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이 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에 미치는 영향

        김예진 江陵原州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Effect of posterior single implant restoration on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Ye-Jin Kim, D.D.S.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Ra Cho, D.D.S., M.S.D., Ph. D., Chan-Jin Park, D.D.S., M.S.D., Ph.D.) Purpose: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oral function, occlusal contact area, occlusal force, masticatory efficiency, electromyographic pattern of masticator muscle, and jaw movement can be used as indicator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maximum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in single implant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50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for single implant at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included(31 male and 19 female, 38-78 years of age). Occlusal force was analyzed using the Dental Prescale II(GC Dental Products corporation, Tokyo, Japan). Maximum occlusal force was measured before prosthesis placement, after prosthesis placement, and 1 month after placement. Occlusal area was measured by BiteEye(GC Dental Products corporation, Tokyo, Japan). Interocclusal record of maximal intercuspal position(MIP) were taken after prosthesis placment and 1 month after placement. Occlusal contact area of implant and adjacent tooth against the total occlusal contact area was compared as a percentag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t 95% confidence interval. Results: The maximal occlusal forc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 month after posterior single implant restoration(P<0.05), and restoration of 1st molar had more significant effect on occlusal force than 2nd molar. Occlusal contact area of impla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 month after placement(P>0.05). At the interocclusal thickness level of 9㎛, occlusal contact area of implant was decreased a month after placement (P<0.05). Occlusal contact area of mesial teeth increased a month after placement(P<0.05). Conclusions: A month after posterior single implant restoration, the maximum occlusal force was increased. Restoration of 1st molar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occlusal force. Occlusal contact area of impla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 month after placement. Occlusal contact area of mesial teeth increased a month after placement. ------------------------------------------------------------------------------------------------------- Key Words : Occlusal force, Occlusal contact area, Single implant, Pressure sensitive film, Dental Prescale, Photo occlusion anaylsis, BiteEye®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이 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에 미치는 영향 김예진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 전공 (지도교수 조리라, 박찬진) 목적: 상실치에 대한 수복치료 후, 구강 기능의 양적인 평가를 위해 교합력, 교합접촉면적, 저작효율, 주요 저작근의 근전도 패턴 등을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전후 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의 비교를 통해 임플란트 수복이 구강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대구치에 단일 임플란트 수복을 시행한 50명(남성 31명, 여성 19명, 38~78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압력감지필름(Dental Prescale II, GC Dental Products corporation,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보철물 장착 전과 장착 직후, 그리고 장착 1개월 후 측정하였으며, 필름을 구내에 위치시킨 후 환자에게 최대한 강하게 물도록 하여 최대 교합력을 분석하였다. 교합접촉부위의 비교는 교합면적 분석장치(BiteEye®, GC Dental Products corporation, Tokyo, Japan)을 이용하였다. 보철물 장착 시와 장착 1개월 후 Maximal intercuspal position(MIP)의 악간관계기록을 채득하였다. 전체 교합접촉면적에 대한 단일 임플란트 보철물, 인접치, 반대측 자연치의 교합접촉면적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SPSS 25.0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95%에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수복 전과 비교 시, 교합력은 대부분의 군에서 장착 한달 후 유의한 증가를 보이며(P<0.05), 제1대구치의 수복이 제2대구치에 비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합접촉면적은 장착 시와 장착 한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교합면간 거리 9㎛ 수준에서 분석 시, 교합접촉면적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장착 한달 후, 근심측 자연치의 교합접촉면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한달 후, 교합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제1대구치의 수복이 교합력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합접촉면적은 장착 시와 장착 한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근심측 자연치의 교합접촉면적은 한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주요어 : 교합력, 교합접촉면적, 단일 임플란트, 압력감지필름, Dental Prescale, 광조사교합분석법, BiteEye®

      • Joseph Straus의 연합모델과 패턴완성을 적용한 윤이상 작품의 분석연구

        김예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무조음악의 논리적 분석 방법론 정립을 위한 시도로서 조오셉 스트라우스(Joseph Straus)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하여 필자의 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에 앞서 스트라우스가 제시한 분류방법에 따라 20세기 무조음악의 대표적 분석방법론들을 살펴보았다. 이 중 스트라우스가 제시한 “연합모델'(Associational model)과 '패턴완성'(Pattern-completion)의 개념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있게 고찰하며 내재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조명하였으며 궁극적으로 필자가 제안할 분석 방법론을 위한 시발점으로 삼았다.필자는 러달(Fred Lerdahl)이 제시한 “현저한 조건'(Salient conditions)과 스트라우스의 ??연합모델,????패턴완성'의 개념에 인지?심리학적 관점을 더욱 보강하며 음악적인 맥락을 고려한 필자의 “특정 음고류 집합의 선택조건'과 보다 넓은 음공간에서 구조음 추출을 위한 객관적 기준인 '필수 조건'(Prerequisite conditions)을 접목하여 무조음악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는 한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윤이상의 선별된 작품인 ≪글리세스≫, ≪가사≫, ≪노래≫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작품 분석을 통하여 필자는 매우 복잡하게 작곡된 무조음악에도 질서가 존재하며, 이러한 질서는 청자에게 작품의 유기적 청취를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여러 구조적 계층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특정 패턴은 청취자에게 특정 패턴의 인지적 완성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며 이는 실제로 제시되지 않은 음들에 대한 개념적인 청취를 가능하게 한다는 결론을 이끌었다. “개념적 청취'의 결과물인 패턴완성은 음악 표면에서 뿐 아니라, 연합모델의 개념을 통해 거시적 음공간에서도 나타나며, 작품의 통일성과 응집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Joseph Straus proposed the concept of the “pattern completion,” which touched an interdisciplinary linkage between cognitive psychology and musical analysis. Although Straus’s “pattern completion' was obviously a significant concept, not only because it involved human's cognitive capacity, but also because it showed practical possibilities of connecting musical events that are far apart with one another by depending upon solid theoretical assumptions, it still awaited the further logical and theoretical explanation. Straus later presented the “associational model,” in which tones interspersed in a large-scale tonal space could be interrelated through specific pitch-class sets and finally established theoretical justifications for what he did in his earlier articles. However,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pattern completion and the reliable testimony regarding its analytic validity are still necessary and increase the necessity of the subsequent researches.In this respect, I have examined a brief history of analytic methods for twentieth-century music written in the atonal idioms and then deeply compared the “prolongational model” with Straus's “associational model,” both of which are seemingly quite similar but differ considerably in conception with each other. I then have critically examined Straus's concept of the pattern-completion and associational model for possibilities of applying it to atonal music. Finally, I have suggested my own analytical model, which is a result of synthesizing a critical review of Straus's pattern completion and associational model and my (Kim Yeajin's: KYJ's) prerequisite conditions similar to Lerdahl's salient conditions.The dialectic result of the genuine combination, a new analytic methodology for atonal music applied to musical works by Yun Isang,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composers in Korea, and finally proved its applicable possibility. The works that I discussed were Glissees for Violoncello Solo, 1970 and Gasa for Violin and Piano, 1963, Nore for Violoncelle und Klavier, 1964.The analyses of Yun Isang’s selected works enable me to find the composer's strong obsession to the germ motive throughout each piece. The SC 3-3〔014〕, SC 4-7〔0145〕and SC 4-Z29〔0137〕served as a germ motive respectively in Yun Isang's Glissees, Gasa, and Nore by repeatedly representing the germ cell in opening portion and finally accomplished motivic coherence. Moreover, the close examination through the methodology illuminated a skillful interaction of the germ motive among multiple levels. Such an analytical tool will be useful to illuminate structural secrets latent in post-tonal music.

