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太極陰陽論과 韓國傳統藝術의 美意識

        조민환 한국미학예술학회 2003 美學·藝術學硏究 Vol.17 No.-

        東洋的藝術作品通常都講究恒常之道。一般來說,東洋繪畵作品或是藝術作品都富含着藝術家超越豊富的思想,因此也稱之爲寫心畵。一介藝術家的思想根源來自于對天地自然的理解,而太極陰陽論是其核心理論。韓國從흔早以前就已將陰陽思想運用于傳統的藝術作品之中。我認爲太極陰陽的思想是體現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回顧過去的傳統藝術作品,大多是體現隨意,朴素等直接蘊含大自然氣息的作品。這正是太極陰陽論的立足点也是一種從天地萬物繁衍生長中獲得的對生命意識的感動。在此有三介具體實例。首先是繪?,例如鄭敾的「金剛全圖」。這一作品充分體現了太極的陰陽內涵,幷且含有「周易」中由剝卦到復卦的變化過程中天地自然的繁衍定理。這一作品綜合南北方的繪?手法,蘊含着李珥二氣之妙的繪畵意境。 第二是書法,例如李서的的「筆訣」。李서的書法藝術結合了陰陽論和河圖洛書論。령外李서以隨時處變爲基礎,以不同形式體現時代的變化,創造出富有自己獨特介性的書法體系--東國眞體。最后看一下韓國語字體的創作原理。韓國語字體的原理爲太極,陰陽及五行。發音中含有天地人三才思想。韓國語也正因爲含有太極,陰陽,五行以及天地人三才思想才會散發出與衆不同的氣息。綜上所述,太極陰陽論可謂是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

      • KCI등재

        효과적인 한국무용 예술경영학 연구

        이영희 ( Young Hee Lee ),박권일 ( Kwon Il Par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8 No.-

        한국무용예술의 공연행사에서 기존의 공연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구태의연한 연출과 안무작업으로 인하여 관객들에게 호평 받지 못 하는 일회성 행사로 그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무용예술의 발전을 위해서, 그리고 관객들을 위해서 한국무용 연출가와 안무가 및 제작자는 새로운 변화의 모습을 보여야 하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무용예술을 접목하여 공연하는 모든 예술공연의 효과증진을 위하여 무용예술경영의 연구가 필요하다. 무대종합예술은 거의 대부분 무용예술을 활용한다. 그만큼 무용예술은 우리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무대종합예술의 일종으로 오페라, 뮤지컬, 연극, 음악극, 무용극, 마당극놀이와 창극도 이 범주에 포함된다. 이러한 모든 종합예술은 무용예술이 함께 연희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용예술은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재즈댄스 등 무용예술 전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종목 중에서 특별히 한국무용을 활용하여 공연예술이 효과적으로 공연되기 위해서는 무용예술경영학을 과감하게 그리고 필수적으로 도입하여 무대공연예술효과를 극대화 하여야 한다. 공연예술 중에서 무용만큼 우리와 가까운 예술은 없다. 우리들이 공연예술에 자신의 마음과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움직인다면 무용예술이 될 수 있다. 때문에 한국무용은 어느새 우리 가까이에 항상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가까워졌다는 친근감이 어떤 의미에선 무용을 불행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도 있다. 한국무용의 존재를 잃어버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무용예술의 공연현장에서 무용을 구하는 일, 이것이 새로운 한국무용예술을 창출하는 길이다. 생동감 있고 변화 있는 무용예술을 창작해야 하며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무용예술을 창작해야 한다. 한국무용예술이 관객과 만나게 되었을 때 공연작품속에 한국적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어야 효과적이다. 한국무용의 공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한국무용을 안무하고 연출하여 최종적으로 극장무대에서 관객들과 만나는 경우에 무용예술 경영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Som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are not acclaimed and can not be more than just a one time event due to trite directing and choreography that couldn`t deviate from the custom. However,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art, and for the audience, Korean dance director and choreographer, and producer are facing a reality that have to show the face of new challeng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Dance Arts is planned to be introduced for effective promotion of all works of art performing by combining the Korean dance art. Dance Arts in Business Administration may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tage comprehensive art works almost take advantage of the dance art. So dance art has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our daily lives. Stage comprehensive art is as follows. Opera, musical, theater, music drama, dance drama, Madangguk(One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ance) are also included in this category.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ield, Changgeuk should also be included(Korean traditional opera). All of these comprehensive art works include dance art. At this point, dance art includes the whole dance art : Korean dance, ballet, modern dance, jazz dance, etc. For this reason, for arts performances to be performed effectively by utilizing the Korean Dance especially among these events, should maximize the effect of the stage performing art by introducing Business Administration in Dance Arts boldly and essentially. nothing is closer to people than Dance among all art works. If we move by giving a special meaning and own mind in this work, this can be a dance work. For this reason, Korean Dance has always existed in close us imperceptibly. However, this familiarity by approaching may be seen to make the misfortune to dance in a sense. Perhaps lost the presence of Korean dance works. Dance and producer did not even try to look for self-reflection for too long. Saving the dance in the reality of dance art, this is a way to create new Korean dance art works. Should creative lively and changing dance art works, and that can give pleasure to the audience. When Korean dance work meet the audience, It is effective that contains Korean image in the work.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 effectiveness of Korean dance work, And until finally lifting Korean dance works the theater to meet with the audience by choreographing and directing, arts management should be combined.

