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 데이터베이스 구축

        윤미옥(Yoon, Mi Ock),이현숙(Lee, Hyun Sook),김기랑(Kim, Kirang),심재은(Shim, Jae Eun),황지윤(Hwang, Ji-Yun)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5

        본 연구는 가공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한 정확한 영양소 섭취량 산출을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자료 중 최근 5년간 (2010~2014) 등장한 가공식품 4,858건에 대한 영양성분 DB를 구축하고, 이를 제6기 1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년) 자료에 적용하여 영양소 14종의 섭취량을 산출하여 구축한 DB에 대한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가공식품의 영양성분 DB구축을 위해 국내 국가기관에 신고된 가공식품 목록 8,785건, 반조리 식품 자료배합비, 국내 국립기관에서 발간된 식품성분표 1종, 제조사 및 인터넷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모아 가공식품에 대한 수준별 DB를 구축하였다. 매칭 식품과 유사 식품 DB를 모두 적용 후 가공식품 섭취량은 505.8 g (30.8%)로 추정되었으며 총섭취량에 대한 기여율은 각각 에너지 29.5%, 탄수화물 27.0%, 단백질 36.7%, 지방 26.5%, 식이섬유 16.1%로 나타났다. 또한 DB 적용 후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구축된 DB의 유용성을 보여준다고 사료된다. 나트륨의 경우 가공식품으로 부터의 섭취량이 DB 적용 전·후 2,527.6 mg에서 3,006.2 mg으로 증가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의 영양소 섭취량 추정에 필요한 에너지 및 영양소 14종에 대한국내 분석값 자료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DB 구축을 위한 계산값이나 대체값의 원칙을 세우고 문서화하여 가공식품 DB 구축을 위한 틀을 만들어 향후 DB 구축, 유지, 확대 등 식품영양 DB의 체계적 관리의 기초를 제공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통한 영양소 섭취량 추정을 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가공식품 DB 구축과 관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cessed foods database (DB) for estimation of processed food intake in the Korean population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Methods: Analytical values of processed foods were collected from food composition tables of national institutions (Development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previously reported scientific journals. Missing or unavailable values were substituted, calculated, or imputed. The nutrient data covered 14 nutrients, including energy, protein, carbohydrates, fat, calcium, phosphorus,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The processed food DB covered a total of 4,858 food items used in the KNHANES. Each analytical value per food item was selecte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priority criteria of data sources. Results: Level 0 DB was developed based on a list of 8,785 registered processed foods with recipes of ready-to-eat processed foods, one food composition tabl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ion, and nutrition facts obtained directly from manufacturers or indirectly via web search. Level 1 DB included information of 14 nutrients, and missing or unavailable values were substituted, calculated, or imputed at level 2. Level 3 DB evaluated the newly constructed nutrient DB for processed foods using the 2013 KNHANES. Mean intakes of total food and processed food were 1,551.4 g (males 1,761.8 g, females 1,340.8 g) and 129.4 g (males 169.9 g, females 88.8 g), respectively. Processed foods contributed to nutrient intakes from 5.0% (fiber) to 12.3% (protein) in the Korean population.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nutrient DB for processed foods contributes to accurate estimation of nutrient intakes in the Korean population. Consistent and regular update and quality control of the DB is needed to obtain accurate estimation of usual intakes using data from the KNHANES.

      • KCI등재

        경기도 일부 노인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의 영양상태 평가 및 영양관리 현황

        윤미옥(Mi Ock Yoon),문현경(Hyun Kyung Moon),김서연(Seo Yeon Kim),김복희(Bok Hee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3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nutritional management and nutritional care demands of home-visit care service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serviced elderly.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5th to 21st of January, 2011 among 37 In- Home Service institutions. The number of elderly surveyed by 143 care helpers was 281. Analysis was performed for 203 subjects (male: 44, female: 159).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50 to 99 years. The grading by long-term care insuranceshowed 18,2% on level 1 and 2, and 81.8% on level 3. For the disease treatment, the proportion of implementing diet treatment turned out to be very low. The proportion of subjects living with their children was 45.3%, and living alone was 29.1%. The proportion of home-visit care among types of In-Home Service was 70%. Subjects who needed additional necessary diet management service turned out to be 40.9%. Diet management was the most necessary services from all levels. MNA (specifiy MNA) scores were significantly (p < 0.001) associated with BMI, mid-arm circumference (MAC), calf circumference (CC), intake problems, and weight loss during the last 3 months. For studied elderly, 45.3% were malnourished, and 46.8% were at the risk of malnutrition by MNA sc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nutritional care was not systematic on the In-Home Servi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disease was much better than the treat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conclude that nutrition management is necessary for the elderly.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in home care services, systematic nutrition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Korean J Community Nutr 18(2) : 142~153, 2013)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경기도 일부 노인요양시설의 영양사 유무에 따른 영양관리 현황

