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험스포츠 안전의식의 개념화 및 척도개발

        조월호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모험스포츠 참여자가 인지하는 안전의식에 대한 개념화 및 각각의 구성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모험스포츠의 안전의식의 개념화 및 척도를 개발하여 모험스포츠 현장에서의 안전의식과 더불어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 예비 요인 추출, 심층면담 및 가치 추출, 예비조사, 본 조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예측타당도 검증 총 8단계를 통해 척도를 개발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2019년 여름 시즌에 맞추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모험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에 대한 설명을 한 후 모험스포츠를 꾸준히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1차 자료수집(모험스포츠 참여자 500명) 및 2차 자료수집(모험스포츠 참여자 300명)을 통하여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AMOS/WIN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험스포츠 안전의식의 개념에 관해 다양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모험스포츠의 안전의식에 대한 개념화하기 위해서는 안전의 식의 구성요소를 안전에 대한 경영진의 의지, 안전규칙 및 안전의식, 안전의식에 대한 적법성, 안전교육, 안전책임 관리자, 응급구조장비 및 시설, 사후처리, 이타적 안전행동 등 8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에 대한 척도개발 분석 결과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은 총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세부 문항은 안전예방 10문항, 안전지식 7문항, 안전의지 7문항, 안전인지 6문항 등 4개요인 30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채택하였다. 모험스포츠 안전의식의 개념화 및 척도 개발에 분석 결과 안전의식은 스포츠 활동에 있어 참여자 심리에 내재되어있는 기본적 욕구의 구성요소임이 분명하였다. 즉,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이 체험활동에 있어 안전하게 수행하여야 함을 대부분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모험스포츠의 종류와 참여자가 급증 하고 있는데 비해 안전관리에서는 준비가 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장에서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의 안전의식을 본질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안전의식의 개념 및 척도를 활용하여 후속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고, 모험스포츠 종목에 맞는 안전관리 메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conceptualize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also to develop a scale of adventure sports by conceptualizing the safety consciousness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and also concretely understanding the elements of each one through the review of diverse literary researches and preceding researches, and also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in the site of adventure sports. To proceed this study, the scale was developed by going through total eight steps such as consider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extraction of preliminary factors, in-depth interview & extraction of value, preliminary research, main researc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predictive validity.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by the researcher and four assistant researchers who directly visited the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in the summer season of 2019.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e research subjects who were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adventure sports, the first data collection(500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and the second data collection(300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were performed through the use of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otal 8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Using the SPSS/WIN 18.0 ver. Statistics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AMOS/WIN 18.0 ver. Statistics Progra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reviewing divers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safety consciousness of adventure sports,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adventure sports, there were total eight elements of safety consciousness such as the management’s will for safety, safety rules & safety consciousness, legality of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manager in charge of safety, emergency rescue equipment & facilities, post-processing, and altruistic safety behavior.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cale development of safety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total four factors of safety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were extracted. This study selected a scale composed of four factors and 30 items including ten items of safety precaution, seven items of safety knowledge, seven items of safety will, and six items of safety cogni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ceptualization and scale development of safety consciousness of adventure sports, the safety consciousness was certainly an element of basic desires inherent in participants’ psychology in relation to sports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cognize the safety performance of experiential activities. Compared to the rapid increase of types and participants of adventure sports, the safe management has not been ready yet, which is the problem at site. In order for the participants in adventure sports to essentially understand the safety consciousness, it would be necessary to settle down the safety culture and also to develop the safety management manuals suitable for each item of adventure sports by 부록 ·······················································································66 conducting follow-up researches using the concept and scale of safety consciousness developed by this study.

      • 남·여 고등학생의 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

        조월호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systematical analysis using empirical data measured the trend to sports activity and stress situ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o research their stress types, stress coping types, and sports participating types, and to provide basic date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 which can be a help to resolve stress through participating to sports activity in order to define the influence of sports partic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stress resolu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set 1st,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on about Mar. ~ Apr. 2009 as the population, and selected total 300 students using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fter researcher and sub-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is study,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made them to answer to the questions with self-administering method, immediately collecte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leted, implemented t-test & One-way ANOVA as the methods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and verified as α=.05 of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indicated that in demographical properties of subjects, the students responded their home economical condition is upper class were 3(1.0%), 246(83.4%) responded in medium class, and 46(15.6%) responded in lower class, so most of students are in medium class. It also indicated that for the school records, the students with excellent records were 3(1.0%), 26(8.7%) with good records, 158(52.8%) with medium level of records, 88(29.4%) with bad records, and 20(6.7%) with very bad records, so most students got under medium level of school records. For the health conditions fo students, most of them are heathy because it is indicated that 61(20.7%) responded to be very healthy, 133(45.1%) to be healthy, 85(28.8%) to be in general condition, 15(5.0%) to be in bad condition, and 1(0.3%) to be in very bad condition. Second, the influence of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sex on stress resolution is indicated to have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human relationship, to have al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matter, and to have no difference in others. Third, the influence of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grade on stress resolution i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ter of oneself a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s. Fourth, the influence of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home economical condition on stress resolution is indicated to have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home matter a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s. Fifth, the influence of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school records on stress resolution i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nd the matter of oneself a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s. Sixth, the influence of sports participation on stress resolution is indicate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parts.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고등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경향과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적으로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의 스트레스 유형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 스포츠 참여 유형을 알아보며, 고등학생의 스포츠 참여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 에서는 2009년 3월~4월경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1, 2, 3학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총 30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와 보조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고 완성된 설문지는 즉시 회수하였으며,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V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통계기법은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α=.05 수준으로 검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도출된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대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가정형편은 상위권이라고 답한 학생들이 3명(1.0%), 중위권이라고 답한 학생이 246명(83.4%), 하위권이라고 답한 학생들이 46명(15.6%)으로 나타나, 대다수의 학생들이 중위권에 속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학교성적은 매우 잘한다고 답한 학생이 3명(1.0%), 잘하는 편이라고 답한 학생은 26명(8.7%), 중간 정도라고 답한 학생은 158명(52.8%), 못하는 편이라고 답한 학생은 88명(29.4%), 매우 못한다고 답한 학생은 20명(6.7%)로 나타나, 학교성적이 중간이하인 학생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학생건강정도는 매우 건강하다 61명(20.7%), 건강한 편이다 133명(45.1%), 보통이다 85명(28.8%), 건강하지 못한 편이다 15명(5.0%), 매우 건강하지 못하다가 1명(0.3%)로 각각 나타나, 학생들의 건강정도는 건강한 학생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는 대인관계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문제에서도 거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는 자신에 대한 문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환경에 따른 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는 가정문제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성적에 따른 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는 학교생활과 자신에 대한문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 참여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의 차이는 모든 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