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상으로서의 삶의 형식과 표현 : 김숙경 작품 해석

        김숙경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국내석사

        RANK : 247679

        Art is a mirror of the spirit and mode of the time. The Unique art view of artist is an essential element and precondision about what to draw and how to draw. The Exploration on work creation of an artist made artist fairly placed in socio-historical structure and investigated the biograph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element which made artist created work. This paper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se element was expressed in my works. In order to this purpose my works were analyzed and arranged with theme and content, expression style as follow: - Theme and Content · About the spirit of the time. · About the object of the work. - Expression style · The accidental effert controlled canvas. · Colors as a sensitive language. · The ichnographical effect piled up shape on background. · Expression of Dynamic sense. · Line alterated significance.

      • 여백의 재해석과 현대서예의 표현에 관한 연구

        김숙경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논문개요 여백의 재해석과 현대서예의 표현에 관한 연구 제 출 자: 김숙경 지도교수: 전종주 인류가 자연의 형상을 본능적으로 감응하게 되면서 그 외적인 형태와 내적 숨결을 리듬의 선으로 표현하는 조형활동 산물이 서예의 시원이다. 즉 원시부호나 암각화 등에 나타난 상징적 부호나 기호를 문자로 보기는 어렵지만 유기적 공간분할과 선에 나타난 다양한 생명적 표정은 감성서예의 범형(範型)이라 할 수 있다. 서예는 인류의 새김 흔적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한자 문화권에 익숙해진 서예인은 그림과 글씨의 기원은 같다(書畵同源)라고 하는데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며, 서예를 통해 화법을 자연스럽게 접하고 화론에서 서예의 조형을 감각적으로 체득하여 발전해 왔다. 서예의 역사가 수천 년의 역사를 이어 오면서도 서예술에 대한 본질 규명과 개념 정립이 초기단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문자의 본래 기능에 충실하고 필경시대의 실용서예로 정착되면서 창작 논리보다는 실용기예의 형식 논리를 강조한 결과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즉 문자생활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서사 과정을 통하여 변형되기 쉬운 문자의 원형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과 법의 구속 논리가 창작 논리를 창신으로 왜곡시킨 것이다. 서예술의 정제된 조형언어와 어법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자의 본래 기능에서 벗어나 문자의 본질적인 차원에서 광의적 해석이 수반된 조형 파괴, 필묵의 다양한 시도 등 법으로부터 구속되는 형식 논리에서 탈피한 선(線:드로잉)에 의한 새로운 가능의 조형질서를 찾아야 한다. 비록 한자의 구성원리가 예술적 의미보다는 실용성을 강조한 것이라 할지라도 문자조형의 입장에서 접근해야 한다. 즉 필묵과 획은 경직된 사고와 고답적인 관념에 의해 문자 조형의 부차적 조형요소로 인식케 하는 해묵은 이론의 굴레에서 탈피하여 필묵이 곧 서예술의 본질이고 성격이며 조형의 근간이라는 관점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문자를 필묵으로 서사한다고 하는 문자의 종속개념이 아니라 문자는 필묵의 표현대상의 하나일 뿐 전부가 아니며 서예술에 있어서 필묵의 조형이 주체이고, 문자는 조형의 객체라는 개념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문자로서 이탈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표현양식과 표현대상은 언어의 부호체계인 문자를 비롯하여 상징적인 도상과 추상적인 형상 등 표현영역이 제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서예술은 필묵의 표현대상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획의 표정에서 작가의 정제된 사상과 감정을 이입시키면서 생명력을 불어넣는 공간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서예는 살아 움직이는 선형에 작가의 심상을 표현하는 예술로 생명을 중시한다. 서예에서의 선은 단순한 선이라기보다 점이 무수히 연결되어 필획을 구사하는 운동성이 있으며, 모든 필획은 점의 이동과 공간 분할에 의해 생명을 갖는다. 따라서 점은 필획의 근원이자 미의 발현처로 생기, 활기, 생명력 등 사물의 본질은 활물(活物)로서 인식 가능하게 한다. 이는 서예작품에서 생명의 활력, 생동하는 기운, 왕성한 정신과 기세, 운필에서 진실하게 전하는 정신과 생동의 힘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 즉 대상인 문자와 획(劃)의 운동은 분할된 공간의 조형미로 화면에 나타난 표현형체보다도 표현 형체로써 형성된 여백을 더욱 중히 여기고 생략적이며 함축적인 선(線)의 리듬 운동으로 필묵에 의해 표현된 선(線)이 형성되면서 발전되어 왔다. 여백이란 화면상 획의 운동과 방향성에 의해 분할된 여백과 자간(字間), 획간(劃間), 포백(布白)으로 구분되며 단순히 비어있는 공간이 아니라 획의 에너지가 집중되고 더 큰 획의 동선을 제시하고 작품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살아있는 공간으로 보는 이로 하여금 여운을 주는 공간이다. 이 공간은 눈에 보이는 세계의 모든 요소가 그 속에 배치되어 있으며 에너지의 집중으로 발생한다. 역감(力感)의 집중은 절약된 표현 가운데 충만한 의미의 함축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여백은 작가의 정신적 깊이를 나타내는 격(格)으로 안정된 여백은 어떠한 회화적인 표현보다 더 웅변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여백과 필묵의 운동은 서로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공생의 관계이다. 현대서예의 표현형체는 그것이 실제로 지금 존재(存在)하고 있는 상태보다도, 이미 존재하고 있던 상태에 다다르려고 하는 경향 위에 그 형(形)의 진실이 있다. 그리하여 형(形)을 그리는 데 있어서는 실제로 지금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거쳐서, 장차 존재하려는 상태에 다다르려고 하는 경향을 그리는 경향형이 있다. 경향형은 이미 존재한 형에서부터 장차 존재를 실현하려 하는 형(形)을 그리게 된다. 현대서예는 문자의 결구나 대상만으로 그대로 참다운 형체라고는 믿지 않는다. 형체의 존재 밑바닥에서 유전으로 인식하므로 지금 있는 형(形)은 구경형체가 아니라 윤회를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존재의 형체를 경향으로 보면 존재의 형체가 한갓 고정된 사물이 아니고, 그 사물이 전후좌우에 연결된 관계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떤 사물을 보는 방식에 있

