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통한 모험적 여가활동 추구 관광객의 행동지속성에 관한 연구 : 플로우(Flow), 애착도, 과거행동의 역할 탐색을 중심으로

        윤설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플로우 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토대로 모험적 여가활동 추구 관광객의 행동적 예측을 해보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플로우 이론에서는 선행변인(도전감, 숙련도, 주의집중), 관련변인(즐거움), 결과변인(긍정적 감정, 시간왜곡) 간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이후 심리적 변인인 플로우, 애착도와 계획행동이론의 추가 설명변인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과거행동을 추가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모형을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플로우의 구성개념들에 의해 세분화된 집단 간 모험적 여가활동의 행동적 특성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정량적 검증을 토대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플로우 이론에 따른 선행변인, 관련변인, 결과변인 간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숙련도와 즐거움 간 영향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플로우 이론의 구성개념 간 영향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방향은 모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즉, 모험적 여가활동의 플로우 경험에 대한 구조적 관계가 긍정적이라는 것이 다른 구체적 대상이나 활동(예: 도박, 알코올, 게임 등)의 중독과는 다름을 의미한다. 한편, 영향관계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도전감과 주의집중이 즐거움을 66.9% 설명하고, 즐거움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전감보다 주의집중이 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험적 여가활동이 부상이나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부담이 있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안전에 대한 지각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어서 즐거움은 긍정적 감정과 시간왜곡을 각각 70.2%, 30.8%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즐거움은 플로우 이론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을 이어주는 매개변수로서의 통계적 의미가 있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학술적으로 플로우 이론에서 즐거움이 핵심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둘째, 플로우와 애착도, 그리고 과거행동을 추가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내 구성개념 간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동지속의도를 설명함에 있어서 과거행동만이 유의하지 않은 설명변인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설명변인들(플로우, 애착도,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행동지속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86.0%로서, 이는 합리적 행동이론(TRA)이나 계획행동이론(TPB)의 설명변인이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정도가 평균적으로 30~40% 정도임을 감안하면 행동예측의 설명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행동지속의도를 설명하는 변수의 중요도를 봤을 때 애착도, 플로우, 행동에 대한 태도, 지각된 행동 통제력, 주관적 규범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도나 플로우와 같은 심리적 변인이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에 중요한 부분임을 의미하는 반면에 주관적 규범은 행동지속의도를 설명하는데 가장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험적 여가활동이 주로 개인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대상이기에 다른 사람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편, 과거행동은 행동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6개월 이상 지속하는 사람에게는 현재 하고 있는 모험적 여가활동의 참여 기간이나 참여 시간이 향후 행동지속에 대한 의지 반영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행동에 대한 자신의 통제 수준(지각된 행동 통제력)과 행동지속의도가 행동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설명력=94.3%)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지속의도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의 긍정적 매개변인임이 증명되었다. 이는 모험적 여가활동이 중독 현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플로우 수준에 따른 집단별 모험적 여가활동의 행동 특성(계획행동이론의 구성개념, 행동지속성의 구성개념)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플로우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현재 하고 있는 모험적 여가활동에 대한 계획적․지속적 행동의 결과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플로우 수준이 중도적인 사람은 모험적 여가활동에 대한 통제력에 따라 행동지속의도가 나타났지만, 플로우 수준이 높은 집단은 행동에 필요한 기술이나 자원, 기회 정도의 지각과 상관없이 행동지속의도가 높고, 이는 모험적 여가활동의 행동지속성(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플로우 수준이 높은 군집 2(高경험적 플로우 수준 집단)가 관광활동을 위한 틈새시장이자 이들을 위한 홍보 매체(예: 인터넷)의 적극적 활용 및 동호회 장려, 그리고 행동지속성을 위한 관광목적지 발견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모험적 여가활동 참여 관광객이 그룹 단위로 계획적․지속적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상․항공․지상 관련 관광목적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모험적 여가활동 시장은 영세하기 때문에 모험적 여가활동을 즐기는 관광객에 대한 행동적 관점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기본적 출발점인 심리적 욕구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참여 유형이나 장소를 개발․도입하는 것이 앞으로의 당면 과제라고 볼 수 있겠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behavior of tourists pursuing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based on Flow theory and extension about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Concretely, at first, relationship among antecedent variables(challenge, skill, focused attention), relevant variables(playfulness), and consequent variables(positive affect, time distortion) is examined, and then by adding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flow, attachment and past behavior-widely used as additional explanatory variable in TPB, the model of Extended TPB was examined. Additionally,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groups segmented by constructs of flow in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were compared. Some suggestions deduced from quantitative evaluations are as following. Firstly, after examining relationship among antecedent variables, relevant variables and consequent variables, most of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of Flow theo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skill and playfulness. That is, structural relationship of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on flow experience is positive,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subject or addiction to activities such as gambling, alcohol, game etc. Meanwhile, explanation power of relationship shows that challenge and focused attention explain 66.9% of playfulness and focused attention is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challenge to explain playfulness. This show that since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is risk bearing, participants are more aware of safety. Continuing, playfulness explained positive affect and time distortion, 70.2% and 30.8% collectively. Also, playfulness was found to be a mediating variable to connect antecedent variables and consequent variables of Flow theory. This shows that playfulness is academically the core variable in Flow theory. Secondly, by exploring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of Extended TPB, which flow, attachment and past behavior are added, all explanatory variables(flow, attachment, attitude toward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except past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ining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Moreover, these variables explain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by 86.0%, which is far higher than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TRA(Theory of Reasoned Action) or TPB explaining 30~40%. Importance among variables explaining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were in following sequence. Attachment, flow, attitude toward behavior,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This tells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attachment and flow are important in Extended TPB. On the other hand, subjective norm was the least contributing factor on explaining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That is, since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occurs in personal situation, roles of other people have little effect.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past behavior has no effect on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This is because for people enjoying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more than six moths, period or time of participation are not significant factor on the intention. Self-control level on the behavior(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adherence(explanatory power=94.3%),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was a positive mediating variable between antecedent variables and consequent variables of Extended TPB. Thirdly,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istics(constructs of TPB and behavioral adherence) on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of groups segmented by flow level, people who has higher flow level had higher result of planned and sustained behavior on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Also, people with moderate level of flow showed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by control on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but people with high level of flow had high behavioral adherence intention regardless of skills needed, resources and perception of opportunity level. And, the high intention led to behavioral adherence(predisposing, enabling, reinforcing) of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Therefore, group 2 with high level of flow is the niche market for tourism activity and utilizing publicity means such as internet, promoting clubs with similar interest and discovering destination for behavioral adherence has to be preceded. Consequently,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is to activate destinations related to water, aviation and land to maintain planned and sustained activity of tourist groups participating in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However, since the market of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in Korea is small, researches focused on tourists enjoying adventurous leisure activity in behavioral view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immediate object is to understand psychological desire, which is the basic starting point of tourists, and to develop and introduce suitable participating pattern or destination.

