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規則的 反射條件으로 分類된 空間群

        徐日煥,金光柱,秋錦洪,李珍昊,林星秀,柳保盈,金文執 충남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2 忠南科學硏究誌 Vol.19 No.1

        各 結晶格子는 230個 空間群 中 하나로 記述되는 對稱性을 가지고 있으며 그 結晶의 構造를 밝히기 爲하여는 그 結晶이 屬한 空間群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이 論文에서는 230個 空間群을, 그 結晶이 가지고 있는 反射條件에 依하여 明白히 決定되는 空間群과 空間群間의 共通的인 反射條件 때문에 結晶의 構造가 밝혀진 後에야 밝혀지는 空間群으로 分類하여 놓았다. Every crystal lattice has a symmetry which is described by one of the 230 space groups and the space group of a crystal must be known in order to elucidate its structure. In this paper the 230 space group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i.e., the space groups that are explicitly determined by the reflection conditions the crystals have and the others that are determined only after the elucidation of the crystal structures because of the common systematic reflection conditions between the space groups.

      • 結晶學에 關한 論題(Ⅲ)

        徐日煥,趙成浩,朴倧序,金光柱,秋錦洪,李珍昊 충남대학교 1991 忠南科學硏究誌 Vol.18 No.1

        本 論題에서는 (1) 結圖格子에 存在하는 3個의 回빼輪이 서로 交叉할 때 滿足하는 Euler關係式을 誘導하고, (2) 結晶內의 原子가 熱振動을 하므로써 생기는 非等方性 溫度因子를 3가지 모양으로 表示하고,이를 國際結晶學會에서 勸奬하는 等價 等方性 變位因子로 나타내었으며, (3) 7個 結晶系에 該當하는 原子間 距離 計算式과, 結合角 및 비틀림角 計算方法을 보였고, (4) 分解能에 따른 Miller指數 範圍, 測定時間의 節約을 위한 hkl의 變化順序, 對稱中心이 생기는 位置, 浮游法, goniometer head에 있는 孤의 曲率半慶計算, 2θBrag角, simple cube, bcc, fcc, diamond, hcp의 原子의 配位數 및 충진율, fcc를 trigonal로 變換 했을때 輪間角, 直接法에 使用되는 Cauchy의 不等式을 다루었다. 1. 交叉하는 두 回轉輪 Xl, X2를 回轉角 α, β만큼 回轉하면 回轉角 r의 第3의 回轉輪 X_3가 생기며, Xl, X2輪사이角을 C라 하고,X2, X3輪 사이角을 A라하며, Xl, X3사이 角을 B라 할때 A, B, C, α, β, r사이에는 다음 關係가 있다. cos A=(cos(β/2)cos(r/2)+cos(α/2))/(sin(β/2)sin(r/2)) cos B=(cos(r/2)cos(α/2)+cos(β/2))/(sin(r/2)sin(α/2)) cos C=(cos(α/2)cos(β/2)+cos(r/2))/(sin(α/2)sin(β/2))

      • 粉末 回折法을 위한 結晶面의 多重度因子 計算

        徐日煥,趙成浩,金光柱,秋錦洪,李珍昊 충남대학교 1991 忠南科學硏究誌 Vol.18 No.1

        같은 面間距離롤 갖는 한 面形인 다른 面들의 數로 定義 되는 多重度因子는 紹末回折賽驗에서 理論的인 强度計算을 위한 6個 因子 中의 하나이다. 이 論文에서는 各 Laue群에 대한 面 變換行列을 誘導하여 그 群에 있는 等價面 計算에 사용하였다. 各 Laue群에서 14가지 다른 種類의 面들의 多重度는 等價面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그들을 한 表로 합하여 놓았다. The multiplicity factor, which may be defined as the number of different planes in a plane form having the same spacing, is one of the six factors for the theoretical intensity calculation in powder diffraction experiment. In this paper, the plane transformation matrix for each Laue group was derived and the matrix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equivalent planes in the group. The multiplicity factors for the fourteen different kinds of planes in each Laue group were able to obtain from the equivalent planes and they were summarized in a table.