      • 아동상담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숙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I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others in child counseling in depth as well as micro aspects. I have categorized into time, space, relationship, and the body, which constructed the four existentials to figure out the meaning structure of their lived experience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mothers that participated in child counseling and gathered related data.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round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their lived experiences of time have six aspects. That is, 'making time' for counseling by canceling, adjusting, and postponing other activities, 'time for compensation', 'distraction', 'stagnation', 'infiniteness and finiteness of time', and 'facing the past'. They are asked to reorganize their everyday routines 'to make time' for counseling. On the way to and from counseling, they have 'special time to compensate' their children for the acts they failed to do for them in the past. Although they attempt conscious commitments to be with their children, other thoughts distract them and stop them from being there with their children. Then they have time to look back on themselves inside experiencing 'stagnation'. Going through the time of stagnation, they feel both 'infiniteness and finiteness of time'. In addition, they face themselves from the past by connecting their lives to their children's. Second, their lived experiences of body are examined in 'awakening', 'conflict and repentance', 'helplessness', and 'a sense of unity'. Taking part in counseling every week, their consciousness and bodies are 'awakened'. Applying new ways of child upbringing, they feel such emotions as 'conflict and repentance' and experience 'helplessness', which is followed by a sense of unity with their children. Communication via gestures becomes true communication between their children and them. That means true 'encounter'. Third, their lived experiences of relationship is investigated three axes with tim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include 'distorted', 'unnatural', and 'intimate relationship'; those with the counselor include 'dependence' and 'independence'; and those with others include 'the gaze of others' and 'new relationship networks'. As counseling progresses, there appear 'unna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They find 'intimacy' and further reconstructed relationship between them thanks to the mothers' project to get back lost time. The mothers experience 'dependence' and 'independence' in relation to the counselor as time pass by. Losing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child rearing, they want to evade responsibility as the subjects of counseling. However, they gradually begin to regain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child rearing as they become stable through dependence on the counselor. With time, they make time to look back on themselves realizing the subject of changes should be themselves. And they are exposed to the gaze of others in the beginning of counseling experiencing relationship with others. Despite those difficulties, they maintain distance from them. At the same time, they form new relationship networks, which become channels for them to share and exchange their experiences and meanings. And finally, their lived experiences of space are reviewed. The space they feel with their children is 'one-on-one space'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m; the space in regard to others is 'putting up a fence'; and the counseling space is 'private space' and 'temporary space'. The mothers experience 'narrowing distance' in one-on-one space between them participating in counseling with their children and no one else. As the space is created where they faced each other and open their hearts to each other, both emotional and physical caring take place. The newly established belief systems of the mother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cause them to have space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Then they experience counseling space as 'private space'. Finally, they experience counseling space as 'temporary space'. In the study, I interpreted the seven meanings of child counseling discovered in the mothers' lived experiences. The 'children' become 