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임파워먼트 지각이 교사헌신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09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교사 임파워먼트를 투입요인으로, 교직헌신을 과정요인으로, 직무만족을 결과요인으로 하는 구조 관계를 설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보다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학교현장의 실제적인 부분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G도와 D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서 초등학교 422개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487명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들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성별, 교육경력, 전담경력, 최종학력, 전공, 직급으로 분류하여 표집 하여 43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분석 가능한 자료를 코딩 지침에 따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 간의 구조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전문성,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교사헌신의 하위변인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배경변인 교육경력에 따른 교직헌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직무만족의 하위변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에 대한 인과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와 교사헌신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교사헌신의 하위변인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임파워먼트의 전문성은 교사헌신에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전문성,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에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헌신과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사헌신의 하위변인인 자발성, 충성심, 가치수용은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에 모두 유의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론은 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지각을 통한 교사헌신과 직무만족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참고자료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교사 임파워먼트를 투입요인으로, 교직헌신을 과정요인으로, 직무만족을 결과요인으로 하는 구조 관계를 설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보다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학교현장의 ...

      본 연구에서는 교사 임파워먼트를 투입요인으로, 교직헌신을 과정요인으로, 직무만족을 결과요인으로 하는 구조 관계를 설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보다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학교현장의 실제적인 부분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G도와 D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서 초등학교 422개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487명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들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성별, 교육경력, 전담경력, 최종학력, 전공, 직급으로 분류하여 표집 하여 43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분석 가능한 자료를 코딩 지침에 따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 간의 구조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전문성,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교사헌신의 하위변인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배경변인 교육경력에 따른 교직헌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직무만족의 하위변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에 대한 인과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와 교사헌신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교사헌신의 하위변인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임파워먼트의 전문성은 교사헌신에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전문성,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에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헌신과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사헌신의 하위변인인 자발성, 충성심, 가치수용은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에 모두 유의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론은 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지각을 통한 교사헌신과 직무만족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참고자료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actual part of the school fiel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empowerment, teaching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487 physical teachers from 422 elementary schools in G-do and D-metropolitan city, and 437 teachers were sampled classifying teachers’ gender, teacher efficacy, physical teacher efficacy, level of education, major and position. After individual input to a computer as an analysis of available data to coding guidelines,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In addition,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causality among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teacher commitment, the sub factors of empowerment factors of the teachers(decision making, position, self-efficacy, autonomy, influence) were causality with significance in the sub commitment(loyalty, spontaneity, acceptance of value). Conclu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a reference material that can help to increase teachers’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perception of teachers’ empowerment.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actual part of the school fiel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empowerment, teaching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487 physical teachers from 42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actual part of the school fiel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empowerment, teaching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487 physical teachers from 422 elementary schools in G-do and D-metropolitan city, and 437 teachers were sampled classifying teachers’ gender, teacher efficacy, physical teacher efficacy, level of education, major and position. After individual input to a computer as an analysis of available data to coding guidelines,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In addition,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causality among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teacher commitment, the sub factors of empowerment factors of the teachers(decision making, position, self-efficacy, autonomy, influence) were causality with significance in the sub commitment(loyalty, spontaneity, acceptance of value). Conclu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a reference material that can help to increase teachers’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perception of teachers’ empower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2 김영미, "행복한 혁신학교 만들기" 살림터 2011

      3 성기선, "학교효과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학지사 1997

      4 김창걸,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조직헌신성과의 관계연구" 교육연구소 6 : 139-172, 2000

      5 류근하,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6 고광혁,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효능감,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민환,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파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89-115, 2003

      8 조금주, "학교다양화 정책 속에서 살펴본 혁신학교의 성과 및 과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415-439, 2012

      9 서근원, "학교 혁신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 : 해석적 교육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교육개발원 38 (38): 209-240, 2011

      10 이원, "특성화 고등학교 학교장의 감성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사의 조직헌신성, 임파워먼트의 구조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2

      1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2 김영미, "행복한 혁신학교 만들기" 살림터 2011

      3 성기선, "학교효과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학지사 1997

      4 김창걸,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조직헌신성과의 관계연구" 교육연구소 6 : 139-172, 2000

      5 류근하,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6 고광혁,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효능감,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민환,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파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89-115, 2003

      8 조금주, "학교다양화 정책 속에서 살펴본 혁신학교의 성과 및 과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415-439, 2012

      9 서근원, "학교 혁신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 : 해석적 교육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교육개발원 38 (38): 209-240, 2011

      10 이원, "특성화 고등학교 학교장의 감성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사의 조직헌신성, 임파워먼트의 구조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2

      11 임영애,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사헌신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2 이재윤,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교사헌신,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하교 대학원 2014

      13 박희경,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4 한만규,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13-121, 2013

      15 한지연, "초등학교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이보라, "초등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헌신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노종희, "초ㆍ중등교사의 교직헌신의 개념화 및 측정도구 개발" 22 (22): 215-232, 2004

      18 서연희, "체육교사가 지각한 교수열정, 교과열정, 교수효능감 및 교직헌신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33-46, 2016