      • KCI등재

        연구 논문 : 조요한 예술철학 연구 시론

        이인범 ( Ihn Bum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 美學·藝術學硏究 Vol.32 No.-

        철학자 조요한(1926-2002)은 생전에 『예술철학』(1973)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1988), 『한국미의 조명』(1999),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1993), 『지혜를 사랑 하는 마음』(1993)같은 저작들을 발표했다. 식민지시대에 성장기를 보내고 6·25 한국전쟁을 거치며 그는 난파당한 현실에서 초월을 체득하는 길을 열어준 칼 야스퍼스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의 영향 속에서 영원을 향하는 소크라테스와 예수 그리스도, 그리스철학과 기독교를 출발점으로 철학하는 길에 접어들어 학사학위청구논문으로 「키에르케고르와 실존」(1954)을 제출하였다. 이어 석사학위청구논문으로 「초기 회랍철학에 있어서의 동방사고의 영향」(1958)을, 박사학위청구논문으로「Aristoteles 철학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1975를 제출하며 청년기의 관심사였던 그리스철학과 기독교 사이의 ‘대치 점과 상관관계’에 관한 철학적 관심을 심화시켜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자 조요한은 1973년 『예술철학』을 자신의 첫 저작으로 발표였으며, 작고하기 3년 전인 1999년에는 단행본 『한국미의 조명』을 마지막 저서로 발간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예술철학은 그가 처음 철학적 과제로 설정했던 그리스철학이나 기독교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필자의 이 논문은 철 학자 조요한의 예술철학 연구 업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 하기에 앞선 예비적 시론으로서, 이 글은 그 동안 발표된 조요한의 철학 텍스트들에 대한 서지학적 조사연구와 더불어 그의 예술철학이 지닌 근본문제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의 전 철학체계 안에서 어떠한 위상을 지니는지를 밝힌다. 『예술철학』은 미학강의 노트에 근거한 제l부 ‘예술철학의 기초개념’과 제2부 ‘현대예술의 과제’와 제3부 ‘예술이론의 몇 가지 문제’으로 구성된다. 제l부는 일제 강점기에 고유섭에 의해 미학이 근대적 학문으로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미학과 예술론 텍스트가 부재하던 시절 미와 예술(fine arts) 개념을 철학적으로 정초하고 있다. 반면, 제2부와 제3부의 논문들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에 이르는 기간 동안 잡지들에 발표된 논문들로서 이 시기 한국의 사회 현실과 예술현장의 현안문제들에 대한 철학적 대응이다. 이 각각의 글들은 발표상의 선 후 관계나 구조연관을 밝힘으로써 같은 기간 동안 사회 현실이나 예술현장의 이슈들에 어떻게 그가 조응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조요한의 예술철학은 이후 30여 년 가까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나 근대기 기독교와 서구철학의 수용에 관한 연구, 비교예술학이나 미술사방법론 같은 방법론적 반성을 거치며 『한국미의 조명』으로 귀결되고 있다. 1999년에 간행된 이 책은 『예술철학』에 실렸던 논문 「한국 조형미의 성격」(1968)에서 시작되는 한국예술의 정신에 관한 철학적 해명 작업의 결정판이다. 조요한은 동양과 서양의 미의식 비교, 한국·중국·일본의 조형미의 비교 등 비교예술학적 방법 그리고 한국예술과 종교·철학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탐구를 통해 자신이 평생 과제로 설정했던 한국예술의 정신에 대한 철학적 해명을 심화시키고 있다. 여기서 그는 한국의 음악미는 무교에, 조형미는 불교에, 생활미는 유교에 근거해 한국예술의 근원적 동인을 탐색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예술정신의 근저에 깔려있는 자연순응의 인생관과 무속신앙을 해명하는 것이 남은 과제 가운데 하나라고 말한다. Throughout life of Yohan Zoh (1926-2002), the philosopher had released several books and essays like Philosophy of Art (1973), The Philosophy of Aristotle (1988), an Articulation of Love for Art (1993), An Articulation of Love for Philosophy (1993) and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1999). By spending his period of growth in the era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experiencing the