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학묵이라는 에이전시-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신설을 둘러싼 미국 발 원조의 회로-

        공임순 ( Kong Im-so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글은 김학묵을 매개로 한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신설을 미국 발 원조의 회로에 기대어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이 다루고자 하는 대상은 스탠퍼드대 후버아카이브에 소장된 아시아재단 컬렉션의 일부인 이른바 ‘김학묵’ 파일이다. 2010년에 이르러서야 일반에게 공개되기 시작한 아시아재단 컬렉션은 한국전쟁을 거치며 본격화된 미국 발 원조의 회로를 이해하고 규명할 단서를 제공한다. 박동찬의 논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군사적 목적에 입각한 비대칭적인 원조 체계는 대한민국의 탈(脫)식민 국가 기획과 맞물린 여타 분야의 소외와 지체를 낳았고, 이것은 적어도 한국전쟁 전까지 해소되지 않았다. 특히 탈(脫)식민 국가 기획의 장기적인 비전과 직결된 교육과 문화 부문에 대한 상대적인 인식 부재와 외면은 많은 문화·지식인들의 북한행 엑서더스로 귀결됨으로써 이러한 비대칭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한국전쟁은 이러한 비대칭적 원조 체계를 전적으로 해소시키지는 못했다고 할지라도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교육과 문화 부문의 원조 체계를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이 일련의 흐름 속에 이른바 ‘김학묵’ 파일도 자리하고 있다 할 것이다. 이른바 ‘김학묵’ 파일은 스탠퍼드대 후버아카이브의 아시아재단 컬렉션 중 Korea Individuals, Kim Hak Mook(Social Work), Box P-59로 철해진 서류(문서)철을 가리킨다. 이 파일의 존재는 필자가 서울대학교 현 사회복지학과(이전 사회사업학과) 홈페이지와 학과사무실 문의 및 창과 50주년을 맞아 편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50년사』를 두루 살펴본 결과 존 키드나이(John C. Kidneigh) 보고서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언급을 찾지 못했다는 점에서, 조심스럽긴 하지만 한국에서 처음 소개되는 자료가 아닐까 싶다. 이른바 ‘김학묵’ 파일은 1954년 미국의 공적 원조에 힘입어 추진된 서울대학교의 ‘미네소타 프로젝트’와 별개의 원조 회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카바(KAVA:외국민간원조단체연합회)의 민간원조는 당면한 필요에 치중된 응용학문 중심의 공적 원조를 보완하고 대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 신설은 바로 이 카바 소속의 유니테리언봉사회의 주도 아래 한미재단의 재정 지원이 결합되어 유럽을 비롯해 여타 아시아 신생국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소위 최고학부의 공식 학과로 자리잡게 되는 지역적 냉전의 특수성을 드러내게 된다.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가 신설되기까지 유니테리언봉사회(USC)-한미재단(AKF)-미네소타대학-아시아재단의 제반 민간원조기구들과 존 키드나이-헬렌 포그-커티스 히치콕-이선근-박술음-최규남-데이비드 스타인버그-김학묵-하상락-백근칠은 미국 발 원조의 에이전시들로 기능하며, 한국사회가 피(被)원조사회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 여기에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 창립 주역이기도 한 김학묵이라는 특정 개인의 행적은 식민지시기부터 미군정 및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로 이어진 한국사회의 관료 시스템을 또한 예시하고 있으며, 한국사회의 학제와 행정 및 전문기술관료(테크노크라트)와 사회사업(복지)이 맞물린 냉전문화와 지식의 순환과 유통의 양상을 재성찰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is paper uses Kim Hak Mook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cial Work Department in relation to the circuit of US-originated aid. For this reason, this paper’s object of study is the Stanford Hoover Archive’s Kim Hak Mook File. The Asian Foundation collection which has been open to the general public since 2010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ing and identifying the circuit of US-originated aid through the Korean War. As Charles Armstrong has noted, an asymmetrical support structure based on military aims bred alienation and delays in other areas interlinked with the de-colonization project of South Korea that remained unresolved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Armstrong points out that because the dismissal and considerabl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sectors of education and culture directly related to the long-term vision of the national de-colonization project concluded with the mass exodus of literati and intellectuals for North Korea. Although the Korean War did not completely eliminate this asymmetric aid system, it strengthened the aid system of the education and cultural sector which was relatively alienated,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is said to have been located in this series of flows.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refers to the documents and papers compiled in “Korea Individuals, Kim Hak-Mook(SocialWork), Box P-59” included in the Asia Foundation collection of the Stanford Hoover Archives. After closely surveying the question and answer section of the current SNU Social Welfare Department and office website and 『The Fifty-year History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cial Welfare Department』, I would like to tentatively suggest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other than the John C. Kidneigh Re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that runs throughout the so-called ‘Kim Hak Mook’ File was set in motion by a different circuit of support, Kava’s civilian assistance has complemented and replaced public aid centering on applied studies for immediate needs. The series of proceedings leading up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compels us to retrace this specific circuit of support, in other words, the various contacts and exchanges that took place between institutions including a Christian organization by the name of Unitarian Service Committee(USC), the American-Korean Foundation(AK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nd the Asia Foundation as well as between individuals like John C. Kidneigh, Helen Fogg, Curtice Hitchcock, Lee Sun Keun, Park Solemn, Choi Kyu Nam, David I. Steinberg, and Kim Hak Mook, Ha Sang-nak, Paik Kŭn-chil. This kind of support circuit network exemplifies the “Cold War culture”, originating from the US, that impacted Korea’s education and culture. This paper reconstructs the complicated and varied circuits of support that surrounded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investigating the dynamic power relationships of these agencies.

