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new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s of Jeju Island: Application to representative basins and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Kang Minseok,Lee Youngju,Park Changyeol,Yoo Chulsang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12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2018)의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주도의 3개의 하천유역(중문천, 천미천, 한천)에 적용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적용의 결과로서 이들 세 유역의 CN 값이 산정되었으며, 이 값은 기존의 세 가지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제주도에서의 침투, 강우-유출 해석 등에 사용되는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선택된 방법론에 따라 수문학적 토양 군 분류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에 따른 제주도 대표 유역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결과를 비교한 결과, Lee et al.(2018)의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B군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Hu and Jung(1987)의 분 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C군과 D군이, Jung et al.(1995)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 A군과 C군, 마지막으로 RDA(2007)의 분류 방 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D군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결과와 비교된다. (2) Lee et al.(2018)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주도의 3개 대표 유역에 적용한 결과, 3개 유역 모두 기존 방법에 비해 가장 작은 CN 값이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3) 제주도에서의 강우-유출과 관련된 연구를 검토한 결과, 제주도 유역의 CN 값은 기존 방법에 의해 추정된 것에 비해 작을 가능성이 크고, 또한 초기 손실은 0.2S 이상의 큰 값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 proposed by Lee et al. (2018) with its application to three river basins (Jungmuncheon, Cheonmicheon, and Hancheon) in Jeju Island. The CN values are estimated as results of this application to these three basins, which is then compared with those estimated by applying the conventional three methods. Additionally,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soil groups of Jesu Island, such as the infiltration and rainfall-runoff analysis, are reviewed to evaluate how the resulting hydrological soil groups vary depending on the adopted classification method.. Summarizing the results is as follows. (1) Comparison result of the hydrological soil groups of Jeju Island with respect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shows that the soil group B is dominant in the application of Lee et al. (2018). However, it is hydrological soil groups C and D in the application of Hu and Jung (1987), hydrological soil groups A and C in the application of Jung et al. (1995), and hydrological soil group D in the application of RDA (2007). (2) In all the applications of Lee et al. (2018) to three selected river basins in Jeju Island, the CN valuse are found to be smaller than those by other conventional three methods.. Lastly, (3) The evaluatio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hydrological soil groups analysis in Jeju Island shows that the CN value in the Jeju Island may be smaller than those estimated by conventional three methods, also the initial loss higher than 0.2S.

      • '聖德大王神鐘'의 음향특성에 관한 통계적 패턴분석

        박석윤,구본초,김태호,박봉서,송인호,심규복,여영선,윤영재,이동욱,이문희,이인선,이재성,이정은,이창진,인민호,임양호,장영주,장혜경,최규선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忠南科學硏究誌 Vol.30 No.1