'others' and 'mirrors' for them to reflect them, which realization motivate them to have 'courage for change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they discover their 'innate minds' forgotten for long. Once their discomfort with their children due to distorted relationship is resolved, their archetypical minds as mothers resurfaced, and they newly create the meaning of their pain as a 'blessing'. Getting back activeness in life, they grant a meaning to the true sense of their existence, feel more 'responsible' for their children, and direct themselves toward their children that are 'others'. The end of counseling is not the end of everything involved but a 'new beginning'. It is a starting point to promote their new growth as well as their children's. They also learn to 'wait' through counseling. Going through all those processes, both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re 'becoming together'. Walking side by side with their children, they know they're moving towards a new possibility. In the study, I examined the life stories of the mothers that participated in counseling through four existentials, which are time, space, relationship, and the body, and interpreted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as they wer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helping to expanding the horiz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mother that's the subject of child counseling. 이 연구는 아동상담에서 부모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부모에 대한 좀 더 미시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어머니들의 아동상담 체험이 어떠한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다. 이 연구에서 어머니들의 아동상담 체험 양상은 시간과 공간, 관계와 신체라는 체험 형식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고, 그 체험의 의미구조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아동상담에 참여했던 6명의 어머니들을 만나 그들의 체험을 심층면담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발견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동상담 과정에서 드러난 어머니들의 체험 양상을 4가지 체험 형식의 하위 문제로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아동상담 과정에서 어머니들의 체험된 것으로서의 시간성(lived experience of time)은 6가지 측면으로 드러났다. 어머니들은 상담에 참여하기 위해 ‘시간 비우기’를 하고, 아이들과 상담을 위해 오고가는 시간에 과거에 아이에게 미처 해주지 못했던 행위를 하며 ‘보상의 시간’을 갖는다. 어머니들은 아이와 함께 하고자 의식적 몰입을 시도하나 다른 생각에 마음이 ‘분산’됨으로써 현존하지 못한다. ‘정체’의 시간을 체험하면서 자신의 내부를 볼 수 있는 시간을 갖고, ‘시간의 무한성과 유한성’을 동시에 느낀다. 또한 아이와 자신의 삶을 연결하는데 자신의 과거를 마주한다. 둘째로, 아동상담 과정에서 어머니들의 체험된 것으로서의 신체성(lived experience of body)은 매주 상담과정을 거치며 어머니들의 의식과 몸이 ‘각성’되고, 각성을 통해 실행을 하고자 시도하지만 몸을 통한 실행이 장기간 지속되지는 않는다. 상담 기간 동안에 어머니들은 새로운 양육방식을 적용하며 ‘갈등과 후회’의 감정을 느끼고 ‘무기력감’을 체험한다. 다음으로 어머니는 아이와 함께 ‘일체감’을 체험하고, 몸짓을 통한 소통은 어머니와 아이 사이에 진실한 소통이 되고 진정한 ‘만남’이 이루어진다. 셋째, 아동상담 과정에서 어머니들의 체험된 것으로서의 관계성(lived experience of relationship)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3가지 관계의 축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어머니들과 아이와의 관계 체험으로는 ‘비틀어진 관계’에서 ‘부자연스런 관계’로’, 다시 잃어버렸던 시간을 되찾고자 하는 어머니의 기투(企投)를 통해서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는 ‘친밀한 관계’로 재구성된다. 상담자와의 관계는 ‘의존’을 통해 안정감과 유능감을 회복하고, 변화의 요체는 자신임을 느끼고 ‘독립’한다. 그리고 타자와의 관계는 ‘타자의 시선’을 느끼고 거리두기를 하나, 반면에 ‘새로운 관계망’을 형성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아동상담과정에서 드러난 어머니들의 체험된 것으로서의 공간성(lived experience of space)은 아이와 느끼는 공간으로 아이와 관계의 거리를 좁히는 의미로 ‘일대일 대응의 공간’, 타자와 관련하여 체험하는 공간으로 ‘울타리 만들기’, 그리고 상담공간에 관한 체험으로 ‘내밀한 공간’과 ‘임시적 공간’으로 유목화 하였다. 어머니들에게서 발견한 아동상담의 의미는 7가지로 해석하였다. 우선 어머니들에게 ‘아이’는 나를 비출 수 있는 ‘타자’이자 ‘거울’이 되고, 그러한 앎은 ‘변화에 대한 용기’를 갖게 해주는 동인이 된다. 또한 어머니들은 상담과정을 통해 잊혔던 어머니의 ‘본래적 마음’을 발견하게 된다. 관계의 비틀림으로 아이에게 가졌던 불편한 마음을 해소하자, 어머니로서 가졌던 아이에 대한 원형적인 마음을 다시금 알게 된다. 그러면서 어머니들은 자신의 고통의 의미를 ‘축복’이라는 의미로 새롭게 창조한다. 어머니들이 삶의 능동성을 되찾으면서, 어머니로서 진정한 존재감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책임’을 더욱 느끼고 타자인 아이에게로 향하게 된다. 상담은 종결과 함께 완결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아이의 성장은 물론 어머니들의 새로운 성장을 도모하는 시발점이 된다. 상담과정을 통해 어머니는 ‘기다림’을 배우게 된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거치며 어머니와 아이는 ‘함께 성장’한다. 양자가 같이 동행하면서, 어머니는 이제 아이와 함께 새로운 가능성에로 나아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상담을 체험한 어머니들의 삶에 관한 이야기를 시간과 공간, 관계와 신체라는 일상의 기본 구조를 통해 어머니들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보고 그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동상담의 주체인 어머니들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에 관한 질적 연구 : 어머니들의 삶을 중심으로

