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대생의 진로결정자율성과 관계성이 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49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의 여자대학에 재학 중인 323명을 대상으...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의 여자대학에 재학 중인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진로결정관계성의 4가지 하위척도 중 지지, 모델링, 조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함께 진로준비행동을 하는 동료들과의 관계를 묻는 척도인 활동은 유의하지 않았다.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척도 중에서 직업정보, 미래계획과 관련된 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증가하는 반면 목표선택과 문제해결 척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 각각의 모형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두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두 모형 중 더 나은 모형으로 최종모형을 확정하고자 X2검증(△X2(1)=18.29, p<.01)을 하여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종 모형에서 진로결정관계성은 직접 및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하나 진로결정자율성의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고 간접 경로만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y samples were composed of 323 female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Seoul. For data analysis, the use of correlation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of career decision-making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ffects significantly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information of job and the future planning subsca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support, modeling and advice subscale of career decision relatednes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that the link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partially mediated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suggests especially that a career counseling program or career coaching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can incarease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ch will positively affect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어영, "한국여대생과 중국여대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에 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2007

      2 김정미, "한국 여대생 진로미결정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4 조명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봉환, "집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지각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8 (8): 1453-1465, 2007

      6 강정은, "진로장벽, 심리적 독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4년제 여자대학생과 전문대 여자대학생의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7 어윤경,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029-1046, 2010

      8 이예진, "진로동기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67-287, 2010

      9 박고운, "진로결정자율성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409-422, 2007

      10 박소영,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결정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1 어영, "한국여대생과 중국여대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에 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2007

      2 김정미, "한국 여대생 진로미결정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4 조명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봉환, "집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지각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8 (8): 1453-1465, 2007

      6 강정은, "진로장벽, 심리적 독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4년제 여자대학생과 전문대 여자대학생의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7 어윤경,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029-1046, 2010

      8 이예진, "진로동기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67-287, 2010

      9 박고운, "진로결정자율성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409-422, 2007

      10 박소영,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결정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11 이수진, "지각된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과 대학생활에서의 학업성취, 정서적 적응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903-926, 2011

      12 김은영,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79-96, 2010

      13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4 박병기, "자기결정성이론이 제안한 학습동기 분류형태의 재구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699-717, 2005

      15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57-174, 2008

      16 김아영,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15 (15): 97-119, 2001

      17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18 권석만, "인간관계심리학" 학지사 1997

      19 정경은, "이성 관계 애착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0 정정숙, "여학교의 여대생과 남녀공학 여대생의 진로미결정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이윤우,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활동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22 이윤우,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135-157, 2011

      23 정홍원,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4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5 이숙정, "여대생이 인식한 자기결정성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소 48 (48): 35-63, 2009

      26 최수욱,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7 유지선, "여대생의 진로미결정과 애착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8 조지영,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 및 과정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9 한주옥, "여대생의 자기결정성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 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0 양진희,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57-72, 2008

      31 박미경,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모형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32 우영지, "여대생의 개인 특성에 기초한 다중역할계획태도 군집유형에 따른 진로장벽지각 수준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33 박지은,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34 고태용,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8

      35 송현심,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1 (11): 1325-1350, 2010

      36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37 이숙정,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235-253, 2011

      38 김명옥,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9 (19): 69-90, 2012

      39 김선중,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진로장벽의 관계유형과 진로자기효능감, 희망, 삶의 의미와의 관계" 18 (18): 75-99, 2004

      40 임은미,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카운슬링 센터 1 : 101-113, 2003

      41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3

      42 김형균,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성별, 학년별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3

      43 최은영,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별 특성과 진로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4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45 김영태,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2005

      46 김은영, "대학생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7 장기명,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연구" 19 : 101-132, 1998

      48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49 이자명, "교사지망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 현직 여교사 및 대졸 여사원과의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50 박현주, "고등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1 진성희,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 자기 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학계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18, 2012

      52 Field, S., "practical guide to teaching self-determination" PRO-ED 1998

      53 Vallerand, R. J., "Toward a hiera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29 : 271-361, 1997

      54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11): 227-268, 2000

      55 Guay, F.,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cale"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2001

      56 Ryan, "The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SRQ-A)"

      57 Kim, "Taxonomy of Student Motivation" 2002

      58 Steiger, J. H.,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ion :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25 (25): 173-180, 1990

      59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55): 68-78, 2000

      60 Flum, H., "Reinvigorating the study of vocational exploration : A frame work for research" 56 : 380-404, 2000

      61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ec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1998

      62 Guay, F., "Predicting career indecision :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50 (50): 165-177, 2003

      63 Guay, F., "Predicting career indecision :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50 : 165-177, 2003

      64 Ryan, R. M., "Perceive dlocus of casuality and internalization : Examining reasons for action in two domains" 57 : 749-761, 1989

      65 Guay, F., "Motivations underlying career decision-making activities : The carrier decision-making autonomy scale(CDMAS)" 13 : 77-97, 2005

      66 Campbell, J. P., "Motivation theory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1976

      67 Betz, N. E., "Issues in the use of career self-efficacy theory" 41 : 22-26, 1993

      68 Vallerand, R. J.,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al styles as predictors of behaviors : A prospective study" 60 : 599-620, 1992

      69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1985

      70 Germeijs, V.,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Consequences For Choice Implementation In Higher Education" 70 : 23-241, 2007

      71 Betz, N. E., "Evaluation of a shot for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4 (4): 47-57, 1996

      72 Luzzo, D. A., "Ethnic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21 : 227-236, 1993

      73 Guay, F., "Distinguishing developmental from chronic career indecision : Self-efficacy, autonomy, and social support" 14 (14): 235-251, 2006

      74 Hayamizu, T.,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 Examination of reasons for academic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39 : 98-108, 1997

      75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290-312, 1982

      76 Taylor, J. K.,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 63-81, 1983

      77 Hackett, G.,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18 : 326-339, 1981

      78 Blustein, D. L., "A context-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45 : 260-274,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