        '神鐘'이라는 호칭에 걸맞은 '聖德大王神鐘'의 특징 가운데 이미 알려진 다음과 같은 기존 연구 결과들을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종의 성분에서 구리(78-84%)와 주석(11.21-15.51%)의 비율이 절묘하게 이루어져서 '韓國梵鐘'의 '천년의 소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리와 주석뿐만 아니라 납과 아연과 철과 니켈성분도 나타나며, 또한 종체의 상부와 중부 및 하부에서 각기 성분비율이 다르다. 둘째, '聖德大王神鐘'은 다른 '韓國梵鐘'들에서는 볼 수 없는 유황성분이 미량이지만(0.22%) 존재한다. 셋째, 종의 구조상 주조과정에서의 불가피한 불균일성과 표면의 조각과 문양 및 덤쇠와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에 의한 미소 비대칭성을 보인다. '韓國梵鐘'의 음향특징 가운데 하나인 '맥놀이'(pulsating phenomenon)는 비대칭성으로 인한 비습한 진동수 2개가 조화 진동해 합성된 진동의 진폭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넷째. '韓國梵鐘'의 전형적 특징 가운데 하나인 音管이 종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音管 상부와 하부의 직경에 차이가 있다. 이 音管은 높은 음 및 騷音의 음향조절 및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 다섯째, 종체의 하부 밑으로는 鳴洞을 설치하게 되어 있다. 鳴洞은 공명진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한국종' (Korean Bell)으로 불리는 '韓國梵鐘'의 전형적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는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를 통계적 패턴분석으로 접근해 보았다.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를 발견해 보고자. 음향신호를 ASCII코드로 변환하였으며, 추출을(samping ratio)이 22,050H2인 음향신호 시계열 자료를 리샘플링(resampling)하여 1.000Hz의 시계열 자료로 변환하여, 음향 신호의 통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비교적 짧은 시간(10여초)의 음향신호이지만. 음향패턴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음향패턴에 따라 제1구간에서 제6구간까지 여섯 단계로 분류하여, 단계별 시계열자료의 定常性을 점검하고 '聖德大王神鐘'의 신비한 음향적 특징을 통계적 패턴으로 접근한 결과를 각 구간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區間打聲은 여타의 區間音과는 음향패턴이 현저히 다를 뿐만 아니라, 진폭이 크고 불규칙적인 騷音으로 판별되어 음향신호로 볼 수가 없으므로,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神鐘'의 제2區間 기본 主淸音(Ⅰ음, Ⅱ음)은 극히 짧은 순간음이지만, 이후의 區間에서만 나타나는 派生音(Ⅲ음. Ⅳ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음이면서도 騷音이 거의 개입되지 않은 밝은 淸音으로서, '神鐘'의 신비한 音특성 즉 장중하고 영롱하면서도 고요한 음파 패턴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 셋째, 제3區間音은 한 마디로 말하기가 쉽지 않으며, 조금은 복잡한 음향패턴변화를 보인다. 즉 제2區間 기본음향인 主音(Ⅰ음, Ⅱ음)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기본 主音(Ⅰ음, Ⅱ음)이 派生音(Ⅲ음, Ⅳ음)을 생성해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생성과정에서 미세한 騷音들이 개입되어 있으나,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으로 騷音이 처리되어, 제3區間에서 騷音들이 점차 제거되어 시나브로 사라져 가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넷째. 제4區間淸音은 기본 主淸音(I음, Ⅱ음)과 派生淸音(Ⅲ음, Ⅳ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네 가지 淸音(I음, Ⅱ음, Ⅲ음, Ⅳ음)만이 자리잡게 되는데, 騷音의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騷音 시나브로 제거기능이 제3區間에서 이어 제4區間에서도 작동된 결과 깨끗한 네 가지 淸音(I음, Ⅱ음, Ⅲ음, Ⅳ음) 음향신호가 초반부에 나타나고 있다. 또한 높은 음의 음향조절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발휘되어, 제4區間에서 두 번째 높은 고주파 派生淸音인 Ⅲ음이 점차로 감소하면서 시나브로 사라져간다. '神鐘'의 장엄하면서도 영롱한 소리에는 어린아이의 울음소리와 유사한 고주파가 작지만 조화롭게 혼합되어 있어서, 다른 '韓國梵鐘'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음파의 특징이 발견되고 있다. 아마도 '神鐘'이라는 명칭보다 '에밀레종'이라는 애칭이 생긴 까닭이, 바로 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派生淸音(Ⅲ음, Ⅳ음)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섯째. 제5區間淸音은 제4區間淸音과 큰 차이는 아니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제5區間에서는 초반부에 3개의 淸픔(I음, Ⅱ음, Ⅳ음)이 나타난다. 그러나 점차 세 가지 淸音(I음, Ⅱ음, Ⅳ음) 중에서 가장 높은 派生淸音인 Ⅳ음마저 시나브로 사라져간다. 높은 音의 음향조절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지속적인 기능에 기인한 것이다. 여섯째. '神鐘'의 제6區間主淸音은 派生淸音(Ⅲ음, Ⅳ음)은 다 사라지고 최종적으로 남게되는 기본 主淸音(I음, Ⅱ음)이다. 따라서 제6區間主淸音은 제2區間 기본 主淸音과 동일한 낮은 주파수의 主淸音(I음, Ⅱ음)이다. 그러나 제6區間主淸音은 제2區間 기본 主淸音(I음, Ⅱ음)에 비해 진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지속시간도 훨씬 길게 나타나는, 신비하고도 절묘한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본질적 淸音의 음향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종체의 하부 밑에 설치한 鳴洞이 공명진동을 지속적으로 확대재생산하여 일어난 결과이다. 따라서 주석(11.21-15.51%)의 절묘한 비율, 각기 다른 종체의 상부와 중부 및 하부의 성분비율로 인한 종의 구조상의 불균일성, 종체 표면의 조각이나 문양 및 덤쇠와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에 의한 미소 비대칭성, 그리고 音管의 騷音 필터기능과 높은 음향조절기능 및 鳴洞의 공명진동기능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비로소 아름답고도 신비한 제6區間主淸音을 창출해내고 지속적 힘찬 맥놀이의 에너지가 된다. 즉 제6區間主淸音이 출현한 후에야 비로소, ‘韓國梵鐘'의 특징인 비교적 일정한 시간격인 약 2.5초(2-3초) 간격으로 지속되는 主淸音의 힘찬 '맥놀이' (pulsating phenomenon)가 시작되며, 이러한 '神鐘'의 신비한 '맥놀이현상'도 이후 오랜 시간 지속된다. 또한 '神鐘'의 기본 네 음파(I음, Ⅱ음, Ⅲ음, Ⅳ음)의 frequency를 살펴보면. 네 음파마다 변화패턴과 변화의 폭은 조금씩 다르나 매우 짧은 시간에 frequency의 미세한 변화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바. 이러한 frequency의 지속적 미세한 변화가 힘찬 '맥놀이'(pulsating phenomenon)를 유발하여 오랜 여운으로 들리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6단계별 다양한 음향적 패턴변화로 인해 '聖德大王神鐘'의 신비로운 종소리가 우리의 심금을 울려주고 있음을 통계적 패턴분석을 통해 접근하였다. Recently the crack of 'King Seongdeok Bell' is issued. The secret of 'King Seongdeok Bell' sounds have not been clarified completely, and though tried to make the duplicate several times, anyone could never imitate. The pipe lines and resonator (vibrational hoops) are features of Korean bell. The pipe lines make low frequency, the original sound, remain the inside of the bell and high frequency emit itself to reduce white noise. The vibration hoops make the original sound translate stable sounds and tune it to spread at a di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und waves of the bell. using time series analysis with data translated into ASCⅡ code. Six steps are easier to be identified by ACF and periodogram, and a vibration is showed in ACF and data with excluding white noise is showed in periodogram.