        김숙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I have participated to observe a group of mothers in filial therapy process as a counselor and researcher and discover its meanings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For those purposes, three mothers joined in the program from December, 2009 to April 23, 2010. I looked into their filial therapy processes, analyzed the types of their experiences in a format of lived experience with time, space, relation, and body,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s. As for the types of the three mothers' experiences in filial therapy, they failed to put a priority on the time for a special play session with their children. They arranged time that they could feel comfortable with and would not be disturbed by other family members for a special play session. Unlike their expectations, however, they had tremendous difficulty putting a priority on time. They had conflicts with the priorities of time because of public time and found it difficult 'to care for' their children. The mothers were asked to follow the play guidelines during a 'special play session' with their children. They got familiar with 'play session Do's' and 'play session Don'ts' and applied them to a play session with their children. However, following the guidelines in a play session was not as easy as it sounded. They inevitably got to wonder "Am I doing this right?" at the beginning of a play session and experienced that their heads went blank. They also had time of conflicts when they were not able to handle a new instrument after putting down an old one. The time of conflicts felt still and slow to them. The mothers tried to acquire 'new techniques' to be applied to a special play session and use different instruments instead of 'their own.' However, they failed to make responses, keeping forgetting them, and realized "The situation has gone" often times. It was only after that when they got to be aware of it. They were thinking about it but could not have their bodies respond to it right away. The mothers first had to secure a 'space' to have a special play session with their children at home. They found difficulties with the fact that such a space did not always exist. Repeating the routine of 'unfolding' and 'folding' a play space by bringing play materials, they felt the space could not be a stable one and were not able to remember it all the time because of its physical temporality. The mothers failed to internalize space itself, which observation seemed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put a priority on a play session and 'forgot' about time. The idea that they should unfold a 'place' became a 'bothersome task' to the mothers and felt like a "job to do" just like responsibilities and duties. However, their children started to miss and wait for a play space right from the beginning of a play session. Unlike their mothers, they felt sorry that play time ran out, would count remaining hours in each session, and tried to keep play time strictly. Those phenomena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the mothers to 'unfold' a play space. The mothers seemed to have had few experiences in which they encountered their children in time and space reserved for their kinds and them. Thus the first intense emotion they felt in a play session was 'awkward.' In a 'meeting' with their children for short 30 minutes, they were at a loss, finding such a meeting strange. Implementing the techniques they got to learn during the training process, the mothers realized that they could not implement some of them well. Even though they were conscious of them and tried to implement them, the old acts that took deep roots in them were difficult to be replaced with new ones. The mothers learned to know what kind of person they were by using new instruments through the body. One of the challenges the mothers faced in the program was videotaped play session review and supervision. However, supervision helped them to get more familiar with the format and see the substance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through the camera. Looking at their children and themselves in a play situation, the mothers thought that 'the way the children dealt with them' could be 'the children' usual attitudes toward them.' In addition, they realized that the ways they were presented in the video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usual ways they were.' The method of the mothers forming