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구조강도부문] 디젤기관 캠-롤러 접촉부의 표면아래 응력해석
구영필(Youngpil Koo),이문주(munju Lee),조용주(Youngjoo Ch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0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study, the subsurface stress field beneath the roller by fluid film pressure working on the roller surface has been calculated by using the rectangular patch solution. Main purpose of this study in view of engineering is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profiling roller presented by Koo et al. Koo et al. obtained the fluid film pressure by EHL analysis of earn-roller mechanism. To prove the advantage of this study, we compared Koo's profiling with the existing Dub-off profiling roller. To obtain the subsurface stress field created by normal force, namely, fluid film pressure, Love's solution is used.
정천구(Jung, Chun?koo)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3
『삼국유사』는 제목에서 ‘삼국의 유사’임을 밝혔음에도 「기이」편의 앞부분에 ‘삼국 이전’의 역사와 관련된 조목들을 열 편 이상 수록하고 있다. 이 조목들은 단순히 역사적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것도 아니며, 〈신라시조 혁거세왕〉 이후의 조목들과 글쓰기에서도 차이가 난다. 이런 독특한 구성과 글쓰기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일연은 「기이」편의 앞부분에서 삼국 이전의 역사적 사실을 주로 설명과 논증의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는 〈신라시조 혁거세왕〉 이하가 거의 서사라는 점과 대비된다. 사실을 전달하는 설명과 주장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논증이 쓰인 것은 지리적 정보를 제시하기 위해서였다. 이 지리적 정보는 두 개의 큰 흐름을 보여주는데, 하나는 〈고조선〉에서 〈오가야〉까지이며 다른 하나는 〈북부여〉에서 〈우사절유택〉까지다. 이 두 갈래는 고대사가 북방의 대륙에서 남방의 해양으로 지리적 이동을 해온 역사임을 공통적으로 드러내 보여준다. 이는 일연이 ‘삼국 이전’의 역사를 단순히 시간적 흐름에 따라 이해하지 않고 지리적 변화와 아울러 파악했음을 의미하며, 왕권이나 정치체의 계승이 아닌 다른 계통을 세우려 했음을 의미한다. 고대사를 북방에서 남방으로, 대륙에서 해양으로 전개되거나 이동한 역사로 본 것이다. 일연이 고대사의 흐름을 지리적 이동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것, 즉 역사지리적으로 파악한 것은 매우 독창적이면서도 뛰어난 인식이다. 이를 부실하고 불충분한 자료로 말미암아 고대사의 전개를 온전하게 서술할 수 없었던 한계에서 나왔다고 볼 여지도 있으나, 그보다는 한국의 고대사가 ‘대륙에서 해양으로’ 지리적 이동을 한 역사임을 통찰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The title of Samgukyusa(三國遺事) means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三國) which is Goguryo, Baekje, and Silla. But Ilyeon(一然) who is the author of Samgukyusa had written the history of before the three kingdoms in Kiyi(紀異), which is a foremost chapter(篇目) in it and contains 57 items(條目). In Kiyi there are 17 items concerned with the history of before the three kingdoms.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them and find out the purport of them. There is a wide difference of writing between 17 items and the other items in Kiyi. The former are written with exposition and argument, but the latter written with narrative. Ilyeon had made a difference deliberately in writing of Kiyi. He adopted the writing of exposition and argument to suggest geographical information, which shows two streams of the history of before the three kingdoms. The one is a stream coming down to Ogaya(五伽耶) from Gojoseon(古朝鮮), the other is a stream to Jinhan(辰韓) from Bukbuyeo(北扶餘). Two streams flows side by side into Silla which is a southernmost country of the three kingdoms. It means that Ilyeon took a look at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geographical movement. Ilyeon had a particular and marvelous insight fusing geographical changes into a chronicle. His insight was derived from abandoning a perspective of succession and having a perspective of geographical system. To sum up, 17 items in Kiyi have connotation that the ancient Korean was moving ceaselessly to the south from the north or to the ocean from the continental.
표준화재에 노출된 무피복 메가 CFT 기둥의 온도분포 및 강도 예측
이철호(Lee, Cheol Ho),류이현(Ryu, Ihyun),신동진(Shin, Dong Jin),구자훈(Koo, Ja Hun),염경수(Yom, Kyong Soo) 한국강구조학회 2021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재에 노출된 무피복 CFT 합성기둥의 온도예측에 사용될 수 있는 3가지 대표적 접근법을 리뷰하고, 최근에 수행된 메가 CFT 부재 비재하가열 시험결과를 토대로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구-이-안(2013)의 방법이 Lawson-Newman(1996), Wang(2002)의 방법에 비해 적용범위가 넓고 예측의 정확도 또한 높았다. 그 정확도는 화재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단면폭 700 mm, 1,000 mm, 1,400 mm 메가 CFT 기둥의 180분 표준화재 노출 후의 고온소성압축강도는 각각 상온강도의 39 %, 44 %, 47 %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고온에서의 유효좌굴길이계수 K를 보수적으로 1.0으로 가정해도 단면폭 700 mm, 1,000 mm, 1,400 mm CFT 기둥(세장비 L/D = 5)의 화재노출시간 180분에 대한 고온좌굴강도는 상온강도의 34.0 %, 39.4 %, 42.1 % 수준으로서 고온좌굴에 의한 소성강도저하는 10 % 정도에 불과하다(K = 0.5에 대한 경우 같은 조건에서 고온좌굴에 의한 강도저하는 무시할 만하다). 6 % 내외의 내화 철근을 배근하면 하중비 60 % 수준의 메가 CFT 기둥을 무피복으로 내화설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편계산법에 의한 성능기반내화설계에 활용가능하다. In this study, three representative method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unprotected CFT columns under standard fire were evaluated based on recent large-size testing data. Among the three methods evaluated, Koo-Lee-Ahn’s method (2013) was most versatile and provided most satisfactory predictions, with its prediction accuracy being improved as the fire exposure time increased. For the standard fire exposure of 180 min, the plastic compressive strength of unprotected square CFT columns with a width of 700 mm, 1,000 mm, and 1,400 mm was calculated to retain 39 %, 44 %, and 47 % of respective cold column strength. The reduction of the plastic compressive strength due to inelastic buckling was just moderate (about 10 %) for a slenderness of L/D = 5.0 and an effective buckling length factor of K = 1.0, and almost negligible under the same condition with K = 0.5. With adding 6 % fire reinforcement, the allowable load ratio was increased to around 0.60, thus indicating that unprotected fire design of mega CFT columns is practically feasi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implementing the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of unprotected CFT columns under the framework of simple calculation method.