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선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015 동광 Vol.110 No.-
이 논문은 아동의 발달권이란 구체적으로 UN의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과 UN의 새천년을 위한 아동성장 발달을 위한 목표와 가치에 근거하였다는 관점에서 비롯된다. 아동의 건강한 발들을 위하여 아동은 보호와 권리를 가진 존재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곳에서부터 발달권은 시작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아동이 그들이 받아야할 기본적 성장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이 부족함을 보충하기 위하여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면서 아동을 포함한 약자들의 발달권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한국에서 현재 아돌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한 전제는 어떠한 한 가지 요소에 집중하기 보다는 아동의 생리학적 소질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돕고 이해하려는 행동에서 시작되어야 하고, 다양한 경험의 제공과 거기에 적절한 사회자본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동의 성장 발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모와의 효능감과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함께 했느냐와 인간적 관련을 가졌느나가 중요한 관건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발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해요인으로서의 경제적 정치적 약자, 학대와 방임의 희생자로서 발달권을 상실하기도 하며, 현대사회와 같은 가족구조에서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 고립, 그리고 가족과 아동의 빈곤을 문제로 제기하였고, 이것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저해요인들을 논의하였다.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요인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리고 여기에서는 교육, 특히 부모교육과 가정교육, 사회환경의 변화와 필요한 자원의 연계 그리고 가족역할의 강화와 지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목표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목표들을 중심으로 아동의 발달권에 포함되어야 하는 아동 자신과 가족 그리고 사회에서 무엇이 해결되어야 하는 분야인가를 논의하려고 하였다. 물론 더 많은 취약점과 논의가 필요한 부분들이 있지만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돌아보고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노력만 한다면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접근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well-being(즉 복지)이란 아동은 안전하게 보호받아야 된다는 안전의 보장(safety)과 아동은 안정된 성장환경을 제공받으며,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관련(permanency)을 가짐으로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영적 사회적 성장을 할 수 있다는 Shireman(2003)의 가치관을 결론으로 대체하였다.
문선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 No.1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was organized in 1966 to improve social work professors mutual support and engage international connections at the beginning, and became an incorporated body authoriz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02. This study is based on analyzing current issues and main concerns of the council related with social welfare curriculum, supply of human resources, professional human power in social welfare education. These issues have originated an excessive set up social welfare related department all over the country and needed to discuss how to deal with inundated social welfare education where they are lacked of social welfare curriculum and professionals. This author is strongly proposing to have a legally approved accreditation standards and body by this council for social welfare curriculum and hire professors solving this problem. So,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given visional perspectives to the council for the future direction: what features can be given to be continue and remain as members and member schools; we do believe that the accreditation is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be actualized, but what merits and weak points thereafter; how long and how far social welfare education will be expanded, like present situation, then, do we have any alternate surplus or energy; what the council prepares and develop to adjust and correspond to the time of globalization since the Korean society has become a country with diverse people and cultures, are we enhancing to develop culturally competent educational curricula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students who will be able to deal work with the diverse group of people? 본 연구는 1966년 한국사회사업학교협의회로 발족하여 2002년 12월 사단법인으로 변화를 거듭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지니고 있는 문제를 교육과정, 전문 인력배출, 교육인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논의될 수밖에 없는 것은 현재 전국적으로 복지와 관련된 학과들이 범람하고 있다는 현실에서 비롯된다. 만일 이 협의회가 법적인 권한을 가지고 교과과정이나 교육인력에 대한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면 문제는 상당히 해결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결국 협의회가 갖는 비전과 미션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을 찾음으로서 가능하다고 본다: 교육협의회는 회원들에게 어떠한 존재로서 지속되어야 하는가; 인증이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지만 그것이 주는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사회복지교육의 확장이 언제까지 지속된다고 보는가? 그 이후의 대책을 교육협의회는 가지고 있는가; 협의회는 국제화 시대에 대응할 어떤 계획이나 비전이 있는가? 특히 급격한 다문화시대에 맞는 교육이나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는가?
