is needed for them to perform better in their work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ypothesize the requirements for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to work effectively. To analyze the work environment, the current work process and the problem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2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from different independently operated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All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either by a phone call or an email, whichever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ere comfortable with after they received the questionnaire, between April to June of 2017. The interview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work proficiency in records management wa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 and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below.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are facing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work procedure. Budget allocation to their work was difficult due to the specialty of their work, the obscurity in measuring its business performances.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also faced hardships in seeking cooperation at work from other colleagues as their role at the work place was perceived as a supplementary to the official work of the institution. Moreover,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and skepticism of their role because of the solitude in their work place, their work being considered lower on priority within the institution and their low work position or rank within the organization. As listed above,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ere facing numerous hardship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were thriving to resolve the problems.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consult other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orking in different institutions or utilize resources from external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find solutions to specific work process-related problems such as regulations in record management. At the same time, to gain internal support for issues such as budget allocation and promotion,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devote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tay connected in the internal communication loop through meetings, email and phone calls.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were trying to resolve the difficulties with their own personal methods. However, the above listed problems seem to occur because the records management work is not taken seriously or viewed importantly,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origin of the problems cannot be solved with just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personal endeavors. As as result,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requests as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their work environment and work process were as following. Since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he details of records management,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suggested a work process guideline specifically for the independently operated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so that they did not have to contact other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from other institutions 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r specific inquiries. At the same time, they sought the need of an official evaluation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garding the records management work. They believed that a government evaluation will enhance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the records management work within their institution, which will also make it easier for them to receive internal support. Additionally,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proposed an official team of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placed within their institution, specify the work scope and job description of that team to just records management so they would not have to be pulled into other positions that are not related to records management, and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to be hired as a permanent position to focus on the records management work. With above findings, below proposals were made for improvements. First, a practical work process guideline needs to be 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 situations of each independently operated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Second, an internal evaluation within each independently operated organizations need to be conducted. If it is not feasible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evaluate the institutions, it is recommended to include a feature regarding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in the Management Disclosure System and make it mandatory to be announced to the public, and add records management in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o be inspected by the evaluation group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Last, th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should not be assigned to other roles beside records management and a stabl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hiring them in a permanent position should be formed for them to focus on their sole role of records management.
