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수산의 원폭문학 『까마귀』(2003)와 나가사키의 원폭 피해자

        이행선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71

        This article is about to examine the issue of the Korean atomic bomb victims in Crow(2003). After Roh Tae-woo took office, the key point in dealing with the post-war situ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as the legal status of the Japanese. It was in the summer of 1990 that Han Su-San also met a third-generation Japanese citizen in 1989 to investigate the issue and became interested in the issue of Korean atomic bomb victims. He became concerned in conscription as he met the <Nagasaki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Korean Human Rights>. The author began going spot coverage in 1990 and investigated several times the submarine coal mine Hashima, called Hell Island, and the dormitory of the conscripts and included testimonies of the victims. In this context, Crow was associated with the problem of atomic bomb victims and conscription. Crow is a fictional form of fiction, but it is a historical record and interpretation of conscription, atomic bombing, and victims of an atomic air raid. In short, article seek to reveal what strategies and contents Han Su-San organized for socializing the atomic bomb problem and for public memory. 이 글은 한국인 원폭 피해자 문제를 다룬 한수산의『까마귀』(2003)를 고찰하고자 한다. 노태우 대통령 취임 후 한일 전후처리 문제에서 핵심은 재일한인의 법적 지위 문제였다. 한수산도 이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1989년 재일한인 3세를 만났고 한국인 피폭자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나가사키를 찾게 된것은 1990년 여름이었다. 그는 여기서 ‘나가사키 조선인의 인권을 지키는 회’ 를 만난 것이 계기가 되어 징용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작가는 1990년부터현지 취재를 시작해 지옥섬이라 불린 해저탄광 하시마(端島)와 징용자의 기숙사 등을 수차례 조사하고 피폭자 증언을 담았다. 이런 맥락에서 『까마귀』 는 원폭 피해자 문제에 징용자가 결부되었다. 『까마귀』는 소설이라는 허구의 형식이지만 징용, 원폭투하와 피폭자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자 해석이다. 요컨대 본고는 이 국면에서 한수산이 원폭문제의 사회화와 공적기억화를 위해 어떠한 전략과 내용으로 『까마귀』를 구성했는지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 KCI등재

