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우울증 치유를 위한 가드닝 프로그램 및 효과 검증

        박미옥,구본학,이성준,서주영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gardening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to verify the healing effect. The garden healing program was desig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the theory of elderly depression, garden healing programs, and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final garden healing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expert validity verifi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elected through a Korean-style elderly depression scale test, and the program was executed after IRB approval.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60 hours once a week for 3 hours. The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depression scale test and the PWI-stress scale test, and the satisfaction was verified through a satisfaction surve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Korean-style depression scale test on the elderly attending a senior college and selected 20 people who could participate in the program from among the elderly with a depression score of 14 or higher (mild depression). The change in depression decreased by 15.3 points from 22.0 points to 6.7 points, and was significant in the range of 0.1% of the significance level. The stress change decreased by 21.6 points from 30.30 points to 8.70 points and was significant in the range of 0.1% of the significance level. The satisfaction evaluation was very high at 4.95 points. The garden heal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may be applied to the elderly exposed to depression, reducing depression, and it is judged that various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subjects who need various types of healing are needed. Garden healing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and stress reduction effects and satisfaction need to be identified through follow-up studies. 본 연구는 노인 우울증 치유를 위한 가드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유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노인우울증 이론과 정원치유 프로그램 관련된 문헌연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정원치유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최종 정원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군은 한국형 노인 우울척도 검사를 통해 선정하였고, IRB 승인 후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은 20차시로 주 1회 3시간씩 60시간 진행하였다. 효과 검증은 우울척도검사, PWI-스트레스 척도검사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실험군에 대한 만족도 설문을 통해 만족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군은 노인대학에 다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우울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우울증 점수 14점 이상(경도 우울증)인 노인 중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20명을 선정하였다. 우울변화는 22.0점에서 6.7점으로 15.3점 낮아졌으며, 유의수준 0.1% 범위에서 유의하였다. 스트레스 변화는 30.30점에서 8.70점으로 21.6점 낮아졌으며, 유의수준 0.1% 범위에서 유의하였다. 만족도 평가는 4.95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원치유 프로그램은 우울증에 노출된 노년층에게 적용되어 우울증이 감소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치유가 필요한 대상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울증과 스트레스 저감 효과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원치유 인자는 후속연구를 통해 밝혀낼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간이평가법(RAWES)을 이용한 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 연구 - 충청남도 내 습지를 중심으로 -

