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정희,윤대환,나창수,유충열,윤여충,조명래,Jung, Jung-hee,Yun, Dae-whan,Na, Chang-su,Ryu, Choong-ryul,Yun, Yeo-chung,Cho, Myung-rae 대한침구의학회 2004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1 No.1
Objective: We have studied to know effects of acupuncture at SI3, BL40, SI3 BL40 on mechnical allodynia, cold allodynia and c-fos protein expression in a model of neuropathic pain of rat. Methods: A model of neuropathic pain was made by injuring tibial nerve and sural nerve while common peroneal nerve was maintained. after 2 weeks, we performed behavioral tests for 7 days to try out mechnical allodynia using von frey filament and cold allodynia using acetone, which are calculated by counting withdrawal response on foot. Rat brains removed and sliced on 8th days. Serial sections were immunohistochemically reacted with polyclonal c-fos antibody. The numbers of c-Fos protein 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central gray were examined using scion image program. Results: Mechanical allodynia in the SI3, BL40, SI3 BL40 groups were diminish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ld allodynia in the SI3, BL40, SI3 BL40 groups were diminish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Fos protein expression on the central gray in the SI3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We have noticed that acupuncture at SI3, BL40, SI3 BL40 diminished mechanical allodynia and cold allodynia in a model of neuropathic pai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 Fos protein expression in the central gray of that group was also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ain control using acupunture was accumulated as time goes b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on a study and a treatment of pain.
유치원 현장학습 실태 및 교사인식 조사: 대구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정정희,손지향,강원희,강두례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현장학습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현장학습이 진정한 교육적 목적에 의해 계획, 실행, 평가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에 소재한 유아교 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49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이를 SPSS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또한 설문에 응한 교사 중 면담참여 의사를 밝힌 7개원 24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현장학습의 계획, 준비 및 실행에 대하여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변인(경력, 학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유아교육기관변인(학급규모, 담당학급연령, 교원인력현황)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아교육기관 및 교사의 특성에 따라 실행방법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맥락 안에서 무엇을 볼 것인지, 무엇을 경험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궁금증을 해결할 것인지에 대하여 사전준비가 충실히 이루어졌을 때에 더욱 효과적인 현장학습을 실현할 수 있으며 특히,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방식으로 현장학습이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다양한 유아에게 적합한 보육실천 현황 및 발전방안 : 장애유아, 다문화유아, 영아 및 시간연장필요 유아
정정희,최효정,배재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2
'스콜라' 이용 시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7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pluralistic society, the needs of educare are also more diversified interms of educar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lti-cultural background, infant-toddlers, andchildren who need time extended care. Recently, as the interest in these vulnerable areas isincreased, providing quality child-care services have become more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investigated the statuses, issues, research trends and suggeste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childcare services for disabilities, multi-cultural, infant care, and time extended care. Implications andsuggestions for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development in the future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집에서의 다양한 유아를 위한 보육(장애아보육, 다문화가정 유아보육,영아보육, 시간연장형보육)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아 보육과 통합보육 및 다문화가정 보육과 영아 보육의 현황 및 정책과 이에 따른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본 후, 문제점 및 개선점을 제시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초자료 제공 및 관련 논의를 통해 장애아 보육과 특수보육 등의 다양한 보육 대상자를 위한 포괄적 서비스 제공을 도모함으로써 보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정정희,윤미승,서봉언,홍희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幼兒 敎育學論集 Vol.18 No.6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n teaching efficacy resulting from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arly-childhood education teachers.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97 effect sizes from 44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1.330 (U3=91), which represented a large effect according to Cohen’s standard. Such a result means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efficacy. Second, from meta-ANOVA analysis of teaching efficacy types, there was no discernible difference betwee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The effects were consistent across both types. Third, the extent to which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eaching efficacy among early-childhood educators was most evident in science teaching, followed by multicultural studies teaching, mathematics teaching, and student-teaching. In particular, the effect size for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was generally smaller than in other subjects because most early-childhood teachers were female who reportedly suffered limitations in developing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Fourth, meta-ANOVA analysis using program participants as a moderator showed that in-service teachers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pre-service teachers. For both of them, however, the programs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helped them improve their teaching efficacy, but the programs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teachers’ needs.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2005년부터 2014년 2월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교사효능감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개별 연구의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는 것이다. 메타분석을 위해 연구자가 설정한 일련의 기준에 따라 44편의 연구를 설정하고, 이들 연구에서 97개의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97개의 효과크기로부터 계산한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341(p<.001)로 나타나 교사효능감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변인으로 일반적 교수효능감(결과기대)과 개인적 교수효능감(개인효능), 기타(자신감, 자기조절, 과제난이도)에서도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효능감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의 질이 향상됨으로 인해 교육의 질 또한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예비유아교사보다 현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나, 교육대상자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을 계획할 때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 맞는 교사교육을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