      •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기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김예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친숙한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기 수업지도안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국악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 지도안 모형에 따라 총 8개 차시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수립하였다. 각 차시에 따른 수업주제와 목표를 정한 후, 3단계의 교수·학습활동을 통해 국악과 국악기를 이해하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유도하였다. 1단계는 전래동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전래동화의 내용을 자유롭게 신체나 목소리, 도구 등을 활용해 소리로 표현할 수 있는 창의력을 높이는 수업과, 국악기의 기본적인 소리와 유래를 이해하는 수업으로 진행된다. 2단계는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의 내용을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각색한 대본을 만들고, 대사와 장면에 어울리는 국악기를 탐색하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3단계는 배운 내용에 대한 총체적인 연습을 통해 전래동화의 내용을 국악기로 표현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각 차시는 다양한 음악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학습한 내용의 복습 및 다음 차시 수업 내용에 대한 예고를 통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배운 내용을 되짚어보고 다음 수업을 준비할 수 있게끔 유도하였으며, 각 차 시별로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 제시된 교수·학습 지도안에서의 감상 활동은 시청각 자료를 통해 국악의 소리를 듣고, 국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을 감상함으로써 앞으로 자신들이 다루게 될 악기를 어떻게 다루고 연주해야 할지를 가늠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두 번째로 기악 활동은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에 등장하는 의성어와 의태어, 대사에 어울리는 국악기의 소리를 찾고, 시청각 자료로 제공되는 국악기 연주 동영상을 따라 하면서 국악기마다 어떻게 다른 소리를 내는지를 이해하고, 직접 악기를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세 번째는 가창 활동으로 수업 시간에 모둠별로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에 나오는 장면과 대사들을 자유롭게 각색한 내용에 음을 붙여 직접 노래를 해보는 활동이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민요의 음을 이해하고, 국악의 리듬감을 익힐 수 있게 만들고자 하였다. 네 번째로 체험 활동은 수업 차시별로 제공되는 모둠별 활동, 개인 활동 등을 통해 국악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느낄 수 있게 만드는 활동으로,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신체적 표현을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끔 구성되었다. 각 차 시별 수업지도안에 따라 반영되는 수업자료와 유의점, 활동 영역 등은 지도 방법 및 활동 내용에 따라 교수자가 응용해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 교수 방법은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스스로 악기를 연주하고 장단을 만들며, 노랫말을 지어보는 활동을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친숙한 전래동화의 이야기를 국악으로 표현하는 과정에 몰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국악과 국악기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킬 수 있으며, 음악적 표현 능력의 향상,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 협동심과 책임감의 증진 등의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and practical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folk tales familia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lesson plan for 8 classes based on lesson plan model. After setting the class subject and goal for each class, this study encouraged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strument and provided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3 stage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first stage was composed of a class for understanding the folk tale story and enhancing the creativity by expressing the story in sound using body, voice, and tools. The first stage also included a class for understanding basic sound and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In the second stage, students reorganized the script for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and explor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suitable for the lines and scenes. In the third stage, students had overall review on materials they learned and expressed the stories of folk tal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Each class was composed for student’s various experience of music activities an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review and prepare for the next lesion by providing the preview on next class contents. Also, evaluation plans were set for each lass. In the lesson plan suggested in this study, the appreciation activity involved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and the students learned the kinds of instruments they will be learning and learned how to play the instrument by hearing the sou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ppreci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Secondly, through the instrumental activities, students explored the sou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suitable for onomatopoeic word and lines appearing on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The students also repeated after the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sounds of instruments and play the instruments freely. Third, the lesson plan also had singing activity. The students gathered in group and freely reorganized the scenes and lines of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and sang a song of them with melody. The purpose of singing activity wa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basic sound of folk song and become familiar with th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urth, the experience activity included group activity and individual activ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experience activity was also designed for enhancing understanding on the class and encouraging interest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physical expression. The class material, remark points, and activity areas for each class can be applied by the instructors based on teaching method and activity contents.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folk tales helps the learners to hav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rough the activities of playing the instrument, making rhythm, and writing lyrics, the learners get mo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get immersed in expressing the familiar folk tale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Furthermore,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folk tales can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improve musical expression ability. It also has educational effect by encourag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instructor and promoting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 은행잎과 녹차 및 유자를 활용한 발효생균제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항병력에 미치는 영향