전자증거개시(E-Discovery)에 대응하는 미국 기업의 기록관리 동향 분석
김일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제 소송 및 분쟁도 증가하고 있어 소송 절차의 핵심인 전자증거개시 제도(E-Discovery)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전자증거개시 제도는 미국의 민사소송 절차 중 하나로 기업 간 소송을 진행하는 규칙이자 소송 절차에서 성패를 좌우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 이미 국내 기업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만 국내에 도입되어 있지 않고, 대응방안이 부재함에 따라 소송에서 법적, 금전적인 제재로 인한 부담감을 호소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증거개시 제도는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소송 이전에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여 증거를 확인하고 합의를 유도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도입 초기에는 종이기록을 기준으로 반영한 규칙에 따랐지만, 이후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잠재적인 상황에 기존의 규칙으로는 능동적인 대응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기준을 전자적으로 생산된 정보의 범위까지 확장하여 개정하기에 이르렀다. 개정안에서 제기된 주요 사항은 증거 제출의 확장된 범위와 기록관리의 필요성 및 기록관리 전문가 역할의 요구이다. 최근 전자증거개시의 국내 도입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법, IT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록학계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법, IT학계의 연구에서는 법, IT 분야의 역할과 준비 요건을 밝히고 있지만, 기록관리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기업이 전자증거개시를 대응할 수 있도록 법, IT, 기록관리에 이르기까지 학계들의 지속적인 논의와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었고,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및 준비성이 전자증거개시 대응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현재 국내 도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록학 관점의 논의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해외 동향을 분석, 연구하는 것은 국내 기업에게 전자증거개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기록관리 대응방안을 밝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증거개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국 기업 기록관리의 실무 현황 및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연구 현황을 수집 및 분석하여, 전자증거개시에서 기록관리가 필수적인 요건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전자증거개시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적인 기록관리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계기로 전자증거개시에서 기록관리의 중요성과 더불어 기록관리 전문가 역할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기업들의 소송 과정에 따른 위험과 부담이 완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With the acceleration of entry of domestic companies into the overseas market, international suits and disput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lectronic Discovery(E-Discovery), which is the core of legal proceedings needs to be improved. E-Discovery is a rule regarding a lawsuit between companies and exerts an strong influence on the success or failure in the proceedings, as one of civil procedures in the U.S. This has already been having a direct influence on domestic companies. However, this isn't introduced to the country and there is an absence of measures. For this reason, there is an increase of companies, which are under pressure due to legal and financial sanctions in litigation. E-Discovery was devised to obtain evidence by sharing information and to promote a settlement before litigation, for reducing unnecessary time and expenses. In the beginning, this followed the paper record-based rules. But it was argued that the existing rules would be hard to deal with the latent situations actively due to the advanc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is was revised by expanding its standard to the scope of electronically produced information. The expanded scope of evidence submission,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roles of 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rs are significantly specified in the amendment. Recently, there is a discussion 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E-Discovery to the country in the field of law and IT, but this is hardly discussed in archival science. The studies in the field of law and IT mention the roles and requirements for the field, but it is hard to find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and roles of records management. On the contrary, in the U.S., effective measures in the field of law, IT and records management have been suggested by continued discussions and studies of the academic worlds to help in dealing with E-Discovery and there has been a discussion on the influences of recognition of and preparation for records management on action to cope with E-Discovery. Currently, there is a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is system to the country,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from the viewpoint of 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men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nalyzing and studying the overseas trends would provide domestic enterprises with an opportunity to find records management plans for dealing with the E-Discovery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records management is indispensable in E-Discovery and to present a fundamental records management strategy to deal with E-Discovery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studies on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cases in American companies that are actively counteracting E-Discovery.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in E-Discovery, improving the recognition of the roles of 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rs and relieving the danger and pressure in the proceedings.