        한국전쟁, 전쟁수기와 전시의 정치

        이행선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6 No.-

        The Korean War what was it to us? This is like asking a figure of the overall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Here’s existing oral study is a considerable contributions. However, Oral history is limited in that the subsequent recording. Memory itself is not history. Created memory is important, but ‘contemporary’ is more important than tha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it must come off from the point of view overlooking the Korean War in the “ideological war”. When the off-the-shelf conflict structure was defined only in ideological conflict, it is only just propaganda slogans and political frame of government is emphasized. In the blame, the entity of war society and everyday life, difficult to visualize. War memoirs tended which are considered only as “anti-communist books” so far. This is too unilaterally premise to made the conclusion the pow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ities and the public. It is not intended to publication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has been executed under the strict control and planning. In addition, instruction and oppression of government is not one-sided only to the people. We tend to simply cut the “politics” of the Korean War due that was overly emphasize the anticommunist. Public dissatisfaction that are threatened life and property is higher. National question against war responsibility wonder not at all exposed to for the suppression of government. So war politics and governance, would be simple? War memoirs may be a “recording testimony”. As the war progresses, matters that has emerged in the ‘social agenda and political concern’ reflects the major desire and interest in contemporary public over the safety and poverty. Here, governance of political leaders is also bound, it makes up a complex context. Therefore, it is classified separately from the time the war memoirs, the work of extracting the core agenda, it is an effective method to study and to restore the Korean War of contemporary people. Therefore, it is classified separately from the time the war memoirs, the work of extracting the core agenda, male effective way to life-saving and restoring the Korean War of contemporary people. 한국전쟁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이는 한국전쟁의 총체사, 총체적 경험의 지형도를 묻는 것과 다름없다. 여기에 기존의 구술사 연구는 상당한 기여를 해왔다. 하지만 구술사는 사후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기억 그 자체가 역사는 아니다. 만들어져온 기억만큼이나 ‘당대성’이 중요하다. 이 당대성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이데올로기 전쟁’으로 한국전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기성의 갈등구조가 이데올로기 대립으로만 구획될 때 정부의 선전구호와 정치프레임만이 부상될 뿐 일상인의 삶과 전시사회의 실체는 가시화되기 어렵다. 전쟁수기는 그동안 반공물로만 간주되어 왔다. 이것은 당국의 억압과 국민의 종속의 관계를 너무 일방적으로 전제하고 내려진 결론이다. 정부의 공보활동이 철저한 통제와 계획 아래 수행된 것도 아니고 정부의 억압과 지시가 국민에게 일방적인 것만은 아니다. 우리는 반공정치가 강화되고 전쟁 국면이었다는 이유로 전시 국면의‘정치’를 아주 단순하게 재단하는 경향이 있다. 생명과 재산을 위협받는 국민의 불만과 전쟁책임에 대한 의문이 정부의 억압 때문에 전혀 표출되지 못했을까. 그렇게 전시 정치와 국가의 통치성이 단순한 것이었을까. 전쟁수기는 ‘증언의 서사’라고 할 수 있다. 전쟁이 시작되고 진행되면서 사회의제와 정치현안으로 떠오른 사항들은 안전과 빈곤을 둘러싼 당대 국민의 주요한 욕망과 관심사를 반영한다. 여기에는 정치지도자의 통치술도 결합되어 복잡한 맥락을 구성한다. 따라서 전쟁수기를 시기별로 분류하고 핵심 의제를 추출하는 작업은 당대인의 한국전쟁을 복원하고 구명하는 유효한 방법이겠다.

      • KCI등재

        불편한 ‘말 걸기’와 편의점, 공감의 회복과 확산 -김호연, 『불편한 편의점』(2021)-

        이행선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7 No.-

        Kim Ho-yeon's novel Inconvenient Convenience Store was published in April 2021. This work is on a relationship in which Dokgo, a homeless man at Seoul Station, finds the wallet of a woman in her 70s, and the story unfolds when he starts a night part-time job at a convenience store run by her. The homeless man is a key figure in a moving narrative that positively influences and changes convenience stores and people. The time background is three months from November 2019 to the end of February 2020. What did the writer want to convey to the reader through convenience stores? The main character learns various aspects of life, joy and sorrow through TV with a homeless colleague after memory loss. Even in the era of individualism under neoliberalism, society has been "talking" to its members to make moral demands to help others in trouble. Individuals are living with the demands of expressing their obligations and putting pressure on them. As the main character, who was thoroughly self-centered, learns life anew after memory loss, he internalizes some of the morality, authority, and restraint required by society, and receives help directly from others, becoming an ethical human who gradually sympathizes. With the moral constraints of this society, he finds and looks at the "face" of another person at stake at a convenience store, feels responsible for the moral commands the face emits, and eventually decides to "talk" and becomes an ethical subject to exchange help. In this regard, "talking" was not just communication, but a social consciousness command that encompasses empathy, assistance, and social morality, and meant the birth and behavior of ethical subjects.

      • KCI등재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장애, 인지적 공감과 감정 윤리 - 손원평, 『아몬드』(2017)

        이행선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3 No.-

        2017년 3월 손원평의 『아몬드』가 출간되었다. 이 작품은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윤재(17세)가 진정한 삶의 기준과 올바른 삶의 태도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해답을 찾아가는 성장소설이다. 그리고 이 질문을 추동하는 근원적 사건이 엄마와 할머니가 당한 묻지마 범죄사건이다. 『아몬드』는 묻지마 살인으로 가족을 잃은 윤재가 1년 동안 고1 생활을 하면서 ‘엄마와 할머니를 찌른 남자’와 ‘그런 남자를 지켜보기만 하고 살인을 방조한 사람들’에 대한 의문점을 해소해 가는 작품이다. 그래서 이 작품은 윤재가 ‘할머니를 찌른 남자의 마음을 이해하려는 서사’와 ‘남자의 살해를 지켜보기만 했던 방관자들을 이해하려는 서사’, 이 두 서사의 축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감정을 느끼지 못해 괴물이라 불리는 소년이 인지적 공감을 기반으로 자신이 직면한 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정서적 공감의 한계와 감정 윤리 문제를 통해 『아몬드』가 지닌 공감론과 사회적 의미를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 KCI등재