      • 모험스포츠 안전의식의 개념화 및 척도개발

        조월호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모험스포츠 참여자가 인지하는 안전의식에 대한 개념화 및 각각의 구성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모험스포츠의 안전의식의 개념화 및 척도를 개발하여 모험스포츠 현장에서의 안전의식과 더불어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 예비 요인 추출, 심층면담 및 가치 추출, 예비조사, 본 조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예측타당도 검증 총 8단계를 통해 척도를 개발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2019년 여름 시즌에 맞추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모험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에 대한 설명을 한 후 모험스포츠를 꾸준히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1차 자료수집(모험스포츠 참여자 500명) 및 2차 자료수집(모험스포츠 참여자 300명)을 통하여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AMOS/WIN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험스포츠 안전의식의 개념에 관해 다양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모험스포츠의 안전의식에 대한 개념화하기 위해서는 안전의 식의 구성요소를 안전에 대한 경영진의 의지, 안전규칙 및 안전의식, 안전의식에 대한 적법성, 안전교육, 안전책임 관리자, 응급구조장비 및 시설, 사후처리, 이타적 안전행동 등 8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에 대한 척도개발 분석 결과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은 총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세부 문항은 안전예방 10문항, 안전지식 7문항, 안전의지 7문항, 안전인지 6문항 등 4개요인 30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채택하였다. 모험스포츠 안전의식의 개념화 및 척도 개발에 분석 결과 안전의식은 스포츠 활동에 있어 참여자 심리에 내재되어있는 기본적 욕구의 구성요소임이 분명하였다. 즉,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이 체험활동에 있어 안전하게 수행하여야 함을 대부분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모험스포츠의 종류와 참여자가 급증 하고 있는데 비해 안전관리에서는 준비가 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장에서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의 안전의식을 본질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안전의식의 개념 및 척도를 활용하여 후속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고, 모험스포츠 종목에 맞는 안전관리 메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conceptualize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also to develop a scale of adventure sports by conceptualizing the safety consciousness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and also concretely understanding the elements of each one through the review of diverse literary researches and preceding researches, and also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in the site of adventure sports. To proceed this study, the scale was developed by going through total eight steps such as consider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extraction of preliminary factors, in-depth interview & extraction of value, preliminary research, main researc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predictive validity.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by the researcher and four assistant researchers who directly visited the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in the summer season of 2019.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e research subjects who were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adventure sports, the first data collection(500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and the second data collection(300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were performed through the use of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otal 8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Using the SPSS/WIN 18.0 ver. Statistics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AMOS/WIN 18.0 ver. Statistics Progra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reviewing divers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safety consciousness of adventure sports,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adventure sports, there were total eight elements of safety consciousness such as the management’s will for safety, safety rules & safety consciousness, legality of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manager in charge of safety, emergency rescue equipment & facilities, post-processing, and altruistic safety behavior.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cale development of safety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total four factors of safety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were extracted. This study selected a scale composed of four factors and 30 items including ten items of safety precaution, seven items of safety knowledge, seven items of safety will, and six items of safety cogni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ceptualization and scale development of safety consciousness of adventure sports, the safety consciousness was certainly an element of basic desires inherent in participants’ psychology in relation to sports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cognize the safety performance of experiential activities. Compared to the rapid increase of types and participants of adventure sports, the safe management has not been ready yet, which is the problem at site. In order for the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to essentially understand the safety consciousness, it would be necessary to settle down the safety culture and also to develop the safety management manuals suitable for each item of adventure sports by 부록 ·······················································································66 conducting follow-up researches using the concept and scale of safety consciousness developed by this study.