      • KCI등재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 긍정심리자본 및 학교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김미경 ( Kim Mi-kyung ),최은수 ( Choi Eun-so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 긍정심리자본, 학교충성도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인천, 경기지역의 일곱 개의 전문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780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모델의 통계적 검정을 위해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학교충성도에 직접적인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학교충성도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학습조직 문화와 전공학과몰입을 매개로 하여 긍정심리자본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대학 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전공학과몰입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학습조직문화를 매개로 전공학과몰입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학습조직문화에 정(+)의 직접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전문대학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학생의 학교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생의 학습조직문화, 전공학과몰입, 긍정심리자본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전문대학의 바람직한 인재개발과 학습조직문화의 형성 등 대학의 폭넓은 발전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교수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and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oyalty to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ha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The first question was whether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an effect on loyalty to school. The second one was whether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have an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third one was whether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and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have an effect on student's commitment to major. The fourth one was whether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s an effect on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es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obtained from a survey of 780 juni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drawn from junior colleges located in Kyunggi-do and Incheon. To test hypotheses and the validity of the entir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conducted using AMOS 18.0, as well as SPSS 18.0 software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oyalty to school and had an indirect effect shown through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student's commitment to major departmen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jor commi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shown through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Fourth,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development was important for an effective development of loyalty to school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Second, student's commitment to major was proven to be important to develop loyalty to school and the relationship can be enhanced when junior college professor'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is preceded.

      •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이러닝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명제 ( Liu Mingdi ),이지연 ( Lee Ji-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중국대학생들의 이러닝 사용의도 및 사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러닝 수강경험이 있는 중국대학생 354명(중국에서 대학교를 다니는 대학생 231명, 한국에서 대학교를 다니는 중국 유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SPSS20.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차이검정을 실시하였고 AMOS20.0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의 신뢰도와 타당도, 구조모형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직접 효과에 대해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개인의 혁신성은 중국대학생의 이러닝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력기대, 촉진조건은 사용의도에 통계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중국대학생의 이러닝에 대한 사용의도는 사용행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대학교에서 이러닝을 확산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수용요인을 규명하였으므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러닝 수업 설계 시 효과적인 교수 설계 전략과 학습 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identify major factors affecting Chinese college students` e-learning acceptance, the study proposed an expanded and revised model of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UTAUT) and analyzed survey data from 354 participants. Some important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 personal innovativeness,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with acceptable model fits. Thus the measurement model in this study is satisfactory and suits the collected data. Second, performance expectation, social influence and personal innovativen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 factors of behavioral intention to use e-learning, but effort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 factors. Third, the survey participants` geographic loc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on effort expectation and personal innovative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order to raise the students` use behavior of e-learning it is important to improve students` intention to use e-learning. And to find ways to raise the performance expectation, social influence, personal innovativeness will be helpful for chinese e-learning diffusion.