Korean War soon after, the philosophy of Søren Kierkegaard and Karl Jaspers captured his attention, and led him to the field of existentialist theory inevitably. As a consequence, he submitted a dissertation, Kierkegaard and Existence (1954) for his BA, which denotes his future interest of Greek philosophy and Christianity toward the Eternal. Since then, Zoh submitted The Influence of Eastern Thought on Early Greek Philosophy (1958) for his master`s degree and The Analytical Problem of Aristotelian Philosophy (1975) for his doctorate. Both study reveals how he the deepened philosophical relationship of his early interest by exploring its contraposition and correlation. Despite of his philosophical subject matter in academic dissertations that he submitted, his first publication was in fact Philosophy of Art, and the last publication released three years before his death was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In this respect, philosophy of art is bibliographically as important as his accomplishment in Greek philosophy or Christianity. Therefore, this preliminary study is to give a light on Zoh`s achievement in art before the fully fledged research take a place. Philosophy of Art i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chapter, ``The Basic Concept of Philosophy of Art``, is based on his given aesthetics talks between the 60`s and the early 70`s. Although the most of up to date art theories and text were yet not introduced in Korean academic field since the early death of Yu-seob Ko, the chapter is strongly anchored to the use of traditional terms of aesthetics and fine arts of time. The second and the third chapter are entitled as ``The Task of Modern Art`` and ``Some Problem with Art Theories` respectively. Each chapter is written on the basis of his several texts on art, that were also p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above. On the contrast to the first, these two chapters are philosophical analyses of the Korean art praxis. His last book,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thus can be seen as a conclusive answer for one of the text that is included in Philosophy of Art, ``The Character of Korean Aesthetic Value.`` As a philosopher, Zoh picked up the thread that was left out for many years, and dedicated his entire life to elucidate the spirit of Korean art. He methodologically chose comparative science of arts for his investigation, giving examples of contrasting nature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aesthetic, as well as comparing Korean aesthetic value with the art of neighbor countries like China and Japan in sequence. His academic path clearly shows that his love of art and philosophy are conflated in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 KCI등재