        박미옥,구본학,서효선,박상희,이상화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습지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법을 이용하여 충청남도에 위치한 두웅습지, 간월호, 천내습지를 대상으로 습지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각각으로 분석하였다. 평가방법은 각 대상지마다 지역주민 2명과 습지 전문가 2명이 현장에서 생태계서비스 항목을 5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된 결과를 ESI 산정식을 활용하여 습지생태계서비스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웅습지의 최종 평가 결과, 전문가 18점, 지역주민 19.25점으로 총평균은 18.63점으로 나타났다. 천내습지의 최종 평가 결과, 전문가 7.75점, 지역주민 9.75점으로 총평균은 8.75점으로 나타났다. 간월호습지의 최종 평가 결과 전문가 점수는 19점, 지역주민 점수는 17.5점으로 총평균은 18.25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ESI 분석 결과, 두웅습지 51.74%, 천내습지 24.31%, 간월호 습지 50.69%로 나타났다. 천내습지의 공급서비스 점수가 낮게 나타난 이유는 천내습지가 과거에 상수원보호지역이었으나, 상수원보호구역에서 해제가 되면서 서식지로 차량이 진입되고 있으며, 무분별한 낚시행위, 쓰레기 불법투기 등으로 공급서비스 부분에서 낮은 평가 결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인 생태계서비스 항목들을 확인해본 결과, 두웅습지, 천내습지는 부양서비스 > 문화서비스 > 조절서비스 > 공급서비스 순으로 점수가 높았으며, 간월호습지의 최종 ESI 점수 결과, 문화서비스 > 조절서비스 > 공급서비스 > 부양서비스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충청남도 습지 3개소를 대상으로 간이평가법을 이용한 습지행태계서비스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각 습지의 ESI 점수가 도출되었다. 평가 시 지역주민들이 간편평가지에 대해 수정․보완이 될 필요성이 있다고 이야기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후 지역주민도 쉽게 평가할 수 있는 습지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법(RAWES)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cosystem services of wetlands for Duung Wetlands, Ganwol Lake, and Cheonnae Wetland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using the Wetland Ecosystem Service Brief Evaluation Method and analyzed the results separately. The evaluation method was evaluated in five stages by two local residents and two wetland experts at each target site. The evaluated results were conducted using the ESI calculation formula to analyze wetland ecosystem servic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final evaluation of Duwoong Wetland, experts scored 18 points and local residents 19.25 points, with a total average of 18.63 points. As a result of the final evaluation of the Cheonnae Wetland, experts scored 7.75 points and local residents 9.75 points, with a total average of 8.75 points. As a result of the final evaluation of the Ganwol Lake Wetland, the expert score was 19 points and the local residents' score was 17.5 points, with a total average of 18.25 points. Second, as a result of ESI analysis, 51.74% of Duung Wetland, 24.31% of Cheonnae Wetland, and 50.69% of Ganwolho Wetland were found. The reason why Cheonnae Wetland’s supply service score was low was that Cheonnae Wetland used to be a water source protection area, but vehicles were entering the habitat as it was released from the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and low evaluation results were found in the supply service sector due to indiscriminate fishing and illegal dumping. As a result of checking detailed ecosystem service items, the scores for Duung Wetland and Cheonnae Wetland were in order of supporting service > cultural service > regulation service > provisioning service. The result of the final ESI score of the Ganwol Lake Wetland was derived in the order of cultural service > regulation service > provisioning service > supporting serv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nducted an evaluation of wetland behavior system service using the simplified evaluation method for three wetlands in Chungcheongnam-do, and the ESI score for each wetland was derived. At the time of evaluation, local residents sai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information on the simple evaluation site, and through thi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the Simple Evaluation Method for Wetland Ecosystem Services (RAWES) that can be easily evaluated by local resi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생활권습지 기반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지표(RAWES) 개선 연구

        박미옥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apid Assessment Method of Wetland Ecosystem Services so that local residents can evaluate the ecosystem services of small wetlands in their living area after receiving a certain education. The evaluation method was verified through expert FGI verification and questionnaires, and the final evaluation method was proposed.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 was established and a total of 20 service items were set, 5 for each ecosystem service. For each of the 20 proposed service items, descriptions of service items along with evaluation indicators,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field, and methods, procedures, and usage plans for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and values ​​were presented. The five core services for each ecosystem service are as follows. In the provisioning services, freshwater use, food supply, fuel and raw material supply, biological resource supply, energy production, etc. were found, and in the Regulating services, water resources and flood control, water purification, biological control, regional microclimate control, disaster erosion control, etc. were found. Cultural services include landscape and aesthetic values, recreation and tourism, eco-educational research, local communities and communities, and cultural heritage, and supporting services include soil formation, primary production, nutrient circulation, water circulation, and habitat provision. The evaluation scale is a 5-point scale, with ‘very positive benefit (++: 5 points), positive benefit (+: 4 points), moderate (0: 3 points), marginal profit (—: 2 points), profit None or sometimes disadvantage (——: 1 point), evaluation difficulty (?: 0 point)’, etc. were set. A pilot evaluation was conducted on Du-ung Wetland, one of Ramsar Sites, to verify and evaluate its applicability as an indicator. Culture service > Supporting service > Control service > Provisioning service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of previous studies. Although it was more simpl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were maintained.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이 생활권 소규모 습지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도록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 FGI 검증 및 설문을 통해 검증하고 최종 평가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생태계서비스의 서비스 항목을 5개씩 총 20개 서비스항목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20개 서비스항목별로 평가지표와 함께 서비스항목 해설,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생태계서비스와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과 절차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생태계서비스별 5개 핵심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공급서비스에서는 담수이용, 음식식량공급, 연료 및 원료공급, 생물자원공급, 에너지생산 등이며, 조절서비스에서는 수자원 및 홍수조절, 수질정화, 생물학적조절, 지역미기후조절, 재해침식조절 등으로 나타났다. 문화서비스로는 경관 및 심미적 가치, 레크레이션 및 관광, 생태교육연구, 지역사회 및 공동체, 문화유산 등이며, 지원서비스는 토양형성, 1차 생산량, 영양물질 순환, 물순환, 서식처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평가 척도는 5점 척도로서, ‘매우 긍정적 이익(++: 5점), 긍정적 이익(+: 4점), 보통(0: 3점), 이익이 미미함(—: 2점), 이익이 없거나 때로 불이익(——: 1점), 평가 어려움(?: 0점)’ 등으로 설정하였다. 람사르습지로 등록된 두웅습지를 대상으로 시범평가를 수행하여 지표로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 평가한 바, 문화서비스 > 지원서비스 > 조절서비스 > 공급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기존의 평가지표에 비해 더욱 간편하면서도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유지되었다.