      • KCI등재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자아개념, 셀프리더십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임신웅,이병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e,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college student.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confirm whether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ultural competenc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measured cultural competence,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318 out of total 6366 college student enrolled in S-university located in ○○-city, Jeollanam-do. For data analysis, SPSS 25.0 and AMOS 25.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data and then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in emotional regulation, a sub-factor of cultural competence, and behavioral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And in the grad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ultural competence, self-leadership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level according to gender. Second, although the cultur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which are mediating factors, were completely mediated. Thir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appeared lar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ultural competenc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cultural competence and the intervention of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should be made fo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to college life, and it suggests that differentiated guida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and grade is necessary. 이 연구는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자아개념, 셀프리더십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나아가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개념과 셀프리더십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지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남 00시에 소재한 S대학 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역량, 자아개념,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 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과 AMOS 25.0 통계 프로그램을활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자료를 파악한 후에 각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인 감정조절과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전략에서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서는 성별에 따라 문화적 역량,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대학생활적응에는 직접적인 영향을미치지 않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개념과 셀프리더십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문화적 역량의 향상과 자아개념 및 셀프 리더십의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성별과학년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지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독일 기술전문대학의 듀얼 교육체제 발달 연구 및 시사점

        박성희 ( Park Seong-hie ),권양이 ( Kwon Yangy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연구 문제는 고급기술인력 양성에 성공한 독일 기술전문대학의 듀얼 교육체제 발달과정을 고찰하여 국내 전문대학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있다. 독일 기술전문대학은 1999년 Bologna 프로세스와 2002년 Copenhagen 선언으로 직업교육 및 훈련이 중시되자, 고등직업교육 체제 재정비 일환으로 ‘응용과학대학’으로 교명을 변경, 격상되었다. 독일 기술전문대학은 2009년부터 모두를 위한 대학교육 기회 보장을 목적으로 평생직업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직업훈련통합형 듀얼 교육과정의 정착에 매진하고 있다. 연구결과 독일 기술전문대학 듀얼 교육체제 발달은 첫째, 듀얼 교육과정은 미래사회의 창조적, 융복합형 역량을 갖춘 인재 육성을 목적으로 기업이 사회적 책무성을 가지고 현장 수요를 반영하여 주 정부와 관민의 긴밀한 협동을 통해 교육훈련의 질을 높이고 있다. 둘째, 국가경쟁력 및 모든 성인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학사, 석사, 박사학위 제도를 정비, 학위취득을 지원, 전 생애에 걸친 평생직업교육 체제 구축에 성공했다. 셋째, 직업훈련통합형, 직업통합형, 실습통합형 등 3가지 듀얼 교육과정을 통해 성적 우수자 및 앙가지망을 가진 인재 확보에 노력하고,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을 둔 연구 및 실제 현장실습을 통해 고급전문기술인 양성에 주력, 교육과 고용 간 연계시스템 구축으로 학습자의 노동시장 이행을 원활히 지원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므로 우리나라도 전문대학의 교육 연한 연장, 성적우수자들의 입학 유인 및 취업과 고용 간 연계성 향상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전문대학이 성인근로자의 재취업과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지원하는 산실이 되도록 평생직업교육체제 전환을 제언해 본다. The research question lies in the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the dual curriculum of the Germa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and the implications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The recent trends of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dual curriculum enhances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s through close collaboration by reflecting on-the-spot demand with the company's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alented individuals with creative and convergence capabilities of the future society. Second, a bachelor's, master's, and doctoral degree system was established to support the acquisition of a degre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all adult workers and to establish a basic framework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throughout life. Third, German Fachhochschule strives to secure talented individuals with excellent grades and enthusiasm through the vocational training integrated type, vocational integrated type, and practical integrated type of dual curriculum that are built on project based research and on the job training which lead to the successful employment in the labor market. In a situation where global competitiveness is intensifying, we suggest that Korea also reorganizes Procollege curriculum, increases the length of the curriculum, attracts high-ranking students through employment and employment linkage by which Procolleges support adult workers' re-employment and development of lifelong vocational skills.

      • KCI등재

        학생에게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끼친 교사지도성 유형에 대한 탐색 -인하대학교 교사지도성 발표 과제 사례 중심으로-