동영상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방송영상자료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송태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동영상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방송영상자료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송 태 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지도교수 이 해 영 기록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발전해 왔다. 가장 처음 문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후대에 전승되었으며, 현재는 사실그대로를 담아 낼 수 있는 이미지와 영상기술의 발달로 동영상기록의 형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미디어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누구나 쉽게 동영상을 생산할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많은 형태의 동영상은 동영상기록의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현재 사회와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작되는 방송자료와 개인이 생산한 수많은 동영상 자료들은 동영상기록으로 선별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영상기록이 문자 형태의 기록과는 다른 기록정보의 구성과 객관적 사실을 기록정보로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과 그 중요성의 인식으로 동영상기록에 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시점이 온 것이다. 아직 기록에 대한 많은 연구는 문자 형태의 기록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는 시청각기록물의 범주 안에서 연구 되고 있으며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로서, 동영상기록의 특징을 살펴보고 동영상기록 관리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영상기록과 다른 유형의 기록을 비교하여 특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징과 현재 영상기록 지침 등을 종합하여 4가지 사례 분석 기준을 설계하였다. 다음 모범적인 사례를 선정하기 위해 동영상기록이 될 수 있으며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방송영상자료를 관리하고 있는 방송국 아카이브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방송국 아카이브 사례별로 면담 및 관련 자료를 토대로 사례 분석 기준을 통해 사례 현황 및 사례별 관리 방법 등을 도출 하였다. 도출 된 결과를 비교하여 4가지 사례 분석 기준에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는 관리 방법을 동영상기록 관리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동영상기록의 물리적 형태에 대한 관리 방법과 동영상기록의 기록정보가 구성되는 구조에 따라 이를 이용자가 접근 할 수 있고, 활용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내용을 주로 연구 하였다. 따라서 동영상기록이 기록적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 그러나 동영상기록에 대한 특징을 도출하여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에 동영상기록을 활용하기 위한 관리 방법을 연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구관리전문기관의 기록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 R&D과제 관리업무를 중심으로 -
김지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우리나라의 국가R&D사업은 정부 부처별로 운영하고 있다. 국가R&D사업은 연구사업(Program) 단위로 구분되어 진행되고, 하나의 연구사업은 많게는 수백 건의 연구과제(Project)로 구분되어 지원된다. 정부 부처는 연구과제(Project)를 기획하고 공고하여 수행기관을 선정하고 결과를 평가하여 확산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연구관리전문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국가R&D사업의 과제를 연구관리전문기관에게 위탁·수행의 권한을 맡기고 있지만, R&D투자대비 성과와 질적 수준은 미흡하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고 있다. 또한 연구관리전문기관 별로 R&D과제의 칸막이 운영으로 인해 R&D과제에서 생산·수집·관리되는 연구기록물의 정보공유가 어렵고, 과제관리시스템(PMS)의 개별적인 운영으로 국가R&D사업예산으로 지원된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연구과제의 중복성을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술분야 별 연구과제 지원 실적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국가R&D사업의 생태계 안에서 연구관리전문기관의 역할과 그 의의를 찾았다. 연구관리전문기관의 R&D과제 관리업무에서 생산·수집·관리되는 연구기록물에 대한 기록관리 방안을 조사·분석하였고, 큰 틀에서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연구기록물관리 규정 및 시스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관리전문기관별로 법률적 체계가 달라 기관 간의 이해충돌 현상이 일어나고, 적용기준 및 해석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부처별·연구관리전문기관별 로 운영되는 법률적 체계를 통합하여 “(가칭)국가연구개발사업관리기본법”을 제정하여 R&D 과제의 국가적 통합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R&D과제의 기록관리프로세스의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구관리전문기관의 R&D과제 관리업무는 기획, 공고·선정, 수행·평가, 성과·활용 등 4단계로 구분되고, R&D과제 기록관리프로세스는 기록물 생산·등록·수집(인수), 분류·평가, 이관·보존·폐기 3가지 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록관리프로세스를 중심으로 R&D과제 관리업무를 대입하여, 각 단계에서 생산·수집·관리되는 연구기록물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연구관리전문기관 내의 기록관 역할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5개 연구관리전문기관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연구관리전문기관 내의 기록관은 본연의 역할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록관의 중요성과 역할을 정리하여 연구관리전문기관에 특화된 기록관의 역할 및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국가R&D사업의 투자 대비 성과와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R&D사업과 연구과제를 평가·관리하는 전 과정을 기록하고 공개함으로써, R&D를 수행하거나 정책을 수립하는 모든 이에게 공유해야 할 것이다. 국가R&D사업의 통합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과학기술자 및 관련 연구자들에게 널리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연구관리 과정에서 생산·수집된 연구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기록물에 대한 공개가 국가 R&D 경쟁력을 되살리는 가장 기본적인 토대이다. 본 논문을 통해 국가R&D사업 과제관리 전 과정이 기록되고 각종의 이유 등으로 공개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공감되기를 희망한다.
사회상 재조명 도구로써 한국 인디 밴드 활동의 기록화 필요성 연구