      • 댐저수지 주변지역 수생정원 도입을 위한 친수공간 조성계획

        박미옥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7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3 No.1

        Natural landscape and tour resources of dam reservoirs and watersheds can great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visitors by providing a place for relaxation and leisure sports. It must be created as tourist attractions aimed to such as building eco-cultural park, creating wildlife habitats, making landscape aesthetics, by way of establishing the waterfronts of dam and reservoirs. It is essential to make efforts to set up energy saving and eco-friendly landscapes not excessive and indiscriminate pla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cultural waterfronts and water friendly gardens that local and nation peoples can feel empathy and accept nation people's demands for the rest and leisure. The comprehensive masterplan was established from the detailed and systematic environmental analysis on the dam and reservoirs vicinity areas, and design concepts were as family, healing, health, history as 2 nation border line, cultural linkage, nostalgia etc. Finally the storytelling vision was suggested as ‘Eco-culture story joining with family and generation' and detailed objectives were set up as ‘Multi Age Family Story', ‘Eco-culture Story', ‘Special Extra Story'. This study concluded and suggested basic strategies for sustainable operation and managements of dams concerning the geological, ecological, histor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am and reservoirs vicinity with water friendy garde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meaningful and useful design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remodeling of managing dams and constructing of new water gardens. 댐저수지 및 그 유역의 고유한 자연경관 및 관광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탐방객이 쾌적하게 보고, 즐기고, 느낄 수있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매개체로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댐 및 저수지를 중심으로 친수공간을 도입하여생태문화공원 조성, 생물서식환경 조성, 경관미 창출 등을 목표로 하는 관광명소로 조성하되, 과도하고 무분별한 계획이아닌 에너지를 절약하고, 환경친화적인 경관을 형성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낙후된 댐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국민들의 휴식 및 레저욕구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지역주민은 물론, 국민 전체가 공감할 수 있는 친수문화공간 조성을 통해 수생정원 도입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변 친수문화공간, 자연자원, 수자원, 문화자원, 역사자원 등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댐 및 저수지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정밀하고 체계적인 환경조사를 통해 친수공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수생정원 도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초 조사는 문헌조사 및 현지조사를 통하여 대상지 현황을 분석하였고, 디자인컨셉은 가족, 치유, 건강, 접경지역으로서 역사, 문화적 연계, 향수를 각각 주제로 설정하였다. 스토리텔링 비전으로는‘온 가족, 온 세대가 함께 하는 생태문화 이야기’로 설정하였고, 스토리텔링 세부 목표로는 세대 간, 가족 간 함께 하는스토리, 생태문화 스토리, 융복합 스토리 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전, 홍수조절, 상수원 등 댐의 고유 기능을유지하면서도 댐 및 저수지 주변 지역의 독특한 지리적, 생태적,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댐 이용활성화를 위한 기본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운영 중인 댐 및 저수지 수변구역 수생정원 리모델링 및 새로운수생정원 조성을 위한 유용한 설계기준이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정원과 공원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연구