        히로시마 원폭 피해자 하라 다미키(原民喜, 1905-1951)의 기억과 재한 원폭 피해자, 원폭의 사회화: 장혜령, 「당신의 히로시마」(2022)

        이행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한국문화 Vol.- No.101

        2022 was a year of heightened fears of nuclear war, including North Korea’s repeated (nuclear) missile tests, the war between Ukraine and Russia, and concerns over the use of nuclear weapons. In this situation, author Hye-ryeong Jang paid attention to Hiroshima, where the atomic bomb was dropped in 1945, and wrote Your Hiroshima (2022). The novel consists of a letter to Tamiki Hara, an atomic bomb victim in Hiroshima. Upon encountering Tamiki Hara’s atomic bomb literature, the author transformed a woman who appeared briefly in Lips of Fire into Jung-soon, kim, the main character of his novel. At the same time, 70 years after Tamiki Hara’s suicide in 1951, a narrative was established that Jung-soon, kim visited Hiroshima on August 6, the day of the bombing in 2021. Because of this setting, this work visualized the process of Jung-soon, kim going further from Tamiki Hara, Japanese atomic bomb victims in Hiroshima, and finding out the existence of Korean atomic bomb victims in Japan. In the meantime, the socialization effect of the atomic bomb occurred,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omic bomb was presented to the reader. Against this background, “You” in Your Hiroshima includes a Korean reader reading the novel. In this novel, information on atomic bombs provided readers calls for the attention of many Korean readers who have turned a blind eye to the victims and request personal and social movements for the victims. For this reason, the author planned the novel in the form of a letter. The letter to Tamiki Hara, where Jung-soon, kim died, was originally the unsendable letter, but this letter became a letter-type novel, allowing the author’s intention to spread to more people when the destination became a reader. .

      • KCI등재후보

        기관내관 소독방법 개선에 따른 간호업무 시간단축 및 비용 절감 효과

        이행선,김해리나,김은숙,김보람,성선숙 한국의료QA학회 2008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4 No.1

        Background: The purposeof innercannula is to protect the upperair wayand permitair to pass freely, in addition, to provideendotrachealsuction, artificial respiration and to maintain adequate oxygensaturation. The tubeneeds to be sterilizedformaintenanceand cleannessof air wayand forprevention of bronchospasm. However, it has been reportedthat there is no guideline forsterilization and manyhospitalsconducttheirown sterilization methods, forexample, oncea day(13's generalhospital), three timesa day(The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Mary's hospital) or evenno cleansing. Consequently, the QI team of our hospitalsuggested the SOP(standard operatingprocedure) of sterilization and evaluate cost and timeeffect in nursing. Method: 1) Benchmarking of 13's neurosurgery departmentof generalhospital in Seoul 2) Investigation of test recordsof sputumculture from patientswith intubation for tracheotomy 3) Checkof resultsof 02 Sat. monitoring to confirm of maintainingopenedair way Result : 1) Improvement of process: decrease of excess sterilization of inner cannula (from 3 timesa day to oncea day) 2) Costeffects: saving over10 million wonper oneyear 3) Providing better nursing: time effects (30 mina day) permit to conductmorenursing activities Conclusion: Itcan get Costand timeeffectsin nursing withimproved sterilization methodof innercannula It needs to do researchon improvement of the monthly exchangeprotocol of outercannula and providesupportingdata forthe properexchangeschedule. The resultof additionalmicroorganism detection frompatients withnewprocessneeds to be evaluated furthermore.