        이경 조요한 선생의 예술철학과 한국 근현대 미학예술학

        이인범 ( Ihn Bum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한국 학계에서는 보기 드물게 예술·종교·철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활동을 펼쳤던 조요한(1926-2002)은 생전에 예술에 관한 저작으로 『예술철학』(1973),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1993), 『한국미의 조명』(1999) 등을 발간했다. 작고 후 그 밖에도 유고집으로 『관심과 통찰』(2004)로, 『아름다운 것은 어렵다』(2005) 『아름다운 영혼의 잔영』(2012) 등이 발간되었다. 이 글의 목표는 한국의 미학예술학의 역사 안에서 철학자 조요한(1926-2002)이 설정하고 있는 학문적 과제들은 어떤 것이었으며, 그 성격은 어떤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한국에서 근대 학문으로서 미학 미술사는 일제 식민지시기 고유섭(1905-1944)이 1927년에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하여 미학 및 미술사를 전공하여 콘라드 피들러 연구로 예술적 활동의 본질과 의의 라는 타이틀의 졸업논문을 제출하고 개경박물관장으로 활동하는 데서 시작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유섭의 요절로 그 역사는 심한 단절과 굴곡을 보여주며 서구 학문의 수용과 식민피지배에서 비롯되는 문화적 식민성을 드러내며 삶의 세계와 유리된 채 분열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식민지시대에 성장기를 거쳤던 조요한은 해방 이후 서울대 철학과에 입학하여 키에르케고르 연구를 통해 개인적으로나 공동체로서 난파된 삶의 현실을 초극하고자 시도하고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을 자신의 학문적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1960년의 4·19 혁명 직후부터 그는 삶의 현실에 대한 철학하기의 매개로서 예술 현장의 이슈들을 적극적으로 다루기 시작하고 있다. 동시에 서구 근현대미학을 통한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의 방법적 기초 놓기를 시도하며 『예술철학』을 발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는 ‘한국예술의 정신’ 해명을 과제로 설정하여 그의 생애 마지막 저서인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고 있다. 조요한의 예술철학은 청년기 자신의 철학적 관심인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에 대한 연구와 조응하며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해방 이후 학문세대로서 식민지시기 한국 최초의 미학미술사학자인 고유섭이 설정했던 학문적 과제를 상속하며‘서양학문으로서의 미학’을 수용하여 한국의 현실에 정초시키며 ‘한국예술의 정신을 밝히는 일’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한편, 그 과정은 서구로부터 수용되어 성립된 한국의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들의 분열적이고 자폐적인 문화적 식민성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들과 맞물리고 있다. 첫 저작 『예술철학』이 발간되기까지 선생은 한편으로는 삶의 현실에 대한 철학하기의 매개로서 예술 현장의 이슈들을 다루고 있다. 동시에 서구 근현대미학을 통한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의 방법적 기초 놓기를 통하여 이 땅의 미학 예술학에 학문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는 ‘한국예술의 정신’ 해명이라는 과제를 설정하여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고 있다. 『예술철학』에서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기까지 예술철학의 전개는 선생이 해방 이후 학문세대로서 식민지시기 한국 최초의 미학미술사학자인 고유섭이 설정했던 학문적 과제를 상속하며 ‘서양학문으로서의 미학’을 한국의 현실에 어떻게 정초시킬 것인지를 물으며 ‘한국예술의 정신을 밝히는 일’에 다름 아니었다. 그것은 서구로부터 수용되어 성립된 한국의 미학 예술학이 드러내는 분열적이고 자폐적인 모습의 문화적 식민성을 극복하여 삶의 세계 속에서 현실성을 확보해내려는 시도와 동반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조요한의 예술철학에서는 예술·종교·철학, 예술현장과 학문으로서의 미학, 미학과 미술사 등으로 파편화되거나 분열된 근대적 삶의 세계와 분과 학문들이 다시 함께 만나고 있다. ‘미학’의 바깥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그의 ‘예술철학’은 이 땅의 삶의 현실에 깊숙이 뿌리 내리며, ‘미학’을 넘어서 새로운 미학·예술학의 지평을 열고 있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illuminate the philosopher Yohan Zoh (1926-2002)`s philosophy of art in the context of Korean modern