장형오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음악은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환경 속에서 각각의 감정과 이야기를 담아 만들어지고 불려져 왔다. 사회 구성원으로부터 이야기를 담아 만들어지는 음악은 듣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과 감정에 비추어 주관적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한편으로 그 음악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감대를 느끼며 서로 소통하기도 하기 때문에 당대 사람들의 정서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음악을 받아들이는 수용자의 입장과 음악을 만드는 창작자의 입장은 다를 수 있다. 본래 음악과 같은 예술 작품에는 창작자의 의도가 작품의 탄생 배경이 되고, 그 작품이 가지는 주된 의미가 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대중음악은 상업적이고 대중적인 주류의 음악 유통 시스템 아래서 자본에 의해 상업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창작자의 의도가 자본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반면 자본으로부터 ‘독립’해서 자기들의 음악을 추구하는 인디 음악은 대중음악과 반대로 창작자의 의도가 순수하게 온전히 담길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디 음악을 생산하고 활용하는 인디 밴드의 활동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한 시대의 사회상을 재조명하는 도구로 한국 인디 밴드 활동에 대한 기록화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한국의 인디 음악이 가지는 특이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인디 밴드의 기록화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인디 밴드 활동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인디 밴드 활동 중 공연 활동과 가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공연 활동에서는 무대 공연, 버스킹 공연, 대회 참석, 사회적 운동의 연대의 4가지 범주로, 가사에서는 일상생활의 이야기, 전하고 싶은 이야기, 사회적 이슈의 3가지 범주로 나누어보았다. 다음으로, 대상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확인한 특징을 생계적 궁핍함, 멤버교체의 어려움, 경험기반의 창작, 전문성 지향의 4가지 범주로 나누어 기술하였고, 밴드 유형을 사회운동의 도구, 메이저가수 준비과정, 전문적 취미 활동의 3가지 범주로 나누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하여 기술하여 이야기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인디 밴드 활동의 기록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한국 인디 밴드 활동 기록의 수집 범주를 기능과 활동으로 설정하여 창작 활동, 공연 활동, 대중매체의 3가지 범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수집 정책 프로세스는 성문화 된 사명문, 수집 범주, 수집 계획, 수집 평가의 과정으로 제시하고, 기록관리 전문가, 인디 밴드, 인디 음악 전문가, 관련 업계 종사자, 음악 평론가, 사회학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조직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록화 주체로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디 레이블과 공연장, 인디 밴드를 제시하면서 각각의 주체 별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집 전략 프로세스는 수집 범주, 예비조사, 리드 작성, 접촉의 과정을 제시하였고, 생산 전략 프로세스는 수집 범주, 예비조사, 사전 협의, 기록 선별의 과정으로 제시하였다. 기록화 전략에 따라 체계적인 기록화가 가능하고 기록화를 통한 한국 인디 밴드 활동에 대한 분석과 기록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이를 기반으로 더욱 발전시킨다면 성공적인 한국 인디 밴드 활동의 기록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기록화 전략에 따른 체계적인 기록화를 통해서 다른 영역의 어떠한 대상이라도 분석이 가능하고 기록화의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Music has been created and sung in various environmen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 individual feelings and stories. When people listen to a song, they understand it differently. Because they have each viewpoint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and feelings. Therefore the music reflect the contemporary sentiment. Though what the audience take and what the songwriter want to express might not correspond. In the works of art such as music, the creator’s intention becomes the background of the work, also it could be the main meaning. While popular music cannot be free from the capital. Due to the popular music is produced under control of capital and mainstream distribu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indie music, which pursues their own music by being "independent" from capital, can contain purely the intention of the creator as opposed to popular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documentation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Indie Band as tools of social aspects redefinition of an era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indie bands. First, Identified the necessity of documentation Korean indie band by examining the specificity of Korean indie music in the historical flow. And categorize by based on the data of indie band activity. Part of performances: stage performances, busking performances, attendance at conventions, and solidarity of social movements, and lyrics: daily life stories, stories went to tell, and social issues. Next, Categorize four part: livelihood deprivation, difficulty in member replacement, experience-based creation, and professionalism,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s. And propose the types of Indie Bands through narrative inquiry method, three categories of tools of social movements, preparation course a major singer, and professional hobbies. Finally, propose a documentation strategy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Indie band. The collection categories of Korean Indie band activity records were set as functions and activities and proposed in three categories of creative activities, performance activities, and mass media. In addition, the collection policy process is proposed as a process of archival mission statement to codify, collection category, collection plan, and collection evaluation. And an advisory organization composed of records management experts, indie band, indie music experts, related industry workers, music critics and sociology experts is proposed. In addition,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subject by proposing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Indie label and performance hall, and Indie band as main agent of documentation. Then the collection strategy process proposed the process of collection category, preliminary investigation, lead creation, contact, and the production strategy process proposed the process of collection category, preliminary investigation, prior consultation, and record selection. It is possible documentation to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documentation strategy an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analyzing and documenting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Indie band through the documentation. If it is further develope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not only successful documentation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Indie band, through systematic documentation, but also any object in another area can be analyzed and the necessity of documentation can be confirmed.
