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택 유형에 따른 사회 경제적 계층, 범죄, 두려움, 무질서, 유대, 신뢰, 애착, 집합효율성, 그리고 안전의 차이 분석

        류준혁 한국인권법학회 2020 인권이론과 실천 Vol.7 No.-

        본 연구는 주택 유형에 따라 범죄와 관련성을 가지는 주요변인들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은 서울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된 이차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주택유형에 따라.사회 경제적 계층, 범죄 두려움, 주민들 간의 유대/신뢰, 무질서, 집합적 효율성 그리고 안전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주택유형이 아파트/주상복합/오피스텔 거주자들이 연립빌라 그리고 단독주택 거주자들보다 소득과 학력 수준이 더 높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주택유형이 아파트/오피스텔/주상복합 거주자들은 단독주택, 연립주택 거주자들보다 범죄 두려움, 무질서, 안전에 대해서는 더욱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주민들과의 유대 측면에서는 단독주택의 거주자들이 연립주택 거주자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지역 주민들과 신뢰와 애착은 아파트/오피스텔/주상복합 거주자들이 단독주택, 연립주택 거주자들보다 더 높았다. 넷째, 집합 효율성에서는 한가지 질문에서만 차이점으로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안전 측면에서는 주택유형이 아파트/주상복합/오피스텔 거주자들이 CPTED의 요소인 자연적 감시성, 영역성, 접근통제, 활동성 등을 더 많이 인식하고 하고 있어 전체적인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주택유형에 따른 범죄두려움, 무질서, 유대, 신뢰, 애착, 집합효율성, 안전에서의 차이를 고려하여 시민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대책마련과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 성범죄자신상공개자분석: 대구거주자를대상으로

        류준혁 한국인권법학회 2015 인권이론과 실천 Vol.2 No.-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다양한 범죄행위와 일탈적 행위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일반인의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있는 극단적인 형태의 범죄와 일탈 행위들이 포함되어 있어, 언론과 대중들의 폭발적인 관심과 두려움 또한 유발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행위 또는 사건들은 사회로 부터 광범위하고도 극단적인 사회 반응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성폭력범죄가 대표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한국사회에서도 성폭력범죄에 취약한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엽기적인 범죄 사건들이 연달아 일어남으로서 성범죄 자들에 대한 다양한 처벌과 제재를 부과하는 법률이 만들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인 것이 법률이 성범죄자 신상 공개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성범죄자 신상공개 대상자에 대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경험적인 분석연구는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다. 많은 논문들이 법적인 문제에 집중해 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상공개 대상자들에 대한 연구를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대구 지역에서의 성범죄자 신상 공개 명령을 받은 자들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성범죄자 신상 공개자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 수사권 조정에 관한 경찰 인식 분석

        류준혁 한국인권법학회 2021 인권이론과 실천 Vol.8 No.-

        검경 수사권 조정이 이미 시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조정전에 경찰관들은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었을까에 대한 의문으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수사권 조정 이전에 시행된 설문 조사로 모아진 이차데이터를 이용하여 독립 표본 t 검증,일원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성별,결혼 여부,학력,근무 급지에 따라 수사권 조정에 관한 인식에서 집단 간에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에 따르면 계급,나이, 학력,재직기간이 높아질수록 수사권 조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규범 정서적 그리고 지속적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수사권 조정에 대해 더욱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분배 공정성은 높아질수록 수사권 조정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경찰 조직이 국민으로부터 신뢰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스스로 역량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수사권 조정에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대구 달서구 공원의 범죄 안전성 평가

        류준혁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4

        A well-established park can contribute a lot to the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of citizens by increasing the use of the park by citizens, but a poorly-established park can make users feel isolated, and furthermore, it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crime and unwanted activities. Recent violent crimes in parks have raised many questions about the safety of citizens from crimes in park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whether parks are safe from crime in parks in Dalseo-gu, Daegu. While previous studies introduced small samples and technical research methods, this study selected 90 parks and attempted a quantitative evaluation by introducing factor analysis methods in the evaluation method. Specifically, this study presented the 10 parks that received the lowest evaluation in the seven principles by performing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even principles of CPTED (natural surveillance, electrical surveillance, mechanical surveillance, activity support, natural access control, and maintenance). Based on these evaluation result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policy proposal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including parks, to make parks safer from crime.

      • KCI등재

        학교 폭력 방재 연구

        류준혁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risk factors that influence the possibility of school bullying victim. Especially, this studyexplored the relations between different types of bullying victims and risk factors including a large number of other characteristicsthat may affect bullying victimization. Research uses the data from Korea Child Youth Panel Study 2011. This study has shownthat the range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bullying victim is wide and complex. In addi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students withsome kinds of characteristics are more likely to be victims of specific types of bully. One consequence of these results is anincreased awareness of the kinds of student who are at greatest risk of being bullies in middle school today. At last, this will suggestseveral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본 연구는 학교 폭력 피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다양한 형태의 학교 폭력 피해의 유형과 학교 폭력 피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광범위한 위험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한국 청소년 패널 조사 2011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는 학교 폭력 피해와 관련된 특징은 매우 광범위하고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특수한 형태의 학교 폭력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오늘날 중학교에서 학교 폭력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아이들에 대해 더욱 더 이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몇 가지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자치경찰과의 협력과 지원 그리고 범죄예방 조례 평가 -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류준혁 국립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4 지역과 정치 Vol.7 No.2

        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The term of office of the second autonomous police committee has begun, but due to the failure to introduce a completely dualized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continues to raise issues related to organization, manpower, personnel rights, and budget. Under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the country and the budget situation facing local governments, it is not expected that it will be easy to introduce a completely dual autonomous police system. Despite these difficulties,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needs to strive for regional security by promoting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cooperation i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o enact ordinances for cooperation and support with local police and evaluated ordinances in various area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crime prevention ordinances imported from local governments in Daegu and Gyeongbu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