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경찰활동 시대에 요구되는 경찰관의 자질: 신입 경찰공무원 모집과정에서의 활용방안

        박한호,이명우,조용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8 치안정책연구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경찰활동 시대에 요구되는 경찰관의 자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계 전문가와 현직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HP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자질의 우선순위를 측정하였다. 더불어 서울지방경찰청에 재직 중인 인사 및 홍보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분석결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성공적인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위해서는 과거 강조되었던 신체능력이나 운전능력 보다는 청렴성,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능력 등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신입 경찰공무원 모집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key traits, characteristics, and skill sets every police officer should have for successful community-oriented policing. This study conducts expert surveys and an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to prioritize those qualities. Semi-structured interviews are additionally conducted with four representatives of human resources and public relations at SMPA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o review in detail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egrity, Trust,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 Skills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community-oriented policing than some traditional aspects such as physical ability and basic driving skills. Continued efforts are needed to make the information more accessible to prospective police officers in the recruitment process.

      • KCI등재

        경찰기관의 치안 서비스 성과측정

        박한호,이명우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4

        기존의 성과측정 방식은 범죄통제 중심의 성과측정이었다. 범죄를 보다 잘 통제할 수 있는지에 초점이 맞춰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넘어 민주적 경찰 활동이 대두된 현대경찰의 성과는 범죄통제 중심의 성과측정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한 다. 범죄통제라는 성과와 더불어 범죄관리와 이를 위한 치안 서비스 제공과정에 대한 시민의 요구 및 만족까지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찰활동에 대한 대응 태도, 법 집행 등 정당성과 같은 주관적 인식이 측정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안 고객 만족도 설문결과를 활용하여 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인식 지표를 활용하여 경찰의 성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방법은 경찰의 성과측정을 위해 자료 포락분석(DEA)을 활용하 였다. 더불어, 2019년 전북지방경찰청 산하 15개 경찰서를 DMU로 설정하고 이를 대상 으로 정보를 수집하였다. 투입변수로는 기본경비, 1인당 담당 인구수를 선정하였고 산 출변수로는 치안 고객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효율성평가(TES)에 대한 결과분석을 살펴보면, 가장 효율성이 상대 적으로 적은 경찰관서는 군산과 익산 경찰서로 나타났으며, 가장 효율성이 높은 경찰관서는 장수와 무주로 나타났다. 또한 순수 기술효율성(PTES)에 대한 분석결과 가장 상 대적으로 효율성이 적은 경찰관서는 익산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규모효율성(Scale Efficiency Score: SES)점수를 살펴보면, 장수와 무주가 가장 효율성이 좋았고 상대적 으로 군산이 가장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xisting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was a performance measurement centered on crime control. This is because the focus was on whether crime could be better controlled. However, the performance of modern police, which has emerged as democratic police activities beyond community police activities, has limitations only by measuring performance centered on crime control. This is because, in addition to the achievements of crime control, citizens' demands and satisfaction for crime management and the process of providing security services for it must be reflec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easure subjective perceptions such as justification, such as response attitudes to police activities and law enforc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police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citizens' perception indicators of the police using the results of the security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The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used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o measure police performance. In addition, in 2019, 15 police stations under the Jeonbuk Provincial Police Agency were set as DMU and information was collected for them. Basic expenses and the number of people in charge per person were selected as input variables, and security customer satisfaction was selected as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TES, the relatively least efficient police stations were Gunsan and Iksan police stations, and the most efficient police stations were Jangsu and Muju.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ure technical efficiencies (PTES), the police station with the relatively least efficiency was Iksan. Finally, looking at the Scale Efficiency Score (SES) score, Jangsu and Muju were the most efficient and Gunsan was relatively the least efficient.

      • KCI등재

        현대 민간경비 산업의 다각화와 발전 전략: 성장 저해요소 분석

        박한호 한국민간경비학회 202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2 No.4

        This study attemp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xpansion strategy and obstacles of the modern private security industry.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grown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ublic security services and meeting individual and private needs, and to this end,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has been expanded through various strategies, including providing customized security services to individual and private areas, utilizing technology-oriented security services, and organically integrating manpower and machines to provide safety and status information. However, the modern private security industry is facing a number of obstacles. Examples of these factors were self-accidents and crimes, lack of marketing, problems related to the manpower-oriented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acidity of non-integrated organizations. These factors were found to undermine the perception and trust of private security services.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ethics education, marketing strategies, improvement of manpower education and evaluation, and efforts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entralization and cooperation should be needed.

      • KCI등재

        경찰의 무력 사용에 대한 연구

        박한호 한국민간경비학회 202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2 No.2

        경찰은 일반통치권에 근거하여 시민에게 명령·강제함으로써 공공의 안녕한 상태와 질서를 유지한다. 이러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경찰은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는데 이 중 하나가 무력이다. 무력 사용은 다양한 결과를 초래한다. 상황에 따라 적정한 무력 사용은 정당화되고 용인되지만 잘못된 상황판단에 따른 무력 사용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찰의 무력 사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경찰의 신뢰는 물론 시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경찰무력 사용에 대한 몇 가지 큰 범주를 확정하고 관련 연구 결과와 논의를 중심으로 경찰무력 사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산발적이고 제한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경찰무력 사용에 대한 유발 요인을 탐색하고 확인하여 부정적 무력 사용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경찰공무원 개인과 관련한 무력 사용의 부정적 결과가 존재한다는 점과 상황과 환경 그리고 조직간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개인적 측면과 상황적 측면에서, 경찰의 부정적 무력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긴급한 상황에서 훈련하도록 하여 긴급한 상황에서도 부정적 결과가 초래되지 않도록 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직적 문화가 단순히 무력 사용을 장려하기 보다 조건적 상황에서 무력이 사용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경찰직무의 환경적 측면에서도 경찰과 시민의 관계가 개선되어야 과도한 무력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예측치안시스템에 대한 경찰관 인식 및 태도가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박한호 한국민간경비학회 202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1 No.5