임미경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지역주민들은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에 대해 알 권리가 있고, 기초자치단체는 보유하는 정보를 지역주민에게 공개하여야 하며, 지역주민은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초자치단체 운영에 참여 할 수 있다. 지역주민의 알권리, 투명한 행정, 지역의 역사자료 보존을 위해서는 기록관리가 필요하다.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은 기록물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하는 중간 역할을 담당하여 지역 기록물관리의 기초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기초자치단체의 기록관은 기록물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적법한 절차에 따라 과학적인 방법으로 보존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현황 조사를 위해 2009년 9~10월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채용이 많이 이루어졌던 서울·경기·인천에 소재한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11곳을 방문하여, 기록관리 전문요원과 인터뷰를 통해 소속기관의 기록관리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정책적인 개선방안과 기록관리 현황에 근거한 세부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정책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정책개선에 있어서는,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가 발전 할 수 있도록 법률의 보완과 국가기록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국가기록원은 행정안전부에서 독립하여,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어야 한다. 국가기록원이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할 기록연구사 채용을 전담하고, 기록연구사는 국가기록원과 기초자치단체에서 순환근무가 가능하다면 국가기록원이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파악에 용이하여 정책추진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은 지역에 관한 기록물을 수집하여 지역주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개선방안을 통해 본 논문은 향후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이 준용할 수 있는 방향과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e local residents have the right to know about the administration and local policy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e local government should open its information and data to local residents so that the resident can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strict records management is required so that the local resident can easily find out the proper information, the transparent local administration is performed and the historical data and information can be preserved. The role of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at local government is very important in that they transfer the data to the local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and they are the foundation for local records management. The local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should preserve the data and information and make them available for general use in a proper, scientific way according to Public Records Control Act. To study the current situation of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working at local governments, I visited 11 local government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ere a lot of records management personnel were hired in September and October 2009. I had interviews with the officials to find out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its problems and suggested a detailed improvement proposal in terms of records management policy and its current state. For the improvement in the work system of record management officials working at local governments, there shall be improvement in policy first. For the improvement in politics, som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play more roles in preserving record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be independent from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lead the records management policies for local governments. I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 in charge of recruiting the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for local governments and the officials can work by rotating their positions between the National Archives and the local bodie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ill be better positioned to understand the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at local entities and efficiently put its records management policies into practice. In addition, the local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have the capability to collect the data on regional situation and provide it to local residents. Using the improvement proposals, this paper shows the direction and method which the future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in the local governments can take advantage of.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을 통하여 본 국내 현황 및 정책에 관한 연구
강민정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A Collection Policy provides a direction to an archive, but also provide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practical measures of planning and collecting process. In terms of a Collection Policy, it enables detail collection as regulations or codes cannot be as defined as the level of collection, thus, it allows systematic and strategic approaches in collecting former presidential records. In the case of United States, where the same presidential system exists as South Korea, although the individual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have different periods of collections, the Collection Policy was implement a half century ago that is used as a foundation data for record collection. However,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South Korea do not have a Collection Policy implemented that the collection is based on ‘collection regulations’ and ‘collection plans.’ In the comparison of the Collection Policy at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llection regulation’ and ‘collection plan’ at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South Korea, it shows that while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Collection Policy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residents that the collection comprises the records from more than the appointed period that it includes various personal records of relating figures, events, regions, and even personal interest; the records are written in detail to the detailed scale and procedure. On the other hand,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South Korea, the records collected based on ‘collection regulations’ and ‘collection plans’ do not sufficiently apply 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former presidents that the collections remain as general and unclear. This is due to the absence of a Collection Policy that systemizes and sustains professionalism and consistency of collection plans and procedures. Hence,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pose collection policy implementation measures by analyzing the Collection Policy of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and identifying implications for applying individual president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even from a total of thirteen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which implemented the Collection Policy and the analysi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1) Collection Policy development applying individual president characteristics 2) Dual system for categorizing collected records and artifacts 3) Collection Policy development through Gap analysis. These implications are applicable to the Collection Policy development of Presidential Archives in South Korea. Based on these cases of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the Collection Policy implementation measure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featuring individual presiden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1) Identify the goals and directions of the achieves' true statements 2) Secure professionalism and consistency of collection duties with full responsibility 3) Prioritize and limit the scope of the collection prior and after the Collection Policy. 4) Cooperate with relating organization for collection consistency, and 5) Develop an adaptable Collection Policy that can apply the changes of collection and users' demand. This study also provides gap analysis results as a analysis too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llection Policy. Al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discussions on presidential records collection methods and strategies, there is no single study that directly analyzes the Collection Policy at the 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Furthermore, except one study, there has not been any follow-up research about the existing studies' errors and applications of the analysis on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gap analysis results as an analysis tool for implementation measures and realization of the Collection Policy featuring individual presid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ases of the Collection Policy at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by fulfilling the deficiencies of the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it contributes in revising the errors of the international cases introduced existing studies that had not been verified due to a lack of detail evaluation on the Collection Policy of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기록관에서 수집정책은 수집을 위한 지침서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기록관의 업무계획 수립과 업무절차 실행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가 된다. 수집정책에는 법률이나 규정에서 모두 다룰 수 없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을 수립할 수 있으므로, 실제 대통령기록물 수집 시에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다. 우리나라와 동일한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의 경우, 개별 대통령기록관마다 수립된 시기는 상이하지만 이미 반세기 전부터 수집정책을 수립하여 기록물 수집을 위한 근거자료로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통령기록관은 아직까지 수집정책을 수립하지 않은 상태로서 ‘수집규정’ 및 ‘수집계획’에 기반하여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과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수집규정’ 및 ‘수집계획’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은 대통령의 특성을 반영하여 재임기간 생산하여 이관받은 기록물 이외에도 대통령과 관련한 인물·사건·지역뿐 아니라 개인적 관심사를 반영한 개인기록물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그 범위 및 절차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반면,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수집규정’과 ‘수집계획’은 개별 대통령에 따른 기록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일반적이고 모호한 수준에 그치고 있어, 수집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수집정책의 부재는 일관되고 전문화되어야 할 수집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개별 대통령에 따른 수집정책 수립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설립된 미국의 13개 대통령기록관 중 수집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7개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1) 대통령별 특성을 반영한 수집정책 개발 2) 기록물과 박물을 구분한 수집의 이원체제 3) 격차분석(Gap analysis)을 통한 수집정책 개발은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개별 대통령에 따른 수집정책 수립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대통령기록관의 사명 진술을 통한 수집의 목적과 방향 설정 2) 역할 및 책임 정립을 통한 수집업무의 연속성과 전문성 확보 3) 대통령기록물법의 제정 전·후에 따른 수집범위 및 우선순위 설정 4) 수집체제의 일원화를 위한 유관 기관과의 협력 5) 컬렉션의 변화와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수집정책의 개정.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집정책 실현을 위한 분석 도구로서 격차분석(Gap analysis)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대통령기록물의 수집방안과 전략에 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으나,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을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또한, 단 한편의 연구 외에는 후속연구가 이어지지 않은 관계로 기존 연구에 대한 오류 점검과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적합성에 대한 검토 작업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미비했던 점을 개선하여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 사례를 바탕으로 개별 대통령에 따른 수집정책 수립방안과 수집정책 실현을 위한 분석 도구로서 격차분석(Gap analysis)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선행 연구에서 해외 사례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 수립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지 못하여 발생한 오류를 정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김지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이 연구는 올림픽 구술기록이 가지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여 올림픽 구술기록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올림픽대회는 대표적인 지구촌 축제로써, 많은 국제 스포츠대회 중 규모가 가장 크며 사회·문화적으로 영향력이 큰 대회이다. 