        박미옥 한국조경학회 2018 한국조경학회지 Vol.4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of perception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experts and thegeneral public concerning several aspects including scope, scale, publicity, artistic and scientific nature, main materials,practicality and aesthetics, executive and management systems as well as legal understanding of garden and park. Theproperties of garden and park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ncept,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gardensand the parks were recognized by the experts and the public viewpoint was clarified by questionnaire.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scope of the gardens and the parks, the expert group recognized it more widely thanthe general public. In general, the space recognized as a garden was the rooftop green space, and urban forests were recognizedas a park. In addition, the general public recognized urban forests as gardens the same as they recognized parks, and thedistinction was unclear. In the expert group, the perception that gardens were small and the parks were large was moreprevalent. It was generally recognized that gardens were private spaces and the parks were public spaces. In the expertgroup, the gardens were more personal and the parks were more apparent to the public. In the general population, functional and scientific aspects rather than artistic creativity in both gardens and parks. In addition,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found that parks are more complex than gardens. The garden was centeredon plant material, and the park was recognized as a center where the sculptural facilities were centered, or the plant materialand the sculptural facilities were properly balanced. To the experts the view of the gardens was positive. Expert groupsemphasized the aesthetics of the garden, and the parks were more practical, and the general population showed similarperceptions of utility and aesthetics when comparing gardens and parks. In addition, the utility of gardens in the generalpublics is more emphasized than the aesthetics of the park. Regarding the executive system the park was recognized as the public sector, and the difference was larger in theexpert group. As for the management system, both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perceive the management of the parkor the garden to be carried out by the supporting organization, a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versification of themanagement subjec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n recognition with the mixture of concepts, and there is still a big difference in legal system and perception. 본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 집단 사이의 정원과 공원에 대한 인식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설문을 통해정원의 영역과 규모, 예술성과 과학성, 공공성, 실용성과 심미성, 조성 및 관리 주체, 주재료 등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수목원정원법과 도시공원법에 대한 이해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정원과 공원의 속성을 도출한 후전문가와 일반인에게 각각 설문조사를 통해 정원과 공원의 개념, 유사성, 차이점 등을 각각 분석하였다. 정원 및 공원의 범위에 대해서는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에 비해 더 넓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정원으로 인식한 공간은 옥상녹지이며, 도시숲은 공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인 그룹은 도시숲을 정원으로도인식하고 공원으로도 인식하여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전문가 그룹에서 정원은 소규모이고 공원은 대규모라는 인식이 더 우세했다. 대체로 정원은 개인공간이고 공원은공공공간이라는 인식이 많게 나타났으며, 전문가 그룹에서 정원은 개인적이고 공원은 공공성이라는 인식이 더 우세했다. 일반인 집단은 전문가 집단에 비해 정원과 공원 모두 근소하게나마 예술적 창의성보다 기능적 과학성이 더 강조된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에게서 대체로 정원보다는 공원이 예술성과 과학성을 아우르는 복합성을 띠고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은 식물재료가 중심이 되며, 공원은 조형물 시설물이 중심이 되거나 식물재료와 조형물 시설물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전문가 집단에 비해 일반인 집단에서 정원은식물재료 중심이며, 공원은 시설물/조형물 중심이라는 시각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 집단은 정원의 심미성을 더강조하고 공원에 대해서는 실용성을 더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반인 집단은 정원과 공원의 실용성과 심미성에 대한 인식이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일반인 집단에서 정원의 실용성이 공원의 심미성이 더 강조되어 상대적으로 공원에 대한 심미성을 더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 주체에 대해 정원은 민간부문으로, 공원은 공공부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그 차이는 전문가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관리주체에 대해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 공원이나 정원의 관리는 조성주체가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관리주체의 다양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에서 정원과 공원 개념의 혼재와 더불어 일정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법적제도와 인식에서도 아직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음악이 노인의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미옥,홍미라,김묘희 한국비전학회 2020 한국비전연구 Vol.1 No.1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사회에서 고령자들의 문화생활과 일상생활 속에서 노년기의 고독감의 해소와 자신의 보람된 삶을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노인의 음악활동은 노령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건강의 유지와 향상을 통해 보다 생동감 있고 활동적으로 일상생활의 무료함을 활기찬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인의 여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많은 노인의 건강과 삶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인이 현재 놓여 있는 상황과 현실적인 환경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고립된 노령자가 없는지 또한 거동이 불편한 노령자들의 생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풍부한 환경을 제공과 지원이 필요하다. In a society where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extension of their average life span, it is important to relieve the loneliness of old age and make their own rewarding lives amid the cultural and daily lives of the elderly. The old man's musical activities can help the old man's leisure activities so that he can have a more lively and active daily life of the boredom of everyday lif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To ensure the health and life of many senior citizens, we need to provide and support a rich environment to ensure that the elderly are actively concerned with the situation and the realistic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placed, and that there are no isolated senior citizens, and that the lives of the elderly people who are unable to move are smooth.