      • KCI등재

        안락사의 서사, 죽음의 자기결정권과 공동체의 돌봄의 경계 - 은모든, 『안락』(2018)과 조수경 『아침을 볼 때마다 당신을 떠올릴 거야』(2019) -

        이행선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was implemented in Korea from February 2018, and more than 80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euthanasia was necessary in early 2019 for the first time. And with the first representative proposal of the Death with Dignity Act in Korea on June 15, 2022,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death and the social wish for decent death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ncrete. In this situation, a work that has made a full-fledged novel about euthanasia came out from the end of 2018. Eun Mo-deun’s Comfort chose euthanasia as a way for a person who has adapted to society and has become old to end his life well as suffering from a “physical disease.”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who chose euthanasia and the family who had to send the individual away was at the center of the narrative. On the other hand, Jo Su-kyung’s I’ll Think of You Every Morning chose euthanasia as a way for a person who suffers from a mental illness to end a painful life due to social maladaptation. In this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system that conducts euthanasia and the people preparing for euthanasia. there becomes the center of the narrative. Thinking of death through euthanasia makes us reflect on the problems of society and relationships that eventually make us choose death. Therefore, these works socialize the problem of self-determination of death due to aging and disease, family acceptance, and reflection on society and life that causes depression, evoke the need for education and social public discussion of death and the introduction of euthanasia system. 한국에서 2018년 2월부터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었고 2019년 초 여론조사에서 안락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0퍼센트를 처음으로 넘었다. 그리고 2022년 6월 15일 ‘조력존엄사법’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대표 발의되면서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사회적 바람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국면에서 안락사에 대한 고민을 본격적으로 소설화한 작품이 2018년 말부터 나왔다. 은모든의 『안락』은 사회에 적응해서 노년이 된 사람이 ‘육체의 질병’을 겪으면서 삶을 잘 마무리 하는 방식으로 안락사를 택했다. 그러면서 안락사를 선택한 개인과 그 개인을 떠나보내야 하는 가족의 관계가 서사의 중심에 있었다. 이와 달리, 조수경의 『아침을 볼 때마다 당신을 떠올릴 거야』는 사회에 부적응해서 ‘마음의 질병’을 겪는 사람이 고통스런 삶을 청산하는 방식으로 안락사를 택했다. 이 작품은 안락사를 행하는 ‘센터’의 제도와 그곳에서 안락사를 준비하는 사람간의 관계가 서사의 중심이 된다. 안락사를 통한 죽음을 사유한다는 것은 결국 죽음을 택하게 하는 사회와 관계의 문제를 성찰하게 한다. 그래서 이들 작품은 노화와 질병에 따른 죽음의 자기결정권 및 가족 수용의 문제, 그리고 우울증에 걸리게 하는 사회와 삶에 대한 성찰의 문제를 사회화 하면서 사회개선과 죽음에 대한 교육 및 사회적 공론화와 안락사 제도의 도입 필요성을 환기한다.