        김예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GLP), Fermented green tea probiotics (FGTP) and Fermented citron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mortality, immunity, meat composition, fatty acid profile, fecal and cecal microflora concentration; and gaseous emissions in broilers. A total of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here first two experiments was general performance testing of broilers, while third one was Salmonella and E. coli challenged test in broilers. The result of the three studies was summarized as follows: In experiment I, the aim was to evaluate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GLP), Fermented green tea probiotics (FGTP) and Ginkgo leaf powder (GLP)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meat composition, fatty acid profile and cecal microflora concentration in broilers. A total of 168 day 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seven treatments having four replications of six birds per replication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trol (basal diet), 2) FGLP 0.2% (basal diet + 0.2% FGLP, DM basis), 3) FGLP 0.4% (basal diet + 0.4% FGLP, DM basis), 4) FGTP 0.2% (basal diet + 0.2% FGTP, DM basis), 5) FGTP 0.4% (basal diet + 0.4% FGTP, DM basis), 6) GLP 0.2% (basal diet + 0.2% GLP, DM basis) and 7) GLP 0.4% (basal diet + 0.4% GLP, DM basis). Result revealed that, weight gain in FGLP 0.4%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starter and overall period; while feed intake was lower in FGLP 0.2% during finisher and overall period (P>0.05); however,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lower in FGLP, FGTP and GLP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control during finisher and overall period (P<0.05). Crude ash content of thigh mea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GLP, FGTP and GLP compared to control (P<0.05). No significant variation was observed in sum of SFA and PUFA fatty acid content of breast and thigh meat in FGLP, FGTP and GLP compared to control (P>0.05); however, cholesterol content of thigh meat was significantly lower in FGLP, FGTP and GLP supplement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P<0.05). Serum IgM was higher in FGLP compared to control (P<0.05); while cecal Lactobacillus concentration was higher, and E. coli concentration was lower in FGLP and FGTP supplemented group (P<0.05). In conclusion, dietary FGLP, FGTP and FGLP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growth performance and cecal Lactobacillus concentration; whereas decreased thigh meat cholesterol content and cecal E. coli concentration. Therefore, FGLP, FGTP and FGLP could be supplemented as potential feed additives in broiler diet. In experiment Ⅱ, the objective was to observe the dietary effect of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GLP) and Fermented citron probiotics (FCP) on growth performance, mortality, immunity, meat characteristics and cecal microbiology in broilers. A total of 120 day old Ross 308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to five treatments having four replications with six birds in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trol (basal diet), 2) FGLP 1 = 5% FGLP (basal diet + 5% FGLP, DM basis) 3) FGLP 2 = 10% FGLP (basal diet + 10% FGLP, DM basis) 4) FCP 1 = 5% FCP (basal diet + 5% FCP, DM basis) 5) FCP 2= 10% FCP (basal diet + 10% FCP, DM basis) A significant increase in weight gain during starter period (0-21 days), finisher (22-35 days) and overall period (0-35 days); and feed intake during finisher period (22-35 days) and overall period (0-35 days) in supplementation of FGLP-2 group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groups (P<0.05). A reduced FCR was found in FCP-2 supplementation during finisher and overall period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 groups (P<0.05). The calculated mortality rate was 5.56% in control and 4.5% FGLP while FCP-2 showed the zero mortality.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in FCP-1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control (P<0.05).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t cholesterol content; however, among meat fatty acids, sum of SFA was reduced and n-6 fatty acid was increased both in FGLP and FCP supplemented group in comparison to control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ecal microflora concentration in dietary FGLP and FCP supplementation (P>0.05); however, serum IgG was found higher in FGLP and FCP supplemented group (P<0.05). Finally, dietary FGLP and FCP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eight gain, reduced FCR, reduced mortality, increased n-6 fatty acids and decreased sum of SFA. Therefore, FGLP and FCP probiotics could be supplemented as functional feed additives in broilers diet. In experiment Ⅲ, the aim was to evaluate the dietary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GLP) and Fermented citron probiotics (FCP)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internal organ weight, cecal microbiology concentration in Salmonella and E. coli challenged broilers. A total of 120 day old Ross 308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 to five dietary treatment groups having four replications with six birds in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trol (basal diet); 2) FGLP 1 = 4.5% FGLP (basal diet + 4.5% FGLP, DM basis); 3) FGLP 2 = 10% FGLP (basal diet + 10% FGLP, DM basis); 4) FCP 1= 5% CP (basal diet + 5% FCP, DM basis); 5) FCP 2= 10% FCP (basal diet + 10% FCP, DM basis). On day one, each bird were orally injected 1 ml of mixed broth agar solution consisting of 5.00 × 105 Salmonella enteritidis and 7.00 × 106 E. coli bacterial load using micro pipette. At the end of the one week experimental period, growth performance, immunity, internal organ development and cecal microbiology were measured while mortality of birds was recorded daily basis. A significant increase in average daily gain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while reduced FCR in supplementation of FGLP and FCP supplementation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lowest mortality rate was observed in FCP-1 and FCP-2 supplementation compared to control. Although, all internal organs weight were similar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n increased large intestine weight was found in dietary FGLP-2 supplementation (P<0.05). Immunoglobulin level (IgM, IgA and IgG) was elevated in the FCP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control and FGLP (P<0.05). A significant increase in fecal Lactobacillus sp. concentration in FCP-2 and FGLP-2 supplementation respectively was observed (P<0.05); while reduced pH level was found in FGLP-2 and FCP-1, FCP-2 supplementation (P<0.05). Finally, dietary FGLP and FCP probiotics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DG, ADFI and reduced FCR, decreased mortality %, increased large intestine weight and ileal Lactobacillus concentration. Therefore, FGLP and FCP could be supplemented as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broiler diet particularly during first week. Keywords: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ermented green tea probiotics, Fermented citron probiotics, Challenged, Salmonella, E. coli, Growth performance, Immunity, Meat quality, Broilers