        고광혁 ( Ko Kwang-hy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4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에서 교사지도성 발표 과제 사례를 중심으로 현재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교사와 학생의 다양한 교육 갈등 문제들에 대하여 해결 방안을 교사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학생의 입장에서 실제적으로 경험한 다양한 교사들의 교육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 지도성의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에게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끼친 교사지도성의 유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을 위해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학생들과 교육대학원생들이 교사지도성 사례 발표 과제로 제출한 자료를 활용하여 교사지도성의 유형을 탐색해 보았다. 그래서 학생에게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끼친 교사지도성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탐색하게 되었다. 첫째, 학생에게 긍정적 영향을 끼친 교사지도성 유형은 학생의 생활지도와 학습지도 발휘 영역에서, 그리고 교사의 도덕성(인성) 관련 사례 분석에서 고르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친 교사지도성 유형은 학생의 학습지도 관련 발휘 영역 사례 보다는 교사의 도덕성(인성)과 학생의 생활지도 관련 발휘 영역의 사례 분석에서 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학생이 교사지도성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받은 시기는 초등학교 보다 중학교에서 그보다 고등학교 시절에 더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지도성의 긍정적 영향이나 부정적 영향을 끼친 주체가 누군지에 대한 분석은 담임교사가 교과 선생님이 끼친 영향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Currently, there are numerous and various conflict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researching how teacher`s leadership can give positive effect or negative effect to the student in student`s perspective. Teacher`s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in Inha University helped the research about the teacher`s different styles of leaderships throughout their reports and shared vivid experiences. Studying these students` reports about the effect of teacher`s leadership, the analysis draws the four main patterns of teacher`s leadership. First, the teacher`s leadership, which gives positive effect to students, finds in the three areas: the guidance of learning, the guidance of a life, and teacher`s morality. Second, the teacher`s leadership that gives negative effect to students finds in the two areas: the guidance of life and teacher`s morality. Third, students have faced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teacher`s leadership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for the most. Finally, students experience the positive effect or negative effect on the teacher’s leadership from a teacher in charge more than from subject teachers.

      • KCI등재

        평양의 기독교 공동체와 숭실전문학교의 과학기술 교육-기계창과 과학기술 관련 학과 설립 시도를 중심으로-

        오선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4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Soongsil College, which adheres to the evangelical doctrine, implemented a Christian community centered on Pyongyang, an area well-infused with Christian culture, and made an effort to supply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by the community for that purpose. Soongsil College, which envisioned an independent Christian education system that encompasses a wide area in the northwestern part of Pyongyang, allowed admission only to Christian believers, and gave a lot of weight to Christian doctrine and liberal arts essential for seminary admission. As it is operated by sponsorship and support to the local community, it was intended to provide the knowledge, education, and training required by the local community. In particular, Soongsil College built and operated “Anna Davis Industrial Shop” from the beginning of its establishment to educate students on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help students become self-reliant through technical work. As an affiliated institution that best meets the founding purpose of Soongsil College, which is to nurture hardworking and sincere Christians, it has taken an important part in the school operation and curriculum establishment process. In additi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that Soongsil College envisioned while attempting to establish a science department in the 1920s and 1930s was in fact specialized in the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which w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needed for Pyongyang to grow into a central industrial area in the northwest region. Eventu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Science department was canceled due to the refusal of the Colonial government, who had been reluctant to teach science and technology in colonial Korea. But as the direction was shifted to agriculture and establishment, Soongsil College was able to meet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이 연구는 근대전환기 근본주의 교리를 고수하며 평양이라는 기독교 문화가 잘 베어든 지역에서 기독교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했던 북장로교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기독교대학, 숭실전문학교에서 이뤄진 과학기술 교육의 내용과 의의를 추적한다. 서북지역을 넓게 포괄하는 독자적인 기독교교육체계를 구상한 숭실대학은 기독교 신자들에 한정해 입학을 허용하고 신학교 입학에 필수적인 기독교교리와 자유학예에 많은 비중을 두었지만, 지역사회에 후원과 지원에 의해 운영되는 만큼 지역이 요구하는 지식과 교육, 훈련을 제공하고자 했다. 특히 숭실대학은 설립 초기부터 기계창을 함께 건립해 운영해 학생들에게 기술을 교육함과 동시에 학생들이 기술 근로를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기계창은 근면하고 성실한 기독교인을 기른다는 숭실대학의 설립 취지에 가장 잘 부합하는 부설 기관으로 이후 학교 운영 및 커리큘럼의 정립 과정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무엇보다 기계창은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담당했는데, 기계창에서 공급하는 단조, 주물, 유리, 철공 등은 서구사회에서는 이미 오래된 기술들로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당시 평양에 꼭 필요한 기술들로 지역사회가 유학비를 지원해서라도 학생들을 유학 보내 시급히 배워야 하는 기술들로 지목한 것들과 정확히 일치했다. 또한 1920~30년대 이학과 설립을 시도하며 숭실대학이 구상한 과학기술 교육은 사실 화학공학 분야에 특화된 것이었다. 이는 평양이 서북지역의 중심 산업지역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과학기술 지식이었다. 결국 식민지 조선에서 과학기술 교육을 저어하던 총독부가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이학과 설립은 무산되었지만, 농학과 설립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숭실대학은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었다.