      • 청소년의 모험심, 호기심, 창의적문제해결능력, 리질리언스 간의 구조적 관계

        장소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목적은 청소년의 모험심, 호기심, 창의적문제해결능력, 리질리언스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구명함으로써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서울에 있는 중학교 2개교, 329명, 고등학교 2개교, 199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528부의 자료를 토대로 측정모형 적합성 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부트스트랩을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모험심, 호기심, 창의적문제해결능력, 리질리언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인 리질리언스는 독립변인인 모험심과 호기심과 근사한 값으로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매개변인인 창의적문제해결능력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모험심, 호기심, 창의적문제해결능력, 리질리언스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호기심은 리질리언스에 직접적인 정적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모험심은 리질리언스에 직접적 정적영향(β=.149)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리질리언스에 대한 모험심의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넷째, 모험심과 리질리언스(β=.283), 호기심과 리질리언스(β=.362)의 관계에서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이 각각 부분매개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험심 및 호기심과 리질리언스의 구조관계에서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리질리언스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의적문제해결능력 함양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산업정보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모험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방승호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모험상담 활동을 통해 자신을 탐색하게 하고, 자기 자신의 문제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드러내게 만들며, 자신의 의사를 솔직하게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정보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모험상담 프로그램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모험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모험상담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모험상담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회기별 반응변화는 어떠한가? 다섯째, 모험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모험상담의 역사적 배경 및 모험상담과 관련된 선행 연구 등을 검토하고, Maigell의 모험상담 프로그램과 Cowstails and cobras Ⅱ(Rohnke, 1995)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 안을 만들었고, 상담 관련 전문가 7인에게 안면타당도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산업정보학교 학생들에게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검사 결과가 하위 30%에 해당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험상담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타진한 후, 자발적인 참여 의사가 있는 13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고 참여하지 않는 학생 13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 Inventory : SEI)를 송인섭(1989)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Guerney(1977)의 관계 변화 척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문선모(1980)가 번안한 대인관계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질적 평가는 Maizell과 Schoel이 공동 저술한 Exploring Islands of Healling의 초기 상담 평가 방법인 GRABBSS (Goals, Readiness, Affect, Behavior, Body, Setting, Stage Of develpment)를 모험상담에 맞게 재구성하여 목표인식 변화, 참여도, 협동심, 집중력, 의사소통, 표현력 등 6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모험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본 연구자가 2008년 5월 8일부터 2008년 7월 10일까지 직접 실시하고, 매주 1회씩, 1회기당 90분 동안 총 10회기에 걸쳐 A산업정보학교 회의실에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험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험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나타난 참여자들의 반응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모험상담에 맞게 재구성한 GRABBSS 및 VT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험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참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험상담 프로그램은 산업정보학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모험상담 프로그램은 산업정보학교 학생들의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적이다. 셋째, 모험상담 프로그램은 6가지 요소(목표인식 변화, 참여도, 협동심, 집중력, 의사소통, 표현력) 점수를 향상시켰다. 또한 참여자와 진행자와의 신뢰 감정이나 소통의 즐거움, 만남의 소중함에 대한 의식 등이 참여자들의 자존감을 향상시켰다. 프로그램 진행초기에 참여자들은 방관자 적이고 냉소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4회기 이후 진행자와의 신뢰관계가 증가하면서 몰입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태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언어 사용에 있어서도 초기에는 부정적, 소극적인 언어를 자주 사용하였으나, 진행 후기에 들어오면서 사용 언어가 매우 긍정적인 의미를 품게 되었으며, 진취적인 언어가 등장하고 이와 같은 언어 변화는 집단을 더욱 역동적, 성취지향적으로 만들었다. 넷째, 모험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과 도움 정도에 대해 모든 참여자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움을 받은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모험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에게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또한 집단속에서 협동적인 문제 해결을 통하여 성취감을 느끼고 도전 의식을 갖게 하며, 원만한 교우관계 형성을 통해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eveloping a program for polytechnic students to be able to find themselves through ABC (an adventure-based counseling), to expose their problems naturally, and to express their minds and thoughts honestly. The study also attempt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Specific research questions posed to achieve this study's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a suitable ABC program for students in a polytechnic school?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an ABC program on improving a student's self-esteem? Third, how does an ABC program influence the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 Fourth, how does an ABC program change the reaction of participants by session? Fifth, how were the participants satisfied with the ABC program?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BCs and preceding studies and researches related to ABCs have been reviewed for this purpose. Then, based on Maigell's ABC program and Cowstails and cobras Ⅱ(Rohnke, 1995), a draft program was made.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conducting face validities on seven professional counselors. Prior to the study, a test regarding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as conducted on students in a polytechnic school in Seoul. Thirty percent of the students who scored the lowest on the test were contacted whether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irteen stu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grouped for experimentation. Thirteen other students who chose not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became the control group in the study. To estimate self-esteem, the SEI(self-esteem inventory) made by Coopersmith (1967) and adapted by Inseop Song(1977) was used. To es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 an interpersonal checklist established by Guerney(1977) and adapted to suit the Korean situation by Seonmo Mun(1980)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tudy, GRABBSS (Goals, Readiness, Affect, Behavior, Body, Setting, Stage of development), which is an early counseling evaluation method from "Exploring Islands of Healing" by Maizell and Schoel, was recomposed to suit ABC and then us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were established: chang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participation, cooperation, concentration, communication and ability to express. I, as a researcher of the study, applied the ABC program to students in the study from 8 May to 10 July 2008.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meeting room of a polytechnic school in Seoul 10 times in total, 90 minutes each. In the study, an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ith results from prior test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ABC program in the study. Plus, the adapted GRABBSS made to suit the ABC program and a VTR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participants’ reaction from participating in the ABC program. After the program, a test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BC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elf-esteem in the polytechnic school. Second, the ABC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 of students in the polytechnic school. Third, the ABC program increased the score of the six factors (chang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participation, cooperation, concentration, communication and ability to express). In addition, the building of trust, the joy of communication,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meeting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counselors, boosted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very cynical and assumed the attitude of an onlooker during the early counseling session. But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counselor developed, they became more active and concentrated in the program. In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the students used negative and passive language, but their language began to change into positive and active words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program. They even started to use progressive language, and such change in language made the group being experimented more dynamic and accomplishment-oriented. Fourth, all participants in the ABC program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ey replied they got help from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we can assume that the ABC program in the study will instill in young students positive thinking and attitudes and improve their self-esteem. In addition, they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a desire to challenge for having solved problems cooperatively in a group. And they can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by forming amicable relationships with other students in the program.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octorate degree in February 2009.