a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revealed itself in play and became clearer. The meanings of participation in filial therapy can be discussed from two perspectives; first, it concerns becoming an observer. Since the program itself was structured, it was essential for the mothers to carefully watch the videotaped records of their play sessions with their children. That is, the mothers, the subjects of filial therapy, were placed in an 'arrangement' to 'watch' videos as if they were unedited documentaries. They also went through the process of 'paradigmatizing' for the videos and themselve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which process they changed their body attitudes and attained the goal of 'watching' or 'observing.' Second, all the mothers sought after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till the end of the program with small differences in their ways. The act of taking care of the children could feel like an act of taking care of the mothers themselves. Having a play session with their children, the mothers acutely realized that they should take care of their bodies and spirits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nd learned from experiences that they could only make time for play when taking care of themselves. In that meaning, the group space for filial therapy turned into a space for the mothers to take care of themselve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Korean mothers experiencing a filial therapy program in a context and explored its experiential meanings. By looking into only a few cases, the study generated results that can serve as data to see the substance of filial therapy phenomena. 이 연구는 어머니들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과정을 상담자로서 참여 관찰하면서 그 의미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드러내려고 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09년 12월부터 2010년 4월 23일까지 세 어머니를 만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세 어머니들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시간, 공간, 관계, 신체라는 체험 형식으로 그들의 체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해석하였다. 부모-자녀 놀이치료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체험 양상을 살펴보면, 어머니들은 아이와 함께 특별 놀이세션을 가지면서, 그 시간을 우선하지 못했다. 어머니들은 특별 놀이세션을 아이와 자신이 편안하고 다른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방해받지 않는 시간으로 배치하였지만, 어머니들은 그런 기대와는 달리 시간을 우선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공적인 시간으로 인해 시간의 우선순위에서 갈등을 하고 아이에 대한 ‘마음씀’도 어려웠다. 어머니들은 아이와 ‘특별 놀이세션’을 가지면서 놀이 지침들을 이행해 나가야 했다. 그러나 그 지침들을 놀이세션에서 사용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기존의 도구를 내려놓고 새로운 도구를 아직 다룰 수 없을 때 그 혼란의 시간은 마치 정지 된 듯, 그리고 시간이 더디 가는 것을 느꼈다. 특별 놀이시간에 적용할 ‘새로운 기술’들을 습득하면서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도구들을 사용해보는데 그것을 자꾸 잊어버리고 반응을 하지 못하고 “상황은 이미 지나가 버리는” 일이 잦아졌다. 그러고 나서는 바로 의식이 되는 것이었다. 생각은 하고 있지만 내 몸이 바로 반응하지 않는 것이었다. 어머니들이 아이와 특별 놀이세션을 갖기 위해서는 집 안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일부터 해야 했다. 놀잇감을 가져와 놀이공간을 ‘펼쳤다’ ‘접었다’를 반복하는 가운데 어머니들 안에는 그 놀이 공간이 안정된 공간이 되지 못하고, 물리적으로 임시성을 띠기 때문에 항상 기억되는 공간이 되지 못했다. ‘판’을 벌려야 한다는 의식은 어머니들에게는 “번거로운 일”이 되고 책임과 의무와 같이 “해야만 하는 일”로 느껴졌다. 그러나 아이들은 놀이세션이 시작되면서 놀이 공간을 그리워하고 기다렸다. 이런 현상은 어머니들로 하여금 놀이 공간을 ‘펼치게’ 하는 힘이 되었다 놀이세션 안에서 느꼈던 첫 번째 강렬한 감정은 ‘어색하다’는 것이었다. 짧은 30분이라는 시간 속에서 아이와 어머니는 ‘만남’을 갖지만 그 만남이 너무나 낯설어 어쩔 줄 모른다. 훈련 과정에서 알게 된 기술들을 행해 보면서 어머니들은 자신이 잘 실행이 안 되는 부분이 있음을 알게 된다. 의식을 하고 실행해 나가려고 하지만 어머니의 몸에 깊이 새겨진 행위들을 새로운 행위로 전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어머니들은 몸을 통해 새로운 도구들을 사용해 봄으로써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알아 갔다. 어머니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도전으로 다가왔던 것은 놀이세션 수퍼비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퍼비젼을 함께 하며 어머니들은 더욱 친숙해지고 카메라 속 자신들의 모습 속에서 자신과 아이의 관계의 실재를 보게 되었다. 자신의 모습도 “평상시 자신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자신과 아이의 관계 맺는 방식은 놀이에서 그대로 드러나 더 극명하게 보게 된다.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의 의미는 2가지 관점에서 해석된다. 첫째, 관찰자-되기이다. 부모-자녀 놀이치료의 주체인 어머니들은 마치 편집되지 않은 다큐멘터리를 보듯 ‘보기’위해서 영상을 대하게 되는 ‘배치’에 놓이게 된 것이다. 어머니들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영상과 자신을 ‘계열화’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어머니들은 자신의 몸의 태도를 달리하고 ‘보기’ 즉 ‘관찰하기’의 목적을 실현하게 된다. 둘째, 어머니들의 모습은 조금씩 달랐지만 프로그램이 끝날 때까지 지향했던 것은 아이를 ‘돌보는 일’이었다. 어머니들의 아이를 돌보는 행위 자체가 어머니로서 자신을 돌보는 행위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머니들은 아이들과 놀이세션을 가지며 아이를 돌보기 위해서는 자신의 몸과 정서가 돌봐지지 않으면 안 됨을 절실히 깨달아 갔다. 그런 의미에서 부모-자녀 놀이치료 집단의 공간은 어머니 스스로를 돌보는 공간이 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 어머니들이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어떻게 체험하는지 그 과정을 맥락적으로 들여다보고 그 체험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소수의 사례를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써 부모-자녀 놀이치료 현상의 실재를 볼 수 있는 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