        윤미옥 ( Mi Ock Yoon ),문현경 ( Hyun Kyung Moon ),전주영 ( Ju Young Jeon ),손정민 ( Cheong Min Sohn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4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노인요양시설의 영양사 유무에 따른 영양관리 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2011년 1월 5일∼2011년 1월 21일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법인 83개 요양시설 영양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회수된 34개 요양시설의 설문지 결과로 요양시설 이용 노인의 영양관리 현황 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34개의 설문지를 이용, 요양시설 이용 노인의 등급과 시설의 영양사 유무, 식단작성 여부와 식사관리 현황 등을 조사하였으며, 34개 요양시설에 입소한 일부 노인 163명 중 신장과 체중의 측정치 기록이 안 된 대상을 제외한 149명을 대상으로 MNA(Mini Nutritional Assessment)를 통해 간이영양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MAN 결과가 어떤 인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기 위해 영양불량위험인자(risk factor of malnutrition)와 질환 보유 정도와 MNA score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자 구성을 살펴보면, 영양사가 있는 군 70.6%, 영양사가 없는 군 29.4%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4개 요양시설 중 응답자의 64.7%는 영양사였으며, 40대가 41.2%로 가장 많았다. 영양사가 있는 군의 연령은 40대>30대 순으로 많은 반면, 영양사가 없는 군은 40대>50대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1∼3년이 29.4%로 가장 많았다. 자격증(면허) 소지도 영양사>사회복지사>요양보호사 순으로 나타났다. 2. 영양사 유무에 따른 식단 관리 및 영양상담 관리를 보면, 영양사가 있는 군은 영양사가 식단을 100%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양사가 없는 군은 사무국장,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조리원 등이 식단 작성 70%, 다른 시설의 영양사가 작성한 식단 받음 20%, 외부와 협약해서 받는 식단 10%로 나타났다(P<0.001). 치료 식단을 별도로 작성하는지에 대해서는 영양사가 있는 군은 45.8%가 치료식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양상담 및 영양관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결과를 보면, 영양사가 있는 군은 70.8%, 영양사가 없는 군도 70.0% 영양상담 및 영양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두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으나, 영양사가 없는 군의 경우 대부분 영양사가 아닌 다른 직종의 비전문인이 영양 상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질병과 식사요법 실시 여부를 보면, 뇌졸중(중풍)을 앓고 있는 대상자는 36명(24.2%)으로 이 중에 3명(8.3%)이 식사 요법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장질환의 경우는 16명(10.7%) 중에 1명(6.3%), 고혈압의 경우는 88명(59.1%) 중에 27명(30.7%), 당뇨병의 경우는 35명(23.5%) 중에 11명(31.4%)으로 나타났다. 위장장애를 앓고 있는 경우는 16명(10.7%) 중에 1명(6.3%)이 식사요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사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은 반면, 식사요법 실시 여부에서는 고혈압과 당뇨병 식사 요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 영양사 유무에 따른 요양시설 노인의 MNA 항목별 점수를 보면, 지난 3개월 동안 체중감소, 신체 이동 능력, 식사 상태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가 있었다. MNA 결과에 따라 영양불량 판정에 사용되는 항목과의 상관관계는 체질량지수, 상완 둘레, 장딴지둘레, 최근 식욕감소/치아문제/소화 장애 등의 문제점, 3개월 동안 1∼3 kg 정도의 체중감소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영양판정 결과, 영양불량 5.4%, 영양불량 위험상태 36.9%, 영양상태 양호 57.7%로 나타났다. 영양사 유무에 따른 영양판정 결과를 보면 영양사가 있는 군은 영양 상태 양호 59.0%>영양불량 위험 35.5%>영양불량 5.5%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사가 없는 군도 영양상태 양호 53.9%>영양불량 위험 41.0%>영양불량 5.1% 순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시설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 중 현재 질환을 앓고 있어도 그에 맞는 식이요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영양사가 없는 시설의 경우 제공되는 식단들이 전문적인 영양지식을 배우지 못한 비전문인에 의해 작성됨에 따라 영양이나 위생문제, 영양전문가로부터의 영양 상담이나 교육, 전문적인 영양서비스 부재로 체계적인 영양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정도의 영양관리 운영이 계속 될 경우, 앞으로도 많은 노인들의 등급이 나빠지거나 장기요양보험 대상이 아니었던 노인들도 대상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러한 노인들의 질병을 예방하고 현재 상태를 관리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빠른 시일 내 영양전문가에 의한 식단제공이나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 프로그램 등과 같은 체계적인 영양 관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al management at elderly nursing homes. A survey was performed of 83 nursing homes from January 5, 2011 to January 21, 2011 via mail. A total of 34 nursing home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149 elderly subje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dietitian. Among the 34 nursing homes, 70.6% had a dietitian on duty. All of the facilities with a dietitian had the dietitian making the meal plan, whereas 70% of the facilities without dietitian served meals planned by a non-professional person. Overall, however, a low proportion of nursing homes implemented dietetic treatments for residents with diseases. For the nutritional assessment of these residents, a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was performed. MNA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BMI), mid-arm circumference (MAC), calf circumference (CC), ingestion problems, and weight loss during the last 3 months (P<0.001). Among the elderly studied, 5.4% were malnourished, and 36.9% were at risk for malnutrition by MNA score.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 that the current management of nutrition at nursing homes is insufficient because the elderly who needed dietetic treatment did not receive proper care. Dietetic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service in all nursing homes. Therefore,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s, systematic nutrition management by nutrition experts should be implemented.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보조자극분자를 이용한 암치료

        장미라,윤희령,성인옥,정상원,김용찬,손정희,이혜영,강광일,백상기,김영상 충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2002 생물공학연구지 Vol.8 No.1

        Tumor cells express tumor-associated antigen which can be target to the cytotoxic Tlymphocytes. CTL precursor activation requires antigen recognition and cytokine help from Th cells. In this pathway, the cross-presentation mechanism, professional antigen presenting cells first pick up tumor antigen and present the antigen to Th cells. Another pathway is to activate CTL precursor by the direct priming. The tumor cells, however, lack costimulatory signal, which is required for full activation. The lymphocytes recognized specific antigen without costimulatory signal resulted in anergy. Tumor cells engineered to express the costimulatory molecules are better immunogen and induce antitumor immunity. We will discuss the recent progress in tumor therapy using the costimulatory molecules on the basis of the direct priming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