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FRS 도입 전후 Big4 감사인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변화

        윤선주(Yoon Seon-Ju),고재민(Goh Jaim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4

        본 연구는 IFRS 도입 이후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비교 대상 기업 모두 Big4 회계법인인 경우의 비교가능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비교가능성은 비교 대상이 되는 두 기업 사이의 관계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기업-연도 자료 대신 기업 쌍-연도 자료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기업 간 비교가능성은 IFRS 도입 이후 상승하였다. 둘째, 비교 대상 기업의 감사인이 모두 Big4인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IFRS 도입 이후 비교가능성의 상승 폭이 낮았다. 구체적으로 감사인이 모두 Big4인 경우 IFRS 이전에는 비교가능성이 더 높았으나, 이후에는 오히려 낮아졌다. 이와 같이 Big4 회계법인의 비교가능성 상승 폭이 작은 이유는 두 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회계기준이 원칙 중심(principle-based)의 IFRS로 변경되어 경영자 및 감사인의 재량이 확대되었고, 이로 인해 Big4 회계법인별로 회계기준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차이가 커진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Big4 회계법인은 상대적으로 감사인력이 많기 때문에 개인별로 차이가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Big4 회계법인에 감사 받은 표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Big4 회계법인별로 비교가능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둘째, 동일 감사인에게 감사 받은 표본만을 대상으로 동일 Big4 회계법인이 감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결과, IFRS 도입 이전에는 동일 Big4 회계법인의 비교가능성이 더 높았으나 이후에는 비교가능성에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Big4 감사인은 다른 감사인에 비해 재량적발생액이나 발생액의 질 등 회계정보의 질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본 연구에서는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은 IFRS 도입 이후 Big4 감사인이 오히려 더 낮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IFRS의 원칙중심 특성으로 인해 Big4 감사인별로 회계기준에 대한 해석과 적용이 다르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간접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financial reporting comparability of Big4 auditors after adopting 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Big4 auditors would be better as well, because audit quality of Big4 auditors is higher. However, from another perspective, given principle-based accounting environment from IFRS, Big4 translate accounting standards in their own different way and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may be lowe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increases after IFRS is adopted. Second, on the contrary, increase i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firms audited by Big4 is smaller than that of other cases. Specifically, whil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firms audited by Big4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cases in pre-IFRS period, it becomes lower than that of other cases in post-IFRS period. We can infer two reasons from Big4 auditors’ small increase i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after adopting IFRS. First, Big4 have their own system of translating and educating principle-based IFRS. Second, Big4 have more auditors compared to other accounting firms and the variation among individual auditors would be remarkable. We verify these inferences using two analyses. First, we find that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each Big4 i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iling data only audited by Big4. Second, whereas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firms audited by Big4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cases in pre-IFRS period, it is not different between these two in post-IFRS period, when analyzing data only audited by the same auditors. In General, it is known that Big4 auditors provide higher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such as discretionary accruals and accruals quality. However, interestingly, we find that compar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 audited by Big4 auditors is lower than that of other cases in post-IFRS period. This finding implies that Big4 auditors vary more than other ones in their interpretations and applications of principlebased accounting standards, IFRS.

      • KCI등재

        국어과 학습 동기 유발 방법

        선주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6 No.-

        This paper examined about induction methods of learning motive and the effect for maximizing student's learning outcome in korean subject. For this, a writer examined, first, the notion of learning motive and sense, the pattern in the general standpoint, and then, examined induction methods of learning motive for maximizing student's learning outcome in korean subject according to the motive induction element with instruction side, teacher's question side, student's self-efficiency side, multimedia environment side. As a examination result, a writer examined that several models were mixed according to 'knowing' and 'doing' of the character of learning activity. Also, examined the necessity of 'student leading participation structure', the hegemony in instruction process is given to students. A writer examined that teacher's question induced student's learning motive and response in teacher's question strategy side. For this, a writer examined the aesthetic questioning method inducing students' learning motive and response in a literary class. And, examined promoting student's inner motive increasing self efficiency, emphasizing that self efficiency influences a cognitive comprehension emotional familiarity degree, learning task selection process. Finally, in a multimedia environment side, examined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about multimedia and the teaching utilizing multimedia. And, examined the increase of multimedia literacy that can understand, product multimedia for the teaching about multimedia. 이 글은 국어과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학습 동기 유발 방법들과 그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학습 동기의 개념 및 의의, 유형 등을 일반적인 차원에서 먼저 논의한 다음, 국어과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극대화하기 위한 학습 동기 유발 방법들을 교수-학습 측면, 교사의 발문 측면, 학생의 자아 효능감 측면, 다매체 환경 측면 등과 같은 동기 유발 요소에 따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교수-학습 측면에서는 특정한 교수 모형이 아닌 몇 가지 모형을 학습 활동의 특성인 ‘아는 것’과 ‘하는 것’에 따라 혼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주도권이 학생에게 주어지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가 필요함을 밝혔다.교사의 발문 전략 측면에서는 교사의 발문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반응을 유발하는 것이 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를 위해 필자는 문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반응을 유발하는 심미적 발문 방법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학생의 자아 효능감 측면에서는 자아 효능감이 국어과 학습 과제에 대한 인지적 이해 과정, 동기화 정도, 정서적 친밀감 정도, 학습 과제 선택 과정 등에 많은 영향을 줌을 강조하여, 자아 효능감을 증진시켜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촉진해야 함을 밝혔다. 끝으로 다매체 환경 측면에서는, 다매체에 대한 교육과 다매체를 활용한 교육이 필요함을 밝혔다. 그리고 다매체에 대한 교육을 위해서는 다매체를 이해하고 생산할 수 있는 다중 문식성이 증진되어야 함을 밝혔다.