      • 교사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김숙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bas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have been setup: 1. What is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age, level of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variables of the institute to which teachers belong (institute type, class size)? 2. What is the state of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123 teachers for 5 year old and 6 year old children who are working in 60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and 1,457 children in their charge as target. To find out teaching strateg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e used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 developed by Yeon-ha Kim (2007), and to find out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we used the scale developed for the purpose for teachers by Ock-Seung Yang (200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First, to find out overall tre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we carried out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at i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and standard deviation.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eaching strategy of teachers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personal variables of teachers (age, level of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and variables of the institute to which the teachers belong (institute type, class size), we carried out one-way ANOVA. Second, to examine overall trend of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we carried out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at i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and standard deviation. Third, to find out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 level of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e carried out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that are used to calculat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level. When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personal variables of teachers (age, level of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was examined first, in the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ir age, the group of teachers who are 25 years old or above used mor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 an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I than the teachers who are 20~24 years old. The former also used more diversified teaching strategies overall. In the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ir level of educat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the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who had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or longer used mor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 and other teaching strategies overall than the teachers who had less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eachers who had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or longer used mor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I than the teachers who had less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Next, when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eachers’ institute variables (institute type, class size) was examined, teachers who work at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s with Parental Participation turned out to use mor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 and diverse other teaching strategies than teachers who work at public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nd at private Kindergartens. Second, overall level of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urned out to be above intermediate level, and overall level of cognitive regulation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wo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bility, turned