올림픽대회가 진행될 때마다 올림픽스토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자료나 기록들은 부족하다. 기존의 올림픽 관련 자료들은 대부분 공적 기록물 위주로 존재하고 있다. 올림픽 기록은 대회의 홍보물 또는 행정문서와 경기기록 이외에도 사회적 기억으로써의 의미가 있다. 올림픽대회에서 화려한 성적을 낸 스타선수뿐만 아니라 참가경험이 있는 선수 및 함께 준비한 지도자, 선수단임원 등 그들의 기억은 교훈이 되고 하나의 역사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올림픽 구술기록의 특성을 통해 그 가치를 확인하고, 국내의 올림픽기록물 관리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은 국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올림픽 기록 중에는 올림픽의 사회적 기억을 담고 있는 자료가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국외의 올림픽 구술기록 관리 선진 사례와 유사사례로 국내 구술영상 서비스 현황조사를 통해 올림픽 구술사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구의 전문성 및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의견수렴을 실시하여 연구결과에 반영하였다. 위의 연구방법들을 종합하여 올림픽 구술기록의 생산, 분류 및 기술, 디지털화 과정에 대한 방법론과 디지털 아카이브 서비스 구성 및 방향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카이브 관리와 공개 서비스 관리가 포함된 올림픽 구술사 디지털 아카이브 구성 기본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생산 및 수집 단계에서는 생산구술기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올림픽 구술자 및 면담자 선정, 질문지 작성, 면담준비 및 실행, 면담 후 정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분류 및 기술 단계에서는 올림픽 구술기록 특성에 맞는 분류와 더블린코어를 바탕으로 한 기술요소를 제시하였다. 넷째, 디지털 포맷 표준화 단계에서는 매체별로 보존용과 서비스용으로 구분하여 포맷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서비스 단계에서는 웹서비스를 바탕으로 하여 올림픽 구술기록의 이용환경과 올림픽 구술기록의 제공, 올림픽 구술사 디지털 아카이브의 상호작용 서비스와 서비스 활성화 부분으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대중에게 올림픽의 사회적 기억이 가져다주는 의미를 전달하고, 많은 사람들이 올림픽 구술기록을 이용하면서 보다 풍부하고 사실적인 올림픽의 역사를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This paper examines set up of digital archives for managing Olympic oral records in order and offering efficient service. Olympic Games are the foremost international sporting event, whose scale is the largest among other sporting competitions. The event exerts a strong influence on social and cultural areas. More and more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the story about Olympic Games. However, materials and records of it are not enough. Most materials of Olympic Games are official records. The Oral records about Olympic Games also serve as social memories. Many athletes who reached international stardom or not, coaches, managers, and staffs have memories about Olympic Games. Their memories could be a lesson and history. I found out problems when I conducting a situation analysis of the domestic management of Olympic archives. While there are many domestically-managed Olympic archives, the archives including social memories of Olympic Games are not enough. I have made a strategy to set up digital archives of Olympic oral history by examining other leading countries’ cases. In addition, I have included the opinion of professionals in this field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producing the Olympic oral records,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and digitalization. I also suggest how to set service configuration and its desirable direction.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my study suggests a basic conception for the digital archives of Olympic oral history, which includes archive managing and public-service managing. Second, I mainly address oral-recording producing in collecting and producing stage. And then I address about selecting Olympic narrator and interviewer, completing questionnaires, preparation for interview and execution of interview, closing the interview. Third, this paper suggests descriptive element based on classification fitted to the trait of Olympic oral records and Dublin Core. Fourth, I propose formats either for preservation or service according to media in standardizing digital format. Fifth, I address user environment, the offering of Olympic oral records in a web page, interacting service of Olympic-oral-history digital archives, and facilitating the service. This article has transmitted the meaning of social memories of Olympic oral records to the public and offered more people chance to perceive the copious but factual history of Olympic Games based on Olympic oral records.
우윤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국회의원은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를 견제하고, 수많은 국민을 대표하여 그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법을 만드는 입법부의 구성원이다. 그러므로 대통령의 기록을 행정부의 여타 기록들과 구분 지어 따로 관리하듯 국회의원의 기록 역시 공공성과 대표성을 고려해볼 때 국회의원 기록만을 전담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국회는 기록관리에 있어 상대적으로 행정부보다 먼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세우고 기록연구사를 배치하는 등 선제적인 모습을 보였었다. 하지만 국회기록보존소는 독립되기는커녕 국회사무처에서 국회도서관 산하로 소속이 변경되면서 기관의 위상은 점점 위축되어 갔다. 회의록과 의안과 같은 기록은 그나마 관리가 되고 있었지만, 의원기록은 전혀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원들이 생산한 의원기록들을 관리하는 의원기록관 설립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미 국회기록보존소가 국회의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데 의원기록관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국회기록보존소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이다. 현재 기록관이 없어 기록관의 일도 동시에 수행을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의원기록은 국회기록보존소가 관리하는 기록들과는 다른 성격의 기록이다. 행정부에서 생산되는 기록과 마찬가지로 국회기록보존소에서 관리하는 기록들은 업무의 연속성을 띠고 있다. 즉, 해당 기록을 생산하는 생산자가 바뀌더라도 업무의 연속성 때문에 비슷한 기록의 성격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국회의원은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임기가 존재한다. 대통령과 달리 횟수의 제한 없이 연임할 수 있지만, 임기가 끝이 나면 폐지기관과 같은 성격을 띠기 때문에 의원기록만을 따로 관리해야 한다. 국회의원과 보좌직원은 의원기록을 관리하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신축과 리모델링을 통해 과거보다 의원실이 넓어졌지만, 단순히 기록을 보관할 공간이 부족하다. 또한, 보좌직원의 업무가 획일화되어 있지 않고, 기록관리가 업무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의원기록관리를 위한 공간과 기록관리 전문가의 부재는 의원기록관의 설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의원기록관을 기관 내에 설치할 경우 해당 의원에 맞춤 기록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300개나 되는 기록관을 설치하고 300명의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인건비 등 많은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의원기록관을 기관 밖에 설치하면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국회의원 300명의 의원기록을 관리하기에는 하나의 의원기록관으로는 부족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 기록관을 제안한다. 