      • KCI등재

        노동소설의 운동성과 소설교육

        선주원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본고는 1930년대와 1980년대의 문학 운동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30년대와 1980년대 문학 운동에 나타난 문학성을 노동소설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고가 이것을 논의한 것은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 비교적 간과되어 왔던 문학성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 의도로 인해 문학 텍스트가 갖는 문학성과 운동성 중에서 문학성에 좀더 초점을 두어 ‘운동으로서의 문학’이 갖는 의의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북명의 소설들, 한설야의「과도기」와 「황혼」, 방현석, 정화진의 노동소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이를 통해 이 소설들이 ‘운동으로서의 문학’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80년대의 노동소설을 ‘운동으로서의 문학’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문학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가르쳐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논의의 결과 학습자들이 소설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이해와 평가행위를 통해, 텍스트의 내용을 자기화하고 보다 나은 삶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변혁 과정을 형상화하고 선도했던 노동 소설들에 대한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텍스트들에 대한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보다 다양한 삶의 영역들을 이해하는 가운 데 삶의 경험을 확장함으로써,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보다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동으로서의 문학은 소설교육 대상으로서의 의의를 충분히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d literary nature in 1930's and 1980's period through labor-novel, basing on research outcome about literary movement of 1930's and 1980's period. This thesis has this research purpose, because does emphasize literary nature has been overlook in former times research outcome. This thesis examined significance of literature as a movement, focusing literary nature of literary text, because of basic proposition literature as a movement is still valid in our period. For this, this thesis focuses labor-novel produced in KAPF period and 1980's period. Especially, this thesis did prior treat Lee Buk Myoung's novels, Han Seol Ya's 「A transitional stage」,「Twilight」,Bang Hyeun Seok's, Jung Hwa Jin's labor-novels, examined how these novels embody 'literature as a movement' through this, and examined how this literature can be teach in school spot. Students must learn novel text representing and leading process of social reform, for self-fulfillment of text-content and planning of better life through action of understanding and valuing about content of novel text. Through learning about these texts, students expand life's experience in understanding fields of more various life through learning about these texts, and more expand appreciation about self and world. Therefore, literature as a movement has enough significance as an object of teaching of novel.

      • KCI등재

        하악 우측 측절치에 발생한 선양 치성 종양

        박미선,박호원,서현우,이주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선양 치성 종양(adenomatoid odontogenic tumor)은 악골에 드물게 발생하는 치성 기원의 종양이다. 이전에는 법랑모세 포종(ameloblastoma)의 한 종류로 여겨졌으나 양성이며 재발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상악 견치에 호발하며 대개는 무증 상이지만 크기가 천천히 커져 무통성 종창을 일으킬 수 있다. 방사선학적으로 함치성 낭종(dentigerous cyst) 및 단방성 법 랑모세포종(unicystic ameloblastoma)과 매우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보존적인 소파술(curettage) 및 적출술(enucleation) 을 통해 치료한다. 본 증례는 하악 우측 측절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여자 환아에서 방사선 사진 검사를 통해 치아의 매복 및 병소를 확인하고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치아에는 브라켓을 부착하여 교정적 정출을 유도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선양 치성 종 양으로 확진되었으며 양호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AOT) is an infrequent odontogenic tumor which arise in the jaw. It was considered as a variant of ameloblastoma. The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is clearly benign and, in contrast to the ameloblastoma, present a very low recurrence. It most often appears in the canine region of the maxilla. The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is frequently asymptomatic, however it may cause painless swelling. The radiological findings of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frequently share characteristics of dentigerous cyst and unicystic ameloblastoma. Conservative surgical enucleation and curettage are the treatment of choice. In this case a 10-year-old child was presented with mandibular right lateral incisor in unerupted. Radiographically, the tooth was impacted and a radiolucency was seen in the area. The lesion was enuclated without extraction of the tooth. Bracket was attached on the tooth for orthodontic extrusion installed. Histopathologically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was revealed.