out to be similar. Third, when a teacher group whose scores of preventive strategy and positive response strategy among leve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re high is taken as the upper group and a group whose scores for the same are low is taken as the lower group,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based on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s examin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That is, young children who belong to the upper group of teachers whose level of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s high turned out to have a higher self-regulation ability than young children who belonged to the lower group of teachers. In conclusion, it seems that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can be enhanced when teachers use a preventive strategy that can preempt problembehaviors of young children by providing them with an activity plan that attracts their concern and induces them to participate in the plan with interest and with a consistent and predictable environment so that possibl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can be restrained with the use of a preventive strategy. Conversely, when teachers help young children recognize their problem behaviors if such behaviors are noticed and when teachers use a positive response strategy that reinforces positive behaviors with praise and encouragement if young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changed their attitude and displayed positive behaviors. Therefore, support for an appropriate program and education is necessary that will en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a proper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지도전략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해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지도전략은 어떠한가? 1-1. 교사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가 속한 기관변인(기관의 종류, 학급원아 수)에 따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은 어떠한가? 3. 교사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 어린이집 60곳에 근무하는 만 4세와 만 5세 교사 123명과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유아 1,457명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지도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김연하(2007)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양옥승(2006)이 교사용으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경력)과 교사가 속한 기관변인(기관의 종류, 학급 원아 수)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셋째, 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수준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술통계와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전반적인 수준은 중간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먼저, 교사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살펴보면, 교사의 연령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은 25세 이상 된 집단의 교사들이 20에서 24세 되는 연령이 가장 낮은 집단의 교사들보다 긍정적 예방전략 Ⅰ, 긍정적 예방전략 Ⅱ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다양한 지도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교사의 학력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은 경력이 5년 이상 된 교사가 5년 미만 경력의 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 Ⅰ과 전체적으로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경력이 5년 이상 된 교사가 1년 이상에서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 Ⅱ를 많이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의 기관변인(기관의 종류, 학급원아 수)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살펴보면, 기관의 종류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은 부모협동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국공립유치원과 어린이집, 그리고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 Ⅰ과 전체적으로 다양한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전반적인 수준은 중간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전반적인 수준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수준 중 예방적 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이 점수가 높은 집단을 상 집단으로 하고 점수가 낮은 집단을 하 집단으로 하여,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수준이 높은 상위 그룹에 속하는 교사집단의 유아가 하위그룹에 속한 유아보다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사는 유아가 관심을 가지고 흥미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활동계획과 일관성 있고 예측 가능한 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예방적 전략을 사용할 때, 또 유아의 문제행동이 발생했을 때에는 문제행동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가 긍정적인 행동을 나타냈을 때에는 칭찬과 격려로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시켜 주는 긍정적 반응전략을 사용할 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교사가 적절한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그램 지원 및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 Be´la Barto´k《Violin Concerto No. 2》에 관한 主題 構造의 分析的 考察