문선화 한국아동복지학회 199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
산업화가 가져온 이 사회의 구조적 변화의 가장 큰 부분은 가족체계의 붕괴라 할 수 있다. 가족구조의 변화는 새로운 가족형태를 요구하게 되었고, 그것의 극명한 형태의 하나가 「소년·소녀 가장세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사회가 변하고 새로운 가치관이 이 사회를 지배한다고 하여도 인간의 성장과정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과정을 요구한다. 단지 새로운 문화의 유입은 그 시기를 단축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인간이 하나의 성숙된 개체가 되기 위하여서는 가족이라는 체계로 부터 한단계 한단계 거처가야할 과정이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하나의 책임있는 시민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이러한 인간성장의 중요성 때문에 각종류의 사회복지시설이 이 사회에 존재한다고 본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정부와 몇몇 사회복지기관의 주도아래 아동을 가정에 방치하며 그들에게 가장의 역할을 강요하며 그 역할을 사회가 합리화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아동의 부모나 후견인이 어떠한 상태에 있던지 간에 불문하고 그들은 성인이며, 그들은 자녀를 혹은 후견자를 하나의 책임있는 시민으로 키워야할 책임과 역할이 있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나 어떤 사회단체들은 성인을 그들의 자리에서 몰아내고 아동을 성인화하며, 그들에게 성인 즉 가장의 역할을 하기를 강요하며 그것을 미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1980년대 중반부터 이 사회에 등장하기 시작한 소년·소녀 가장세대에 대한 국가적 정책은 이 시점에서 방향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는 이들 소년·소녀 가장과 함께 동거하고 있는 성인들에게 가장의 자리를 물려주어야 하며, 또한 국가는 이들 아동에게 가장이라는 명목아래 주어지고 있는 모든 형태의 지원을 보다 정당한 방법으로(예를 들면 불우가정이라는 측면에서) 이들 어린가장과 함께 동거하고 있는 성인들에게 가장의 자리를 물려주어야 하며, 또한 국가는 이들 아동에게 가장이라는 명목아래 주어지고 있는 모든 형태의 지원을 보다 정당한 방법으로(예를 들면 불우가정이라는 측면에서) 이들 어린가장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성인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기간동안 이 일이 지소되어야 한다면, 정부는 이러한 업무를 지원하고 있는 전문사회복지 요원들이 보건복지부가 만든 지침에 의거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즉 전문적 사회복지사의 역할로서 이들 가정에 대한 가정문제, 개인문제, 학교문제등에 접근하여 해결하도록 도와주며, 지역복지관과의 상호협조적 관계에서 업무가 추진 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이들을 보호하고 있는 비공식적 협조망을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들에게 보호권 및 양육비를 지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임대아파트에 대한 관리도 보다 체계적으로 하여야 되며, 임대아파트 입주시 이들의 비공식적 협조 체계망으로 부터 보호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역이어야 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복지관은 현재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재가복지사업에 이들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며, 개별적 접근보다는 집단적 접근으로 그리고 장기적 접근보다는 단기적 접근이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한국에만 있는 이 소년·소녀 가장이라는 용어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도록 정부를 비롯한 모든 전문가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계속한다면 이것은 「고아수출국」에서 아동을 가장화시킨 또다른 오명을 이 나라가 얻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문선화,양주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5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48 No.4
Foot-and-mouth disease (FMD) is a highly contagious disease of mammals and has a great potential for causing severe economic loss in susceptible cloven-hoofed animals, such as cattle, pigs,sheep, goats and buffalo. FMDV, a member of the Aphthovirus genus in the Picornaviridae family,is a non-enveloped icosahedral virus that contains a positive sense RNA of about 8.2 kb in size. The genome carries one open reading frame consisting of 3 regions: capsid protein coding region P1, replication related protein coding region P2, and RNA-dependent RNA polymerase coding region P3. FMDV infects pharynx epithelial cell in the respiratory tract and viral replication is active in lung epithelial cell. Morbidity is extremely high. A FMD outbreak in Korea in 2002 caused severe economic loss. Although intense research is undergoing to develop appropriate drugs to treat FMDV infection, there is no specific therapeutic for controlling FMDV infection. Moreover,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vaccine strategies against FMDV infection in many countries. In this report, more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against FMDV infection were reviewed.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이란 소, 돼지, 양, 염소 등의 cloven-hoofed 동물에서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입, 코, 유두, 발굽 등에 수포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곱 가지 혈청형(O, A, C, Asia1, SAT1, SAT2 and SAT3)으로 분류되는 구제역바이러스(Foot-and-Mouth Disease Virus:FMDV)는 single stranded positive RNA virus로 nonenveloped capsid virus이다. Viral genome은 8.2 Kb로 하나의 ORF인 polyprotein으로 되어있으며, 크게 capsid protein coding region인 P1, replication related protein coding region인 P2, RNA dependent RNA polymerase coding region인 P3로 구성된다. FMDV는 respiratory tract의 pharynx epithelial cell에 감염되며,lung epithelial cell에서 replication을 한다. 구제역바이러스는 감염율은 높지만 낮은 치사율을 가진다. 2002년 한국에서 구제역이 발병하여 많은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FMDV의 감염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방법이 없는 실정이며, 현재 많은 나라에서는 구제역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FMD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예 방법인 DNA vaccine, edible vaccine, peptide vaccine에 대해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