aesthetics. Exceptionally, Yohan Zoh acted broadly in the region of academia about arts, religion, and philosophy in the Korea, publishing The Philosophy of Art(1973), The Heart that Loves Arts(1993), and The Illumination of Korean Aesthetics (1999). Posthumous works are Interest and Insight(2004), The Beautiful is Difficult(2005), and Relics of the Beautiful Spirit(2012). These works on aesthetics and the arts, along with The Hermeneutical Problems of the Philosophy of Aristoteles(1975), The Philosophy of Aristoteles(1988), and The Heart that Loves Philosophy(1993), show Zoh`s scholarly interests. Aesthetics and Art History in modern Korea began with Yusub Ko (1905-1944) who studied at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graduated the school with a submission of his thesis on Konrad Fiedler, “The Essence and Meaning of Artistic Activity.” Ko later became the director of the Kaikyung Museum of Art. Ko`s untimely death caused the discontinuation and ups and down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cholarships in Aesthetics and Art History.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and philosophy, and Japanese colonial era resulted in cultural colonialism in Korea, separating its history from the reality of life. Yohan Zoh grew u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entered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fter Japanese retreat. He tried to overcome the fragmented reality of Korea life through the study of the philosophy of Kierkegaard, and chose Greek philosophy and Christianity as his future focus of study. As a way of applying his philosophy to the reality of life, Zoh actively engaged with issues of art practice since the 4. 19 Revolution of 1960. Simultaneously he published The Philosophy of Ar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aesthetics and the arts. Since then, he focused on explaining “the spirit of Korean art” and published many essays on the theme, including his last publication, The Illumination of Korean Aesthetics. The philosophy of art of Yohan Zoh ha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his interests in Christianity and Greek philosophy. As the first scholar of Aesthetics and Art History in post- liberation Korea, Yohan Zoh inherited the scholarly task of Yusub Ko and embraced “Aesthetics as a Western Area of Study” and applied it to the reality of Korean life to explicate “the Korean Spirituality in the Arts.” His scholarly journey was interconnected with his attempts to overcome Korean`s schizophrenic and autistic cultural colonialism. Therefore, Arts-Religion-Philosophy, Art Practice-Studies of Arts, and Aesthetics-Art History all meet in Yohan Zoh`s philosophy of the arts. Though Zoh`s study of “Philosophy of the Arts” departed outside the field of Aesthetics, it rooted deeply in the reality of Korean life and opened a new horizon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in Korea.