      • 수업실습 중 예비과학교사들이 변경한 교수실행의 유형과 특징

        김예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현장의 수업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으로 배움과 가르침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진행되는 수업은 교사가 의도한 것이나 계획한 것과는 상관없이 이루어질 때가 많으며, 교사는 보다 넓은 관점에서 수업 상황에 맞게 실행을 수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한다. 이런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역량은 지식적으로 얻고, 수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사의 양성과정에서부터 상황에 맞게 수정할 수 있는 역량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수업에서 마주한 어려움이 무엇이며,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사전 수업계획과 다르게 수업을 실행하는 것을 ‘수정된 교수 실행’이라 지칭하고 교육실습 과정에서 실시한 수업에서 나타난 변경된 교수실행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에 재학 중이며 교육실습을 수행 중인 12명의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 동영상, 연구자의 수업 관찰일지, 사후 면담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귀납적 내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과학교사가 수업 중 마주한 어려움은 ‘수업 분위기를 잡아가는 것(42%)’, ‘교사의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19%)’, ‘예상치 못한 기자재 문제로 인한 것(15%)’,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12%)’, ‘정해진 수업의 진도를 마쳐야 한다는 것(12%)’으로 총 다섯 가지의 유형이 분류되었다. 둘째, 여러 상황에서 어려움을 맞딱드린 예비교사들의 대응 방법을 총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계획으로 유도하기(50%)’, ‘수업 계획을 수정하기(27%)’, 그리고 ‘대응을 하지 않기(23%)’의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셋째, 예비과학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변경된 교수실행의 사례를 분석하였을 때,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과학교사들은 수업 중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변수나 학생의 반응으로 인하여 수업을 수정하거나, 수업과 수업 사이 수업에 대해 성찰한 결과를 토대로 수업계획을 변경하였다. 이는 다시 ‘교사’, ‘학생’, ‘환경’ 요인으로 나뉘어 분석할 수 있었다. 넷째, 예비과학교사들이 수행한 16차시의 수업을 관찰한 결과, 총 66건의 변경된 교수 실행을 확인하였고, 이는 14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변경한 요소에 따라 다시 '수업내용(55%)', '교수적 비계(26%)', '교수학습 방법(17%)', ‘수업 순서(3%)’의 수정을 한 4가지 범주에 해당하였다. 다섯째, 예비교사들이 밝힌 수정된 교수 실행의 목적으로는 ‘이해 촉진(44%)’, ‘수업 운영(33%)’, ‘학습자의 동기 제고(14%)’ 및 ‘실수(9%)’의 차원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학습자의 반응을 고려한 수업 변경이 많았다. 여섯째, 예비교사들이 변경한 14가지 유형의 교수실행의 요소들을 분석하여 총 4가지의 유형으로 예비교사들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계획중심형’, ‘성찰형’. ‘응답형’, ‘유연형’으로 나뉘었고, 계획중심형은 가장 기초적인 변경된 교수실행을 보이는 유형이며 유연형에 가까워질수록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교수실행을 변경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가 수업에서 마주한 어려움 및 대응 방안과 함께 그들의 수업에서 행한 계획과 다른 교수실행을 예시와 함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가 교육실습 중 수업을 실제로 행하는 과정 가운데 수업을 짜여진 틀로만 구성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수업 상황에 맞게 적합한 방향으로 실행하고, 전문성을 갖추고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Teaching and learning are complex phenomena that are situated highly dynamic, constantly changing and unpredictable, and characterized by concurrent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erefore, actual classes often take place regardless of teacher's plan for instruction and the teacher must consider modifying the practice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or the demands of an instructional situation. Since competencies for such teacher professional expertise can not be obtained and modified intellectually, it is necessary that teacher educators attend to engage pre-service teachers to learn abilities to structure their classroom and school environments in flexible ways. In this study, 'altered teaching practice' refers to pre-service teachers' performanc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esson plan in instructional situ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bstacles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faced, how they overcome it, and to understand the disposition of their altered teaching practice from the lesson plan. The data in study were generated and analysed from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s, recorded classroom videos,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and post-interviews of 12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findings derived us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five types of obstacles faced by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during class were classified into "setting the class atmosphere(42%)", "due to teachers' intrinsic factors (19%)", "unexpected equipment problems(15%)", "students do not understand the contents(12%)" and “the progress of class(12%)”. Second, the respons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faced difficulties in various situa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analyzed as follows. 'inducing with plan(50%)', 'modifying class plan(27%)', and 'not responding(23%)'. Third, when analyzing the changed cases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interviews with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wo main types ⎯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ltered the instruction due to unexpected variables or students' reactions that occurred during class, or based on the results of reflection on the class between the lessons. This result again analysed and categorised into 'teacher', 'student', and 'environment' 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16 classes conducted by 12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a total of 66 altered teaching practices were confirmed, which has been categorized into 14 types, and again fall into four upper categories: altering 'teaching scaffoldings(55%)',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17%)' and 'instructional order(3%)'. Fifth,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the altered teaching practice reveal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to promote understanding(44%)", "for class management(33%)", "to enhance learners' motivation(14%)", and "because of teacher's mistake(9%)". Sixth, pre-servic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four types by analyzing the elements of 14 types of teaching practice modified by them.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there were "plan-oriented type", "reflective type", "responsive type" and "flexible type".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were plan-oriented type showed the most basic altered teaching practice, and the ones closer to the flexible type showed alters their teaching practice by considering more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Fi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ould help pre-service teachers not only organize instructions in the course of actual teaching, but also adapt them to the class situations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and countermeasures they faced in classes during teaching practicum.