      • 독일 대학평가의 방법론 연구 - '슈피겔'지와 '독일대학센터'의 조사를 중심으로 -

        오영훈 ( Oh Young Hun ),김영순 ( Kim Young S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문화연구 Vol.13 No.2

        독일의 연구기관에서 몇 년 전부터 독일대학의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그것을 근거로 본 연구는 독일대학의 순위를 결정짓는 주요요인과 평가방식 등 여러 가지 기준점들을 논하고자 한다. 독일의 대표적인 시시주간지 슈피겔이 최신조사 기법을 통해 조사, 발표한 대학순위는 독일대학이 평준화되었다는 주장을 뒤엎는 사건으로 독일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학 간 경쟁을 중시하는 영미권 대학과는 달리 독일대학제도는 평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슈피겔의 순위발표는 소수의 엘리트대학이 독일대학에서도 엄연히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슈피겔은 2004년 4월부터 7월 말까지 38만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중 8만여 명의 대답을 바탕으로 15개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5만여 명의 상세한 신상자료를 확보한 다음, 엘리트그룹에 속하는 학생들을 분류하였다. 슈피겔지는 엘리트 학생들이 어느 대학에서 많이 공부하고 있는지를 조사해 순위를 매겼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학교시설, 교수들의 논문발표, 연구 환경 등을 평가기준으로 하는 전통적인 조사방식과는 달리 세계적인 컨설팅회사인 맥킨지와 인터넷 그룹 AOL과 힘께 5만여 명의 독일대학생들에 대한 인터넷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법을 활용하였다. 대학발전센터(Centrum fur Hochschulentwicklung)는 1998년부터 해마다 독일대학순위를 조사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는 독일대학순위를 시사주간지 〈슈테른〉과 공동으로, 2005부터는 주간지 〈디 차이트〉와 협력하여 발표하였다. 대학발전센터는 대학신입생과 대학편입생에게 대학의 전공영역에서 입학가능성과 입학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려는 의도로 대학순위를 발표하였다. 그래서 대학평가는 대학입학의 투명성과 대학능력의 투명성을 한 눈에 개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강의내용에 강조점을 두거나 새로운 강좌를 만들어서 특별하게 홍보하고 싶은 학과들에게 독특한 이미지를 강조한다. In der vorligenden Arbeit wird versucht, das 'CHE-HochschulRanking' und 'Spiegel-HochschulRanking' zu vergleichen. Mit Hilfe des Spiegel-HochschulRankings soli herausgefunden werden, an welchen Universitaten die Besten studieren. Die Studie verfolgt den Ansatz, die Diskussion urn Elitehochschulen mit einem Fokus auf die Studierenden zu beleuchten. Das CHE-HochschulRanking ist das umfassendste und detaillierteste Ranking deutschsprachiger Universitaten und Fachhochschulen. Es richtet sich vor allem an Studienanfanger und Studierende, hat sich auch an den Hochschulen als fair, informativ und qualifiziert durchgesetzt. Das CHE-HochschulRanking ist strikt fachbezogen. Es erfolgt kein Vergleich ganzer Hochschulen uber Facher hinweg. Dem liegt die Einsicht zugrunde, dass es die beste Hochschule nicht gibt. Es ist mehrdimensional. Das bedeutet, innerhalb eines Faches wird kein Gesamtwert aus irgendwie gewichteten Einzelindikatoren gebildet. Auch innerhalb eines Faches weisen die Hochschulen sehr spezifische Starken und Schwachen auf (z. B. im Lehrangebot, der Betreuung, der Ausstattung). Es zeichnet ein Bild der Hochschulen aus verschiedenen Perspektiven. Neben den Fakten zu den Fachbereichen und Studiengangen flieβen die Perspektiven der Hochschullehrer und der Studierenden in das Ranking ein. Damit entsteht ein differenzierteres Bild als in Rankings, die nur auf der Befragung einer Personengruppe (z. B. nur Studierende, nur Personalchefs) beruhen und so lassen sich subjektive Einschatzungen und objektive Indikatoren kontrastieren. Es weist den Hochschulen keine einzelnen Rangplatze zu, sondern ordnet sie drei Ranggruppen zu: einer Spitzen-, einer Mittel- und einer Schlussgruppe. Damit wird vermieden, dass minimale Unterschiede im Zahlenwert eines Indikators als Leistungs- und Qualitatsunterschiede fehlinterpretiert werden.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大學修學能力試驗)의 타당도(妥當度) 분석(分析)