      • 모험성 측면에서 본 어린이놀이공간 분석연구

        김현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의 세계경제는 상상력과 창의성을 핵심 가치로 인식하는 창조경제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러한 세계 트렌드에 맞춰 우리나라도 창의인재 육성에 중점을 둔 사람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어린이의 놀이 활동에 대한 시각 또한 변하여, 놀이를 단순히 잉여에너지의 발산이나 학습형태가 아닌 ‘놀이’ 그 자체를 목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아이들이 만들어가는 ‘자연발생적 놀이’가 아닌 학습이 강조된 정해진 방식으로 놀기를 원하며, 이러한 관점은 실외 놀이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한국의 어린이놀이공간은 양적으로는 증대하였으나, 놀이시설의 외형적 디자인만 변형된 비슷비슷한 시설 위주로 조성되거나 대부분 규정된 놀이방식이 있는 시설들로 조합되어, 어린이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재미있게 놀 수 있는 진짜 놀이 공간이 부족하다. 또한 일각에서는 안전검사 제도 운영의 문제로 어린이놀이공간이 더욱 획일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도전적이고 새로운 경험을 통하여 재미를 느끼고 싶어 하는 아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어린이놀이공간은 지루해지기 쉽고, 한편으로는 더 위험해 보이는 놀이행태가 유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린이의 안전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모험적인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의 가치로서 스스로 감수할 수 있는 수준의 위험성을 내포하며 아이들이 새롭게 만들어가면서 즐기는 놀이의 모험성 측면에서 어린이놀이공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놀이의 가치로서 모험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분석항목을 도출하고 대표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즉 현재 어린이놀이공간에서 모험성과 관련된 물리적인 요소가 어떻게 조성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어린이들의 놀이행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어린이놀이공간과 모험성에 대한 보호자 및 어린이들의 견해를 조사·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험성의 물리적 측면에서 현재 어린이놀이공간은 일부 모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모험성과 연령대가 높은 어린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험성의 행태적 측면은 미취학 어린이보다 취학 어린이의 놀이행태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분석항목으로 도출한 다양한 행태들이 모두 관찰되었다. 그 중 놀이 시설에 ‘오르는’ 행위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올라서기, 올라앉기, 올라 균형잡기’와 ‘매달리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놀이 공간 이용행태로 어린이들은 ‘숨을 수 있거나 위요된 공간’에서 노는 것을 좋아하며, 녹지대 안이나 외부공간과 연계하여 흙, 암석, 나뭇가지, 나뭇잎, 곤충 등을 활용한 ‘자연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들의 실제 이용에 따라 추가되는 물리적 측면과 행태적 측면에서 서로 상응하는 항목을 비교한 결과, 어린이놀이공간에서의 모험성은 단순히 시설의 다양한 속성이 얼마나 많이 분포하고 있는가보다 상대적으로 어린이가 스스로 활용하여 선호하는 모험적인 행위를 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더 중요하다. 넷째, 어린이놀이공간의 안전과 모험에 대하여 현재 부모들은, 모험적인 놀이에는 안전보장이 전제되거나 두 가지의 가치가 동등하게 충족되길 바라는 혼합적 입장이 많은 편이다. 한편, 어린이들은 자신의 한계를 알고 위험을 감수하면서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여 일부 부모들의 관점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어린이놀이공간에서 의도하지 않은 모험적인 놀이행태가 자주 나타나는 것은 시설의 본래 기능이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어린이의 기본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모험성은 놀이의 가치로서, 획일적으로 조성되는 어린이놀이공간에서는 충분히 경험하기 힘들며 부족하면 지루한 놀이장소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어린이놀이공간 조성 시 단순히 일차적인 시설의 다양성 위주로 계획하기보다 실질적으로 어린이들이 재미를 느끼며 선호하는 모험적인 특성이 무엇인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모험스포츠 참여에 따른 스포츠사회화에 관한 연구 : 동호인을 중심으로