      • KCI등재

        비의료적 치유수단으로서 정원활동의 치유 효과

        박미옥,진혜영,서주영,이성준,구본학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2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사회적 질환과 심리적 아픔에 대한 정원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생활권 주변에서 일상적인 정원활동과 운동요법을 통해 정원의 녹색치유 활동을 통한 사회적 질병을 치유하고, 건강한 삶을 회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원치유 프로그램은 정원이벤트 활동과 치유정원 조성 활동으로 구분하여 총 30회에 걸쳐 각각 3시간씩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사회적 질환에 노출되어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취약계층으로서, 65세 이상 노년층과 장애인 등 도우미 활동가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사람들을 선정하였다. 효과를 비교 검증하기 위한 대조구는 사회적 질환 취약층 중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 중 선정하였다. 정원활동 대상지는 N대학교 정원과 정원드림프로젝트로 조성된 천안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정원활동을 수행하였다. 정원활동 결과, 스트레스 정도가 26.19에서 4.13으로 낮아져 정원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조구와의 비교에서도 0.1% 신뢰범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여 정원활동이 특히 사회적 질환 민감취약층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유용한 녹색복지 도구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마을습지 기반 습지정원 표준모델 연구

        박미옥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9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reference model for wetland garden with data collected from the village wetland inventory study. As a result, we classified the wetland garden elements into soil & topography, vegetation community, and hydro-circulation system. The topography is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flat, slope, and forest. The vegetation community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 : tree and shrub, hydrophytes, floating leaf and complex types.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3 categories, independent / isolated, water-linked, and water circulation. These 3 subdivision categories was divided into 36 subdivisions after combining 10 mid-level subdivisions. The classification code is assigned with a symbol that can be distinguished by components such as T1∼T3 for the topography, V1∼V4 for vegetation, and H1∼H3 for water circulation. Code is assigned to 9 digits including each serial numbers. As for a standard model, the standard section and the plan were suggested by examining the wetlands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wetlands in the actual village wetland inventory study or evaluated as 'high' based on the topography and vegetation factors. This study attempted to prepare a reference model of the wetland garden based on the wetland DB identified as the village wetland, and as a follow-up study, a detailed investigation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ing the wetlands such as four season changes is necessary. 본 연구는 마을습지 인벤토리 연구에서 확인된 마을습지를 활용한 습지정원 조성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습지정원 구성요소로서 토양 및 지형, 식생군락, 물 순환체계 등으로 대분류하였고, 이를 다시 지형은 평지, 경사지, 산림 등 3분류, 식생군락은 교관목우점, 정수식물우점, 부엽식물우점, 복합형 등으로 4분류, 물순환체계는 독립/고립형, 유수 연계형, 물순환형 등 3분류로 각각 중분류하였다. 세분류체계는 10개의 중분류체계를 각각 조합하여 총 36개의 세분류로 구분하였다. 분류코드는 구성 요소별로 구분될 수 있는 기호를 부여하여, 지형은 T1∼T3, 식생군락은 V1∼V4, 물순환은 H1∼H3 등으로 각각 기호를 부여하였고, 유형별 3자리 일련번호를 조합하여 총 9자리로 코드를 부여하였다. 표준모델로는 지형과 식생요소를 기준으로 실제 마을습지 인벤토리연구에서 중요습지로 제안되거나 기능평가 ‘높음’으로 평가된 습지를 조사하여 표준단면과 평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마을습지로 확인된 습지 DB를 기반으로 습지정원의 표준모델을 작성하고자 하였으며, 후속연구로서 4계절 변화 등 습지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조건을 고려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원격 의료 정보 시스템을 위한 인증 스킴의 분석 및 사용자 익명성 개선