      •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 및 자리이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통합교육현장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계획된 유치원 일과와 활동에 참여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참여는 장애 유아의 질 높은 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로서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유아들에게 있어서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고 독립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통합된 교육환경에서 의미 있는 발달적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 이들의 참여를 지원해야한다. 그러나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대집단활동은 교사가 개별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과제를 제시하거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리이탈 행동으로 인해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집단으로 진행되는 활동 중에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와 착석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원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을 특별한 관심 영역(SIA: special interest areas)이라는 용어로 지칭하며, 이를 교수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연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특별한 관심 영역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일과 중 이루어지는 활동이나 제시되는 과제에 대해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촉진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 개별적인 발달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및 자리이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유치원 특수학급에 재원하고 있는 3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를 실행하고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관찰과 부모 면담을 통해 특별한 관심 영역을 판별하고, 지원이 필요한 대집단 활동 유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동 유형에 대해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의하여 개별 유아의 관심 영역을 삽입하여 활동을 계획하고 준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계획된 대집단 활동을 일반교사가 실행하였으며, 이후 두 교사가 함께 실행한 교수활동에 대해 점검하고 다음 중재 회기에 반영할 사항을 결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각 학급별 일과 중 진행되는 두 차례의 대집단활동 시간 중에 이루어졌다. 매일 오후에 이루어지는 대집단 활동 시간에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을 실행하여 중재 효과를 관찰하였고, 다음 날 진행되는 오전 대집단 활동 시간에 기초선과 동일한 상태에서 관찰하여 중재 효과의 일반화를 검증하였다. 중재 종료 3주 후에 중재 효과에 대한 유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통합된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모두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을 통해 활동 참여 행동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행동 변화는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하지 않은 일반적인 대집단 활동에서 일반화되어 나타났으며, 중재 종료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통합된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모두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을 통해 자리이탈 행동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행동 변화는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하지 않은 일반적인 대집단 활동에서 일반화되어 나타났으며, 중재 종료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 및 자리이탈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영향은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반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재 이후에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 모든 유아에게 있어서 매우 강조되고 있는 활동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라는 점, 둘째, 일반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가운데 기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참여를 유도했다는 점,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과정을 거쳐 일반교사가 실행하였다는 점, 넷째,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교육활동에 적용하기 용이하다는 점, 다섯째, 유아가 활동에 참여하는 것의 즐거움을 느끼며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bedding special interest areas in large group activities on activity engagement behaviors and out-of-sea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included in general classroom. In this study, a multiple baseline design were used across three young children with ASD under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ach participants special interest area was determined in advanc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 parents. The teachers embedded the individualized special interest areas in large group activity plans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Based on the modified activity plans, each general education teacher delivered the instruction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 Generalization of the behavior was observed after each interventions section. Another discussion took plac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to exchange feedbacks on the activities and to reflect on the following intervention phases. The maintenance effects were assessed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increased each participant’s activity engagement behaviors and decreased the out-of-seat behaviors. These effects were generalized during the other large group activity time and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Implications of embedding special interest areas in large group activities to enhance activity engagement behavior and out-of-seat behaviors are discussed.

      • 경험디자인을 통한 실내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인지적 접근에 의한 경험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김예진 暻園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에는 공간의 가치가 이성, 신, 수학적 체계 등에 의해 정의되었지만, 공간의 개념이 진화·확장되면서 현대 건축에서는 인간이나 인간의 감성에 의해 재정의 되는 공간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인간 중심적 사상은 건축이나 실내 건축 영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즉 사회·경제·문화 및 교육을 비롯하여 예술 전반에 걸쳐 ‘인간’은 핵심적 개념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인간의 사유와 감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그 맥락을 같이하여, 최근 건축 및 실내 건축을 비롯한 디자인 영역에서는 감성디자인이나 인터랙션 디자인 등의 등장과 함께 공간에서 ‘인간’의 존재와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과거 이성과 합리주의에 입각한 논리로는 설명될 수 없는 개념으로서, 공간에서 인간이 직접 오감을 통하여 보고, 듣고, 만지는 등 움직이고 느끼는 ‘경험’을 통하여 건축과 실내 건축 공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경험’의 개념은 사회 전반에 걸쳐 등장하였고,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도 그 이론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건축이나 실내 건축의 공간에서는 ‘경험’의 가치에 대한 개념 정의나 이론적 기초 없이, 자극적인 표현 양상에만 치중하여 가시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등장 의의와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경험’이 공간에서 작동하는 방법과 과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경험 디자인’이란 과연 무엇이며 공간에서 어떻게 표현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건축이나 실내건축의 조형적 요소나 형태와는 달리, 공간은 경험하지 않고는 디자이너의 의도를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축 공간에서 경험이 작용한다는 것은 외부 형태나 기능에 의해 공간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중심으로 내부 공간의 구성을 위해 건축적 기본 요소를 재구축하여 건축 공간을 디자인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험 공간에 최초로 작용하는 것은 감각이다. 