        Today, crime prevention is being implemented based on various scientific technologies. Among them, predictive security is a crime prevention system based on representative new security technology. As technologies related to criminology and mathematical statistics developed, a more precise predictive security system was implemented and the actual effectiveness was verified. Although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this way, little has been studied on police officers using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only calculates predictive information based on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algorithms, but it is individual police officials who actually carry out crime prevention activities. Therefore, whether police officials will consider the output of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is a different matter from the effectiveness of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Therefore, studying the attitude of whether or not to consider the output of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is important for the use of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that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was surveyed on 140 police officers, and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predictive security affects the acceptance of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l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how the perception of the predictive system, such as the perception of acceptance of predictive system commands, the perception of criminal justice orientation of predictive system, the perception of standardization of predictive system, and recognition of standardization of predictive system discretion affects the acceptance attitude of police offic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lice officers'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were directed toward the definition of criminal justice,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accept the predictive security system was 7.6 times.

      • KCI등재

        사이버 성폭력 범죄에 관한 연구

        박한호 한국민간경비학회 202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1 No.2

        Crimes occurring on the cyber world today are causing more fatal damage than crimes occurring in the real world. Among them, cyber sex crimes are even more serious. In the case of cyber sexual violence crimes, there is a continuous increase,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are not caught with new methods despite the strictness of punishment, so active response seems necessary. The activities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alone cannot monitor vast cyber sexual violence crimes, and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actual state of damage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ethods. Therefore, above all, cyber sexual violence crimes should be suppressed and prevented through active reporting.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punishment on the intention to report from the perspective of inhibition theory on cyber sexual violence that occur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cyber sexual violence crim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5. Looking at th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tention to report was 1.8 times higher as the punishment for cyber sexual violence crimes was clearly carried out. Therefore, the speed, severity, and certainty of punishment for cyber sexual violence crimes should all be guaranteed, but more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sought to recognize that punishment is certain in the case of cyber sexual violence.

      • KCI등재

        신치안기술에 대한 인식: 예측치안 시스템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태도 분석

        박한호 한국민간경비학회 202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1 No.4

        오늘날 신치안기술들은 범죄의 신속한 진압은 물론 범죄의 예방을 위한 대안이 되고 있다. 더불어 운영적 측면에서 경찰은 효율적인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신치안기술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 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신치안기술 중 예측치안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그러나 예측치안의 산출물(Output)들은 재량과 관련이 있고 이러한 재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그 결과를 따를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예측치안의 산출물들은 경찰 집행행위에 주관적인 재량을 제한하고 이는 집행행위에 대한 표준화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치안기술의 시스템에 대한 효율성 연구보다 운영자 및 그 산출물을 집행하는 집행자(경찰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치안기술이 갖추어야 할 선행조건을 설문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집하였다. 또한, 치안기술을 활용하는 운영자 및 집행자인 경찰관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신치안기술의 결과를 활용하는 데 필요한 경찰조직의 운영상 지향성에 대하여 선행조건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찰관 140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 연구내용은 형사사법 시스템 지향성, 시스템 안정성, 재량권 표준화 가능성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예측치안에 대한 경찰관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형사사법 시스템 지향성이 다른 지향성보다 경찰관의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경찰 치안 기술의 변화 : AI 기반 경찰활동의 변화와 위험성 논의

        박한호 한국범죄심리학회 202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21 No.1

        조직은 이러한 효율성과 기능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전면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는 경찰 활동의 기술적 도입이 새로운 패러 다임의 전환을 이끌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다. 그러나 AI를 활용한 경찰 활동 및 법 집행이 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 의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I 기반 경찰 활동의 위험성을 분석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 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AI 치안 관련 연구가 아직 부족하고, AI 기술 도입이 초기 단계에 있는 상황에서 문헌 연구를 통해 AI 기반 치안 시스템의 우려와 정책을 면밀히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AI 기반 치안 기술의 도입 및 확장에서 데이터 품질 저하, 시스템 편향성, 투명성과 설명 가능성 부족, 재량권 남용과 책임 불명확성, 기술적 오류 및 과도한 기술 의존성 등과 같은 주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AI 기반 치안 기술의 유용성과 위험성을 균형 있게 이해하고, 책임성을 명확히 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표준화된 절차의 마련, 독립적인 감독 기관 설립, 경찰관의 책임성 강화, 시민 참여 확대 및 기술 인식 개 선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adoption of AI-based crime prediction and prevention systems enables more efficient personnel deployment and enhances crime prevention efforts in policing. Leveraging these efficiencies and functionalities, police organizations are evaluating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such systems. This reflects the expectation that integrating AI technology into policing could bring about a paradigm shift. However, discussions on the implications of AI-driven law enforcement for citizens are still in their infanc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risks associated with AI-based policing and propose strategies to mitigate these risks. This study primarily adopts a literature review approach. Given the limited research on AI in policing and the nascent stage of its adoption in law enforcement, a literature review provides a basis for in-depth analysis of concerns and policies surrounding AI-driven policing systems. The findings highlight several key challeng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AI-based policing technologies, including the degradation of data quality, systemic biases, lack of transparency and explainability, potential misuse of discretion and ambiguity in accountability, technological errors, and over-reliance on AI. Therefore, a systematic approach is essential to balance the benefits and risks of AI-driven policing technologies while ensuring accountability.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ized procedures, the creation of independent oversight bodies, the reinforcement of police accountability, the promo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improvement of public awareness regarding AI techn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