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 A Meta-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protective Variables of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9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study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rom 2000 to 2010, ninety-one articles published on academic journals and 107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 were collected. Of theses studies, 69 articles which had a report primary empirical data met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meta-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sets of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were included with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al, and school environmen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mong three sets was psychological set followed by family environment and the effect size of these factors was moderate. However, the effect size of school environment was non significant. Second, the most influential protectiv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et of psychological factor was social support followed by self-esteem and resiliency. The effect size of these variables was moderate. Third, the most influential protectiv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et of family environment factor was family resiliency followed by communication with parents, family harmony, and parenting behaviors. The effect size of these variables was moderate. Fourth,, although the effect size of school environment was non significant, the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such as academic resiliency,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 support was significant. Fifth,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derators of the sample subjects, years(the former period and the latter period of the 2000 year), and the sample size had non-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effect siz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be applied to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adolescents' suicide. More especially, the future of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how the different types of measurement impact on th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study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rom 2000 to 2010, ninety-one articles published on academic journals and 107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 were collec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study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rom 2000 to 2010, ninety-one articles published on academic journals and 107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 were collected. Of theses studies, 69 articles which had a report primary empirical data met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meta-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sets of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were included with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al, and school environmen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mong three sets was psychological set followed by family environment and the effect size of these factors was moderate. However, the effect size of school environment was non significant. Second, the most influential protectiv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et of psychological factor was social support followed by self-esteem and resiliency. The effect size of these variables was moderate. Third, the most influential protectiv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et of family environment factor was family resiliency followed by communication with parents, family harmony, and parenting behaviors. The effect size of these variables was moderate. Fourth,, although the effect size of school environment was non significant, the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such as academic resiliency,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 support was significant. Fifth,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derators of the sample subjects, years(the former period and the latter period of the 2000 year), and the sample size had non-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effect siz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be applied to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adolescents' suicide. More especially, the future of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how the different types of measurement impact on th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지난 10년간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살생각을 억제하는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조사시기, 조사대상, 연구대상의 표집 수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봄으로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청소년의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상담현장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청소년의 자살생각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학회지 및 석․박사논문 중 상관관계를 통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를 설명하여 효과크기 변환이 가능한 논문 69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억제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심리 변인군과 가족환경 변인군의 효과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두 변인군 모두 적은 크기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 억제변인군의 하위변인 중 사회심리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이 중간 효과크기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환경 억제변인군의 하위변인은 모두 중간수준의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조사년도, 표집 수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인들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자아탄력성과 교사지지, 친구와의 관계에서 변화추이가 발견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지난 10년간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살생각을 억제하는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조사시기, 조...

      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지난 10년간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살생각을 억제하는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조사시기, 조사대상, 연구대상의 표집 수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봄으로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청소년의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상담현장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청소년의 자살생각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학회지 및 석․박사논문 중 상관관계를 통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를 설명하여 효과크기 변환이 가능한 논문 69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억제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심리 변인군과 가족환경 변인군의 효과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두 변인군 모두 적은 크기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 억제변인군의 하위변인 중 사회심리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이 중간 효과크기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환경 억제변인군의 하위변인은 모두 중간수준의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조사년도, 표집 수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인들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자아탄력성과 교사지지, 친구와의 관계에서 변화추이가 발견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 보모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27 (27): 1-15, 2006

      2 박진율, "학교교육과 학원교육에 대한 초·중·고등학생의 인식차이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최영복, "학교교육과 학원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비교"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허진석, "학교 유형과 심리적 환경이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5 정무성, "청소년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 구축,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 2003

      6 김현준,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간의 관계 연구"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7

      7 이지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 애착과 인지왜곡의 중재 및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남화, "청소년의 정신건강, 가족의사소통, 학교적응 및 자살사고에 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05

      9 홍영수,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 및 자기존중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153-182, 2004

      10 정혜경,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07-126, 2003

      11 홍나미,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12 박병금,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요인 탐색"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6

      13 차영자, "청소년의 자살생각 예측모형 구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4 박현숙,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완충효과" 정신간호학회 18 (18): 87-94, 2009

      15 이경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7

      16 임소선, "청소년의 소외감·우울·삶의 의미와 자살생각과의 관계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7 이은숙,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18 홍영수,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그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의 완충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20) : 7-33, 2005

      19 엄태완, "청소년의 무망감 관련요인과 자살생각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효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11-237, 2008

      20 고정자, "청소년의 개인변인과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변인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121-143, 2003

      21 김현주, "청소년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27) : 69-93, 2008

      22 권은희,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23 이혜원,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06

      24 김보영,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25 김인규, "청소년 자살생각에 대한 구조모형 검증" 한국상담학회 7 (7): 1189-1202, 2006

      26 이경진,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667-685, 2004

      27 여성가족부, "창의적 체험활동 설명회" 형우디앤피 2010

      28 장미향,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경험과 사회정체성 및 사회지지의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77-87, 2007

      29 윤미경,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적응유연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30 이은석, "자아탄력성 증진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31 윤혜선, "자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 탄력성과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32 김미애, "우울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33 박병금, "우울에 따른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변인 : 우울청소년과 비우울청소년의 집단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6) : 168-193, 2007

      34 이정윤, "아동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위험요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85-95, 2003

      35 이정윤, "아동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위험요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85-95, 2003

      36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37 김수희,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8 박재연, "부모로부터 학대받은 경험이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차이"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8) : 61-92, 2010

      39 강미선, "부모갈등과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40 이승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내외통제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1 서에스더, "부모 및 친구관계 정서적 친밀도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관계적 후유증이 언급된 자살보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42 김주희,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초등학생의 만족도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3 오승환,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우울․자아존중감․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6 : 53-73, 2009

      44 김동숙,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계적 관점의 연구 : 공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45 서혜석,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관한 인과모형" 한국청소년학회 13 (13): 207-232, 2006

      46 Potres, P. P., "Understanding adolescent suicide :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37 (37): 805-814, 2002

      47 Hernadez, L. P., "The role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Stanford University 1993

      48 Erikson, E. H., "The life cycle completed: A review" W. W. Norton 1982

      49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50 Bettes, B., "Symptoms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4 (14): 591-596, 1986

      51 Calson, G. A., "Suicide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1 : 886-891, 1982

      52 Certin, F. C., "Suicide attempts and self-image among Turkish adolescents" 130 : 641-651, 2001

      5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Erlbaum 1988

      54 Ellis, A., "Rational emotive behavioral approaches to childhood disorders" Springer 2006

      55 Lai, K. S., "Personal and family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in Hong Kong" 95 : 407-419, 2010

      56 Cheung, S. K., "Multiple pathways from stress to suicidality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Hong Kong adolescents" 37 (37): 187-196, 2007

      57 Murray, B. L., "Integration of a suicide risk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roach : The perspective of youth" 13 : 157-164, 2006

      58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 and separateness" 70 (70): 349-361, 1996

      59 McCubbin, S., "Families and family therap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60 Parrish. M., "Clinical challenges following an adolescent's death by suicide : Bereavement issues faced by family, friends, schools, and clinicians" 33 : 81-102, 2005

      61 Michael, K., "Brief home-based intervention with young suicide attempts and their families" 18 : 557-568, 1995

      62 Fremouw, W., "Adolescent suicidal risk : Psychological problem solv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23 : 46-54, 1993

      63 Peter, J. F., "Adolescent problems and coping strategies : an investigation of stress, problems, coping, and self-esteem among Queensland secondary students preceding and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tertiary entrance system"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