        金淑卿 淑明女子大學校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Be´la Barto´k (1981-1945) is not only the one of the greatest distinguished creative artists that Hungary has ever had, in the music history of the 20th century, but the first musician who embodied the creative ideology of the tendency toward neo-nationalism. Becaus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appear in Barto´k's works do use the musical simplicity or tonality form and national materials, it makes an appearance as the groping for a newly structural principle in the tone world after disruption of tonality, and the national music style except Germany and France builds a fundamental breakwater against the atonality and 12-tone method, because of it, these musical characteristics is the one of the greatest influences on the modern music. Through his life, Barto´k created several immortal works such as orchestral, chamber and piano music. Among these works, "Violin Concerto NO. 2" in this study is included in his late ones which established the Barto´k's Style, and also is the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which showed his creative ideology. The analysis of this work is not only the investigation of the method being involved in Barto´k's music but the suggestion of the new method' to be able to express the traditional music of Korea by western method. Hence, the intention in this study is in the pursuit of musician’ s creative logicality by analysis of the subjective structure which is discovered in the "Violin Concerto NO. 2" of Barto´k. While showing a wonder and admiration for the romantic musicians, e. g. R. Strauss, Franz Liszt, Barto´k, who is wholly devoted to agrarian music, develops remarkably anti-romantic tendency. Barto´k who took his departure from musical impressionism, in his late style, occupies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principles of radical diatonic scale and of chromatic scale. From above research till now,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Be´la Barto´k’s "Violin Concerto NO. 2" is as follows; In the expression of this composition's construction, the First Movement and the Third Movement are, preferentially, divided into 14 Sectors respectively, and the Movements can be summarized again with larger 4 Sectors, remarkably in the First, on the contrary, roughly in the Third, and the Second Movement takes a variation form. The 4 larger Sectors in the First Movement can be interpreted as a coincidence with the sonata form, that is the First Sector is Exposition, the Second, Development, the Third, Recapitulation, the Fourth, Cadence and Coda. The Second Movement is situated in the center, and composed of subject with seven variation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h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expression as "extremity" or "equilibrium" of the "economy of materials" in the careful selection of folk music. This subject is the "Parlaudo-Rubato melody" which is always discovered in Barto´k's works, and this is, with most clear, internally connected with the remarkable folk music in Hungary and the ones in Eastern Europe. The Third Movement permits a diagrammatic attempt similar to the First, but in this Movement, the Development and Exposition are not clearly divided as such. In particular, judging from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bject in the sonata form, Barto´k treats as a transformation of subject through all the Movements, with no cease in the establishment, contrary to the classical sonata form, in addition, he shows a subjective characteristics in his own way by application of the sam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in the First and Third Movement as well as the Second in the variation form. Consequently, Barto´k's creative ideology is in the achievement of synthesis of the Oriental and Western music through the symbolic dialog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hich none has ever achieved, "Violin Concerto NO. 2" in this study is the very work which is sufficiently reflected with thes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