        김혜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의 스포츠사회화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일반 스포츠 종목이 아닌 모험스포츠라는 특이성을 가진 스포츠 참여자를 중심으로 그들이 모험스포츠에 어떠한 동기로 인해 참여하고, 모험스포츠 참여를 통해 스포츠사회화의 어떤 요인들을 함양시키는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1년 현재 서울·경기 내에서 동호회 활동하고 있는 스노우보드, 패러글라이딩, 암벽등반, 스쿠버다이빙 동호인들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통하여 총550명의 자료 중 470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통제하고자 한 배경변인은 성별, 연령, 학력, 직업 등의 특성으로 제한하였으며, 스포츠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모험스포츠 종목, 참여정도, 참여동기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검사를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고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참여동기의 변인을 묻는 문항은 Iso-Ah ola와 Allen (1982)의 질문지를 이철화(1995)가 우리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검사도구, 참여정도를 묻는 문항은 임번장(1986)의 검사도구, 스포츠사회화를 묻는 문항은 정범모, 이종승(1971)에 의한 검사도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모험스포츠참여에 관련한 일반적 특성에서 참여종목은 스쿠버다이빙, 참여시간은 3시간이상∼5시간미만, 참여정도(강도)는 지칠때까지, 참여기간은 3년이상∼6년미만, 희망종목은 스카이다이빙이 높게 나타났다. 첫째, 모험스포츠 참여종목에 따른 성별의 차이에서 4종목 모두 남자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스노우보드와 스쿠버다이빙에서는 청년층, 고학력, 학생 참여자들이 높게 나타났으나 패러글라이딩은 장년층, 고학력, 사무기술직의 참여자들이 높게 나타났다. 암벽등반은 장년층, 저학력, 사무기술직의 참여자들이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요소가 많은 스포츠인 만큼 여자의 참여는 저조하였고, 개인적 성향 유무에 따라 연령과 직업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모험스포츠 참여종목에 따라 스노우보드, 암벽등반, 스쿠버다이빙은 일정기간의 정기적인 참여자들이 높게 나타났으며 스노우보드와 암벽등반은 지칠때까지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모험스포츠 참여동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보다 가정지향과 건강지향 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청년층이 가정지향, 사교지향 동기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기개발동기에서는 장년층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학력 참여자들의 사교지향 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직의 참여자들은 가정지향, 취미오락지향, 사교지향 동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모험스포츠 참여특성에 따라 모험스포츠 참여동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스쿠버다이빙, 스노우보드 순으로 가정지향, 사교지향 동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년 미만의 단기간 참여자들이 취미오락지향 동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사회화에서는 남자가 활동성과 지배성에서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청년층이 안정성과 사교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고학력 참여자들이 활동성과 지배성에서 높게 나타났고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활동성, 안정성, 사교성, 자율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모험스포츠 참여특성에 따른 스포츠사회화에서는 스쿠버다이빙이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자율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칠때까지 참여가 활동성, 지배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모험스포츠 참여동기와 스포츠사회화의 관계에서 취미오락지향 동기는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개발 동기는 활동성, 건강지향 동기는 사교성과 자율성, 사교지향 동기는 지배성,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모험스포츠 참여에 따른 스포츠사회화 요인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 변인 중 가정지향과 사교지향 동기가 다른 변인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모험스포츠에 참여하였다.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은 가정지향과 사교지향 동기를 통해 활동성을 함양하고 있으며, 위험성이 많고 각 종목에 따른 장소와 장비의 특이성이 때문에 신체활동이 중요시되는 활동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환경의 낙후에도 불구하고 현재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들의 좀더 다양한 모험스포츠 참여와 스포츠사회화를 위해 보다 많은 참여자들이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장소와 시설확충, 아마추어대회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ive of Risk Spor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Sport and what fact of Sport socialization it cultivate. The target populations of this research were the amateur club members of Snow Boarding, Paragliding, Rock Climbing and Scuba Diving in Seoul and Kyung-Ki.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ithin a nonprobable sampling was used and 470 data were selected out of 550 distributed. A measuring tool used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characteristics of sex, age, schooling and profession. This paper showed how the three element - Sport item, participative standard, and participative motive - contributed to Sport Socialization. This study used standard examining tool which was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the pretest. The questionnaire for participative motive was the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Iso-Ahola and Allen, and standardized by Lee Chul Hwa(1995). The questionnaire for participative standard was Lim Bun Jang's, and for Sport-Socialization was Jung Bum Mo and Lee Jong seung's research instrument.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obtained Above all, there are a few general peculiarities ; the kind of sport (Scuba Diving), playing time(3∼5hours), participative strength(till being tired), participant's career (3∼6years), event desired(sky diving) First, Men's participation are superior to women's in every four events. In the case of Scuba Diving and snow board, the youth, the highly educated, students are superior. In the paragliding, the adult, the highly educated, clerical and engineering workers are superior. In the Rock-Climbing, the adult, the lowly educated, clerical and engineering workers are superior. Because of great risk, there are low participation of women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and profession. Second, according to the kind of event, in Snow Boarding, Rock Climbing, Scuba Diving, regular participants are superior. In Snow-Boarding and Rock-Climbing, though it has a little difference, high strength's participants are superior. Thir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there are some difference in participative motive and sport-socialization. In the case of family intention and health intention, women are superior to men, in the family intention and social intention, the youth, in the self development, the adult are superior. In addition to, the highly educated has superiority in the social intention, practitioners, in family intention, recreational intention and social intention Fourth,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risk sport, some differences of participative motive and sport socialization are appeared. In the order of Scuba-Diving, Snow-Boarding, there are superiority in the family intention and social intention. Short period participants are superior in the recreational motive. Fifth,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of Sport socialization, In the activity and domination, men are superior to women, in the stability and sociality, the youth have superiority. The highly educated have superiority in the domination and activity, and in the activity, stability, sociality and autonomy, practitioners have superior Sixth, In the context of sport socialization, Scuba Diving are superior in the activity, stability, domination, and autonomy, high strength are superior in the activity and domination.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socialization and participative motive, in the recreational motive, stability, domination, and autonomy, in self development motive, activity, in the health intention, sociality and autonomy, and in the social intention, domination and autonomy are superior As we know through these analysis of the element of sport socialization, family intention and social intention are superior in the sport participation, and with this, participations happened. The participants of risk sport are cultivating their activity through family and social intention. And the more unusual place or equipment, the more concerns that focused on the cultivating of activity are regarded as important. In spite of cultural straggling, present participants of risk sport are being active. To provide more various events to them and to cultivate sociality of them, expansion of facilities, amateur tournament, the places where more people can participate, and the politic system that can provide various programs should be arranged.

