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오우크쇼트 정치이론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차미란 한국도덕교육학회 2007 道德敎育硏究 Vol.18 No.2

        Oakeshott's concepts of 'techn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in his political theory are used for exposing errors and mischiefs of Rationalism in politics, but his own view on the nature of politics is also based on those two concepts. According to his view, technical knowledge needs practical knowledge for its application as well as its acquisition in every concrete situation, therefore, the source and standard of political activity comes not from technical knowledge of general principles or ideologies but from practical knowledge of a tradition of political behavior. However, the question is that how a tradition of behavior can be justified as the ground and standard of political decisions in spite of its contingency and perishableness. The concept of 'metapraxis'ㅡthe validity of the practice which is pursuing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as the unmanifested standard can be established only by the practice itselfㅡgives a decisive cue for answering above question. Oakeshott's political theory, especially his concept of practical knowledge, as far as understood in the light of the idea of metapraxis, shows that political activity shares the same ideal and nature of practice with religious and educational activity aiming at the cultivation of the Mind-Nature. 오우크쇼트의 정치이론에서 기법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의 대비는 정치이념과 이데올로기를 앞세우는 합리주의의 오류와 폐단을 드러내는 데에 일차적 의도가 있지만, 또한 그 대비에는 정치활동의 성격에 관한 그 자신의 대안적 관점이 시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대안적 관점에 의하면, 기법적 지식은 그 획득뿐만 아니라 그 적용에 있어서도 반드시 실제적 지식이라는 기반을 필요로 하며, 정치활동의 원천과 기준은 기법적 지식의 내용으로서의 보편적 정치이념이나 원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 지식의 형태로 전수되는 정치행위의 전통에 있다. 그러나 한 사회의 정치적 행위전통에는 우연성과 가변성이 불가피하게 수반된다는 점에서, 행위전통을 기준으로 삼는 정치활동의 정당성을 어떻게 확립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 제기된다. ‘메타프락시스’의 개념은 이 문제를 해명하는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오우크쇼트의 정치이론은, 메타프락시스의 아이디어와 일관되게 해석되는 한, 정치활동은 ‘표현 이전의 표준’으로서의 본성의 실현을 위한 실천이며 그 실천의 정당성은 오직 그 실천 자체에 의하여 확립된다는 것, 이 점에서 정치는 그 실천의 본래적 성격에 있어서 교육 또는 종교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유학의 경권론과 현대 도덕교육의 방향

        차미란 한국도덕교육학회 2009 道德敎育硏究 Vol.20 No.2

        Since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and the so called 'integrative approach' as the alternative to it, modern moral education has been in the stalemate between 'development of form' and 'discipline of virtues', in the same line, the dilemma between the university of moral principle and the particularity of actual moral situation. In Jing-Quan Lun (經權論) of Confucianists, the contradiction between Han scholars and Ch'eng I on the relation of Jing and Quan shows clearly the dilemma between the request for establishment of absolute priniciple and the need for flexible judgement in actual situation, and Chu Hsi tried to eliminate that dilemma. According to Jing-Quan Lun in the light of the Neo-Confucianist way of thinking, Jing is not confined to manifestation of Tao(道) in normal situation but identical with Tao itself as the unmanifested moral standard, and Quan is considered as its practical manifestation in actual situation. Thus, Neo-Confucian moral education aims at the cultivation of the unmanifested mind and natural manifestation of Jing in every actual situation. Here, the two poles of above dilemma are placed in the two fold structure of mind and this provides an example of true integration of form and content of morality. The right path of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can be found in this. 콜버그의 인지발달적 접근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적 접근’이 등장하였지만, 현대의 도덕교육은 도덕적 원리의 보편성과 현실적 상황의 특수성, 또는 자율적 판단력의 발달과 관례적 덕목의 실천 사이의 딜레마를 해결하지 못한 채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유학의 경권론에서 경과 권의 관계에 관한 한유와 정이 사이의 상반된 견해는 도덕적 표준의 절대성을 확립하는 것과 현실의 도덕생활의 복잡성을 인정하는 것 사이의 딜레마를 선명하게 드러내며, 주희의 경권론은 그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희의 그 방법이 진정한 해결이 되기 위해서는 성리학의 이론체계와 일관된 방향으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 재해석에 따르면, ‘경’은 도의 정상적 표현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도 그 자체, 즉 현실의 사태로 표현되기 이전의 도덕의 표준이며, ‘권’은 현실의 사태에서의 경의 실천적 표현이다. 성리학의 관점에서 도덕교육은 미발의 표준으로서의 심성을 함양함으로써 ‘경’과 일관된 ‘권’이 자연적으로 실천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심성의 함양과 경권의 실천을 위한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원리와 현실적 상황은 딜레마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미발의 표준과 그 실천적 표현이라는 ‘중층’의 방식으로 ‘통합’을 이룬다. 현대 도덕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 또한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예술과 도덕: 오우크쇼트 ‘시적 상상’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

