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hropology of Archaeological Populations from Northeast Asia

        Tumen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1 東洋學 Vol.49 No.-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show that during the prehistoric period (Neolithic, Bronze and Iron age and subsequent historical periods) of Northeast Asia the territory of the Asian region was inhabited by multicultural populations and occurred cross regional extensive migration resulted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multicultural populations.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of the archaeological populations from Northeast Asia through of time from Neolithic up to medieval period show that the prehistoric populations from region were great heterogeneity of anthropological traits. In the Neolithic and Early Bronze age, Xiongnu period the territory of Kazakhstan, Altai mountain, South Siberia, Xinjiang and Western Mongolia was inhabited by people with Caucasoid or Mongoloid and Caucasoid mixed anthropological features while the Baikal region, East Mongolia and Inner Mongolia were occupied by populations with developed Mongoloid anthropological traits. Obtained results of anthropological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rchaeological populations from the Northeast Asia show that the first wave of mongoloids migration from east to west and Caucasoid populations from west to east of Northeast Asia likely took place at the end of Neolithic period. The populations migrations continued during the subsequent historical periods and lasted up to medieval or Mongolian period. The cross regional migration of archaeological populations from Northeast Asia played noticeable role in history, culture, etnogenesis and anthropological structure of populations from the region of Asia.

      • Anthropological study of the ethnic groups in Mongolia

        Tumen, D 단국대학교 한몽학술조사연구협회 1992 한·몽공동학술조사 Vol.- No.1

        The territory of Mongolis is inhabited by over 20 ethnic groups, among them Khalkha occur approximately of 80%, Dervet 2.6%, Bayad 2.0%, Hoton 0.3$%, Ouloud 0.5%, Myangad 0/2%, Zahchin 1.2%, Urianhai 1.1%, Torguud 1.5%, Kazakh 6.1%, Buriad 1.2%, uzemchin 1.1%, Dariganga 1.5%, and Tuva 0.2% of the total population according the census of 1989.

      • 몽골 소비자의 국제선 항공사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몽골 국적 항공사와 외항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

        ( Tumen-ulzii Gankhuyag ),양석준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7 No.-

        최근 5년간 몽골에서의 국제선 이용객의 증가는 정체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몽골의 국제선에 취항하려는 항공사는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몽골 국적 항공사 및 외항사 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몽골에 취항하고 있는 각 항공사들에게 새로운 고객을 유입하는 것보다 점차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인 고객 확보에 더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에서 국제선 항공을 이용했던 몽골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제선 항공사의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에 기반하여 국적 항공사 여부를 조절 변수로 채택하여, 몽골 국적 항공사와 외항사 여부에 따라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의 차별적인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국제선 항공사 재구매의 영향요인을 예약서비스, 기내서비스, 안전운항, 항공권가격, 항공사 이미지, 상용고객 우대서비스, 운항 편의성으로 제시하였으며, 몽골의 국제선 항공사를 이용해본 354명의 몽골 울란바타르 거주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는 기내서비스가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몽골 국적 항공사와 외항사가 각기 다른 영향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 국적 항공사의 경우 예약 서비스, 상용고객 우대 서비스가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항사의 경우 기내서비스와 운항 편의성이 해당 항공사의 재구매 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몽골 국적 항공사의 경우 소비자들이 예약이 편리하고 항공 편수가 많아 상대적으로 상용고객 우대를 받기 쉽다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외항사의 경우 기내 서비스는 보다 친절한 서비스를 기대하며, 또한 몽골과 직항이 없는 지역들을 방문할 때 몽골 국적 항공사 보다 편리할 수 있다는 기대를 반영하고 있는 결과라고 추정하여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제선 항공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몽골 국적 항공사와 몽골에 취항하는 외항사의 보다 구체적인 기존 고객 유지 전략을 도출해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몽골에 취항하고 있는 각 항공사들은 기존 고객을 유지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CRANIALOGICAL STUDY OF ANCIENT POPULATION IN EASTERN MONGOLIA

        TUMEN, D.,NARAN, B. 단국대학교 한몽학술조사연구협회 1993 한몽공동학술연구 Vol.- No.2

        The problem of the first settlement in the territory of the Mongolia is connected with the more general problem of the place of hominisation and of the origin of mankind. Today's Africa with its most resent more than 200 paleoanthroplogical findings is emphasized in this connection and therefore, automatically the Mongolia is excluded from the territory into which the erigin of manking is placed. But there is also another hypothesis that mankind developed from the animal world in Central Asia(A. S. Sushcin 1928 and G. F. Debez 1952).