      • KCI등재

        여가적 읽기를 위한 어린이 문학교육 내용 연구 : 문학 생활화를 중심으로

        선주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이 글은 어린이들이 자발적으로 읽는 문학 읽기를 여가적 읽기로 규정하고, 여가적 읽기로서의 어린이 문학교육의 내용을 밝히고자 했다. 이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글은 여가적 읽기와 어린이 문학 읽기 특성간의 관련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 문학교육의 내용을 문학적 지식 구성, 문학능력(수용과 창작) 증진, 여가적 문학 읽기 태도 형성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그런 다음, 여가적 문학 읽기에 의한 문학 생활화 실천을 논의하였다. 인격의 성장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어린이들은 문학적 행동을 습관화하면서 가치관을 내면화하게 된다. 문학적 행동의 습관화는 문학 생활화를 습관적으로 실천하는 가운데, 어린이들이 자기 성찰을 하는 것이다. 자기 성찰 및 새로운 자기 형성으로 이어지는 어린이 문학교육을 위해서는 여가적 읽기를 수행할 수 있는 문학능력이 필요한데, 문학능력은 주로 인간의 삶과 가치에 대한 구체적인 사상과 감정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중요한 속성으로 한다. 주로 체험을 통해 형성되는 인간의 삶과 가치는 먼저 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하고, 다음에 그에 비추에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두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지식 또는 사고의 수렴적·발산적 양면을 아우른다. 이러한 양면적 사고를 갖는 문학능력이 어린이들의 여가적 읽기를 통해 일상화되면, 이는 문학생활화가 실천되는 단계에 도달한 것이 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 of the children literary teaching as a leisure reading, prescribing voluntary literary reading of the children as a leisure reading. For actualization of this research aim, this paper examined relation between the leisure reading and property of the literary reading, examined the content of the children literary reading, dividing formation of the literary knowledge, literary competence promotion(reception and writing), building of the leisure literary reading attitude by this. And then, examined literary living practice by leisure literary reading. The children internalize their values practising literary action in the process devising personal growth. Practising of literary action is the self reflection of the children in the practising habitually literary living. The literary competence accomplishing leisure reading is required for the children literary teaching connected self reflection and new self formation. The literary competence has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about concrete thought and feeling about life and value of human being as a important attribute. The life and value of human being formed through mainly the experience includes two aspects of converge and diffusion of the knowledge or the thought, first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text, and then accomplishing evaluation about the content of the text by this. The literary living will reach the stage of the practice, if the literary competence having these two aspect of the thought practise daily by the leisure reading.

      • KCI등재

        이해와 표현을 위한 소설교육 : 초점화를 중심으로 focused focalization

        선주원 한국문학교육학회 2004 문학교육학 Vol.13 No.-

        This thesis examined novel teaching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making object text Seo Jeong In's 「The River」, 「Dal Gung」, Yeom sang sep's Sam Daed. And this thesis examined how a learner read plural focalizations in novel discourse, how this novel reading have significance in novel teaching. Also, examined how novel teaching basing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have significance. Through this examination, this thesis could know that become mechanism that duplicating of narrator's and character's focalization, and focalization of reflector-character in ideological level realize dialogue of discourse subjects and dialogic communication, this duplication of focalization is main principle of life. Also, this thesis could know that the dialogue of discourse subject by plural focalization embodied novel discourse give a learner possibility that a learner recognizes relation with the other and dialogic nature of life, and can grow critical subject. Therefore, examining how a learner read dialogue of novel discourse subject by plural focalization in novel teaching field, has much worth for more plentiful novel teaching practice, Also, it has significance in novel teaching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 KCI등재