이에 오관을 비롯한 12감각론과 지각, 그리고 인지에 대한 과정과 작용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인간의 인지 지도 형성에 대하여 그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감각, 지식, 이미지 등의 연상과 스키마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인지 지도는 하이퍼텍스트와 구조적 유사성을 가지며 뿌리형 망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는 인간의 사유 체계와 정신 작용 방식을 바탕으로 형성되므로 경험의 구조로도 설명될 수 있다. 또한 경험의 인지 지도 구조를 바탕으로 경험이 공간화 되는 표현 특성에 대한 고찰을 위해 수용미학, 움직임, 기억구조, 타 장르의 융합이라는 관점에서 경험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경험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표현 특성들은 각각 하위 카테고리로 나뉘어져 실내 공간 어휘화 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공간에서 경험 디자인의 표현 특성 및 연출 방법에 대하여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과거 신이나 이성이 지배하던 공간과는 달리 인간이 주체가 되는 공간은 그 개념이 폐쇄적이거나 한정적인 것이 아니므로 무한한 확장과 연속이 가능하다. 또한 디자인은 결코 작가의 일방적인 작품이나 강요가 아니라 사용자와의 소통으로 재정의 될 수 있고, 공간과 인간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사용자의 감성 자극이 경험디자인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경험의 개념이 미래 디자인의 발전 방향과도 그 흐름을 같이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정의한 경험디자인의 개념을 비롯하여 그 이론적 기초와 구조·표현 특성 등을 실제 공간 디자인에 접목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경험’이 공간에 적용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또한 제시하고자 한다. 경험디자인이란 인간의 선택과 참여가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즉, 감각과 지각의 인지 작용을 통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이로 인해 공간이 의미화 되는 디자인을 뜻한다. 그러나 경험이 공간에만 국한되는 개념은 아니다. 경험은 사회·문화·철학 및 다양한 학문적 분야를 비롯하여 상품 및 서비스·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중심이 되는 현대사회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경험은 인간의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한다고 할 수 있으며, 현대 실내 디자인 뿐만 아니라 다가올 세대에도 모든 영역을 관할하는 주체가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의 연구 가치 및 필요성이 성립될 수 있으며, 이를 계기로 경험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value of space used be defined by the reason, god, mathematical system and so on, in the past. However, with the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spatial concept, a new spatial concept emerges in modern architecture, which is redefined by human or human emotion. This human-centric ideology is not solely noticeable in the scope of architecture or interior architecture. In other words, ‘human' has been the central concept of art in overall sense, including the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reasoning and emotion of human. In conjunction with this trend and context, the existence and role of human in the spatial sense has come into the spotlight in the sphere of design, including the recent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in the wake of the emergence of emotion design or interaction design. In response to that, this thesis tries to analyze the space for the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through the ‘experience' that human directly see, hear, touch, etc, via the five senses in the space, based on the concept which is beyond explanation through the logic of rationalism. In fact, the concept of ‘experience' has emerged across the society, and its theory has come to the fore in various fields of study. However, there is no definition of concept and theoretical background as to the value of experience within the space of architecture or interior architecture. Instead,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focus only on the provocative expression and patterns for visual represent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fine the meaning of emergence and concept of theoretical background as to the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the method by which the experience work in the space and its process. On the basis of those considerations, this study will try to figure out what the ‘experience design' means and how it can be expressed in the space. Unlike the figurative elements of architecture or interior architecture, a space is often hard to understand, in terms of the intention of artist, without the experience of it. Therefore, that the experience works in the architectural space means that the architectural space is designed by the reconstruction of basic architectural elements to embody a human-centric interior space, not meaning that the space is determined by the external shape or function. Sensibility works the earliest in such a space of experience. This study will look at the 12 sensibility theory, perception and the process and operation as to the cognition, as well as the five senses, and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uman cognitive map. The cognitive map, which is formed by the association, such as the sensibility, knowledge, image, etc, and the schema, is similar to the hypertext in terms of structure and forms a rhizoid net structure,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structure of experience because its formation is based on the system of human reasoning and the work of human mind.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esthetics of reception, movement, memory structure, and fusion with other genres, in order to get to the bottom of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namely the conversion of experience to a space on the basis of cognitive map structure. On this ba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Thos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subcategories and integrated into the vocabulary of interior space, and on this basis,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presentation related to the experience design in the space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 study. Unlike the space ruled by god or reason in the past, the human-centric space has an unlimited potential for expansion and continuation because its concept is not closed or confined. Moreover, the design can be redefined not by the unilateral work or coercion of artist but by the communication with user. The goal of experience design is to stimulate the emotion or sensibility of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ace and human. This means that the concept of experience has the same direction with the future design. Therefore, studies related to that need to be conducted continuously to combine the concept of experience design, its theoretical foundation and structur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d so on, with the real spatial design, which was defined in this paper. In this regard, this paper trie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o ensure that the ‘experience' is applied to the space. The experience design is the space created by the choice and participation of human. In other words, it is the design that stimulates the sensibility of user through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ensibility and perception, by which the space acquires the meaning. However, it is not a concept which means that the experience is confined to the space. The experience is a concept which harmoniously blends the entire modern society in which human plays pivotal role in all fields, including the academic fields, such as the soci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field, and commercial fields, such as product, service and marketing. Therefore, the experience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reasoning system of human, and will play the major role in putting together not only interior design but also all spheres of future generations. In consideration of those reason, the research valu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re validated, and on this basis, various studies and efforts must be made in relation to the experience.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주인공 마르셀의 작가체험 연구