      • DERMATOGLYPHIC VARIATION AMONG MONGOLIAN POPULATION

        TUMEN, D. 단국대학교 한몽학술조사연구협회 1994 한몽공동학술연구 Vol.- No.3

        The territory of Mongolia is inhabited by over 20 ethnic groups and tribes. Goegraphic distribution of contemporary ethnic groups of Mongolia is shown in <figure 1>. Among them Khalkha ethnic group occurs approximately of 80.5%, Derber-2.6%, Bayad-2.0%, Khoton-0.3%, Olet-0.5%, Myangad -0.2%, Zakhchin-1.2%, Uzemchin-1.1%, Dariganga-1.5% and Tuva-0.2% of the total population according to the census of thd 1989<Table 1>.

      • KCI등재

        Topical Wound-Healing Effects and Phytochemical Composition of Heartwood Essential Oils of Juniperus virginiana L., Juniperus occidentalis Hook., and Juniperus ashei J. Buchholz

        Ibrahim Tumen,Ipek Su¨ntar,Fred J. Eller,Hikmet Keles,Esra Ku¨peli Akko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6 No.1

        Ethnobotanical surveys indicated that in the traditional medicines worldwide, several Juniperus species are utilized as antihelmintic, diuretic, stimulant, antiseptic, carminative, stomachic, antirheumatic, antifungal, and for wound healing. In the present study,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heartwood samples of Juniperus virginiana L., Juniperus occidentalis Hook. and Juniperus ashei J. Buchholz were evaluated for wound heal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y using in vivo experimental methods. The essential oils were obtained by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Linear incision and circular excision wound models were performed for the wound-healing activity assessment. The tissues were also evaluated for the hydroxyproline content as well as histopathologically.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the test used was an acetic acid-induced increase in capillary permeability. The essential oil of J. occidentali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n the in vivo biological activity models. Additionaly, the oil of J. virginiana was found highly effective i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method. The experimental data demonstrated that essential oil of J. occidentalis displayed significant wound-heal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 KCI등재후보

        Ancient Population of Mongolia

        D.Tumen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7 石堂論叢 Vol.0 No.38

        Archaeological studies of Neolithic, Bronze and Iron ages show that the Western Mongolian Bronze and Early Iron age culture belonged to Altai‐Sayan variants of South Siberian culture, the so- called “Slab grave” culture took place in Central and Eastern Mongolia, Baikal region and Manchuria. The paleoanthropological studies of human remains from Neolithic, Bronze and Early Iron Ages of Mongolia reveal great heterogeneity of morphological traits among populations of the historic periods. In the Neolithic period the Western Mongolia was inhabited by people with Caucasoid morphological features while populations with developed Mongoloid traits occupied the Central and Eastern Mongolia. The Early Bronze Age was characterized by human migrations from Eastern Mongolia to Western Mongolia, Southwestern Siberia, and West- Central Asia. The Western Mongolian populations of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 exhibited more pronounced Mongoloid features than seen at earlier times. Comparative morphological analysis shows that the Neolithic, Bronze and Early Iron Age populations from Asia are divided into two major clusters. The first cluster includes all populations from Southern Siberia and Western Mongolia, and Jomon people from Japan. The second cluster includes populations from Manchuria, Inner Mongolia, northwest and Central China, Korea, Transbaikalia area, and Eastern Mongolia. Hunnu population which is not anthropologically quite homogeneous. It may be explained by extensive migration of nomads from Eurasian steppe (Caucasoid or mixed populations from west to east and Mongoloids from East to West) which lasted during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 and Hunnu period in Inner Asia. Hunnu, Medieval and contemporary Mongolians have been shown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opulations of the Neolithic, Bronze, and Early Iron Age of Eastern Mongolia. 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 고고학적 연구는 서몽골의 청동기와 초기철기시대문화가 남부 시베리아 문화인 알타이-사얀계통에 속함을 나타낸다. 소위 판석묘로 특징지어지는 문화는 중앙몽골과 동몽골, 바이칼호주변, 만주지역에 해당한다. 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시대 몽골인골자료의 고인류학적 연구는 주민집단의 형질이 각 시기별로 차이가 나는 것을 보여준다. 신석기시대에 중앙몽골과 동몽골은 발전된 몽골로이드에 의해 점유된 반면, 서몽골에는 코카소이드가 거주하였다. 초기청동기시대는 동몽골에서부터 서몽골을 비롯한 남서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서쪽지구로의 주민이동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의 서몽골 주민집단은 이전시기에 비해 몽골로이드계가 더 많이 보인다. 두개안면 비교분석에서 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아시아에서 온 주민집단은 두 개의 주요 클러스터(群)로 나누어진다. 첫번째 클러스터는 남시베리아, 서몽골, 일본죠몽 주민을 포함한다. 두번째 클러스터에는 만주, 내몽골, 중국 북서부, 중국중부, 한국, 바이칼지역, 동몽골의 주민이 속한다. 훈족은 인류학적으로 순수한 한 계통이 아닌데, 이는 유라시아스텝에서 행해진 적극적인 주민이동 (코카소이드나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한 혼혈계,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몽골로이드)을 설명하고, 이런 현상은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 그리고 훈족시기에 이르기까지 내륙아시아에서 지속된다. 훈족기, 중세, 현 몽골인들은 신석기시대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동몽골주민과 보다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Ancient Populations of Mongolia