      • 모험스포츠 참가자의 참여동기, 스포츠몰입, 참여 후 행동과의 관계

        이광수 건국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그동안 국내에서 모험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나 정보통신의 발달은 사람간의 정보공유를 쉽게 만들었으며,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모험스포츠 동호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모험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각종장비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들은 보다 쉽게 모험스포츠를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국내에서 주 5일 근무제도가 정착하게 되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험스포츠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의 참가동기와 스포츠몰입, 참여 후 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는 2002년 4월 현재 각 시도 생활체육협의회에 소속되어 있는 모험스포츠 관련단체(암벽등반, 산악자전거, 패러글라이딩, 스킨스쿠버)와 동호인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사람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불비례유층집락무선법(disproportionate stratified random cluster sampling)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840명을 추출,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는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스포츠 몰입, 참여 후 행동과의 관계』이라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스포츠 참여동기의 항목구성은 Vallerand et al.(1992) SMS-28(Sport Motivation Scale)과 Wessinger와 Bandalos(1995)의 LIM(Leisure Intrinsic Motivation)을 기초로 정용각(1997)이 수정 개발한 척도를 본 연구의 상황에 맞게 재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스포츠 몰입의 척도는 Scanlan, et al(1993)의 ESCM(Expansion of the Sport Commitment Model)을 기초로 정용각(1997)이 수정 개발한 척도를 재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참여 후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안창규(1999)가 사용하였던 참여 후 행동 측정문항과 유창조와 권익현(1997)이 사용하였던 구전의도 문항을 재수정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공변량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참가동기의 차이를 검증 한 결과 우선 기술수준에 따라 사교요인을 제외한 기술발달, 즐거움, 건강/체력, 외적과시 요인에서 초급자보다는 중급자, 중급자 보다는 상급자들이 더 높은 참가동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여기간에 따라서는 참가동기의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참가빈도에 따라서는 즐거움 요인에서만 80회 이상 참가하는 사람들이 10회 미만, 10-29회의 사람보다 높은 동기를 가지고 있고, 참가강도에 따라서는 사교 요인에서 한번에 8시간 이상 참여하는 사람이 2-3시간 참여하는 사람보다 높은 참여동기를 보였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스포츠 몰입의 차이를 검증 한 결과 우선 기술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보다 상급이 높은 몰입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참여기간에서는 1년 이하보다 8년 이상이 더 높은 몰입을 하였고, 참여빈도에 따라서는 80회 이상 참여하는 사람이 10회미만, 10회-20회 참여하는 사람보다 높은 몰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강도에 따라서는 8시간 이상 참여하는 사람이 2-3시간 참여하는 사람보다 높은 몰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동기의 내적동기인 기술발달, 즐거움 요인은 스포츠 몰입에 유의하게 정(+)적인 방향을 나타내었고, 외적동기인 사교, 체력/건강 요인은 스포츠 몰입에 정(+)적인 방향을 나타냈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외적과시 요인은 스포츠 몰입에 부(-)적인 방향을 보였고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스포츠 몰입은 참가 후 행동에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스포츠 참여동기의 내적동기를 나타내는 기술발달, 즐거움 요인이 외적동기 요인인 사교, 체력/건강, 외적과시 요인보다 스포츠 몰입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스포츠 몰입은 참가 후 행동에 중요한 매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otivations for participating in sports and being absorbed in risk sports. Furthermore, the goal was to explores the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commitment, and behavior after participating in the of risk sports. For this study a structural covariance model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840 risk sports (rock climbing, skin scuba diving, mountain bike, and paragliding) participants surveyed using the disproportionat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from April to September in 2002. The question items for measuring the risk sports participation's motivation based on the 7 point Likert Scale qusetionnaire adjusted for this research were developed by vallerand et al. (1992) and developed by Wessinger and Bandalos(1995)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Jung(1997), for the sport commitment developed by Scanlan et al. (1993)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Jung(1997), and for participant behavior developed by Yoo & Kwon(1997) and Ann(2000). To analyze the data, one-way ANOVA and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skill development, enjoyment physical/health, and external display variables with increased the skill level of participants is increased. Also, the higher period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risk sports results in a more involvement motivation, (2) the sports commitment with increased the skill level of participants is increased. The higher period, frequency,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in risk sports results in a more sports commitment, (3) skill development and enjoyment factors in the internal motivation positively influence on the sports commitment and society, physical/health in the external motivation tend to influence positively, and (4) the sports commitment positively influence on the behavior after participating in the risk sports.