        김예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는 주인공 마르셀이 현실의 삶에서 경험하는 온갖 환멸을 극복하고 작가로서의 소명을 실현시키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우리는 작가가 되기까지의 과정에서 마르셀이 겪는 경험의 총화를 작가 체험으로 규정하였으며 작가 체험의 범주를 현실적 삶(사랑)과 예술이라는 대립의 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상반된 길을 따라 전개되는 마르셀의 작가 체험에 공통되어 있는 정신 여정의 단계를 도출해내어, 그것이 작품 전체의 주제를 표출하고 있음을 밝히려는데 있다. 우선 Ⅱ장에서는 작가가 되고자 하는 마르셀에게 그 소명을 실현하는 방식을 막연하게나마 계시해주는 일화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비밀의 감지와 그 탐색, 공통요소의 발견, 정신적 등가물로의 전환이라는 세 단계로 짜여진 마르탱빌르 종탑 일화의 전개 과정은 마르셀이 작품의 말미에 가서 깨닫게 될 예술 창조의 본질을 그대로 예시해 준다. 하지만 어린 마르셀은 자신이 거쳐간 정신 도정을 따르는 길이 예술 창조의 정수(精髓)와 맞닿아 있다는 진실을 아직 파악하지 못한다. 때문에 그는 내면을 성찰하여 소명을 실현시키는 데 힘쓰기보다는 자신에게서 벗어나 타인의 세계와 소통하고자 하는 열망을 안고 현실의 삶에서 방황하게 된다. Ⅲ장에서 다룬 사랑의 체험은 위와 같은 마르셀의 열망이 현실의 삶에서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준 실패의 체험이다. 하지만 사랑에 빠진 사람이 거쳐가는 정신 여정은 앞선 Ⅱ장에서 도출한 것과 동일한 단계를 따르고 있다. 이에 우리는 내용상으로는 극복되어야 할 삶의 국면을 드러내준 사랑의 체험이, 그 전개 과정의 측면에서는 예술 창조의 본질을 예시해주는 하나의 모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랑의 체험은 마르셀에게 그 자신의 심오한 내면을 드러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었다. Ⅳ장에서는 마르셀이 작품에 등장하는 예술가들과 교류하면서 경험한 미학적 체험을 살펴보았다. Ⅱ장과 Ⅲ장에서 이끌어낸 것과 통일한 단계로 이루어진 미학적 체험은, 소명의 실현을 뒤로한 채 현실의 삶에서 방황하던 마르셀에게, 잊고 지내던 소명 의식을 환기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마르셀은 자신에게서 탈피하여 타인의 시선으로 세계를 보고자 하는 열망은 예술 작품을 통해서만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Ⅴ장에서는 마르셀이 「되찾은 시간」에 이르러 작가로서의 소명을 실현시키기로 결심하게 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는 소명에로의 부름에 접했을 때 거쳤던 정신 여정의 단계가 예술 창조의 본질을 밝혀주는 열쇠임을 깨닫고, 작품 창작에 착수하기로 한다. 이에 우리는 마르셀의 작가 체험에 나타난 정신 도정 자체가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우리는 마르셀이 쓰게 될 소설을 구축하는 방식도 그의 작가 체험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retrace l'itine´raire du narrateur-Marcel, devenu e´crivain apre`s avoir surmonte toutes les de´sillusions e´prouve´es dans la vie re´elle. Cette e´tude se propose de de´finir l'e´tape identique de l'expe´rience d'e´crivain de Marcel, qui se de´veloppe suivant l'axe de la vie re´elle et celui de l'art, et de de´montrer que cette e´tape sous-tend le theme de l'oeuvre entie`re. Pour cela, dans le deuxie`me chapitre, nous analysons les e´pisodes qui sugge`rent a` Marcel la manie`re de re´aliser sa vocation. En particulier, le processus du de´veloppement de l'e´pisode du clocher de Martinville en trois e´tapes -la perception du secret et sa recherche, la de´couverte d'e´le´ments communs et la conversion en un e´quivalent spirituel- annonce de´ja` l'essence de la cre´ation artistique que Marcel aura comprise a` la fin de l'oeuvre. Mais Marcel, encore immature, ne peut encore saisir cette esssence, aussi erre-t-il dans la vie re´elle tout en espe´rant sortir de lui-me^me afro de communiquer avec le monde des autres et voir le monde avec les yeux des autres. L'histoire d'amour, objet du troisieme chapitre, montre que les aspirations de Marcel ne s'accomplissent pas dans la vie re´elle. Nous notons que le parcours de son expe´rience amoureuse suit la me^me e´tape que celle que nous e´voquons dans le chapitre pre´ce´dent. Bien que l'expe´rience amoureuse concerne un aspect de la vie re´elle, son e´tape peut e^tre conside´re´e comme 1'un des signes annonc¸ant 1'essence de la cre´ation artistique. En outre, l'expe´rience amoureuse est significative en ce sens qu'elle de´voile a` Marcel son moi profond. Dans le quatrie`me chapitre, nous examinons l'expe´rience esthe´tique de Marcel. Toujours construite sur la me^me e´tape, celle-ci a pour ro^le d'e´voquer la conscience de sa vocation. Gra^ce a` cette expe´rience, Marcel s'aperc¸oit que son envie de voir le monde a` travers les yeux d'autrui n'est envisageable que par le biais d'une oeuvre d'art. Enfm dans le cinquie`me chapitre, nous e´tudions le processus par lequel Marcel se de´cide a` re´aliser sa vocation d'e´crivain. Nous constatons que 1'etape commune a l'e´xperience amoureuse et a` l'expe´rience artistique fournissent une explication de l'oeuvre entie`re. Nous somme e´galement en mesure de confirmer que la construction du roman de´coule de l'expe´rience d'e´crivain de Marcel.

      • 20세기 송서의 전승성과 음악 특징 연구

        김예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Songseo in the 20th century indicated the aspect that the sound of reading performed as universal culture was changed into a genre of vocal music. This study has considered the transmission of Songseo and examined the representative musical pieces of Songseo, <Chupunggambyeolgok>, <Jjaktaryeong>, <Samseolgi>, <Deungwanggakseo>, and <Jeokbyeokbu>, to analyze the melodie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below. In Chapter Ⅱ, the transmission of Songseo is investigated. In traditional society, Songseo was used as a crucial way mainly for sadaebu to acquire Chinese and cultivate their character. Professional storytellers appeared as novels became popular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and they developed stories vividly adding entertaining technique, too, mainly with Korean-written novels popular then. Although it is hard to estimate the time exactly, Songseo began to be enjoyed in gibang having sadaebu and intellectuals as customers. As the media became vitalized in the 20th century, professional musicians working then centering around Lee Mun-won and Kwon Beon began to perform Songseo genuinely adopting the sound of reading. After that, Songseo was handed down to professional musicians and developed as performing culture for appreciation, and as it came to be a form of art, it was spotlighted musically and came to be a genre of vocal music. Lee Mun-won’s Songseo was transmitted to Muk Gye-wol and then her disciple, Yu Chang, and in 2009, it came to be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Chapter Ⅲ, Songseo’s saseol is examined. In Section 1, the process of five musical pieces of