      • KCI등재

        습식 TCE 분해반응에서 CoO_(x)/TiO₂ 촉매의 반응활성 및 표면화학적 구조

        김문현,추광호 한국환경과학회 200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4 No.2

        Catalytic wet oxidation of trichloroethylene (TCE) in water has been conducted using TiO₂-supported cobalt oxides at 36℃ with a weight hourly space velocity of 7,500 h^(-1). 5% CoO_(X)/TiO₂, prepared by using an incipient wetness technique, might be the most promising catalyst for the wet oxidation although it exhibited a transient behavior in time on-stream activity. Not only could the bare support be inactive for the wet decomposition reaction, but no TCE removal also occurred by the process of adsorption on TiO₂ surface. The catalytic activity was independent of all particle sizes used, thereby representing no mass transfer limitation in intraparticle diffusion. XPS spectra of both fresh and used Co surfaces gave different surface spectral features for each CoO_(X+). Co 2p_(3/2) binding energy for Co species in the fresh catalyst appeared at 781.3 eV,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chemical states of CoTiO_(X) such as CO₂TiO₄ and CoTiO₃. The used catalyst exhibited a 780.3-eV main peak with a satellite structure at 795.8 eV. Based on XPS spectra of reference Co compound, the TCE-exposed Co surfaces could be assigned to be in the form of mainly CO₃O₄. XRD patterns for 5% CoOx/TiO₂ catalyst indicated that the phase structure of Co species in the catalyst even before reaction is quite comparable to the diffraction lines of external Co3O4 standard. A model structure of CoO_(X) present predominantly on titania surfaces would be CoO₃O₄, encapsulated in thin-film CoTiO_(X) species consisting of CO₂TiO₄ and CoTiO₃, which may be active for the decomposition of TCE in a flow of water.

      • 7個 結晶系의 唯一 X-線 回折强度 資料

        徐日煥,金光柱,秋錦洪,李珍昊,林星秀,柳保盈,金文執 충남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2 忠南科學硏究誌 Vol.19 No.1

        한 結晶의 構造는 唯一單位의 X-線 回折强度資料로부터 決定될 수 있다. Miller指數(hkl)의 函數인 回折强度Ⅰ(hkl)는 異常 散亂(anomalous scattering)이 無視될때 對稱中心點群 卽 Laue群의 對稱性을 나타낸다. 이 論文에서는 모든 結晶系에 對한 回折强度의 唯一單位를 Laue群들의 對稱性으로부터 誘導하여 놓았다. Crystal structures can be determined from the unique data of X-ray intensity. As the X-ray intensity Ⅰ(hkl), which is a function of diffraction plane (hkl), has a center of symmetry assuming anomalous scattering is negligible Ⅰ(hkl) shows the symmetry of a centrosymmetric point group, i.e., a Laue group. In this paper the unique data of the intensity for all crystal systems have been derived from the symmetries of Laue groups.

      • SCOPUSKCI등재

        동종골수이식 후 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양상 및 관련인자

        이원영,강무일,오은숙,오기원,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신완식,민우성,김춘주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골수이식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면역억제제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주로 고령의 만성 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는 고형장기이식에서와는 달리 당대사 및 지단백 대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로 혈당 및 혈중지단백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임상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43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및 이식 후 1, 2, 3, 4주와 3개월, 6개월에 공복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을 측정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여러 임상인자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1. 공복혈당은 골수이식 수 첫4주 동안 상승하였고 이후 감소하였으나 이식 6개월 시점의 평균 공복혈당은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이식 후 1주에 최고치를 형성하였고 이후 기저수준으로 회복되었다가 이식 수 3,6개월에 다시 증가하여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이식 후 1개월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3,6개월에는 기저치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고밀도지단백은 이식 후 2,3주에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이식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저밀도지단백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였다. 2. 골수이식 후 6개월 시점에서 공복 혈당이 126㎎/dL이상인 환자는 7명(16%)이었다. 이들 환자들과 공복혈당 126㎎/dL 미만의 환자 36명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인 환자군에서 스테로이드 평균 투여량이 많았고 고밀도지단백이 유의하게 낮았다. 3.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이 더 낮았고, 3개월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다. 혈연골수이식 환자군은 비혈연골수이식 환자에 비해 투여된 스테로이드 용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았다.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군(하루 평균 7.5㎎기준)은 저용량군보다 이식 후 3개월 시점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으나 나머지 시점의 혈당, 혈중 지질농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골수이식 후 초기시기에 주로 당 대사 및 지질대사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면역억제제 투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억제제가 고용량 투여되는 합병증 발생 시 이들 대사이상에 관심을 기울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recipients are usually younger and immunosuppressants are open used in shorter period than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between BMT and solid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serial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following BMT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changes of blood glucose, lipids and the putativ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se changes after BMT. Methods: We have prospectively investig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Fasting plasma glucose(FP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measured before BMT, and at 1, 2, 3, 4, 12 weeks and 6 months after BMT. The serial changes of these metabolic parameters according to clinical factors including type of BMT, mean daily steroid dosage, and occurrence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were examined. Results: 1. Mean FPG level increased during 4 weeks after BMT and remained above basal value at post-transplant 6 months. Tota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and was above basal value at post-BMT of 3 and 6 months. Triglyceride level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2. Patients with FPG above 126 mg/dL and the other patients, the former received larger amounts of daily steroid and had lower HDL-cholesterol level. 3. The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BMT, steroid dose, and occurrence of GVHD.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increase of FPG, TC, TG and decrease of HDL-C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these metabolic changes recovered slowly thereafter. Immunosuppressant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Further observation will be needed for the long-term effect of BMT on metabolic changes(J Kor Diabetes Asso 24:689~698, 2000).