        차미란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2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in education can be discussed in two different ways. Art and morality as educational contents are placed on equal level in education, and in this 'horizontal' way, moral education is one of various modes of education as much as ar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oncern for moral cultivation through art or art education, morality or moral education refers to an ultimate aim of education pursued in all educational endeavors including art education. This way of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in education can be called 'vertical' relation as a parallel to the 'horizontal' one. According to Oakeshott, the unique voice of art in the conversation of mankind comes from 'poetic imagination' which he defines in terms of contemplation and delight, so the voice of poetry as one autonomous mode of activity and utterance should not be confused with or controlled by the voice of practical life whose imagination is under moral approval and disapproval. Thus, Oakeshott's aesthetic theory, as long as it emphasizes the horizontal relation of art and morality and denies the vertical relation of them, neither assents to Plato's warning of art's evil influences on moral education nor agrees to Shiller's proposal of social progress through aesthetic education of man. However, those three different views on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need to be theoretically integrated in the light of Kant's concept of imagination in his philosophy which supposes morality as absolute standard of transcendental dimension. This integrative interpretation will be able to be completed only by the metapractical theory of education which elucidates both possibility and danger of moral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교육학적 관점에서 예술과 도덕의 관계는 ‘수평적 관련’과 ‘수직적 관련’이라는 두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논의될 수 있다. 예술과 도덕의 수평적 관련에서 예술과 도덕은 교육내용의 상이한 양상으로서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며, 예술교육과 도덕교육은 교육내용의 차이에 의하여 구분되는 교육의 상이한 양태를 지칭한다. 이와는 달리, 예술을 통한 도덕교육의 가능성에 관심을 두는 경우에 도덕 또는 도덕교육은 교육내용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교육에서 추구되는 목적 또는 이상적 기준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 예술교육과 도덕교육은 수직적 관련 방식을 맺게 된다. 예술의 고유한 성격을 ‘시적 상상’으로 규정하고 그 특징을 ‘관조’와 ‘희열’에서 찾는 오우크쇼트의 견해는 예술과 도덕의 수평적 관련 방식은 지지하지만 수직적 관련 방식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예술과 도덕의 대화적 공존 관계를 중요시하는 오우크쇼트의 이론은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예술의 폐해와 위험성을 경계하는 플라톤의 이론, 예술을 통한 개인의 인격 완성과 사회의 개혁을 주장하는 쉴러의 이론과 나란히, 예술과 도덕의 수직적 관련 문제에 대한 세 가지 서로 다른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세 입장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일관되게 해석될 필요가 있으며, 그 해석의 방향은 상상력의 성격과 의의에 관한 칸트 선험철학의 논의를 따라서, 현상적 차원의 예술이 선험적 차원의 도덕을 실현할 가능성을 확립하는 것에서 찾아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