        박영신 ( Park Young-sh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995 교육문화연구 Vol.1 No.-

        1994학년도에 처음 시행한 새 대입제도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세 요소 중에서 수능시험의 타당도를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수능시험의 예언타당도, 공인타당도, 요인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예언타당도 분석을 위한 표집대상은 1994년도 I 대학 입학생 3,910명이었으며, 공인타당도와 구인타당도는 1993학년도 I 고등학교 3학년 367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능시험은 예언타당도가 있다는 결론이 가능하다. 그러나 내신 성적이 훨씬 예언타당도가 높으며, 대학의 전공계열에 따라 수능시험의 각 영역별 예언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수능시험이 고등학교 내신성적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임으로써,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셋째, 요인분석 결과, 고등학교의 과목별 성적과 수능시험 영역별 성적이 하나의 ‘학력’요인으로 나타남으로써, 수능시험의 요인타당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능시험을 어떠한 방향으로 제작,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논의하였다. ① 수능시험의 개념 정의에 적합한 양호한 문항을 제작해야 한다. ② 전공계열 또는 학과의 특성에 따라 수능시험의 영역별 반영비율을 조정하고 수능성적을 다양하게 활용해야 한다. ③ 수리탐구영역의 성적을 세분화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④ 입학시험의 예언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수능시험 뿐만아니라 다양한 평가방법들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대학성적의 설명변량이 높은 고교내신성적 반영율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validity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one of the thre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new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enacted in 1994.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predictive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factorial validity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As regards sampling, the predictive valid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performances of 3,910 freshmen students at “I” University in 1994. while the factorial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analyzed based in the performances of 367 third-year students at “I” High school in 1993.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conclusion can be made that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does have predictive validity. The students’ high school grades, however, were found to have much greater predictive valid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ability of each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to predict future student performance varied from department to department within the university. Second;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was confirmed as it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high school grades. Thir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high school grades and grade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were the same factor, calling into question the constuct validity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rawn. First,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should include good items which can appropriately serve its construct. Second, the grade scored on each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an appropriate mann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or each major. Third, the “mathematical and inquiry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would rather be devided into subsections. And fourth, to improve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entrance examination, various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It is necessary, for example, the greater weight be imparted to the high school grades as they most accurately predict future performance in college.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 비교 연구

        조남현 ( Cho¸ Nam Hyun ),이선미 ( Lee¸ Seon M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입학한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근거로 독서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필요와 특성에 맞는 독서교육을 위해 독서 실태 조사를 하였다. 먼저, 한국 대학생들 52명과 재외국민 대학생들 49명을 선정하였고, 독서의 유익에 대한 인식, 독서량에 대한 만족도, 독서 시간, 독서 빈도, 독서량, 많이 읽는 도서 종류에 대해 설문을 하였다. 그리고 모든 항목들에 대한 교차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두 그룹 모두 독서에 대한 동기부여는 잘 되어 있었으나, 독서에 대한 실천력이 약했다. 둘째, 책을 몇 달에 한 번 읽거나, 전혀 읽지 않은 학생들이 한국 대학생들 중 26.9%, 재외국민 대학생들 중 30.6%나 되어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두 그룹 모두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독서 시간과 독서량은 재외국민 대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 대학생들은 국내 대학이 추천하는 도서목록과 부합하는 독서를 하고 있었고, 재외국민 대학생들은 그렇지 못해 이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독서 교육에 필요한 독서 실태에 대한 실증 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reading education for Korean an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ntered domestic universiti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is. First, 52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49 overseas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awareness of the benefits of reading, satisfaction with reading volume, reading time, frequency of reading, and type of books they read a lot. And we did a cross analysis of all the item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of all, both groups had good motivation for reading, but their practice of reading was weak. Second, students who read a book once a few months or never read a book accounted for 26.9%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30.6% of overseas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dicating that both groups needed attention and guidance on non-readers. Third, the reading time and volume were found to be high among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but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reading in line with the list of books recommended by domestic universities, an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were not, indicating that guidance wa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