      • 모험관광객의 관광동기가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ush-Pull 요인을 중심으로

        왕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모험관광 동기 Push-Pull 요인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Push-Pull 요인 중심의 모험관광객의 관광동기, 만족, 행도의도에 대한 측정항목을 도출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유효한 설문자료 302부를 얻을 수 있었다.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험관광 동기 항목의 차원 도출하기 위해서 Push-Pull 요인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ush 요인과 Pull 요인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험관광 동기 Push 요인과 Pull 요인으로 나누러 분석한 결과 Push 요인은 7개 요인으로 묶였으며, '자아실현/성취', '신기/유희', '교류/관계향상', '일탈/휴식', '자연 친화', '신체/건강', '문화/학습'으로 각각 명명되었다. 그리고 Pull 요인은 4개의 요인으로 묶였으며 조직/프로그램', '위험선호', '시설/서비스', '자연경관'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모험관광객의 관광 동기가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Push-Pull 요인 중 '일탈/유희' 1개의 Push 요인을 제외한 10개 요인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모험관광의 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모험관광객의 관광동기를 Push-Pull요인으로 규명해 보았다는 측면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연구결과를 통해 모험관광객의 모험관광지 선택에 대한 의사 결정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모험관광지 관리, 모험관광 상품 및 프로그램 개발, 모험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is a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that Push-Pull factors of adventure tourism motivation have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measurement items for motivation based on push-pull factors and those fo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s and used for the survey questionnaires. A total of 302 effective survey data was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ASW statistics 22(SPSS.22).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Factor analysis on push-pull factors was conducted in order to get the dimensions of adventure tourism.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of push-pull factor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Key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tivation for adventure tourism was divided into two parts which are Push factors and Pull Factors. The push factors were divided into 7 factors, namely, 'Self-actualization/Achievement', 'Novelty/Fun', 'Communication/ Relationship improvement', 'Escape from Routine life/ Relaxation', 'Nature Friendship', 'Physical / Health', and 'Culture / Learning'. The pull factors were divided into 4 factors, namely, 'Organization / Program', 'Awareness of risk', 'Facilities / Services' and 'Tourism Resources'. Secondly, except for 'Novelty/Fun', the remaining 10 factors of adventure tourism motivation were found to influ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satisfaction was proven to have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motivations of adventure tourists through push-pull factors which has academic significanc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epen understanding of tourists’ decision-making process for adventure tourism attractions.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policy making related to adventure tourism management, development of adventure tourism products and programs, and adventure tourism activation.