      • Influence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s on the nano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Lee, Youngju,Yang, Eun-Jin,Youn, Seokhyun,Choi, Joong K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 Vol.98 No.7

        <P>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s (CDW) on the distribution of nanophytoplankton (<20 µm) abundance and biomas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during two research cruises conducted in the summers of 2010 and 2012, using flow cytometry. Each group of nanophytoplankton responded differently to the distribution of the CDW. In the surface layer, <I>Synechococcus</I> 1 which has low orange fluorescence, a major component of summer nanophytoplankton, were more abundant under the large extension of CDW to the northern ECS in August 2010, whereas the abundance of other groups including <I>Synechococcus</I> 2 which has high orange fluorescence, and pico- and nano-eukaryotes (0.2-2 and 2-20 µm in diameter, respectively), dramatically increased under the small extension of CDW in August 2012. The subsurface chl-<I>a</I> maximum layer became more developed under the small extension of CDW, and was dominated by nano-eukaryotes. During two study period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CDW also showed annual variations, with higher seawater temperature, lower salinity, and higher nitrate concentration in the surface layer of the CDW in August 2010. The summer distributions of <I>Synechococcus</I> and nano-eukaryotes were likely to be limited by low salinity and high temperature,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phytoplankton distribution could be influenced not only by the extension level of the CDW but also by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s of the CDW.</P>

      • SCISCIESCOPUS

        Influence of sea ice concentration o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Chukchi and East Siberian Seas, Pacific Arctic Ocean

        Lee, Youngju,Min, Jun-Oh,Yang, Eun Jin,Cho, Kyoung-Ho,Jung, Jinyoung,Park, Jisoo,Moon, Jung Kuk,Kang, Sung-Ho Pergamon Press 2019 Deep-sea research. Part I, Oceanographic research Vol.147 No.-

        <P><B>Abstract</B></P> <P>To clarify the influence of sea ice concentration on phyt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in the rapidly warming Arctic Ocean, we conducted field surveys in August 2012 and August 2015 in the Chukchi and East Siberian Seas.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s (derived from pigment analysis) were compar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between the two periods. August 2012 had the lowest average sea ice concentration since sea ice observations began in 1979, along with higher sea surface temperatures. A deeper mixed layer depth and higher surface nitrate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2012, caused by exposure of the sea surface to wind. The euphotic depth and subsurface chlorophyll maximum layer were deeper in 2015 than in 2012, and whereas the low surface phytoplankton biomass in both years indicated post-bloom periods. Similar phytoplankton biomass and different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found between ice and melt years. Small phytoflagellates (e.g., prymnesiophytes, prasinophytes, dinoflagellates, and cryptophytes) dominated the phytoplankton biomass with different community structur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areas in 2012, while diatoms dominated over the whole study area in 2015.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variation i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Chukchi and East Siberian Seas; however, the phytoplankton, especially diatoms, appeared to be controlled mainly by seeding from sea ice in the surface layer. Furthermore, euphotic depth and water mass structure are likely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ubsurface layer of this area, indicating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might be influenced by the water mass distribution under future ice-free conditions.</P> <P><B>Highlights</B></P> <P> <UL> <LI> Similar phytoplankton biomass and different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s between ice and melt years. </LI> <LI> Th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especially diatoms might be influenced by the sea ice concentration in the study area. </LI> <LI>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s likely to be more water-mass-specific in the ice-free period. </LI> </UL>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