      19 장승수, "지역경찰관서장의 팔로워십(Followership)이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4

      20 조송현, "중등학교의 조직분위기가 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8 (18): 74-83, 2007

      21 이상섭, "중등 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조직문화, 임파워먼트,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22 신국희, "임파워먼트와 조직분위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1

      23 방희봉,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뷰티 샾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4

      24 김금수, "임파워먼트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0

      25 鄭海周, "임파워먼트(Empowerment)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6 박원우, "임파워먼트 실천매뉴얼" 시그마 컨설팅 그룹 2012

      27 이윤경,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근무환경과조직헌신성과의 관계 연구" 18 (18): 223-241, 1988

      28 이철수,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9 서지영, "유아교사의 조직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 프로그램의 질과 직무환경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15-136, 2002

      30 이은영,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31 송영호,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문화, 의사소통,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32 노민구, "사립 중등학교 교사의 조직헌신도 선행변인 탐색" 13 (13): 225-247, 1995

      33 최은숙, "비정규직 보건인력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대학보건실 간호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34 홍세영, "분산적 지도성이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대학원 2012

      35 김경혜, "보육시설장의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9 (9): 5-29, 2005

      36 김경혜 김진숙, "보육시설장의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9 (9): 5-29, 2005

      37 정혜영, "보육시설 기관장의 리더십과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모형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9) : 21-39, 2007

      38 유현숙,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39 손무권, "리더십 유형이 부하 직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40 신재흡, "도덕적 지도성과 임파워먼트가 교직헌신에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93-119, 2007

      41 양갑렬,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6 (6): 1-18, 2002

      42 유경훈,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351-380, 2012

      43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출판사 2007

      44 황심미, "교직원의 임파워먼트, 팔로워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5 김희규,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 헌신과의 관계" 교육종합연구소 10 (10): 123-144, 2012

      46 박인심, "교원헌신에 대한 권한강화의 효과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25-50, 2006

      47 박균열,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사헌신 및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공분산구조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15-341, 2009

      48 김영국,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직헌신과 학교교육과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9 김민환, "교사들의 임파워먼트와 학교 및 교직 헌신간의 관계에 관한 학교문화의 조절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45-65, 2006

      50 정우영, "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73-90, 2005

      51 최연인,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 집단의 임파워먼트 및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52 왕한신, "교사 임파워먼트의 탐색과 실천" 24 : 155-168, 2004

      53 이기명, "교사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4 이희란, "교사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5 윤현이, "교사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6 강경수, "學校長의 變革的 리더십과 敎師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學校長信賴가 學校組織效果性에 미치는 影響"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57 鄭姬庚, "學校組織文化와 敎師의 職務滿足 및 組織獻身性間의 關係 硏究"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58 Vacharakiat, M., "The relationships of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ilipino and American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the USA" University of George 2008

      59 Wu, V., "The relationship of empowerment to teacher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25 : 85-89, 1996

      60 Kushman. J. W., "The organizational dynamic of teacher workplace commitment : A study of urb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28 (28): 5-42, 1992

      61 Reyes, P., "The effects of selected elements of communal schools and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Madison: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1995

      62 Yang J., "The effect of structur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Chinese nurses' job satisfaction" 27 (27): 186-191, 2014

      63 Opige, J. O.,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commitment of teachers in private primary schools in Nairobi city county" University of Nairobi 2014

      64 Hsu S. Y. C., "Tea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ust, empowerment,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esting a structural equationmodel in software development teams"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2006

      65 Rosenholtz, S. J., "Teacher's workplace: The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Longman 1989

      66 Ingersoll, R. M., "Teacher professionalization and teacher commitment: A multilevel analysis"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1997

      67 Adam E. Nir, "School-based management and its effect of teacher commitment" 5 (5): 232-341,

      68 Short, P. M., "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 Assessment of level of empowerment whitin school environment" 52 (52): 951-960, 1992

      69 Stoll, L., "School Culture" Paul Chapman 2002

      70 Louis, K. S., "Restructuring, teacher engagement and school culture : Perspectives on school reform and the improvement of teacher's work" 2 (2): 34-52, 1991

      71 Short, P. M., "Restructuring schools through empowerment : Facilitating the process" 1 (1): 5-25, 1991

      72 Singth, K., "Professional support and its effects on teacher's commitment" 91 : 229-239, 1998

      73 Reyes, P., "Preliminary models of teac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s for restructuring the workplace"

      74 Fresko, B., "Predicting teacher commitment" 13 (13): 429-438, 1997

      75 Lee, A., "Korean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Testing the Job Demands-Control-Support Model" Univ,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2004

      76 Spector, R. E., "Job Satisfaction" Sage 1997

      77 Wagner, J.,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spirit at work,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emplowerment, resonant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rional commitment in the health care workplace" University of Alberta 2010

      78 Nora A.,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nurses working in Malaysia and England" 18 : 582-591, 2010

      79 Mowday, R. T., "Employee-Organization Linkage: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Academic Press 1982

      80 Osborne, J. S., "Components of empowerment and how they differentially related to employe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leave the job" 63 (63):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