      • KCI등재

        이경 예술철학과 동양예술사상

        민주식 ( Joo Sik Mi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조요한은 서양철학과 서양미학에 주력했던 보편성을 지향하는 리버럴리스트였다. 그런데 우리는 그에게서 한국인의 정감과 체취를 느끼고 동양적 사유를 만나게 된다. 그는 동양의 고전과 한국의 예술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었다. 그의 예술철학에서 동양예술사상이 갖는 의미는 ‘한국미의 체계화’를 위해 필요한 밑거름이었다. 동양예술사상은 결국 한국미의 해명을 위한 기반이었고, 한국예술의 자기 위상을 파악하는 잣대였다. 그가 추구한 동양예술정신은 청년시절 그에게 많은 감화를 가져다준 김환기 화백의 예술세계와 상통하는 것이었고, 곧 한국의 자연과 한국인의 심성에서 우러나오는 멋의 세계였다. 한국미에 관해 언급한 이전의 논자들은 거의 모두가 한국미의 원리를 일원적인 관점에서 조명했다. 이를테면 한국미를 비애의 미, 멋, 자연주의, 등과 같은 어느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했다. 이에 반해, 조요한은 한국예술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비균제성’과 ‘자연순응성’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규정하고, 양자의 원리가 역사적으로 공존하면서 서로 보완해 간다고 보았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비균제성은 북방 유목민의 삶 속에서 형성된 무교적 영향에서 유래하는 것인데, 신나면 규칙을 무시하면서 도취하는 기질과 연관돼 있다. 그리고 자연순응성은 남방의 농경문화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지모신(地母神)을 섬기면서 형성된 자연신의 숭배에 따라 항상 자연을 주격으로 생각하는 가치관의 발로다. 이러한 토대에서 ‘신바람’과 ‘질박미’라고 하는 한국예술의 양대 특성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한국미를 이원적 구조로 파악한 점은 의미 있는 지적이라고 생각된다. 조요한은 ‘비교연구’라는 관점을 줄곧 의식하면서 한국미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논하고 있다. 즉 거시적인 관점에서 동서 예술의 대비를 논하고, 세부적으로는 한국·중국·일본 각 나라 예술의 특성을 논하는 가운데 한국미의 성격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한국미를 언급했던 일본 학자들과 서양의 연구자들의 견해를 항상 함께 고려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다양한 사고의 지평을 수렴하고 있는 그의 열린 학문의 자세를 보여준다. 그는 동양의 직관적 철학과 서양의 과학적 철학이 상보적인 관계에 있음을 전제하면서, 동서 예술의 비교고찰을 시도했다. 이를테면 재현과 표현이라는 예술이념의 상위, 서양화의 원근법과 동양화의 삼원법, 동적인 활력성을 갖는 서양음악과 정적인 명상성을 갖는 동양음악 등을 논하면서 비교라는 관점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그리고 동양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졸, 소박, 기운생동과 같은 동양미학의 이해가 뒤따라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지구촌의 한 복판에서 살아가야하는 지금 문화한국의 자기소개가 시급하며, 따라서 이 과업의 중요함과 치밀함이 더욱 요청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과제에 부응하기 위해 그가 행한 작업이 『한국미의 조명』이었다. 책이름이 말해 주듯이, 그간 충분한 빛을 받지 못한 채 어둠 속에 묻혀 있었거나 또는 희미하게 그 일면만을 드러내고 있었던 한국미에 대한 학술적 조명이다. Professor Yohan Zoh was a liberalist who aspired universalism, mainly studying and teaching western philosophy and aesthetics. And yet, we can find and feel something characteristic of Korean emotion and Eastern thinking from him. He had a peculiar affection on Chinese classical writings and Korean classical arts. For him, Eastern thoughts of art or Chinese theory of art was needed for him in the process of academic research on Korean aesthetics. It was not only a fundamental basis for illuminating Korean beauty, but also a measuring stick for surmising the phase of Korean art. His admiration for the spirit of Eastern art was greatly influenced from Hwanki Kim, a Korean modernist painter, corresponding to the world of Korean elegant beauty ‘meot’ which was sprung from natural environment and mental disposition. Most of precursors explained the principles of Korean beauty from a single viewpoint, for example, from the concept of ‘beauty of sorrow’, ‘naturalism’, or ‘unskilled skill’. On the contrary, Zoh stipulated two axis of ‘asymmetry’ and ‘adaptation to nature’, which have coexisted historically, supplementing each other. According to him, ‘asymmetry’ was originated from northern Shaman tradition built up by nomadic life and was connected with the temper of outbreaking and intoxication in excited situation. And ‘adaptation to nature’ was originated from southern agricultural tradition which worship the spirits of the terrain and has showed the sense of value estimating the nature as the nominative. The two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shinbaram’ or exulted spirits and ‘simple-hearted beauty’ could be molded by these bases. His grasp of Korean beauty in dual structure is significant for our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Korean artistic culture. Zoh has taken into consideration on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Korean beauty, maintaining the comparative angle of vision. He argued some characteristics of Korean beauty, contrasting between Eastern and Western arts comprehensively and amo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rts in detail. He showed an open-minded attitude to reflect on broad horizon of thinking. He premised the inter-complement relation between Eastern intuition and Western science, and examined som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art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viewpoint,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concept of art, perspectives of painting, and the discrepancy of musical traits of meditation of the East and vitality of the We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행동주의 예술․디자인의 기원과 전개 : 역사적 상황과 사건을 중심으로