      • 전시학습에서의 모험놀이 적용 정보수업의 학생만족도

        박정일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사 주도로 교실에서 실시되는 정보교과 이론수업에 있어 전시학습 시간을 늘리고, 전시학습 시간에 모험놀이 상담(adventure based counseling)을 적용하여, 그 과정과 결과에 있어 정보교과 수업의 학생만족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하면서 정보교과 내용 전달이 가능한 모험놀이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개별 모험놀이 활동 별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셋째, 전시학습에서의 모험놀이 적용이 정보수업의 학생만족도를 높여주는가? 이 목적 달성을 위해 모험놀이의 역사적 배경 및 모험놀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 등을 검토하고, 정보교과 수업내용 전달에 용이하도록 재구성한 네 개의 활동을 포함하여 정보교과 전시학습 활동에 적용할 다수의 모험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보교과 교육과정 또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창북중학교에서 정보교과를 수강하는 2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연구자가 직접 정보교과 이론 수업 중 전시학습 시간에 모험놀이를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모험놀이 적용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관련 설문지를 개발하여 1학기 이론 수업 직후 및 2학기 이론 수업 직후에 모험놀이 활동과 관련된 두 차례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추가로 질적인 연구를 위해 모험놀이 활동일지를 작성하였으며, 모험놀이의 보급을 위해 활동별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학습에서의 모험놀이 적용 정보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만족한다. 둘째,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모험놀이 중 4개의 활동은 정보교과 수업내용 전달에 용이하며, 다른 모험놀이도 전시학습 확인용으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다. 셋째, 개별 모험놀이 활동별 학생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모험놀이를 정보교과의 전시학습 시간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며, 전시학습 시간에 정보교과 내용 전달을 위해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별 모험놀이 활동별 학생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udents’ satisfaction in computer classes by applying “adventure based counseling” to the warm-up session by increasing the class hours of the warm-up session, which are usually led by teachers in computer classes. Key questions for achieving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which programs of adventure based counseling are applic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which ones are adequate for computer classes? Second, whether the students’ reaction is good or not for each adventure based counseling activity? Third, do adventure based counseling programs in the warm-up session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in computer classes?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surve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related existing studies of adventure based counseling. We then design adventure based counseling programs for warm-up activities in computer classes and also present an improved curriculum for computer classes. We apply the programs to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take computer classes in Changbook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we conduct adventure based counseling for warm-up activities during computer classes. In order to know students’ class 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adventure based counseling, we perform extensive surveys on all participating students after closing the classe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For qualitative study, we also write an adventure based counseling log and design an activity manual to spread out adventure based counseling to many schools. We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 satisfy the programs of adventure based counseling in computer classes for warm-up activities. Second, we confirm that the adventure based counseling designed in this study works well to deliver the content of computer classes through the warm-up activity. Third, students’ reactions to the individual adventure based counseling are very positive. In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adventure based counselling improves students' satisfaction largely when it is used in computer classes, and it is also very helpful for conveying the computer class content for warm-up activities. We finally confirm that individual students' response to each adventure based counselling is very positive.

      • 우리나라 모험기업의 성과제고를 위한 기술 및 성장전략 분석

        정현호 建國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hazardous enterprise has been increasing its relative importance day by day in the economy of our country and the world. The research about strategy and result of hazardous enterprise has been continuously accomplished in marketing and organization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since 1980s. However, it's mostly true to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field of technical strategy. This is to provide for methodological frame about the research in this field in the future by researching on what kind of technical and marketing strategies make what kind of effect on the result of hazardous enterprise together with the strategy for success by meeting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Therefore, the individual variable within this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like technical strategy, marketing strategy and industrial environment. It used the type division of venture-company(High-tech type, Superior enterprise type, Boutique type, General enterprise type) as a controllable variable and the result of hazardous enterprise as a subordinate variable. Some survey was done for securing research data on relative effect power on the result of hazardous enterprise of these variables, and the hazardous enterprise registered at KOSDAQ that is a capital market of medium and small hazardous enterprise was selected as an object. On the condition of rapid industrial environment changes, in case that the result of venture-company evaluates only by result for one year, the result of enterprise may be influenced not by the individual variable effect of enterprise used for this research, but by the extraneous variables that cannot estimate and control within the enterprise in the narrow meaning and the industry and environment in the wide meaning. For solving the fluctuation problem of this result, this research used the average-out method minimizing the extraneous variables by basically averaging the result for past three yea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technical strategy of hazardous enterprise has lots of possibilities to raise the financial result if it raises technical reform and supplementary character and technical integration level in case that newly-established hazardous enterprise with relatively lower capital power than big enterprise pursues technical strategy. One thing to be suspicious is that this research failed to verify the similar relative character between self-capital increase rate and selected variables contrary to the past research that self-capital increase rate is desirable as a guide post of the result of hazardous enterprise. However, this result may be the contrary evidence of the result that the hazardous enterprises of our country think that margin rate on investment or stock value is more prior than growth of enterprise. For the marketing strategy of hazardous enterprise, this research showed similar relative character with the result of the past research. However, it showed the similar result with a guide post showing growth rate much more than margin rate. It is the desirable result for hazardous enterprise of our country that has relatively more C.E.O.s who were former engineers than those who were professional managerial human resources to review the strategy of enterprise. It is considered that appropriate marketing activity rather than standing only technical power on will make a good effect on the managing result. Reviewing the growing strategy of hazardous enterprise classified by type in this research, high-tech type enterprise that is the leading power of hazardous enterprise can be the ideal type of the hazardous enterprise of our country as it has showed excellent results in accordance with technical power and growth rate. In case of superior enterprise with low growth rate even though it has high technical power, it has to find a way of living including business-diversification and advancing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