층별로 혹은 정당별로 기록관을 세우는 것을 제안했지만 이는 수많은 종류 중 하나일 뿐이다. 의원기록관이 설치되면 국회의원과 보좌직원들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으로부터의 전문적인 기록관리와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를 통해 의정활동의 효율이 증대된다. 주기적인 이관으로 의원실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기록을 쉽고 빠르게 기록관으로부터 받을 수 있다. 나아가 기록관으로부터 선제적으로 필요한 기록들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의원기록관이 생기면 주기적으로 이관해야 하므로 보좌직원 중 한 명이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보좌직원들은 별정직으로 임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매번 초선의원이 당선된다. 이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은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포함한 의원기록물을 생산하는 모든 사람을 상대로 교육을 시행하게 된다. 꾸준한 교육을 통해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개선될 것이다. 이렇게 의원기록관의 설치로 인하여 국회의 기록관리 수준을 한층 높아지는 발판이 될 것이다. Lawmakers are members of the legislature who check the president and other administrations and make laws on behalf of numerous people to reflect their opinions. Therefore, just as the President records are managed separately from other records of the administration, the records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need to be managed exclusively in consideration of publicity and representation. But the reality was not so. The National Assembly had a relatively pre- emptive appearance in the record management, such as setting up the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rchive, and arranging records researchers before the administration. However, the status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has been gradually reduced as its membership has been changed from the Office of the Secretariat of the National Assembly to the Offic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rather than independent. Records such as minutes and bills were managed, but the records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ere not managed at al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to manag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as an alternative. As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is already managing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one might wonder if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eparat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is the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archive. Because there is no record center, the record center's work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bove all,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are of a different nature than those managed by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Like the records produced by the administration, records managed by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have a continuity of work. In other words, even if the producer producing the record changes, the nature of the record does not change because of the continuity of the work. However, the term of office of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esident. Unlike the president,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can repeat the number of times without restriction. However, if the term ends, they will have to manage the Records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separately because they have the same nature as the abolition agency.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aides are practically impossible even if they want to manage their records. Although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ffice has become wider than in the past through new construction and remodeling, there is simply not enough space to keep their records. In addition, the work of the aides is not uniform, and the record management is not specified as work. The absence of space and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for the manage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can be resol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I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is installed in the institution, it can perform custom records management. However,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300 record center and the cost of personnel for 300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Conversely, installing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outside the institution can save a lot of money. However, it is not enough to manage the records of 300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o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Record Center are proposed. It has proposed setting up archives by floor or by political parties, but this is only one of the numerous options. Onc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is set up,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ir aides will be provided with professional records management and services from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This will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ity. It is possible to use the office room comfortably with periodic transfer. And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can get the desired record easily and quickly from the record center. Further, it may be provided with necessary records preliminarily from the record center. One of the aides will be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as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will have to be transfered regularly. The aides do not have a fixed term for their posts, and a first-term the National Assembly member is elected each time. Therefore, the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 will provide education to all people who produc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s, including those performing records management tasks. Recognition of records management will gradually improve through steady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Record Center will be a stepping stone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improve the record management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