        ( D. Tume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7 石堂論叢 Vol.0 No.38

        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 고고학적 연구는 서몽골의 청동기와 초기철기시대문화가 남부 시베리아 문화인 알타이-사얀계통에 속함을 나타낸다. 소위 판석묘로 특징지어지는 문화는 중앙몽골과 동몽골, 바이칼호주변, 만주지역에 해당한다. 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시대 몽골인골자료의 고인류학적 연구는 주민집단의 형질이 각 시기별로 차이가 나는 것을 보여준다. 신석기시대에 중앙몽골과 동몽골은 발전된 몽골로이드에 의해 점유된 반면, 서몽골에는 코카소이드가 거주하였다. 초기청동기시대는 동몽골에서부터 서몽골을 비롯한 남서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서쪽지구로의 주민이동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의 서몽골 주민집단은 이전시기에 비해 몽골로이드계가 더 많이 보인다. 두개·안면 비교분석에서 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아시아에서 온 주민집단은 두 개의 주요 클러스터(群)로 나누어진다. 첫번째 클러스터는 남시베리아, 서몽골, 일본죠몽 주민을 포함한다. 두번째 클러스터에는 만주, 내몽골, 중국 북서부, 중국중부, 한국, 바이칼지역, 동몽골의 주민이 속한다. 훈족은 인류학적으로 순수한 한 계통이 아닌데, 이는 유라시아스텝에서 행해진 적극적인 주민이동 (코카소이드나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한 혼혈계,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몽골로이드)을 설명하고, 이런 현상은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 그리고 훈족시기에 이르기까지 내륙아시아에서 지속된다. 훈족기, 중세, 현 몽골인들은 신석기시대·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동몽골주민과 보다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rchaeological studies of Neolithic, Bronze and Iron ages show that the Western Mongolian Bronze and Early Iron age culture belonged to Altai-Sayan variants of South Siberian culture, the so-called "Slab grave" culture took place in Central and Eastern Mongolia, Baikal region and Manchuria. The paleoanthropological studies of human remains from Neolithic, Bronze and Early Iron Ages of Mongolia reveal great heterogeneity of morphological traits among populations of the historic periods. In the Neolithic period the Western Mongolia was inhabited by people with Caucasoid morphological features while populations with developed Mongoloid traits occupied the Central and Eastern Mongolia. The Early Bronze Age was characterized by human migrations from Eastern Mongolia to Western Mongolia, Southwestern Siberia, and West-Central Asia. The Western Mongolian populations of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 exhibited more pronounced Mongoloid features than seen at earlier times. Comparative morphological analysis shows that the Neolithic, Bronze and Early Iron Age populations from Asia are divided into two major clusters. The first cluster includes all populations from Southern Siberia and Western Mongolia, and Jomon people from Japan. The second cluster includes populations from Manchuria, Inner Mongolia, northwest and Central China, Korea, Transbaikalia area, and Eastern Mongolia. Hunnu population which is not anthropologically quite homogeneous. It may be explained by extensive migration of nomads from Eurasian steppe (Caucasoid or mixed populations from west to east and Mongoloids from East to West) which lasted during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 and Hunnu period in Inner Asia. Hunnu, Medieval and contemporary Mongolians have been shown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opulations of the Neolithic, Bronze, and Early Iron Age of Eastern Mongol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