Songseo becoming formed as a representative repertoire are investigated through saseol collections. In the saseol collections issued from 1910 to 1950, two pieces of songs, <Chupunggambyeolgok> and <Jjaktaryeong>, were contained. From 『Gayojipseong』 in 1961, the item of ‘Songseo’appeared, and the songnamed <Samseolgi> was included in it. Later, in 1976, songs like <Chupunggambyeolgok>, <Samseolgi>, or <Jeokbyeokbu> were included in 󰡔Hangukgachangdaegye󰡕, and in 2011, five pieces of songs, <Chupunggambyeolgok>, <Samseolgi>, <Jeokbyeokbu>, <Jjaktaryeong, and <Deungwanggakseo>, were contained. In Section 2, the aspects of changing saseol in those five musical pieces are examined. Comparing saseol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20th century, this author has found that <Chupunggambyeolgok> is the only one that showed change in saseol between 1915 and 1916, but later, it returned to the original form and then became transmitted in them. About the rest musical pieces, the lyrics were modified according to the rules of orthography and modern language, and there is not much change in the contents of saseol. Therefore, the long saseol of Songseo is characterized by that it has been transmitted while maintaining the fixed form in the process of being performed and transmitted as a song. In Chapter Ⅳ, this author analyzes the melodies of those five musical pieces and examines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Songseo, the beat is irregular, but a constant mode is applied to lyrics adding. According to who sings it, however, the beat tends to be either longer or shorter in particular lyrics, and this phenomenon has become the song’s unique feature. The sound structure of Songseo and sigimsae have shown that the five musical pieces of Songseo have tori similar to that of folk songs. <Chupunggambyeolgok> is characterized by the mixture of gyeongtori and susimgatori melodies, and singers go with one of the four types, susimgatori, gyeongtori+susimgatori, gyeongtori, and bangyeongtori. <Jeokbyeokbu> consists of gyeongtori, but Kim Jeong-yeon and Han Myeong-sun apply the sigimsae of western provinces with deep and intense vibration to the ending melody, so it looks as if it ended with susimgatori melody. <Samseolgi>, <Deungwanggakseo>, and <Jjaktaryeong> all consists of gyeongtori; however, singers tend to go with appearing tones having sigimsae, the frequency of sigimsae, or forms of it differently. Lastly,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ending melody of each of the musical pieces and found that the forms are diversified by who sings it. First, the mood of susimgatori is stressed by lengthening a particular beat and adding deep and intense sigimsae from western provinces. Second, the rhythm is divided into small pieces and developed sequentially, and sometimes, musical technique is added splendidly. Third, as if they read tex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it, they take out the first tone and repeat the melody of going down to the low register, and there is a mode that lets us feel as if they read out each of the letters consisting of the lyrics clearly and neatly. Fourth, there is a mode of constructing a simple melody mostly with major tones. Therefore, the ending melody reveals the singer’s interpretation of the song and musical style. As shown above, the five musical pieces of Songseo, <Chupunggambyeolgok>, <Jjaktaryeong>, <Samseolgi>, <Deungwanggakseo>, and <Jeokbyeokbu>, have shown that unlike the long saseol that has been transmitted in a fixed form, musical elements are found to differ by the singer or genre group. Expressing the sound of reading with musical methods and sentiments can be said to be the musical feature of the Songseo genre. 국문요지 본 연구는 20세기 송서를 대상으로 연행 주체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송서의 대표적인 악곡 <추풍감별곡>·<짝타령>·<삼설기>·<등왕각서>·<적벽부> 등 다섯 악곡의 선율을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송서의 전승성을 고찰하였다. 전통사회에서 송서는 사대부를 중심으로 한문을 익히고 인격을 수양하는데 중요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18·19세기 소설이 흥행하면서 직업적인 이야기꾼이 등장하였고, 이들은 당시 유행하였던 국문소설을 중심으로 예능적인 기교를 더해 실감나게 이야기를 전개하였다. 한편 이 시기에 송서는 사대부와 식자층을 고객으로 하는 기방에서도 향유되기 시작하였다. 20세기 초 미디어매체가 활성화되면서 이문원과 권번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전문음악인들은 본격적으로 글 읽는 소리를 수용하여 송서를 연행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송서는 감상을 위한 공연 문화로 발전하게 되고, 그 결과 전통 성악의 한 장르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문원의 송서는 묵계월에게 전승되어 제자 유창에게 이어졌으며, 2009년 서울무형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었다. 제Ⅲ장에서는 송서의 사설을 고찰하였다. 먼저 사설집을 통하여 송서 다섯 악곡이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910~1950년에 발간된 사설집에는 <추풍감별곡>과 <짝타령> 두 악곡이 실려 있었다. 1961년『가요집성』에서부터 ‘송서’ 항목이 생겼으며, 악곡 <삼설기>가 수록되었다. 이후 1976년 󰡔한국가창대계󰡕에 <추풍감별곡>·<삼설기>·<적벽부> 등의 악곡이 수록되었고, 2011년에는 <추풍감별곡>·<삼설기>·<적벽부>·<짝타령>·<등왕각서> 등 다섯 악곡이 현행 주요 레퍼토리로 확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섯 악곡의 사설 변화를 비교해본 결과, 다섯 악곡 중 유일하게 <추풍감별곡>에서 1915년~1916년 사이 사설의 내용에 변화가 있었으나, 이후 다시 원래의 사설 형태로 전하고 있었다. 그 외 악곡은 맞춤법과 현대어에 맞게 가사가 조정되었으며, 사설 내용에 큰 변화는 없었다. 이를 통하여 송서는 긴 사설을 노래로 연행하고 전승하는 과정에서 사설이 고정된 형태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송서 다섯 악곡의 선율을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송서는 박자가 불규칙하지만 가사붙임새에는 일정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었다. 반면 가창자에 따라 특정 가사에서 박이 늘어나거나 당겨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악곡의 고유한 특징이 되었다. 또 송서 다섯 악곡의 음구조와 시김새는 민요과 유사한 토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추풍감별곡>은 경토리 선율과 수심가토리 선율이 혼재하는 점이 특징적이며, 가창자에 따라 수심가토리, 경토리+수심가토리, 경토리, 반경토리 등 네 가지 형태가 나타나고 있었다. <적벽부>는 경토리로 되어 있으나, 김정연과 한명순의 경우 종지선율에 깊고 격하게 떠는 서도 시김새를 넣어 수심가토리 선율로 종지하는 느낌을 준다. <삼설기>·<등왕각서>·<짝타령> 등은 모두 경토리로 되어 있으나, 시김새가 나타나는 출현음과 시김새의 출현 횟수, 시김새의 형태는 가창자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악곡의 종지선율은 가창자마다 나타나는 형태가 다양하였다. 첫째, 특정 박을 길게 늘이며 깊고 격한 서도 시김새를 넣어 수심가토리의 분위기를 강조하는 경우가 있다. 둘째, 리듬을 잘게 나누어 순차진행을 하며 음악 기교를 화려하게 넣는 경우가 있다. 셋째, 문장구조에 맞춰 글을 읽듯, 첫 음은 들어서 내고 저음역으로 하행하는 선율이 반복되며, 가사 한 자 한 자를 또박또박 읽어나가는 듯한 느낌이 드는 형태가 있다. 넷째, 주요 구성음 위주로 간결하게 선율을 구성하는 형태가 있다. 따라서 종지선율은 가창자의 곡 해석과 음악 스타일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송서 다섯 악곡 <추풍감별곡>·<짝타령>·<삼설기>·<등왕각서>·<적벽부>의 음악 특징을 분석한 결과, 긴 사설을 유지하고, 가사붙임새에 일정한 방식이 적용되며, 민요와 유사한 토리로 구성된 공통점이 있었다. 반면, 가창자에 따라 특정 가사의 리듬을 변화시켜 가사붙임구조가 다르게 나타나고, 시김새 형태가 다르며, 종지선율이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는 등 음악적 요소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글 읽는 소리를 전문음악인의 음악적 어법과 감수성으로 표현한, 송서 장르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송서에 대한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가 부족했던 송서 가창자와 음악 특징에 주목하여 실질적인 선율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 결과 송서의 보편적 음악 특징과 전문음악인의 성악 장르로서 가지는 차별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