      • KCI등재

        책을 ‘학살’하는 사회 - 최명익의 「비 오는 길」

        이행선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1 한국문학연구 Vol.0 No.41

        Cho Myung-ik is a modernist, who deepened schismaticness within him. It has been considering an urban space of the colonial capitalism, the velocity of a train, the disease, and dea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ismaticness. This manuscript is focused on the relation aspect with other people during the schismaticness process of the characters. What reasons make the schismaticness between others?Eventually, it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s and people. In this context, this manuscript is discussing a meaning and its character of the literature, including how to realize the (class) ‘distance’ between them through The Rainy Road by Choi Myung-ik. This will be asked to the party's presence, who chose the 'book' in the mid to late 1930s and the modern critics(showed by a photographer) are to avoid flowing into the scheme about the desire in daily life. Meanwhile, that the photographer's death was granted, out of existing discussions in the composition, (in the novel, but he doesn't die) there is some room that Byung-il can be associated with ‘death’. To do this, it will take a look at his existential condition, Pyeong-yang and analyze how his inner side is divided there with jouissance. For this analysis, the relationship, which Byung-il and the photographer talking with him, set the composition of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each other's gaze and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proceedings. It will be revealed the status and existence of the book in this composition. 최명익은 지식인의 분열적 내면을 깊이 형상화한 문학자이다. 그 분열을 이해하기 위해 식민지자본주의 도시공간, 기차의 속도성, 병과 죽음 등이 고려돼 왔다. 본고의 관심은 등장인물의 분열과정에서 드러나는 타자와의 관계 양상이다. 타자와의 분열성은 어떤 연유에서 기인하는 것인가. 그것은 ‘지식인-민중’간의 관계에서 지식인의 위상 문제와 관련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비 오는 길」을 통해 최명익의 지식인과 민중 간의 (계급적) ‘거리’ 인식 문제를 포함한 문학적 성격과 의미를 재론하려 한다. 이것은 1930년대 중후반 ‘책’을 선택한 자의 존재 의미를 묻는 것이며, 근대 비판이 (사진사가 보여주는) 일상의 욕망을 지나치게 재단하는 도식으로 흐르는 것을 지양하려는 것이다. 그동안 사진사의 죽음을 당연시했던 기존 논의 구도에서 벗어나, (소설에서 죽지 않지만) 병일 역시 ‘죽음’과 관련지어 재독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를 위해 병일의 실존적 조건인 평양을 살펴보고, 그곳에서 분열하는 병일의 주이상스적 내면을 분석했다. 또한 텍스트에서 병일 그리고 그와 대화를 나누는 사진사의 관계는 정신과 환자와 의사의 구도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 두 인물의 만남에서 서로의 응시와 심리 양상의 전개과정에 주목했다. 이 구도 속에 책의 위상과 존재 의의가 드러날 것이다.

      • KCI등재

        사이구(LA 폭동) 30주년(2022), 아메리칸 드림과 인종 갈등의 무/의식 그리고 ‘피해자 인종주의’ : 『흉터 위에 핀 꽃』

        이행선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3

        A collection of works commemo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Saigu, Flowers Blooming on Scar was published in Korea on March 25, 2022. Saigu, which continued until May 4, caused enormous damage to the Korean town when a white police officer accused of indiscriminate beating of African American driver Rodney King was acquitted on April 29, 1992. It was the Saigu that the Black-White Conflict was expressed as the Black-Korean Conflict.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of America said, “The LA riots are a scar that shook the roots of Korean immigrants and an event that awakened the eyes of new immigrants. Celeb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April 29 LA riots, we have once again published this collection of works to share and honor its meaning with the Korean community.” More than 30 years after the Saigu, what did Korean immigration writers want to convey to their readers? This article attempted to study the current meaning of the 30th anniversary work written to mark the 30th anniversary of the Saigu. 사이구(LA 폭동) 30주년 작품집 『흉터 위에 핀 꽃』이 2022년 3월 25일 한국에 발간되었다. 흑인 운전자 로드니 킹을 무차별 구타한 혐의로 기소된 백인 경관에게 1992년 4월 29일 무죄 판결이 내려지면서 폭발한 흑인의 분노가 5월 4일까지 이어진 사이구는 한인 타운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흑・백 갈등이 한・흑 갈등으로 표출된 것이 사이구였다. 미주한국문인협회는 “LA 폭동은 한인 이민자들의 뿌리를 송두리째 뒤흔든 상처이자 새로운 이민자의 시선을 일깨운 사건이라 할 수 있다. 4・29 LA 폭동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시 한 번 그 의미를 동포사회와 나누고 기리고자 이 작품집을 발간하게 되었다.”는 발간 취지를 밝혔다. 사이구가 일어난 지 3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국계 이민작가들은 독자에게 무엇을 전달하고자 했을까. 본고는 사이구 30주년을 맞이하여 집필된 30주년 작품이 사이구 사건을 추모하고 사회화하고자 하는 무/의식의 의미를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