        박미옥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3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9 No.3

        As of 2023, a number of authentication schemes for the Telecare Medical Information System have been proposed, where TMIS refers to a service that allows patients to receive medical treatment remotely without going to a hospital. In 2020, Kim proposed an authentication scheme for TMIS, but the user's ID that is not used as a public message is not provided the user's anonymity. However, since TMIS deals with users' medical information, user anonymity is essential. As a result of analyzing Kim's authentication scheme in this paper, his authentication one authenticates the owner of the smart car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iometric information, so even the owner of the card is not verified as a legitimate user.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authentication schem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uthentication scheme proposed in this paper not only provides user anonymity, but also proposes an improved user authentication scheme that combines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transmission message efficiency on the user side. In addition, the improved authentication scheme in this paper was analyzed to be safe for various attacks such as smart card loss attack, password guessing attack etc using informal methods. Therefore, the improvement scheme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used for secure user authentication one for TMIS. 2023년 현재 원격 의료 정보 시스템(Telecare Medical Information System)에 관한 다수의 인증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여기서 TMIS란 환자가 병원에 가지 않고도 의사의 진료를 원격으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2020년에 Kim은 TMIS을 위한 인증 방식을 제안하였으나, 사용자의 ID를 공개 메시지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익명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나 TMIS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사용자의 익명성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Kim의 인증 방식을 분석한 결과, 그의 인증 방식은 생체정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스마트카드의 주인을 인증하기 때문에, 정당한 카드의 주인이라 할지라도 정당한 사용자로 검증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된 인증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증 방식은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측에서의 계산 복잡도와 전송 메시지 효율성도 함께 이룬 향상된 사용자 인증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개선한 인증 방식은 비공식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안전성 분석 결과, 스마트카드 분실 공격, 패스워드 추측 공격 등 다양한 공격에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개선 방식은 TMIS을 위한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마음챙김의 치유적 기능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 -위빠사나(vipassanā) 수행을 중심으로-

        박미옥,고진호 한국종교교육학회 2013 宗敎敎育學硏究 Vol.42 No.-

        이 논문은 불교 수행법의 핵심인 ‘마음챙김의 치유적 기능’이 현대교육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보완교육으로서의 ‘교육적 함의’를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마음챙김 명상은 이미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현대 심리 치료에 임상적으로 적용되어 치료효과가 국내⋅외적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그에 대한 연구논문도 의학과 심리치료 등에서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마음챙김 명상을 교육에 적용한 연구는 아직 많지않으며, 특히 국내의 연구는 미미한 수준에 있다. 이 논문에서는 마음챙김의 의미를 매 순간 ‘깨어있도록 하게 하는 작용’으로 이해함으로써 마음챙김의 핵심적인 속성이 ‘주의’와 ‘알아차림(자각)’의 계발임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붓다가 정신적 괴로움을 완화하기 위해 마음챙김 명상을 사용했듯이, ‘선입견 없이 따라가면서 관찰하는 순수한 주의’의 결과 ‘자각’을 얻게 되는 마음챙김 활동의과정이 ‘의식의 성장’과 ‘해방’을 가져오는 ‘치유활동’임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마음챙김의 치유적인 특성들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면서, 마음챙김이 치유적인 교육형태의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학교의 장에서도 ‘마음챙김’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