      • SCOPUSKCI등재
      •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성장인자의 변화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Bone Mineral Metabolism

        백기현,오은숙,오기원,이원영,김혜수,권순용,한제호,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각종 장기이식의 시행이 많아지고 이식 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식 후 합병증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다양한 내분비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골격에 대한 합병증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이식 후 초기의 골형성 저하와 골흡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추측되는데 이러한 골재형성불일치(biochemical uncoupling)에 골 성장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로 말초 혈액에서 IGF-I, FGF-2, M-CSF같은 성장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들 성장인자의 변화가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골형과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및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 소실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여러 가지 혈액질환으로 인해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식 전 및 이식 후 1주, 2주, 3주, 4주 및 3개월, 6개월 1년에 말초 혈액에서 골교체표지자를 측정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1년 후에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던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냉동 보관되어 있던 혈청을 이용하여 IGF-I, FGF-2 및 M-CSF를 시기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성장인자와 골교체표지자의 변화 및 골밀도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골흡수 표지자인 혈청 ICTP는 이식 전에 비해 이식 후 4주까지 점차 의의 있게 증가하다가 이후 6개월까지 더욱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osteocalcin은 이식 후 3주까지는 점차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여 이식 후 3개월 및 6개월에 기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혈청 IGF-I과 FGF-2는 각각 이식 후 3주 및 1주까지 의미있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혈청 M-CSF는 이식 후 1주째에 기저치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이식 1년 후 평균 요추부 골밀도는 5.2% 감소하였고 평균 근위대퇴골 골밀도는 11.6% 감소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 후 3주에 측정한 IGF-I과 같은 시기에 측정한 오스테오칼신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식 후 3주째의 M-CSF와 골흡수표지자인 M-CSF 사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 후 3주 및 3개월에 IGF-I이 낮은 환자일수록 이식 1년 후 근위대퇴골에서의 골소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기존에 알려진 기저질환의 영향, 성호르몬의 감소, 면역억제의 투여, 골수기질세포와 조골세포의 손상 및 이식초기 사이토카인의 변화이외에도 골성장인자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소실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A loss of bone mass is usually detected after a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especially during the early post-transplant period. We recently reported that enhanced bone resorption following a BMT was related to both the steroid dose and the increase in IL-6. We also suggested damage to the marrow stromal microenvironment, by myoablation, partly explains the impaired bone formation following a BMT. It is well known that some growth factor play important role in bone growth and osteogenesis. However, the pathogenetic role of bone growth factors in post-BMT bone loss is unknown and data on the changes in the growth factors, in accordance with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re scarce. We investigated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such as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I),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and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during the post-BMT period, and assessed whether the growth factor changes influenced the bone turnover and post-BMT bone los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prospective study to describe the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following a BMT.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110 patients undergoing a BMT, and analyzed 36 patients (32.4±1.3 years, 17 men and 19 women) whose BMDs were measured before,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ere measured before, 1, 2, 3 and 4 weeks, 3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FGF-2, IGF-I and M-CSF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1 and 3 weeks, and 3 months after the BM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various bone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bone losses in the lumbar spine and total proximal femur,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change from the baseline to the level at 1 year, were 5.2(p<0.05) and 11.6%(p<0.01), respectively. the serum type I carboxyterminal telopeptide(ICTP), a bone resorption marker, increased progressively until 6 months after the BMT, but thereafter decreased, to the base value after 1 year. Serum osteocalcin, a bone formation marker,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after the BMT but then increased transiently, and finally returned to the base level at 1 year. The serum IGF-I and FGF-2 also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1 week after the BMT, respectively, then increased to the base values at 3 months. The serum M-CSF increased briskly at 1 week post-BMT, then decreased to the base leve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ntage changes from the baseline proximal femur BMD and the IGF-I levels 3 weeks and 3 months (r=0.52, p<0.01, r=0.41, p<0.05) post BM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GF-I and osteocalcin levels pre-BMT, and 3 weeks after the BM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CSF and the ICTP levels at 3 weeks post BMT (r=0.54,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rum IGF-I, FGF-2 and M-CSF levels in the immediate post-BMT period, which were related to a decrease in bone formation and loss in the proximal femoral BMD during the year following the BMT (J Kor Soc Endocrinol 17:664∼674, 2002).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