        김영철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8 No.-

        This is a historical study on ‘activist art and design’. First, the art movement and design movement are researched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tivist art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art field were understood avant-garde art movement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design field were understood in the social ideology and practice of modern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st art found in the avant-garde art movement were derived from ‘social alienation’, and the attitude to resist or overcome this appeared as the tendency of 'critical-total negation' against the existing domination form. Second, ‘counterculture movement’ and ‘environmental and anti-consumerism movement’ of the 1960s were researched to comprehend the specific objects of activist art and design. The resistance culture movement tried the structural change in social culture including the existing art viewpoints as awareness of problems about civil rights․human rights․the disadvantaged and problems about antiwar․anti-imperialism․the third world․locality. The environmental and anti-consumerism movement's objects were the structural problems about the earth's ecological environment and postcapitalism system. Third, ‘Korea's Social Change Movement & National People Art Movement of 1980s’ and ‘Korea's Post-industrial Society and Visual Culture Movement of 1990s’ were researched for understanding of the advent of the activist art and design in Korea. In Korea's Social Change Movement & National People Art Movement, there was serious discussion on how Korea's art relates the society, and how it is involved with the society. In Korea's Post-industrial Society and Visual Culture Movement, public communication, or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methods was highlighted. In conclusion, today's society urgently demands the critical thinking and practical alternative about art and design. That's because countries in the world including Korea need proper buffer and solution for social and cultural conflicts that all of them experience. 이 연구는 ‘행동주의 예술과 디자인’에 관한 역사적 측면의 연구다. 먼저 행동주의 예술과 디자인의 특징과 성향을 파악하는 차원에서 예술운동과 디자인운동을 살펴보았다. 예술분야에서는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예술운동 속에서, 디자인분야에서는 근대디자인의 사회적 이념과 실천 속에서 성향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에서 발견된 행동주의 예술의 특징은 ‘사회적 소외’에서부터 비롯되며, 이를 저항하거나 극복하는 태도로 기존의 지배형식에 관한 ‘비판적-전면적 부정’이라는 성향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행동주의 예술과 디자인에 관한 구체적 대상을 파악하는 차원에서 1960년대 ‘저항문화운동’과 ‘환경․반소비주의운동’을 살펴보았다. 저항문화운동에서는 민권․인권․사회적 약자에 관한 문제, 반전․반제국주의․제3세계․지역성의 관한 문제인식으로 기존 예술관을 포함한 사회문화에 대한 구조적 변화를 시도하였다. 환경․반소비주의운동에서는 지구적 생태환경의 문제, 후기자본주의체제에 대한 구조적 문제를 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세 번째로 한국의 행동주의 예술과 디자인에 관한 등장을 이해하기 위해 1980년대 ‘한국의 사회변혁운동과 민족민중미술운동’과 1990년대 ‘한국의 후기산업사회와 시각문화운동’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사회변혁운동과 민족민중미술운동에서는 한국의 예술이 사회와 어떤 관계를 맺고 어떻게 사회에 개입해 가야 하는가의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한국의 후기산업사회와 시각문화운동에서는 대중적 소통, 나아가 소통형식의 중요성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우리사회가 예술과 디자인에 대해 비판적 사고와 실천적 대안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이유는 한국을 비롯한 세계사회가 함께 겪는 사회․문화적 갈등에 대한 적절한 완충과 해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수록 논문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김진숙(Jin-Sook Kim),박기원(Ki-Won Park),김정숙(Jeong-sook Kim),윤천성(Chun-Sung Youn)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6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7 No.3

        Cosmetology is a field of study on beauty. It is recognized that it would enrich the value of people’s lives with changes in their aesthetic attitude. This kind of pattern is found in the trends of beauty studies and industries, social & cultural environment and knowledge trend of academic journals with diverse theoretical backgrounds. In beauty-related studies, the quality of papers has improved annually. In fact, overall beauty industry has been upgraded through diverse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Among the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which celebrates its 16th anniversary was up graded from alisting-candidate journal to the listed journal in March 2012. This study took analysis standard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s of th e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bibliometric analysis. Then, it analyzed and reviewed the results of academic studies in beauty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through objective data collection andanalysis. After deriving research trends and issues in cosmetology and analyze the current trends of the papers listed on academic journ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cademic studies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related studies. For this, it would be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beauty industries through industrial and academic development in balance after active academic exchange and research activities. In fact, it is important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are sufficient beauty-r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if the quality of papers is satisfying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Therefore, it is needed to keep producing papers which meet the conditions for being listed on Korea Research Foundation, an authority which supports and fosters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