        질문하기 전략을 통한 문학 교수·학습 과정 연구

        선주원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문학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문학 능력 증진과 문학적 문화의 고양은 텍스트 변인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도 있지만, 교수·학습이 수행되는 상황 맥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하면서 학습자의 문학 능력은 교실 담론, 특히 교사와 학습자의 교수·학습 상황에 의해 그 양상이 달라진다. 따라서 보다 의미 있는 문학교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문학 수업이 수행되는 상황 맥락, 특히 교사와 학습자의 텍스트 소통 전략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두어 텍스트에 대한 소통 전략으로서 질문하기 전략을 논의하였다. 질문하기 전략은 문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교육 내용에 대한 비계설정(scaffolding)이 된다. 텍스트의 내용 중 이해가 잘 되지 않는 것들에 대한 질문을 하여 그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학습자들은 다음 단계의 학습으로 전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문하기 전략에 의한 문학 교수·학습은 문학적 지식을 강조하는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하나의 반론으로서, 문학 텍스트에 대한 비평적 사고와 문학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것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교사가 어떠한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문학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와 해석의 과정이 달라진다. 따라서 학습자의 문학 능력과 비평적 사고, 창의적 사고력 등을 촉진할 수 있는 적절하고 중요한 질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하면서, 문학 교사의 질문을 해석적 질문, 비평적 질문, 구성적 질문 등으로 나누어, 이러한 질문들이 갖는 문학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Fostering of literary competence and enhancement of literary culture of a learner differ according to case of text, but are more affected to context of instruction performance in the spot of literature teaching. Especially, these have different aspect according to question context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erefore, for performance of more meaning literature teaching, a teacher has necessity of consideration about especially question context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This thesis examined about process of literature teaching through a teacher's strategy of questioning. For this, this thesis examined significance of questioning strategy being scaffolding in instruction context, and how this strategy would perform in real literature teaching spot. Literature teaching by questioning strategy will be alternative for literature teaching fostering critical thought and literary competence about literary text, as an objection about teacher-centered instruction way stressing literary knowledge, process of a learner’s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about literary text through how a teacher questions. Therefore, knowing what adequate and important question, and way utilizing this promote a learner’s literary compe- tence and critical thought, original thought effectively, is very important. For this, a literary teacher must have performance of question for comprehension, question for critical thought, question for original thought. Examining that, this thesis divides question of literary teacher in interpretive question, critical question, formative question, looks into that these questions have literary significance.

      • 가치관교육으로서 소설교육의 목표

        선주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본고는 소설교육에서의 가치관을 소설교육의 전체 지형도를 형성하는 기제로 보고, 기제로서의 가치관은 역동적 층위구조를 이루는 차연으로서의 가치관임을 전제하였다. 이러한 전제하에 가치관 교육으로서의 소설교육의 목표를 구안해 보았다. 본고는 소설교육의 목표가 단일한 층위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라, 문학의 본질에 관한 지식 층위, 문학의 수용과 창작 층위, 문학과 문화의 연관성 층위, 문학문화를 통한 문화실천으로서의 층위, 가치관의 내면화를 통한 자아 실현 층위 등에 따라 다름을 논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여러 층위 중에서 가치관의 내면화를 통한 자아 실현 층위에서의 소설교육의 목표를 상정해 보았다. 소설교육의 목표는 중층적 구조를 갖는 각 층위에 맞게끔 설정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의 출발선에 불과하다. 그러나 소설교육의 목표에 대한 중층구조를 설정하고, 그 층위구조에 맞는 목표 설정에 관한 논의의 활성화가 필요한 시기라고 본다.

      • KCI등재

        비평적 읽기와 시 교육에서의 수행평가

        선주원 한국문학교육학회 2003 문학교육학 Vol.11 No.-

        This thesis discussed how poem reading relate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spot of poem lesson, how a student embody critic about poem text. For this, this thesis discussed a student's poem reading of poem lesson in perspectives of critical reading, then, critical reading divide interpretive reading and formative reading, examined how performance assessment be accomplished about this reading. For being accomplished of assessment in poem education. it is requested literary competence of literary teacher and qualitative change of literary experience. new perspective and strategy about assessment ways, classroom discourse must be formed for student's literary competence and literary experience. For this, poem education does not remain analysis about poem text, For this, poem education does not remain analysis about poem text, requests critical reading that does and does not regard in the same light, about formed sense in the text based on close reading and reflects self-life. Viewing this persp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in literary field is not intense different with performance assessment of language education, has close relation. Also, performance assessment of literary field is not different with speaking, hearing, reading, writing but is mutual integrated. But performance assessment of literary field as coordinate action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bout literary text, is more essential. Essential reason that teaches and learns literary text, is for that reflects self life and forms newly self life based o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literary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